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36B1 -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36B1
KR101270536B1 KR1020050102005A KR20050102005A KR101270536B1 KR 101270536 B1 KR101270536 B1 KR 101270536B1 KR 1020050102005 A KR1020050102005 A KR 1020050102005A KR 20050102005 A KR20050102005 A KR 20050102005A KR 101270536 B1 KR101270536 B1 KR 101270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gas
oil
pipe
compre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512A (ko
Inventor
미치요시 쿠사카
타카시 카네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01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를 병렬 접속시켰을 경우, 각 압축기의 적정 유량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의 실외기에는, 제 1, 제 2, 제 3 압축기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압축기에는 제 1 압축기 균유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압축기 균유장치는 제 1 압축기의 압력 용기에 접속된 접속관과, 기액 분리 수단과, 기액 분리 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통류시키는 오일환류관과, 기액 분리 수단로부터 유출되는 기체를 주로 통류시키는 균유관을 가지고 있다. 오일환류관은 제 1 압축기(10)의 흡입 분기관에 접속되고, 균유관(36)은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의 오일환류관과 합류한 후에 흡입 배관에 접속되어 있다.
Figure R1020050102005
압축기 균유장치, 기액 분리 수단, 오일환류관, 균유관, 분기관

Description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Compressor Distribu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냉동기의 구성도.
도 2는, 기액 분리 수단의 용적의 범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압축기 균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압축기 균유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2대의 압축기를 갖는 경우의 압축기 균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동기 10: 제 1 압축기
11: 제 2 압축기 12: 제 3 압축기
17: 실외 열교환기 21: 실내 열교환기
23: 흡입 배관 27: 고압 용기
31: 제 1 압축기 균유장치 33,43,53: 기액 분리 수단
33A: 유입단 33B: 제 1 유출단
33C: 제 2 유출단
35, 45, 55: 캐필러리 튜브(제 1 유량 조정 수단)
37, 47, 57 캐필러리 튜브(제 2 유량 조정 수단)
41: 제 2 압축기 균유장치 51: 제 3 압축기 균유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및 압축기 균유장치를 갖는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냉동기 등의 경우 복수의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순환시킬 때 각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가 불균일해져 특정 압축기의 냉동기유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균일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냉동기에서는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의 밸런스를 유지시키는 장치를 장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의 일 예로는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3197768호가 있으며, 여기서는 일측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오일 밸런스관을 접속시키고 이 오일 밸런스관을 감압기를 통해 타측 압축기의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고 있다. 냉동기 운전시, 압축기를 1대만 운전시켰을 경우에는 일정 시간동안 운전 후 오일 밸런스관으로 접속된 2대의 압축기를 소정 시간 동안 동시 운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잉여분의 냉동기유를 갖는 압축기의 압력 용기로부터 냉동기유가 부족한 압축기의 압력 용기로 냉동기유가 환류되어 2대의 압축기간의 냉동기유 불균형이 해소된다.
그러나, 압축기를 1대 운전하고 있을 때 오일 밸런스관이 접속된 높이보다 냉동기유의 유면이 낮아지면 고압 용기 내로 비산되는 냉동기유 오일 미스트가 오 일 밸런스관을 통해 타측의 압축기로 이동하여 일측 압축기의 유면 저하가 더욱 진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동안 2개의 압축기를 동시 운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제어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3대 이상의 압축기를 병렬로 접속시켰을 경우에는 유면이 저하된 압축기를 특정하기 어려워 모든 압축기에 대해 필요한 유면 높이를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압축기를 병렬 접속시켰을 경우 각 압축기의 적정 유량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균유장치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압축기 균유장치로서, 기액 분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입단을 하나의 상기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접속시키고,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출단 중 주로 액체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단을 그 압축기로만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고, 주로 기체를 유출시키는 제 2 유출단을 다른 상기 압축기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기 균유장치에서는 기액 분리 수단이 접속된 압축기에 있어서, 기액 분리 수단의 유입단에 접속되는 배관의 접속 높이보다 그 압축기 냉동기유의 유면이 높을 경우에는 냉동기유가 기액 분리 수단으로 유입되어 복수의 압축기로 배 분된다. 반면 그 압축기 냉동기유의 유면이 배관이 접속되어 있는 위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혼입된 냉매가 기액 분리 수단으로 유입되고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기액 분리 수단에서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원래의 압축기로 회수된다.
