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17B1 -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 Google Patents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17B1
KR101270517B1 KR1020100136378A KR20100136378A KR101270517B1 KR 101270517 B1 KR101270517 B1 KR 101270517B1 KR 1020100136378 A KR1020100136378 A KR 1020100136378A KR 20100136378 A KR20100136378 A KR 20100136378A KR 101270517 B1 KR101270517 B1 KR 101270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riving
surgical
surgical instrumen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4516A (ko
Inventor
김철웅
한기봉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10013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225Systems for controlling multiple different instruments, e.g. microsurgica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기구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류-회전식 수술기구{CURRENT-ROTATION TYPE SURGICAL DEVICE}
본 발명은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에 의해 인체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있는 환부를 수술할 수 있는 회전형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된 다양한 수술기구들은 의사 또는 간호사들이 이전에 할 수 없었던 많은 수술들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국소적인 부위에 대한 수술을 가능하게 하거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문합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수술자는 수술헤드에 제공된 고주파 전극이나 스테이플러를 이용하여 수술하며, 수술헤드는 수술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여 환자의 환부를 향하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수술기구들은 수술헤드가 수술자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인 방식으로 회전하므로, 수술헤드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수술헤드가 수술자의 수조작에 전적으로 의존하므로, 수술자의 오조작으로 인한 사고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헤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수술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술기구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와 함께 이동하는 상부링; 그리고 상기 구동체의 일측이 고정되는 하부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체는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재질의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상부링에 접하여 상기 상부링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구동체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상기 구동체가 코일 형태로 감기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부링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이동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을 가지며, 상기 하부링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로드의 이동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과 상기 연결로드 및 상기 구동체가 실장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구동체의 변형해제시 상기 상부링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링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재질의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상부링에 접하여 상기 상부링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구동체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판;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상기 구동체가 코일 형태로 감기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부링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이동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이동로드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하부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고정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체는 형상기억물질일 수 있다.
상기 수술헤드는 고주파 전극을 구비하는 고주파 헤드일 수 있다.
상기 수술헤드는 상부죠 및 하부죠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일 수 있다.
상기 수술헤드는 약액을 방출하는 도관을 가지는 카테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술헤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수술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수술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수술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수술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연결"은 두 개의 물체를 직접 연결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매개체를 통해 두 개의 물체가 연결된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A가 B에 연결된다는 의미는 A가 B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A가 C를 통해 B에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수술기구는 수술헤드(10) 및 지지대(20), 그리고 하우징(3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헤드(10)는 원통 형상이며, 일측에 설치된 고주파 전극(10a)을 구비한다. 고주파 전극(10a)은 환자의 환부에 고주파 에너지를 인가한다. 고주파 전극(10a)은 리드선(도시안함)을 통해 후술하는 소켓핀(120)에 연결되며, 고주파 발생기(도시안함)에 연결된 커넥터는 소켓핀(120)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주파 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주파는 커넥터를 통해 소켓핀(120)에 전달되며, 이후 리드선을 통해 고주파 전극(10a)에 전달된다.
