KR100661622B1 - 램프 설치용 크램프 - Google Patents

램프 설치용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622B1
KR100661622B1 KR1020050126236A KR20050126236A KR100661622B1 KR 100661622 B1 KR100661622 B1 KR 100661622B1 KR 1020050126236 A KR1020050126236 A KR 1020050126236A KR 20050126236 A KR20050126236 A KR 20050126236A KR 100661622 B1 KR100661622 B1 KR 10066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lt
pressing member
fixing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156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6162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2005012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설치용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교량의 스틸박스내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조명등과 같은 각종 램프들이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시에도 설치된 스틸박스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몸체 양단이 굴곡되어 양측면을 형성하여 개구된 삽입부(11)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나사홀(12)이 뚫려진 클램프부재(1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나사홀(12)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2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일측 내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으로는 가동패드(40)이 장착되는 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타측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패드(5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볼트(20)의 단부를 회동 자유로우면서 가동패드(40)가 장착된 가압부재(30)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0)은 가압부재(30)에 고정홀(31)을 뚫고 볼트(20)에는 고정홀(31)에 끼워지도록 잘록한 허리 형상의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1)의 단부는 가압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를 위해 끼움부(21) 보다 큰 치수로 확대된 머리부(22)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22)의 위치로 가동패드(40)에 여유홈(42)을 파내는 것이다.
크램프, 램프, 진동, 볼트, 패드