이하에서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 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냉동기(1)는 실외기(2)로부터 연장되는 가스관(3) 및 액관(4)에 복수의 실내기(5)를 병렬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실외기(2)는 제 1 압축기(10)와 제 2 압축기(11)와 제 3 압축기(12)를 가지고 있다.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각각의 토출구에는 토출배관(14)이 접속되어 있고, 토출배관(14)은 하나로 합류된 후 오일 분리기(15)를 통해 사방밸브(16)의 제 1 포트(16A)에 접속되어 있다. 사방밸브(16)는 4개의 포트를 가지며 제 1 포트(16A)와 제 2 포트(16B)를 접속시켰을 때에는 제 3 포트(16C)와 제 4 포트(16D)가 접속되고, 제 1 포트(16A)와 제 3 포트(16C)를 접속시켰을 때에는 제 2 포트(16B)와 제 4 포트(16D)가 접속되도록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방밸브(16)의 제 2 포트(16B)는 실외 열교환기(17)를 통해 액관(4)이 접속되어 있다. 액관(4)은 실외기(2) 내의 관로 도중에 실외측 감압장치(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관(4)은 밸브(19)에 의해 실외기(2) 내의 관로와 실외기(2) 외측으로 연장되는 관로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관(4)의 실외기(2) 외측으로 연장되는 관로는 또한 3개의 분기관(4A)으로 분기되어 있으며 이 분기관들(4A)은 3대의 실내 기(5) 내로 1개씩 유도되어 각 실내기(5)의 실내측 감압장치(20)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실내기(5)는 실내측 감압장치(20)와 실내 열교환기(21)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실내 열교환기(21)에 가스관(3)의 분기관(3A)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실내기(5)의 수는 3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관(3)은 각 실내기(5)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합류된 후 실외기(2) 내부로 유도되며, 밸브(22)에 의해 실외기(2) 외측으로 연장되는 관로와 실외기(2) 내의 관로가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스관(3)은 실외기(2) 내에서 사방밸브(16)의 제 3 포트(16C)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사방밸브(16)의 제 4 포트(16D)에는 흡입 배관(23)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 배관(23)은 열교환 후에 압축기(10, 11, 12)로 흡입시킬 냉매를 통류시키는 배관으로서, 오일 분리기(15)로부터의 오일환류관(24)이 합류된 후 3개의 흡입 분기관(23A)으로 분기되어 각 압축기(10, 11, 12)별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오일환류관(24)에는 그 관로 도중에 캐필러리 튜브 등의 감압 수단(26)이 설치되어 있다.
흡입 배관(23)의 각 흡입 분기관(23A)은,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고압 용기(27)에 접속되어 있다. 즉, 각 흡입 분기관(23A)에는 압축기(10, 11, 12) 중 대응하는 하나의 압축기로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하게 된다.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는 각각의 고압 용기(27) 내에 소정량의 냉동기유가 담겨 있다.