인체의 관절 등에 있는 연골이나 조직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시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고주파 전극(10a)을 환부치료에 용이하게 위치시키고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환부에 제공된 유도매개체(예를 들어, 생리식염수)를 국소적으로 이온화시켜서 조직의 수축, 응고, 삭마 등을 유도한다. 이 방법은 수술자가 국소적으로 선택된 병변만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과 깊이를 조절하여 주위 조직의 손상 없이 원하는 병변부위만을 수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헤드(10)는 지지대 연장부(22)와 각각 대응되는 헤드 절개부(12) 및 헤드 절개부(12)를 관통하는 헤드 관통홀(12a)을 가진다. 지지대 연장부(22)는 헤드 절개부(12) 상에 연결되며, 제1 고정핀(13)은 지지대 관통홀(22a) 및 헤드 관통홀(12a)을 관통하여 수술헤드(10)와 지지대(20)를 연결한다. 따라서, 수술헤드(10)는 제1 고정핀(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헤드(10)는 대체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된 헤드 연장부(14)를 가지며, 구동링크(18)의 일측이 헤드 연장부(14) 사이에 삽입되어 헤드 연장부(14)에 연결된다. 헤드 연장부(14)는 헤드 연장부(14)를 관통하는 연장부 관통홀(14a)을 가지며, 제2 고정핀(15)은 연장부 관통홀(14a) 및 구동링크(18)의 일측을 관통하여 수술헤드(10)와 구동링크(18)를 연결한다. 따라서, 수술헤드(10)는 제2 고정핀(1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링크(18)의 일측은 수술헤드(10)에 연결되며, 구동링크(18)의 타측은 상부링(40)에 연결된다. 구동링크(18)는 하부에 형성된 삽입부(19)와 삽입돌기(19a)를 구비한다. 삽입부(19)는 상부링 절개부(42)에 삽입되며, 삽입돌기(19a)는 상부링(40)을 관통하는 상부링 관통홀(42a)에 삽입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링크(18)는 삽입돌기(19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0)는 원통 형상이며, 상부를 향해 연장된 지지대 연장부들(22)을 가진다. 지지대 연장부들(22)은 대체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수술헤드(10)는 지지대 연장부들(22)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대 연장부들(22)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지지대 연장부(22)는 지지대 연장부(22)를 관통하는 지지대 관통홀(22a)을 가진다.
또한, 지지대(20)는 지지대 중공(24) 및 지지대 절개부(26)를 가지며, 지지대 절개부(26)는 지지대 중공(24) 및 후술하는 하우징 절개부(32)와 연통한다. 후술하는 구동링크(18)는 지지대 중공(24) 및 지지대 절개부(26), 그리고 하우징 절개부(32)에 의해 이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밖에, 지지대(20)는 지지대 삽입부(28)를 가지며, 지지대 삽입부(28)는 하우징(3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된다.
하우징(3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이며,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 절개부(32)를 가진다. 하우징 절개부(32)는 지지대 절개부(26) 및 지지대 중공(24)과 연통한다. 하우징(30)은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우징 스토퍼(33)를 가지며, 하우징 스토퍼(33)는 후술하는 상부링(40)의 상승폭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을 삽입공간과 이동공간으로 구획한다. 앞서 설명한 지지대 삽입부(28)는 삽입공간 내에 삽입되며, 후술하는 상부링(40) 및 연결로드(50)는 이동공간 내에서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기구는 상부링(40), 연결로드(50), 구동체(60), 그리고 하부링(70)을 더 포함한다. 상부링(40)은 일측에 형성된 상부링 절개부(42) 및 상부링 관통홀(42a)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링크(18)의 삽입부(19)는 상부링 절개부(42)에 삽입되며, 구동링크(18)의 삽입돌기(19a)는 상부링(40)을 관통하는 상부링 관통홀(42a)에 삽입설치된다.