Description

램프 설치용 크램프{A Clamp for Installing a Lamp}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
도 5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을 통해 가압부재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클램프부재 11 - 삽입부
12 - 체결구멍 20 - 볼트
21 - 끼움부 22 - 걸림편
30 - 가압부재 31 - 고정홀
32 - 끼움홀 40 - 가동패드
41 - 고정돌기 42 - 여유홈
50 - 고정패드 55 - 요철홈
60 - 연결수단 70 - 너트
80 - 고정부 90 - 가설물
본 발명은 램프 설치용 크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각종 램프가 가설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시에도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교량은 하천, 계곡 또는 다른 도로의 기능을 저해하는 곳이 있을 경우 도로를 연결하는 구조물로서, 용도에 따라 다리, 가도교, 고가교 등으로 나누어지며, 주요 구조에 사용되는 재질에 따라 콘크리트교와 강교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100)은 양단에 위치되어 교량과 도로를 접속하는 교대(101)와,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교각(102)과, 상기 교대(101)와 교각(102)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틸박스거더(10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틸박스거더(103)는 교대(101)와 교각(102)사이 또는 교각(102)과 교각(102)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다수의 스틸박스(104)의 상단이 서로 용접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틸박스(10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면에 다수의 내부 리브가 구비된 하판과, 이 하판의 양단에서 수직으로 올려지는 측판 및 측판의 상단을 마감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교량의 스틸박스 내부에는 교량 점검용 조명기구와 같은 각종 가설물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교량의 스틸박스는 구조 역학상 가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용접이나 구멍뚫기 작업이 금지되는데, 이는 용접시 가해지는 열에 의하여 분자구조의 변화가 발생하여 강도가 저하되고, 구멍이 뚫었을 경우 구멍에 의한 크랙이 발생하여 교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안전에 문제점을 유발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량 점검용 조명기구 등과 같은 각종 전기 가설물은 용접이나 체결수단에 의해 교량의 스틸박스내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설치하였다.
클램프 구조는 통상적으로 몸체 양단이 굴곡되어 측면을 이루고, 일측이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볼트가 관통되어 결합되는 체결구멍이 뚫려있다.
이 클램프의 삽입부를 스틸박스의 리브 등에 끼워 삽입한 다음 일측면의 체결구멍에 볼트를 체결하여, 볼트의 끝단과 클램프의 내측면 사이에서 스틸박스의 리브 등이 가압되어 위치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램프는 단순히 볼트의 조임에 의해 볼트의 끝단이 직접적으로 교량 등의 가설물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이 교량 위를 주행하거나 하여 계속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볼트의 체결력이 해제되어, 교량 점검용 조명기구 등과 같은 각종 가설물물을 보다 안정적이면서 영구히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클램프 구성에서 별도의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내측으로 탄성압축편을 형성한 후 볼트를 통해 가압부재와 고정되는 방식이 제안되바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종래 볼트의 끝단면을 통해 고정시키는 구성보다는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진동발생시 가압부재에서 볼트가 고정된 셋팅위치에서 역으로 풀림현상으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가압부재의 체결홀에 끼워진 볼트가 상기 체결홀에서 이탈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장시간 사용후에는 탄성압축편과 볼트의 가압력이 저하되고, 차량 주행 등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볼트가 가압부재의 체결홀에서 이탈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프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가압부재와 탄성압축편을 구비하고, 일측 탄성압축편이 설치된 가압부재를 볼트로 가압하도록 하여, 가압되는 접촉면 증대 및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램프 설치용 크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부재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탄성압축편 후측으로 고정돌기부를 형성하여 가압부재와 탄성압축편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램프 설치용 크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압축편이 내측으로 설치되는 가압부재를 전, 후로 이동시키면서 가압 및 해제시키는 볼트에 너트가 결합되어 가압된 볼트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램프 설치용 크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 양단이 굴곡되어 양측면을 형성하여 개구된 삽입부(11)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나사홀(12)이 뚫려진 클램프부재(1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나사홀(12)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2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일측 내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으로는 가동패드(40)이 장착되는 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타측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패드(5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볼트(20)의 단부를 회동 자유로우면서 가동패드(40)가 장착된 가압부재(30)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0)은 가압부재(30)에 고정홀(31)을 뚫고 볼트(20)에는 고정홀(31)에 끼워지도록 잘록한 허리 형상의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1)의 단부는 가압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를 위해 끼움부(21) 보다 큰 치수로 확대된 머리부(22)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22)의 위치로 가동패드(40)에 여유홈(42)을 파내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램프 설치용 크램프는 단부에 연결수단(60)이 구비된 볼트(20)를 통해서 내측에 가동패드(40)이 장착된 가압부재(30)의 전, 후 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클램프부재(10)의 삽입부(11)로 삽입되는 고정부(80)를 가압하는 고정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80)에 진동이 발생되어도, 고정부(80)에서 클램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가설물물에 본 발명이 적용된 클램프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을 통해 고정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고정부재에 본 발명인 연결수단을 통해 가압부재가 이동되면서 내측에 장착된 가동패드가 고정부재와 단속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결수단을 통해 가압부재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교량 정검등용 진동방지형 가설물 조임장치의 클램프부재(10)는 판형상 몸체의 양단이 소정의 폭을 갖고 굴곡되어 측면을 형성하여 하부가 트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부재(10)의 내부에는 일측과 상, 하면 3면이 개구된 삽 입부(11)가 형성되어, 이 삽입부(11) 내로 후술될 고정패드(40)와 가동패드(50)에 의해 가압되어 클램프부재(10)가 고정되는 고정부(80)가 끼워져 삽입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재(10)의 일측면에는 나사홀(12)이 뚫려져 볼트(20)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볼트(20)의 끝단에는 내측에 가동패드(40)이 장착된 가압부재(30)가 관통되어 결합되어, 이 가압부재(30)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일측 내측면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30)의 몸체 고정홀(31)에 결합되는 볼트(20) 끝단부에는 가동패드(40)가 장착된 가압부재(30) 전, 후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연결수단(60)이 형성된다.