또한, 제 1 압축기(10)에는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가 접속되어 있다. 마 찬가지로, 제 2 압축기(11), 제 3 압축기(12)에는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41, 51)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는 고압 용기(27)의 저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접속된 접속관(32)을 가지고 있다. 이 접속관(32)은 기액 분리 수단(33)의 유입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33)은 예를 들면 원심력을 이용하여 기액이 혼합된 유체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33)에서 주로 액체가 유출되는 제 1 유출단에는 오일환류관(34)이 접속되어 있다. 오일환류관(34)은 그 관로 도중에 제 1 유량 제어 수단인 캐필러리 튜브(35)가 설치된 후 제 1 압축기(10)로 흡입될 냉매만이 통류되는 제 1 압축기(10)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기액 분리 수단(33)의 경우, 주로 기체가 유출되는 제 2 유출단에는 균유관(36)이 접속되어 있다. 균유관(36)은 그 관로 도중에 제 2 유량 조정 수단인 캐필러리 튜브(37)가 설치되고 다른 균유관(38, 39)과 합류된 후 흡입 분기관(23A)으로 분기되기 전에 제 1 압축기(10)로 흡입시킬 냉매 및 다른 압축기(11, 12)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2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두 캐필러리 튜브(35, 37)는 실내, 실외 열교환기(21, 17)를 지나는 메인의 회로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에 대해,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를 흐르는 유량이 소정의 비율 이하가 되도록 유로 저항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필러리 튜브(35)와 캐필러리 튜브(37)는 제 1 압축기(10)로 귀환되는 유량과 3개의 압축기(10, 11, 12)에 배분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제 1 압축기(10)의 유면이 소정 레벨로 유지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압축기(11)에는 제 2 압축기 균유장치(41)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압축기 균유장치(41)는 제 2 압축기(11)의 고압 용기(27)의 저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접속된 접속관 (42)을 가지며, 이 접속관(42)은 기액 분리 수단(43)의 유입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43)의 제 1 유출단에는 오일환류관(44)이 접속되어 있으며, 오일환류관(44)은 캐필러리 튜브(45)(제 1 유량 조정 수단)를 통해 제 2 압축기(11)로 흡입될 냉매만이 통류되는 제 2 압축기(11)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43)의 제 2 유출단에는 균유관(38)이 접속되어 있고, 균유관(38)은 캐필러리 튜브(47)(제 2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된 후에 다른 균유관(36, 39)과 합류하면서 흡입 분기관(23A)으로 분기되기 전에 제 2 압축기(11)로 흡입시킬 냉매 및 다른 압축기(10, 12)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2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3 압축기(12)에는 제 3 압축기 균유장치(51)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압축기 균유장치(51)는 제 3 압축기(12)의 고압 용기(27)의 저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접속된 접속관 (52)을 가지며, 이 접속관 (52)은 기액 분리 수단(53)의 유입단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53)의 제 1 유출단에는 오일환류관(54)이 접속되어 있고, 오일환류관(54)은 캐필러리 튜브(55)(제 1 유량 조정 수단)를 통해 제 3 압축기(12)로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되는 제 3 압축기(12)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어 있다. 기액 분리 수단(53)의 제 2 유출단에는 균유관(39)이 접속되어 있으며, 균유관(39)은 캐필러리 튜브(57)(제 2 유량 조정 수단)가 설치된 후에 다른 균유관(36, 38)과 합류하면서 흡입 분기관(23A)으로 분기되기 전에 제 3 압축기(12)로 흡입시킬 냉매 및 다른 압축기(10, 11)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23)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41, 51)의 각 구성 요소는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용량 등이 크게 다를 경우에는 용적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기액 분리 수단(33, 43, 53)의 용적은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필요 최저 유량에 대해 소정의 용적 이하로 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기액 분리 수단 용적 범위(R1)의 사이로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기액 분리 수단 용적 범위(R1)의 하한값은 냉동기유의 5%에 상당하는 용적으로 하였다. 또한, 기액 분리 수단 용적 범위(R1)의 상한값은 냉동기유의 20%에 상당하는 용적으로 하였다. 기액 분리 수단(33, 43, 53)의 용적이 하한값을 밑돌면 액체와 기체의 분리 성능이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기액 분리 수단(33, 43, 53)의 용적이 상한값을 웃돌면 기액 분리 수단(33, 43, 53)에 잉여 냉동기유가 체류하여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운전에 필요한 냉동기유가 부족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어서,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냉동기(1)에서 냉방 운전을 할 때에는 사방밸브(16)를 전환시켜 제 1 포트(16A)와 제 2 포트(16B)를 접속시키고, 제 3 포트(16C)와 제 4 포트(16D)를 접속시킨다.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가스 냉매는 오일 분리기(15)에서 가스 냉매 내에 혼입된 냉동기유를 분리한 후 사방밸브 (16)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17)로 유도된다. 실외 열교환기(17)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가스 냉매가 액화되어 액 냉매가 형성된다. 액 냉매는 실외측 감압장치(18)에서 감압된 후에 운전중인 실내기(5)로 유도된다. 실내기(5) 내부에서 액 냉매는 실내측 감압장치(20)에 의해 더욱 감압된 후 실내 열교환기(21)로 유입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열교환에 의해 저압의 액 냉매가 기화되어 저압의 가스 냉매가 형성되고 이때의 기화열로 실내가 냉방된다. 저압의 가스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가스관(3)을 통과하여 실외기(2)로 회수된다. 실외기(2) 내에서는 사방밸브(16)를 통해 흡입 배관(23)으로 유도되고 계속해서 흡입 분기관(23A)을 통해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로 흡입된다. 그리고 다시 가압되어 토출배관(14)으로 토출된다.