연결로드(50)는 삽입링(52) 및 지지판(54), 그리고 이동로드(56)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링(52)은 상부링(40)의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로드(50)와 상부링(40)을 체결하며, 일측에 형성된 삽입링 절개부(52a)는 상부링 절개부(42)와 대응된다. 지지판(54)은 원판 형상이며, 상부링(40)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구동체(60)의 일측이 지지판(54)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구동체(60)의 팽창 또는 수축에 의해 구동체(60)의 일측이 이동할 경우, 지지판(54)은 구동체(60)의 일측과 함께 이동한다. 이동로드(56)는 지지판(54)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며, 하부링(70)에 삽입되어 하부링(7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동로드(56)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56a)을 가지며, 후술하는 고정돌기(72)는 안내홈(56a)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동로드(56)의 이동시 고정돌기(72)는 안내홈(56a)을 따라 이동하며, 이로 인해, 이동로드(56)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결로드(5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구동체(60)에 인가된 전류가 수술헤드(1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즉, 구동체(60)는 이동로드(56)의 외주면에 감겨지며, 구동체(60)와 상부링(40) 사이에 지지판(54)이 존재하므로, 구동체(60)에 인가된 전류가 수술헤드(1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체(60)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수축하는 형상기억물질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로드(56)의 외주면에 코일 형태로 감겨진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구동체(60)는 선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체(60)의 일측은 지지판(54)에 고정설치되며, 구동체(60)의 타측은 하부링(70)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링(70)은 후술하는 상부고정체(94)에 고정되므로, 구동체(60)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구동체(60)의 수축에 의해 지지판(54) 및 상부링(40)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링(70)은 링 형상이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부고정체(94)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이동로드(56)는 하부링(70)의 내측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상부고정체(94)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체(80)와 접한다. 하부링(70)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돌기(72)를 구비하며, 고정돌기(72)는 이동로드(56)의 안내홈(56a)에 삽입되어 이동로드(56)의 이동을 안내한다.
고정체(90)는 링 형상의 하부고정체(92) 및 상부고정체(94)를 구비하며, 상부고정체(94)는 하부고정체(92)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고정체(94)는 하우징(30)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설치되며, 하부고정체(92)는 손잡이(100)의 상부에 삽입설치된다. 상부고정체(94)는 탄성체(80)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탄성체(80)의 상단은 이동로드(56)에 접한다. 탄성체(80)는 구동체(60)의 수축에 의해 하부로 이동한 이동로드(56)에 의해 압축되며, 구동체(60)에 인가된 전류가 해제될 경우, 이동로드(56)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로드(56)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술헤드(1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하부고정체(92)와 상부고정체(94)의 내부공간은 연통되며, 작동버튼(11)에 연결된 와이어(W)는 하부고정체(92) 및 상부고정체(94)의 내부공간을 통해 구동체(60)에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100)는 수술자가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수술할 때 손으로 감싸쥐는 부분이며, 손잡이(100)는 작동버튼(110) 및 소켓핀(120)을 구비한다. 작동버튼(110)은 와이어(W)를 통해 구동체(60)에 연결되며, 작동버튼(110)을 누르면 구동체(60)에 전류가 인가되어 구동체(60)는 수축한다. 소켓핀(120)은 고주파 발생기에 연결된 커넥터와 연결되며, 커넥터는 손잡이(100)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어 소켓핀(120)에 연결된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수술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링크(18)가 상승한 상태에서 수술헤드(10)는 지지대(20)와 대체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링크(18)가 하강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링크(18)와 연결된 헤드 연장부(14)가 구동링크(18)와 함께 하강하며, 수술헤드(10)가 제2 고정핀(1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1 고정핀(13)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 및 도 6을 통해, 수술기구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환부에 대한 고주파 수술이 필요할 경우, 수술자는 손잡이(100)를 감싸쥐고 수술헤드(10)를 환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술헤드(10)는 작동해제된 상태에 있으며, 수술자는 고주파 전극(10a)이 환부를 향하도록 수술헤드(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후, 수술자는 작동버튼(110)을 눌러 구동체(60)에 전류를 인가하면, 구동체(60)는 수축된다. 이때, 구동체(60)의 타측은 고정된 하부링(70)에 연결되어 고정단(fixed end)에 해당하는 반면, 구동체(60)의 일측은 이동가능한 지지판(54)에 연결되어 자유단(free end)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체(60)의 수축으로 인해, 지지판(54) 및 상부링(40)은 하우징(30)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구동링크(18)가 하강하여 수술헤드(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동로드(56)는 지지판(54)과 함께 하부로 이동하며, 상부고정체(94)의 내부에 삽입설치된 탄성체(80)를 압축한다. 따라서, 인가된 전류를 해제할 경우, 탄성체(8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로드(56) 및 지지판(54)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구동링크(18)의 상승에 의해 수술헤드(10)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수술헤드(1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헤드(10)를 수조작에 의존하지 않음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수술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수술헤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수술헤드(10)는 스테이플러(stapler)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스테이플러는 상부죠(212) 및 하부죠(214)를 구비하며, 가위와 마찬가지로, 상부죠(212) 및 하부죠(214)는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상부죠(212)와 하부죠(214)의 사이에 위치한 조직(tubular tissue)(예를 들어, 내장과 같은)을 클램핑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죠(214)의 내부에는 문합 및 절단을 위한 쐐기(218)가 설치되며, 쐐기(218)는 이동을 통해 조직을 문합 및 절단한다.