이 연결수단(60)은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30)에는 고정홀(31)을 뚫고 볼트(20)에는 고정홀(31)에 끼워지도록 잘록한 허리 형상의 끼움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끼움부(21)의 단부는 가압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를 위해 끼움부(21) 보다 큰 치수로 확대된 머리부(22)를 형성하게 된다.
즉, 끼움부(21)는 가압부재(30)의 고정홀(31)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이 자유로운 직경으로 단턱지게 형성한 후, 가압부재(30)의 고정홀(31)에 끼운 다음 그 단부를 타격하는 것에 의해 끼움부(21) 보다 치수가 큰 머리부(22)가 형성되므로 볼트(20)가 가압부재(30)로부터 회전은 자유로움 상태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볼트(20)를 회전할 때 가동패드(40)를 장착하고 있는 가압부재(30) 가 나사 진행방향으로 함께 전, 후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끼움부(21)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22)의 크기(h2)는 끼움부(21)의 직경(h1)보다 크게 설계 및 제작된다.
한편, 가압부재(30)를 전, 후진 시키기 위한 볼트(20) 및 이 볼트(20)와 가압부재(3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6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하 거리를 두고 두곳에서 각각 동일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안정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어 한 곳에 볼트(20)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바람직 함을 밝혀둔다.
볼트(20)의 끼움부(21) 타측 단부로 구성되는 머리부(22)는 가압부재(30)의 고정홀(31) 직경보다 크게 후공정 등을 통해 완성되므로, 볼트(20)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머리부(22)가 가압부재(30)의 내측에 접촉된 상태로 걸어서 가압부재(30)를 후퇴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볼트(20)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볼트(20)의 끼움부(21) 보다 직경이 큰 단부가 가압부재(30)와 접촉되면서 전진되는 것에 의해 고정부(80)에 가압부재(30) 및 가동패드(40)가 전진되며 압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20)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22) 위치로 상기 가동패드(40)에는 여유홈(42)을 파내어 볼트(20)의 머리부(22)가 회전 작동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고 원활하게 소음없이 볼트(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30) 내측으로 장착되는 가동패드(40)몸체 후측과 가압부재(30) 대응위치로는 고정돌기(41)와 끼움홀(32)을 형성하여 가압부재(30) 내측에서 가동패드(40)가 유동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끼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가압부재(30)의 끼움홀(32) 직경보다 다소 크게 고무재질인 가동패드(40) 몸체 후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돌기(41)를 형성한 후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가압부재(30) 내측으로 장착되는 가동패드(40)의 위치 고정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패드(40)의 고정돌기(41) 설정길이는 가압부재(30)의 고정홀(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일정거리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고정력 증대를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볼트(20)가 설치된 클램프부재(10) 외측으로는 볼트(20) 몸체에 로크너트(70)가 체결되어 위치된다.
이는, 볼트(20) 단부로 구성되는 연결수단(60)에 의해 고정상태가 셋팅된 상태에서 로크너트(70)를 더 조여지게 하여 클램프부재(10)의 나사홀(12)에 끼워진 볼트(20)가 차량 주행등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정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클램프부재(10)의 내측 타측과 가압부재(30) 내에서 장착되는 가동패드(40)와 고정패드(50)는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고정부(80)를 가압한 상태에서 진동이 작용되더라도 이를 흡수하면서 안정적인 가압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가동패드(40)와 고정패드(50)에 의해 고정부(80)에 밀착되는 접촉면은 증대되고, 너트(70)에 의해 볼트(20)의 위치가 지지되어 가압된 상태가 견고히 유 지되므로, 교량의 불규칙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설치된 고정부(8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로서 교량 점검용 조명등(1)과 각종 전기 배선에 사용되는 전기박스 등과 같은 각종 가설물(90)에 장착되어 이 가설물(90)을 교량의 스틸박스 내부에 견고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동패드(40)과 고정패드(50)은 압축면에 산과 골을 가지는 요철홈(45)(55)을 형성하여 고정부(80)를 가압할 경우 마찰력과 압축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의 스틸박스내부에 장착되는 곳에 한정되어 사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진동이 발생되는 스틸박스형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가설물물(9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도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종래 클램프 구성과는 달리 가동패드가 장착된 가압부재를 볼트를 통해서 전체 면적으로 가압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가압작업시 고정부재와 고정패드 및 가동패드와 접속되는 범위를 최대화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력 및 지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종 가설물물에 장착되어 이 가설물물을 내부에 설치할 경우 불규칙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가설물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볼트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 위치로 가동패드에 여유홈을 파내어 볼트의 머리부가 회전 작동할 때 서로 접촉하지 않고 원활하게 소음이나 간섭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몸체 양단이 굴곡되어 양측면을 형성하여 개구된 삽입부(11)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나사홀(12)이 뚫려진 클램프부재(1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나사홀(12)에 나사 체결되는 볼트(2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일측 내측면에 위치하며, 내측으로는 가동패드(40)이 장착되는 가압부재(30)와;
    상기 클램프부재(10)의 타측 내측면에 장착되는 고정패드(5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볼트(20)의 단부를 회동 자유로우면서 가동패드(40)가 장착된 가압부재(30)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6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0)은 가압부재(30)에 고정홀(31)을 뚫고 볼트(20)에는 고정홀(31)에 끼워지도록 잘록한 허리 형상의 끼움부(21)가 형성되고, 이 끼움부(21)의 단부는 가압부재(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를 위해 끼움부(21) 보다 큰 치수로 확대된 머리부(22)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22)의 위치로 가동패드(40)에 여유홈(42)을 파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설치용 크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 내측으로 장착되는 가동패드(40)몸체 후측과 가압부재(30) 대응위치로는 상호 고정을 위한 고정돌기(41)와 끼움홀(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설치용 크램프.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20)에는 클램프부재(10) 외측으로는 로크너트(70)가 더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설치용 크램프.
KR1020050126236A 2005-12-20 2005-12-20 램프 설치용 크램프 KR10066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236A KR100661622B1 (ko) 2005-12-20 2005-12-20 램프 설치용 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236A KR100661622B1 (ko) 2005-12-20 2005-12-20 램프 설치용 크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622B1 true KR100661622B1 (ko) 2006-12-27