냉동기(1)에서 난방 운전을 할 때에는 사방밸브(16)을 전환시켜 제 1 포트(16A)와 제 3 포트(16C)를 접속시키고 제 2 포트(16B)와 제 4 포트(16D)를 접속시킨다.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가스 냉매는 사방밸브(16)를 거쳐 가스관(3)을 통과하여 운전중인 실내기(5)의 실내 열교환기(21)로 유도된다. 실내 열교환기(21)에서는 가스 냉매가 액화되어 액 냉매가 형성되고, 이 때의 응축열로 실내가 난방된다. 액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21)로부터 액관(4)을 통과하여 감압되면서 실외기(2)로 회수되고, 실외 열교환기(17)에서 열교환에 의해 저압의 가스 냉매가 된다. 가스 냉매는 사방밸브(16)로부터 흡입 배관(23)을 통해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로 흡입된다. 그리고 다시 가압되어 토출배관(14)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냉동기(1)가 운전되는 동안 제 1,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31, 41, 51)는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각각의 냉동기유가 균등화되도록 작용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 내의 냉동기유가 증가하여 그 유면이 접속관(32)의 접속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냉동기유만이 접속관(32)을 통해 기액 분리 수단(33)의 유입단(33A)으로 유입된다. 그 결과 기액 분리 수단(33)은 냉동기유로 채워져 오일환류관(34) 및 균유관(36)의 각각으로 냉동기유가 유출된다. 오일환류관(34)으로 유출된 냉동기유는 원래 압축기인 제 1 압축기(10)로만 환류되지만 균유관(36)으로 흐른 냉동기유는 흡입 배관(23)을 통해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로 환류된다. 이에 의해, 제 1 압축기(10)로부터 유출된 냉동기유가 제 2, 제 3 압축기(11, 12)로도 유입되므로 제 1 압축기(10)의 냉동기유가 서서히 감소되고 냉동기유가 상대적으로 적은 압축기(예를 들어, 제 2, 제 3 압축기(11, 12))의 냉동기유가 증가하여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냉동기유의 양이 균등화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압축기(10)의 고압 용기(27) 내의 냉동기유가 감소하여 그 유면이 접속관(32)의 접속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가스 냉매 및 가스 냉매 내에 혼입된 냉동기유 오일 미스트가 접속관(32)을 통해 기액 분리 수단(33)으로 유입된다. 기액 분리 수단(33)은 오일 미스트와 가스 냉매를 분리한다. 그리고 가스 냉매를 제 2 유출단(33C)을 통해 균유관(36)으로 유출시키고, 오일 미스트를 제 1 유출단(33B)을 통해 오일환류관(34)으로 유출시킨다. 이 오일 미스트는 오일환류관(34)을 통해 흡입 분기관(23A)을 거쳐 원래의 압축기인 제 1 압축기(10)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제 1 압축기(10) 내에서 가스 냉매에 혼입되어 있던 냉동기유가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를 통해 제 1 압축기(10) 자신에게 회수된다. 이에 의해 제 1 압축기(10)로부터의 냉동기유의 유출이 저지되어 고압 용기(27) 내의 유면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이 경우 제 1 압축기(10)의 냉동기유의 양이 적음으로 인해 다른 압축기(예를 들면, 제 2 압축기(11))의 냉동기유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제 2 압축기(11)의 냉동기유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제 2 압축기 균유장치(41)에 의해 제 2 압축기(11)의 냉동기유가 제 1 압축기(10)로 배분되므로 결과적으로 제 1 압축기(10)의 냉동기유의 양이 증가하여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냉동기유의 양이 균등화된다. 이와 같이 제 1,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31, 41, 51)가 기능함으로써 냉동기(1)가 통상의 운전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제 1, 제 2, 제 3 압축기(10, 11, 12)의 유면의 균등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운전을 쉬고 있는 압축기가 있을 경우에도 제 1,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31, 41, 51)는 기능하므로 유면의 균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냉동기유의 액면이 고압 용기(27)의 접속관(32) 높이 이상일 때에는 냉동기유의 잉여분을 모든 압축기(10, 11, 12)로 자동적으로 배분할 수 있으므로 유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냉동기유의 액면이 고압 용기(27)의 접속관(32) 높이보다 낮아진 경우에도 냉동기유 오일 미스트가 제 1, 제 2, 제 3 압축기 균유장치(31, 41, 51)를 통해 다른 압축기(10, 11, 12)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냉동기유의 