상부죠(212) 및 하부죠(214)는 가위와 마찬가지로 구동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죠(212)가 하부죠(214)에 대해 회전한다. 상부죠(212)는 회동에 의해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로 전환되며, 개방위치에서 상부죠(12)는 하부죠(14)와 기설정된 각도를 이루고(도 8 참고), 폐쇄위치에서 상부죠(212)는 하부죠(214)의 상부에 하부죠(214)와 대체로 나란하게 놓여진다(도 9 참고).
수술시, 수술자는 별도의 조작기구(도시안함)를 조작하여 상부죠(212)를 하부죠(214)에 대해 회동시키며, 상부죠(212)는 회동에 의해 하부죠(214)로부터 분리되어 초기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된다. 상부죠(212)가 개방위치로 전환되면, 수술자는 상부죠(212)와 하부죠(214) 사이에 내장의 개방 단부를 배치하며, 상부죠(212)를 하부죠(214)에 대해 반대로 회동시켜 상부죠(212)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과정에서 개방 단부는 상부죠(212)와 하부죠(214)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죠(214)는 상부채널(215)을 가지며, 이들은 하부죠(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트레이(214a)는 상부채널(215)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부죠(214)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초기에 복수의 스테이플들(215a)이 장전된다. 스테이플들(215a)은 상부채널(215)을 따라 이동하는 쐐기(wedge)(218)를 통해 작동하며, 폐쇄위치에 놓여진 상부죠(212)를 향해 이동한다.
상부죠(212)는 트레이(214a) 내의 스테이플(215a)에 대응되는 스테이플 가이드(213)를 가진다. 트레이(214a) 내의 스테이플(215a)은 스테이플 가이드(213)를 향해 이동한 후 스테이플 가이드(213)에 의해 만곡 변형되어 상부죠(212)와 하부죠(214)의 사이에 놓여진 조직의 개방 단부를 폐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죠(212)가 개방된 상태로 전환된 경우 수술자는 상부죠(212)와 하부죠(214) 사이에 형성된 소정 공간을 통해 트레이(214a)에 접근할 수 있으며, 트레이(214a) 내에 장전된 스테이플(215a)을 확인하거나, 새로운 트레이(214a)로 교체할 수 있다.
쐐기(218)는 상부채널(215)을 따라 이동하며, 경사면(218a) 및 블레이드(218b)를 구비한다. 경사면(218a)은 하부죠(214)의 우측(도 9를 기준으로)를 향하여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블레이드(218b)는 경사면(218a)의 상단으로부터 상부죠(212)를 향해 연장된다.
