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860B1 - 어항용 바닥재 받이 - Google Patents

어항용 바닥재 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860B1
KR101268860B1 KR1020110024745A KR20110024745A KR101268860B1 KR 101268860 B1 KR101268860 B1 KR 101268860B1 KR 1020110024745 A KR1020110024745 A KR 1020110024745A KR 20110024745 A KR20110024745 A KR 20110024745A KR 101268860 B1 KR101268860 B1 KR 101268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ater
fish tank
tan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196A (ko
Inventor
박정인
Original Assignee
박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인 filed Critical 박정인
Priority to KR1020110024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860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용 바닥재 받이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어항 내부에 대한 청소를 쉽게 할 수 있고, 여과 기능도 가지는 어항에 대한 기술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항 내부에 설치되되, 자갈과 같은 바닥재가 담겨지며 바닥면에 개구된 배수홀이 형성되는 바닥재 받이;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며 필터가 내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항용 바닥재 받이{FLOOR MATERIAL RECEIVER FOR FISHBOWL}
본 발명은 어항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특히 어항 내부에 대한 청소를 쉽게 할 수 있고, 여과 기능도 가지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에 대한 기술이다.
취미나 관상용으로 실내에 어항을 많이 두게 되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고기들이 죽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어항 관리에 세심한 신경을 써야하기 때문에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물고기들이 폐사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물이 오염되기 때문이며, 오염의 주된 원인은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잉여 먹이의 침전에 의한 부패에 기인한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어항의 물을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어항 내부 및 어항 바닥에 깔리는 자갈이나 모래를 청소한 후 부족한 물을 다시 공급하도록 해야 한다.
어항 바닥에 깔아두는 자갈이나 모래는 물고기가 살기에 보다 적합한 환경을 위해 필요한 것이지만 자갈이나 모래에 오염원들이 부착되기 때문에 청소시에 깨끗하게 세척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항의 물은 정체되어 있어 자연적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인위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발생기를 설치하게 된다. 공기는 어항 내부에 설치되는 기포관을 통해 공급되며 이로 인해 물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어항 내부에 대한 청소의 불편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12455호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제안되는 어항의 모래통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래통(2)의 좌우측에는 손잡이(4)가 형성되고, 바닥에 물구멍(3)이 다수 형성된다.
어항에 설치되는 모래통에는 모래를 담아두게 되며, 청소가 필요한 경우 모래통의 손잡이를 잡고 어항으로부터 모래통을 외부로 들어올려 빼내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물이 담긴 어항으로부터 모래통을 들어올리게 되면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모래통에 침전되었던 오염물들이 모래통을 이탈하여 다시 물에 섞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수의 물구멍을 통해서 물과 함께 이물질들이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어항 내의 물을 더욱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모래통을 어항으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릴 때 수중보다는 수면 근처에서 와류가 심하게 발생되어 모래통 외측으로 물의 흐름이 빨라져 오염물질들이 함께 쓸려가게 된다.