유면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순한 통상의 냉방 운전 또는 난방 운전만으로 균유 제어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운전 제어나 유로의 전환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 구성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연속적으로 안정된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실내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오일환류관(32, 42, 52)과 균유관(36, 38, 39)에 캐필러리 튜브(35, 45, 55, 37, 47, 57)를 각각 설치했으므로 각 관로별로 유량이 제어되어 냉동기의 운전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면서 모든 압축기(10, 11, 12)의 적정 유량을 유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널리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 2 압축기(10, 11) 및 제 1, 제 2 압축기 균유장치(31, 41)을 갖는 냉동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압축기 균유장치(31)의 균유관(36)은, 제 2 압축기(11)에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되는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되고, 제 2 압축기 균유장치(41)의 균유관(38)은 제 1 압축기(10)로 흡입되는 냉매만이 통류되는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된다. 이 경우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4세트 이상의 압축기 및 압축기 균유장치를 갖는 냉동기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균유관(36, 38, 39)은 일단 합류한 후에 분기되어 각각의 흡입 분기관(23A)에 접속될 수도 있다.
기액 분리 수단(33, 43, 53)의 용량은 그 냉동기에 따라 최적의 용적을 선택 할 수 있고 압축기의 운전에 필요한 최저 유량 이하이면 상술한 기액 분리 수단 용적 범위(R1)를 벗어날 수도 있다.
제 1, 제 2 유량 조정 수단은 캐필러리 튜브 (35, 37, 45, 47, 55, 57) 대신에 팽창밸브나 개폐밸브, 그 밖의 감압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오일환류관(34, 44, 54)이나 균유관(36, 38, 39)을 흐르는 유량이 많을 경우에도 냉동기(1)를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다면 유량 조정 수단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오일환류관(34, 44, 54) 또는 균유관(36, 38, 39) 중 한쪽에만 유량 조정 수단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 내로 혼입된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기액 분리 수단으로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냉동기유의 미스트가 기액 분리 수단에서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원래의 압축기로 회수되므로, 압축기의 냉동기유의 양을 소정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특별한 운전 제어를 하지 않아도 복수의 압축기의 냉동기유의 양을 소정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적인 운전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압축기 균유장치로서,
    기액 분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입단을 하나의 상기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접속시키고,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출단 중 주로 액체를 유출하는 제 1 유출단을 그 압축기로만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고, 주로 기체를 유출시키는 제 2 유출단을 다른 상기 압축기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며,
    복수의 상기 압축기를 향해 분기되기 전의 흡입 배관에 상기 제 2 유출단을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수단의 상기 제 1 유출단을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 1 유량 조정 수단과, 상기 기액 분리 수단의 제 2 유출단을 통해 유출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제 2 유량 조정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수단의 용적은 상기 압축기에 필요한 냉동기유의 최저 유량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의 용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 분리 수단의 용적은 상기 압축기 냉동기유의 5%~20%의 범위내에 상당하는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균유장치.
