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6483B1 - 스마트 유수분리조 - Google Patents

스마트 유수분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6483B1
KR102236483B1 KR1020190135548A KR20190135548A KR102236483B1 KR 102236483 B1 KR102236483 B1 KR 102236483B1 KR 1020190135548 A KR1020190135548 A KR 1020190135548A KR 20190135548 A KR20190135548 A KR 20190135548A KR 102236483 B1 KR102236483 B1 KR 10223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omestic wastewater
separation tank
wa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9013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483B1/ko
Priority to PCT/KR2019/016157 priority patent/WO202108572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6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and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40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in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는, 주방 내 싱크대(sink) 등 협소한 공간 내 제약 사항에서도 탄력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동시에, 내부에서 응고되는 유지(기름)의 손쉬운 처리, 내부 바닥 등에 붙은 다양한 형상의 침전물에 대한 청소나 유지관리가 손쉬운 특징이 있다. 또한 내부의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을 이용해 유수부리조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유지 등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유수분리조로써도 기능할 수 있으며, 유수분리조 내부에 응고 및 축척 되고 있는 유지의 상태나 내부 상태(PH, 가스 농도 및/또는 내부 압력, 침전물의 농축 정도 등)를, 스마트 유수분리조 상부에 부착된 뚜껑부를 열지 않고서도, 유수분리조 내부 및/또는 외부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된 센서(Sensor)를 통해 외부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기능 역시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유수분리조 {Smart Grease Trap}
본 발명은 생활오수에 포함된 유지(오일, 기름찌꺼기 등)를 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가정, 식당, 실내외 조리시설 등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생활오수에 포함된 물과 유지의 비중차(밀도 및 유류의 부력 이용)를 이용하여 유수분리조 내부로 유입된 생활오수 내 물과 유지를 자동적으로 분리하여 정화된 물(Water)만을 배수하고, 생활오수 내 침전물과 응고된 유지를 보다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에 관한 발명이다,
유수분리조는 물과 유지가 혼합된 생활오수에서 물과 유지를 서로 분리 후 처리하기 위한 기구물로써, 생활오수(원수)에 유입되는 유지성분(오일, 기름찌꺼기 등)을 생활오수로부터 분리 후, 정화된 물(Water)만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오수 및/또는 하수 관거, 하수처리시설의 처리의 효율 및 유지보수 등을 보다 용이하게 지원할 수 있는 기구물이다.
이러한 유수분리는 기름과 물의 비중 차이에 의해 제거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하는데, 기름 성분이 포함된 생활오수를 유수분리조 내부로 유입 시켜 정치(定置)하면서 원수 위로 뜨는 기름 성분을 걸러 제거하는 방식이나, 부직포 등의 필터를 원수가 통과하면서 기름 성분을 거르는 필터 방식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유수분리조의 설치 및 관리에 어려움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고, 이와 함께 유수분리조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포함된 다양한 형상과 비중의 침전물이나 유지의 효과적 분리 처리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 유수분리조의 경우 주방 내 싱크대(sink) 등 협소한 공간 내, 생활오수의 유입 및/또는 배출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없어, 유입 및/또는 배출을 위한 배관 설치 및 변경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유수분리조 내부로 유입되어 응고되는 유지(기름)의 손쉬운 처리, 내부 바닥 등에 붙은 다양한 형상의 침전물에 대한 청소나 유지관리가 어려운 부분 및 유수부리조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유지 등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수분리조 내부 상태 확인을 위해 유수분리조 상부의 뚜껑부를 사용자 등이 직접 열어 보아야만 알 수 있는 불편함 역시 존재해 왔다.