그리고 종래기술의 경우 물구멍이 항상 열려있고 모래통의 물이 모두 빠질 때까지는 계속 물이 물구멍을 통해 빠지기 때문에 이동시키는 과정 중에 물이 바닥에 흩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12455호(2009.12.07 공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항의 청소시 침전된 오염물질들이 가급적 다시 물에 섞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바닥재 받이를 어항 외부로 빼낼 때 바닥재 받이에 담긴 물의 일부는 배수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되 필터에 의해 오염물질은 걸러질 수 있도록 하며, 배수관에 고인 물만 배출되면 바닥으로 물이 흩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어항 청소시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포관을 통해 어항 내부에 물의 흐름을 발생시켜 오염물질이 바닥재 받이에 보다 원활하게 침전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어항용 바닥재 받이는, 어항 내부에 설치되되, 자갈과 같은 바닥재가 담겨지며 바닥면에 개구된 배수홀이 형성되는 바닥재 받이;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며 필터가 내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관은, 하단부에 상기 필터를 받치는 필터지지부가 마련되되 물이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관은,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측면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단부에 돌출된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항용 바닥재 받이는, 상기 바닥재 받이의 내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갖는 망체가 마련되며, 상기 망체의 일측에 상기 바닥면과 연통되는 기포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관은, 외면에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체에는 상기 배수관에 끼워지는 플랜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망체가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항용 바닥재 받이는, 상기 바닥재 받이의 내부에 상기 바닥면과 이격거리를 갖는 망체가 마련되며, 상기 망체의 일측에 상기 바닥면과 연통되는 기포관이 마련되되, 상기 배수관은, 외면에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망체에는 상기 배수관에 끼워지는 플랜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망체가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플랜지홀과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항용 바닥재 받이는 청소시에 이미 바닥재 받이에 침전된 오염물질의 유출을 최소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어항 속의 물이 다시 오염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재 받이를 어항 밖으로 꺼내어 이동시에 물이 떨어지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닥재 받이에 망체와 기포관을 함께 설치함으로써 인위적인 물의 흐름을 발생시켜 오염물질들이 바닥재 받이에 잘 모일 수 있도록 하여 수질 개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서 제안되는 어항의 모래통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배수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바닥재 받이와 배수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어항으로부터 바닥재 받이를 어항 외부로 빼낼 때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사시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수관의 사시도.
도 8은 바닥재 받이와 배수관 및 망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항은 통상적인 어항에 바닥재 받이와 필터가 내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어항의 기본적인 형상이나 크기 등은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배수관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바닥재 받이와 배수관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어항으로부터 바닥재 받이를 어항 외부로 빼낼 때의 물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제1실시예에서 어항(1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하며, 어항(100) 내부에 2개의 바닥재 받이(200)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어항(100) 내부에 마련되는 바닥재 받이(200)는 길이가 긴 형태로 하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하지만, 어항이 커질수록 사용되는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바닥재의 양도 많아지기 때문에 청소의 용이함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바닥재 받이(200)가 두개 이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닥재 받이(200)는 어항(100) 내부로 삽입되어 어항(100)의 밑판 위에 놓여지며, 본 실시예의 경우 바닥재 받이(200)는 상부가 열린 사각 박스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한다.
바닥재 받이(200)에 바닥재(300)가 담겨지는데 보통 자갈이나 모래 혹은 보다 큰 돌덩이 등이 바닥재로 사용된다.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에는 개구되는 배수홀(22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배수홀(220)은 바닥면(210)의 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바닥재 받이(200)에 담겨지는 바닥재(300)는 바닥재 받이(200)의 높이보다 낮게 깔아두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배수홀(220)과 연결되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배수관(230)이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배수홀(220)을 원형으로 형성시키고 배수관(230)도 원형 중공관이 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배수관(230)은 바닥재 받이(200)의 높이보다 높지 않을 정도로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배수관(230)에는 필터(240)가 내장되며, 필터(240)는 교체가 가능한 판상 형태로 배수관(230)의 하단부에서 지지되어 배수관(230)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필터(240)를 통해 물은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지만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은 필터(24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관(230)의 하단부에 필터(240)를 받쳐줄 수 있는 필터지지부(231)를 마련하도록 하며, 필터지지부(231) 사이로는 다수의 통수공(232)이 형성되어 물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필터지지부(231)는 물이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통수공(232)이 다수 형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배수관(230)에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개구된 다수의 측면 통수공(233)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며, 배수관(230)의 상단부에는 돌출되는 손잡이(234)를 두도록 한다.
측면 통수공(233)은 배수관(230) 상단부 근처에 등간격으로 배수관(230) 외면을 따라 다수 형성되도록 하며, 측면 통수공(233)을 통해 물은 배수관(230) 외측에서 배수관(2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관(230)에 형성되는 측면 통수공(233)보다 높은 위치에 손잡이(234)가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배수관(230)의 하단부가 바닥재 받이(200)의 배수홀(220)과 결합되면서 고정 연결되며, 어항(100)에 투입되는 바닥재 받이(200)를 들어올릴 때에는 배수관(230) 외면에 마련되는 손잡이(234)를 잡고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배수관(2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측면 통수공(233)은 바닥재 받이(200)의 최대 수위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에 어항(100)으로부터 바닥재 받이(200)를 꺼낼 때 수면을 벗어나면 바닥재 받이(200)의 상부측 물은 배수관(230) 상단부를 통해 배출되고, 이보다 낮은 지점의 물은 측면 통수공(233)을 통해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바닥재 받이(200)의 수위를 낮추게 된다.