Family

ID=3781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236A KR100661622B1 (ko) 2005-12-20 2005-12-20 램프 설치용 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162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43Y1 (ko) * 2009-09-18 2010-02-24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270579B1 (ko) 2013-01-17 2013-06-03 이재용 교량용 조명장치
CN104214717A (zh) * 2013-05-29 2014-12-17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快速安装支架灯具
KR101493169B1 (ko) * 2013-10-29 2015-03-02 이준석 교량 점검등 체결 구조
KR101596644B1 (ko) * 2015-09-10 2016-02-23 임정희 클램핑 기능을 가지는 등기구
KR20180022267A (ko) * 2016-08-24 2018-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해수 오염 방지 천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막의 설치 방법
KR20200088166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아모센스 레일조명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843Y1 (ko) * 2009-09-18 2010-02-24 삼익방폭전기 주식회사 완충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270579B1 (ko) 2013-01-17 2013-06-03 이재용 교량용 조명장치
CN104214717A (zh) * 2013-05-29 2014-12-17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快速安装支架灯具
CN104214717B (zh) * 2013-05-29 2017-02-08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快速安装支架灯具
KR101493169B1 (ko) * 2013-10-29 2015-03-02 이준석 교량 점검등 체결 구조
KR101596644B1 (ko) * 2015-09-10 2016-02-23 임정희 클램핑 기능을 가지는 등기구
KR20180022267A (ko) * 2016-08-24 2018-03-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해수 오염 방지 천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막의 설치 방법
KR102590044B1 (ko) 2016-08-24 2023-10-13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 블록용 해수 오염 방지 천막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막의 설치 방법
KR20200088166A (ko) * 2019-01-14 2020-07-22 주식회사 아모센스 레일조명 장치
KR102643380B1 (ko) 2019-01-14 2024-03-05 주식회사 아모센스 레일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622B1 (ko) 램프 설치용 크램프
US20200378072A1 (en) Cover assembly for structural members
CA2244041A1 (en) Track lighting fixture
KR101129488B1 (ko)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US6129288A (en) Railroad crossing panel filler
BR112016025336B1 (pt) Conjunto de presilha de trilho
KR200493250Y1 (ko) 터널 방음벽의 상부판 고정용 클램프 구조물
KR101282647B1 (ko) 집게형 고정 클램프
KR200268123Y1 (ko) 스틸박스용 클램프
CN210002445U (zh) 一种下水道井盖
KR101334792B1 (ko) 높낮이 조절형 맨홀뚜껑 시스템
KR200217061Y1 (ko) 교통표지판의 설치장치
AU2005328279B2 (en) Oscillation absorber system
JP3861247B2 (ja) 覆工板の締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77908Y1 (ko) 철도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40242Y1 (ko) 보도 및 차도 분리용 펜스
WO2020053938A1 (ja) 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装置
JP4406844B2 (ja) 道路用ブロック及びその連結方法
JP7072223B2 (ja) 閉蓋固定構造
KR200440243Y1 (ko) 보도 및 차도 분리용 펜스
KR200180126Y1 (ko) 부두용 자동차막이
CN211948887U (zh) 一种钢梁防滑移钩
KR0117239Y1 (ko) 레일 클램프
JPH083441Y2 (ja) 軌道の座屈防止装置
KR200444234Y1 (ko) 가로등 등주용 안정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18

Effective date: 200911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2

Effective date: 20100514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4

Effective date: 201005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611

Effective date: 20100708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