스테이플(215a)은 트레이(214a) 아래로 돌출된 기부와 트레이(214a)의 상부를 향해 뻗어 있는 갈래를 구비한다. 쐐기(218)가 상부채널(21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218b)는 조직을 절단하며, 쐐기(218)의 경사면(218a)은 스테이플(215a)의 기부를 가압한다. 스테이플(215a)의 갈래는 조직의 개방 단부를 통과하여 스테이플 가이드(213)에 접촉하며, 스테이플 가이드(213)는 스테이플(215a)을 만곡 성형하여 개방 단부를 폐쇄한다. 따라서, 조직의 개방 단부는 절단과 함께 폐쇄되며, 쐐기(218)가 상부채널(215)의 좌측(도 9를 기준으로) 끝단까지 이동한 경우, 스테이플들(215a)은 모두 밀려서 트레이(214a)를 통과하여 폐쇄 상태로 되며, 이를 통해 개방 단부가 문합된다. 이후, 쐐기(218)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수술헤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술자는 손잡이를 감싸쥐고 수술헤드(210)를 문합하고자 하는 기관의 근처로 이동한다. 이때, 수술헤드(210)는 기관의 방향에 따라 회동하여 기관의 길이방향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이 상태에서 문합 및 절단이 단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수술헤드(21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수술자는 작동버튼(110)을 눌러 구동체(60)에 전류를 인가하면, 구동체(60)는 수축된다. 이때, 구동체(60)의 타측은 고정된 하부링(70)에 연결되어 고정단(fixed end)에 해당하는 반면, 구동체(60)의 일측은 이동가능한 지지판(54)에 연결되어 자유단(free end)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체(60)의 수축으로 인해, 지지판(54) 및 상부링(40)은 하우징(30)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구동링크(18)가 하강하여 수술헤드(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수술헤드(10)는 카테터(catheter)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구별되는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 생략된 설명은 앞서 설명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요통환자를 위한 척추 치료의 경우, 병변의 가장 가까운 부분에 약액을 주입하여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술헤드(10)는 도관(10b)을 가지며, 도관(10b)은 튜브(P1,P2)를 통해 약액 주입기(I)에 연결될 수 있다. 약액 주입기(I)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약액 주입기(I)를 통해 주입된 약액은 튜브(P1,P2)를 통해 수술헤드(10)의 도관(10b)에 유입된 후 병변에 주입될 수 있다. 튜브(P1)는 약액 주입기(I)와 연결로드(50)의 중공부 하단을 연결하며, 튜브(P2)는 연결로드(50)의 중공부 상단과 수술헤드(10)의 도관(10b)을 연결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약액 주입기(I)와 도관(10b)을 연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술자는 작동버튼(110)을 눌러 구동체(60)에 전류를 인가하면, 구동체(60)는 수축된다. 이때, 구동체(60)의 타측은 고정된 하부링(70)에 연결되어 고정단(fixed end)에 해당하는 반면, 구동체(60)의 일측은 이동가능한 지지판(54)에 연결되어 자유단(free end)에 해당한다. 따라서, 구동체(60)의 수축으로 인해, 지지판(54) 및 상부링(40)은 하우징(30)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구동링크(18)가 하강하여 수술헤드(2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0 : 수술 헤드 10a : 전극
18 : 구동링크 20 : 지지대
30 : 하우징 40 : 상부링
50 : 연결로드 52 : 삽입링
52a : 삽입링 절개부 54 : 지지판
56 : 이동로드 60 : 구동체
70 : 하부링 72 : 고정돌기
80 : 탄성체 90 : 고정체
100 : 손잡이 110 : 작동버튼

Claims (12)

  1. 삭제
  2.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
    상기 구동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구동링크와 함께 이동하는 상부링; 및
    상기 구동체의 일측이 고정되는 하부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체는 상기 상부링 및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재질의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상부링에 접하여 상기 상부링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구동체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상기 구동체가 코일 형태로 감기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부링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이동로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드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홈을 가지며,
    상기 하부링은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로드의 이동시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과 상기 연결로드 및 상기 구동체가 실장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부링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링의 이동을 제한하는 하우징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구동체의 변형해제시 상기 상부링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링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상부링 및 상기 하부링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재질의 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상부링에 접하여 상기 상부링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구동체의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어 외주면에 상기 구동체가 코일 형태로 감기며, 상기 구동체의 변형에 의해 상기 하부링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이동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이동로드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기구는 상기 하부링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부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9.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체는 형상기억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0.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헤드는 고주파 전극을 구비하는 고주파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1.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헤드는 상부죠 및 하부죠를 구비하는 스테이플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12.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환부에 접근하여 상기 환부에 대한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헤드;
    상기 수술헤드가 회전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수술헤드의 일측에 편심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수술헤드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링크; 및
    상기 구동링크의 타측에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류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구동링크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헤드는 약액을 방출하는 도관을 가지는 카테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기구.