측면 통수공(233)보다 낮은 지점의 물은 더 이상 배출되지 않고 따라서 바닥재 받이(200)의 수위를 낮춘 후 안전하게 옮겨서 세척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바닥재 받이(200)를 어항(100) 외부로 꺼내기 위해 어항의 수면 근처로 다가갈수록 바닥재 받이(200) 외측으로 물이 흘러 내릴려고 하는 힘이 강해지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배수홀(220)과 연결되는 배수관(230)을 두게 되면 바닥재 받이(200)의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물이 상당량 배출되기 때문에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발생되는 와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닥재 받이(200)에 설치되는 배수관(230)은 바닥재(300)를 깔게 되면 바닥재(300)에 묻혀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어항의 미관을 보다 좋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배수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바닥재 받이와 배수관 및 망체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면서 추가적으로 망체(250)와 기포관(260)이 더 마련되는 어항에 대한 것이다.
망체(250)는 그물판과 같은 판상의 부재로서 망체(250) 위에 자갈과 같은 바닥재(300)가 올려진다. 망체(250)는 바닥재 받이(200)의 내부에 위치되되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과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망체(250)의 일측에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과 연통되도록 길다란 기포관(260)을 설치하도록 한다.
기포관(260)에는 기포발생장치에 의해 생성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관(미도시)이 연결되며, 기포관을 따라 공기가 상승하면서 어항내에 물의 흐름을 유발하게 된다.
본 제2실시예를 위해 배수관(230)의 외면에는 돌출되는 플랜지부(235)가 형성되도록 하며, 플랜지부(235)에 의해 망체(250)가 지지되어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과 망체(250)간에 이격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플랜지부(235)의 두께를 달리하게 되면 망체(250)와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과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망체(250)가 배수관(230)의 플랜지부(235)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망체(250)의 중심부에는 배수관(230)에 끼워지는 플랜지홀(251)이 형성되도록 한다. 플랜지홀(251)은 플랜지부(235)의 외경 보다는 작기 때문에 배수관(230)에 끼워진 후 플랜지부(235)에 의해 받쳐져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제2실시예의 경우 배수관(23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234)는 필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배수관(230)에 망체(250)의 플랜지홀(251)이 끼워지기 때문에 망체(250)를 설치할 때에는 손잡이(234)를 배수관(230) 내부로 밀어넣어 플랜지홀(251)과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배수관(230)의 외면으로부터 내부까지 천공되는 손잡이홀(236)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손잡이홀(236)에 손잡이(234)를 끼워 필요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바닥재 받이(200)의 바닥면(210)과 망체(250) 사이에 빈 공간이 마련되고, 기포관(26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물의 순환이 발생되기 때문에 각종 오염물질들은 대부분 바닥재(300)에 부착될 뿐 아니라 일부는 망체(250) 하부의 빈 공간으로 들어와 침전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청소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다는 측면 뿐 아니라 여과성능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기존의 알려진 어항들과는 차별화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어항들은 청소의 편리성이나 정화효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매우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격적인 측면에서 메리트가 없었지만, 본 발명의 어항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면서도 사용상의 편리성이 높고 정화효율도 우수하여 여러 측면에서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높은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이하 개략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어항의 구체적인 사용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배수관(230)이 묻힐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바닥재(300)를 바닥재 받이(200)에 담도록 한 후, 어항(100) 밑판에 닿도록 바닥재 받이(200)를 어항(100) 내부에 설치한다.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사용을 하다가 청소시점이 되면 어항 내부로 손을 넣어 바닥재(300)에 의해 묻힌 배수관(230)을 찾은 후 손잡이(234)를 잡고 천천히 들어올리도록 한다.