  6. 병렬로 접속된 복수의 압축기;
    상기 복수의 압축기들간에 냉동기유를 균등하게 유지시키는 압축기 균유장치;와 냉동기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위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상태변화를 일으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 균유장치는,
    기액 분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입단을 하나의 상기 압축기의 고압 용기에 접속시키고, 상기 기액 분리수단의 유출단 중 주로 액체를 유출하는 제 1유출단을 그 압축기로만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고, 주로 기체를 유출시키는 제 2 유출단을 다른 상기 압축기로 흡입시킬 냉매가 통류되는 흡입 배관에 접속시키며, 복수의 상기 압축기를 향해 분기되기 전의 흡입 배관에 상기 제 2 유출단을 접속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기.
KR1020050102005A 2005-08-12 2005-10-27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270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34058A JP4464333B2 (ja) 2005-08-12 2005-08-12 圧縮機均油装置及び冷凍機
JPJP-P-2005-00234058 2005-08-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512A KR20070019512A (ko) 2007-02-15
KR101270536B1 true KR101270536B1 (ko) 2013-06-03

Family

ID=3772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005A KR101270536B1 (ko) 2005-08-12 2005-10-27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64333B2 (ko)
KR (1) KR101270536B1 (ko)
CN (1) CN10050126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50479A (zh) * 2011-02-23 2012-08-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多联式空调机组及其油路系统
CN116067044A (zh) * 2021-11-01 2023-05-05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压缩机组件、空调室外机和空调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337A (ja) * 1992-09-28 1994-04-1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冷媒回路
JPH11166770A (ja) * 1997-12-03 1999-06-22 Hitachi Ltd タ−ボ冷凍機
JP2003130474A (ja) 2001-10-19 2003-05-08 Toshiba Kyaria Kk 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99995T3 (es) * 1994-06-29 2004-03-01 Daikin Industries, Ltd. Dispositivo de control de la operacion de distribucion de aceite para un acondicionador de aire.
CN1097711C (zh) * 1999-07-13 2003-01-01 清华同方股份有限公司 多台制冷压缩机均油自控装置
CN2447696Y (zh) * 2000-10-17 2001-09-12 江苏春兰电器有限公司 双压缩机油位均衡装置
JP4325751B2 (ja) * 2003-03-25 2009-09-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4173784B2 (ja) * 2003-08-29 2008-10-29 三星電子株式会社 複数圧縮機の均油システム
JP4129921B2 (ja) * 2003-12-25 2008-08-06 三星電子株式会社 複数圧縮機の均油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337A (ja) * 1992-09-28 1994-04-1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機の冷媒回路
JPH11166770A (ja) * 1997-12-03 1999-06-22 Hitachi Ltd タ−ボ冷凍機
JP2003130474A (ja) 2001-10-19 2003-05-08 Toshiba Kyaria Kk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46872A (ja) 2007-02-22
CN1912495A (zh) 2007-02-14
KR20070019512A (ko) 2007-02-15
CN100501269C (zh) 2009-06-17
JP4464333B2 (ja)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95846B (zh) 热泵机组及控制热泵机组的方法
JPWO2006057141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90068136A (ko) 공기조화장치
KR100556611B1 (ko) 복수 압축기의 균유 시스템
EP2538155A1 (en) Air conditioner
US11365914B2 (en)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101176454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20080032870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오일 회수장치 및오일회수방법
US20120285675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1085900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085493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CN113811722A (zh) 空调装置以及其控制方法
KR101270536B1 (ko) 압축기 균유장치 및 냉동기
KR101455546B1 (ko) 냉동 사이클 장치
CN109654597B (zh) 一种能够调节换热量的空调系统
JP2002277077A (ja) 空気調和機
EP212647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10569394U (zh) 空调装置
JP2002147876A (ja) 空気調和機
KR100819583B1 (ko) 공기조화기용 어큐뮬레이터의 구조
JP5208030B2 (ja) 空気調和装置
JP4204678B2 (ja) 空気調和機
KR100597672B1 (ko) 냉매회로 및 냉매회로 운전 제어시스템
CN110926068B (zh)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8080844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