KR1020100136378A 2010-12-28 2010-12-28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KR101270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378A KR101270517B1 (ko) 2010-12-28 2010-12-28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378A KR101270517B1 (ko) 2010-12-28 2010-12-28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16A KR20120074516A (ko) 2012-07-06
KR101270517B1 true KR101270517B1 (ko) 2013-06-04

Family

ID=4670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378A KR101270517B1 (ko) 2010-12-28 2010-12-28 전류-회전식 수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5186A1 (ko) * 2021-10-28 2023-05-04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바이폴라 방식의 의료용 전극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839A (ko) * 2004-07-28 2006-08-23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관절 록킹 메커니즘을 합체시킨외과용 기기
KR20060092846A (ko) * 2004-07-28 2006-08-23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작동되는 관절 기구를 포함하는 외과용 장치
KR20080074703A (ko) * 2007-02-09 2008-08-1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액츄에이터 장치, 촬상 장치 및 내시경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839A (ko) * 2004-07-28 2006-08-23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관절 록킹 메커니즘을 합체시킨외과용 기기
KR20060092846A (ko) * 2004-07-28 2006-08-23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전기 작동되는 관절 기구를 포함하는 외과용 장치
KR20080074703A (ko) * 2007-02-09 2008-08-13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액츄에이터 장치, 촬상 장치 및 내시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516A (ko) 201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468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ancing, orienting, and immobilizing on internal body tissue a catheter or other therapeutic device
JP6537567B2 (ja) コードレスのパワーアシスト医療用焼灼および切断装置
JP6316926B2 (ja) クラムシェル型結合部を有する使い捨てシャフトを備えた電気手術装置
US6698643B2 (en) Expanding parallel jaw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omechanical driver device
RU2581713C2 (ru) Элементы шарнирного сочленения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624332C2 (ru) Резистивная нагреваемая хирургическая кассета со скобами с герметиком с фазовым переходом
CA2475771C (en) Ultrasonic medical treatment device for rf cauterization
JP4804871B2 (ja) モノポーラ伸長部を有するバイポーラ鉗子
ES2944288T3 (es) Sistema electroquirúrgico con medios para determinar el final de un tratamiento en base a un ángulo de fase
JP2018532495A (ja) 中心線を交差する端末ステープル向き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
JP2018532491A (ja) 遠位ステープルに対する最小距離を有する作動ストローク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ル作動スレッド
US20140276735A1 (en) Tissue Clamping Features of Surgical Instrument End Effector
JP2018532496A (ja) 徐々に駆動される非対称交互式ステープルドライバ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
JP2018532489A (ja) ナイフ位置インジケータ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エンドエフェクタ
JP2018536452A (ja) 変動する湾曲部及び先細部を伴う外科用ステープラ用エンドエフェクタ
US200800214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ecting tissue on a bipolar vessel sealing instrument
JP2016510642A (ja) 補強関節接合セクションを有する外科用器具
WO2016144392A1 (en) Mapping vessels for resecting body tissue
BR112016002890B1 (pt) Aparelho cirúrgico
EP2449993A2 (en) Ablation system
EP1503679B1 (en) A working tool for accurate lateral resection of biological tissue
WO2008143955A2 (en) Laser fusion of tissue layers
KR20090020680A (ko) 조직 용적축소 장치 및 그 사용방법
JP2019521791A (ja) 油圧支援による肝実質の破壊を行うための装置
JP2000037348A (ja) 処置用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