청소를 위해 바닥재 받이(200)를 들어올릴 때에는 가급적 천천히 들어올리도록 한다. 이때 배수관(230)을 통해서 물이 하방으로 배출된다.
바닥재 받이(200)의 배수관(230) 상단부 높이까지 물이 배출되면 그 이하는 측면 통수공(233)을 통해 바닥재 받이(200)의 물이 배출된다.
배수관(230)에는 필터(240)가 설치되기 때문에 배수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오염물질들은 필터(240)에 의해 걸러진다.
바닥재 받이(200)의 수위가 측면 통수공(233)보다 낮아지면 더 이상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어항(100) 주변에 물을 흘리지 않고 바닥재 받이(200)를 옮겨서 필터(240), 바닥재(300) 등을 세척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어항용 바닥재 받이는 관상용이나 취미를 위한 어항에 사용될 수 있다.
100 : 어항 200 : 바닥재 받이
210 : 바닥면 220 : 배수홀
230 : 배수관 231 : 필터 지지부
232 : 통수공 233 : 측면 통수공
234 : 손잡이 235 : 플랜지부
236 : 손잡이홀 240 : 필터
250 : 망체 251 : 플랜지홀
260 : 기포관

Claims (5)

  1. 어항 내부에 설치되되 자갈과 같은 바닥재가 담겨지며 바닥면에 개구된 배수홀이 형성되는 바닥재 받이, 상기 배수홀에 결합되며 필터가 내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며 ;
    상기 배수관은, 하단부에 상기 필터를 받치는 필터지지부가 마련되되 물이 하방으로 흐를 수 있도록 다수의 통수공이 형성되는 것 ;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측면 통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바닥재 받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24745A 2011-03-21 2011-03-21 어항용 바닥재 받이 KR101268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45A KR101268860B1 (ko) 2011-03-21 2011-03-21 어항용 바닥재 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745A KR101268860B1 (ko) 2011-03-21 2011-03-21 어항용 바닥재 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196A KR20120107196A (ko) 2012-10-02
KR101268860B1 true KR101268860B1 (ko) 2013-06-03

Family

ID=4727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745A KR101268860B1 (ko) 2011-03-21 2011-03-21 어항용 바닥재 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8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832U (ko) * 1993-05-31 1994-12-08 이익상 물갈이를 용이케한 수족관
KR100936964B1 (ko) 2009-07-16 2010-01-18 황인창 수족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5832U (ko) * 1993-05-31 1994-12-08 이익상 물갈이를 용이케한 수족관
KR100936964B1 (ko) 2009-07-16 2010-01-18 황인창 수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196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483B1 (ko) 스마트 유수분리조
JP2015506683A (ja) 濾過機能を有する水槽
US5849185A (en) Gravity vacuum system
US20170065911A1 (en) Particle trap/filter and systems related thereto
JP2010036141A (ja) 循環式の水の濾過装置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268860B1 (ko) 어항용 바닥재 받이
CN201635164U (zh) 一种隐形地漏
JP3176389U (ja) 観賞魚用水槽
US20110204003A1 (en) Method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and a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CN205071912U (zh) 自洁迷你缸
JP2009050249A (ja) 底面に傾斜を付け、排水装置を設けた水槽。
KR20130125989A (ko) 거품포집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CN204023758U (zh) 海洋平台的多级过滤式地漏
CN102877518A (zh) 一种改进的洗菜池
KR101923866B1 (ko) 유동성과 반응효율이 개선된 유동상 생물막담체
US9556602B2 (en) Self-contained oil flush toilet uni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for separating and pre-treating waste
CN202530554U (zh) 一种新型地漏
KR101953792B1 (ko) 어류 보호장치
RU86586U1 (ru) Модульный элемент загрузки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риродных и сточных вод (варианты)
KR20190142175A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202315453U (zh) 一种长堰竖流澄清池
CN210094330U (zh) 宠物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