공개 실용신안 제1999-0037584호 등록 특허 제10-179653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 관리 및 생활오수 내 포함된 유지의 분리, 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가지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주방 내 싱크대(sink) 등 협소한 공간 내 제약 사항에서도 탄력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동시에, 내부에서 응고되는 유지(기름)의 손쉬운 처리, 내부 바닥 등에 침전된 다양한 형상의 침전물에 대한 청소나 유지관리가 손쉬운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의 차별화된 구조적 특성을 이용해 유수부리조 외부로 배출되는 정화된 물에 포함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유지 등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수분리조 내부에 응고 및 축척 되고 있는 유지의 상태나 내부 상태(PH, 가스 농도 및/또는 내부 압력, 침전물의 농축 정도 등)를, 스마트 유수분리조 상부에 부착된 뚜껑부를 열지 않고서도, 유수분리조 내부 및/또는 외부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된 센서(Sensor)를 통해 외부에서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생활오수가 내부로 유입(IN)되는 투입구(A) 및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가 상기 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유지와 물을 분리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 및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를 구획하는 동시에,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L2)에 의해서만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하도록 하는 분리벽(18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조(130)는, 내부에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낙하시키는 폭기조(120); 및 생활오수 내 포함된 물과 유지의 비중차에 의해 떠오르는 유지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유지보관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생활오수가 내부로 유입(IN)되는 투입구(A) 및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가 상기 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유지와 물을 분리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 및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를 구획하는 동시에,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에 의해서만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하도록 하는 분리벽(18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조(150)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분리벽(180)의 설정된 면에 부착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넘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배수조(150)로 생활오수를 전달할 수 있는 배수가이드부(16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구(C)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공급된 생활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또는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뚜껑부(111)에 의해 상면이 폐쇄되며,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및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가 분리벽(180)을 통해 구획되되,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는 상기 분리벽(180)의 하부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는 본체부(110); 상부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B)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A)가 형성된 상기 분리조(13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낙하시키며, 낙하된 상기 생활오수가 상기 분리조(130)의 바닥에 설정된 동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폭기조(120); 상기 분리조(130)의 타측에 부착 형성되며, 비중차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생활오수 내 유지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유지보관조(14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방향에서 상기 분리벽(180)에 부착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넘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배수조(150)로 생활오수를 유출할 수 있는 배수가이드부(16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구(C)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공급된 생활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형태로 제공도 고려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배출구(C)는, 상기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선택에 따라 개방 및 폐쇄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가 설치되는 공간 및 생활오수 유출입 배관의 동선에 따라 상기 투입구(A)와 상기 배출구(C)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분리조(130)는, 일측에 형성된 상기 폭기조(120) 및 타측에 형성된 상기 유지보관조(140)의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오르내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르내림부는, 상기 폭기조(120)의 하단부를 통해 유출되는 생활오수가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1 오름구간; 상기 제1 오름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하강 이동할 수 있는 하강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2 오름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서 상기 생활오수의 낙수 및 마찰을 유도하여, 상기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즉 분리조(130) 내부에 “오름턱(제1 오름구간)”과 같이 형성된 L1구간(도 2 참조)을 통해 분리조(130)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는 “오름턱”의 경사에 따라 상승 방향으로 차고 오르면서 비중이 낮은 유지가 생활오수와 분리되어 더욱 빠르게 부상하고, 이렇게 부상한 유지는 유지보관조(140)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생활오수에 포함된 비중이 큰 침전물은 “오름턱(제1 오름구간)” 이후 시작되는 “내림턱(하강구간)”을 따라 가라앉게 되면서 분리조(130) 바닥(도 3의 D2 영역)에 침전된다.
또한 관통홈(L2)은 분리벽(180)의 낮은 위치에 형성된 반면,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수가이드부(160)는 상면(상부)만이 외부로 개방되는 바, 관통홈(L2)을 통과하여 배수가이드부(160)의 상면까지 차올라(넘쳐)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는 유지 및 침전물이 제거된 정화된 물만이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즉 배수가이드부(160)는, 상기 분리벽(18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 형성되되, 상면은 상기 분리벽(180) 보다 낮게 형성된 상태로 개방되며, 측면은 상기 분리벽(180)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보다 낮은 위치에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상기 상면 이외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하면은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이격될수록 바닥면이, 바닥면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바닥면 등)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청소배수구(190a)가 형성되고 외부로 일측이 노출된 청소구(1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청소구(190)는, 상기 배수가이드부(160) 및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오르내림부에 형성된 구배를 따라 상기 유수분리조(100)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형태로 제공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70)는, 상기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고 표면에는 생활오수 중 함유된 침전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간격과 모양으로 형성된 스크리닝 슬릿을 포함하는 필터몸체부; 및 상기 필터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생활오수 내 침전물을 흡착하거나 침전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170)는, 상기 필터몸체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조(150)의 바닥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70)가 침전물에 의해 폐색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유입된 생활오수가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외부로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뚜껑부(111)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센서부(111b)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11b)는,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에 저장된 유지, 침전물, 생활오수의 유량, 유속, 악취, 가스 발생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협소한 내부 공간 내에서도 현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청소 등 사용 제품의 관리가 용이한 동시에,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포함된 유지(오일, 기름찌꺼기 등)의 분리, 제거에 탁월한 성능을 가지는 스마트 유수분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의 뚜껑부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의 뚜껑부(111)의 상부면 및 하부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본체부(110), 본체부(110)의 상면을 덮어 폐쇄할 수 있는 뚜껑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0)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기장, 주방, 식당 등에서 사용된 유지 등을 포함한 생활오수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IN)될 수 있는 투입구(A),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를 통과하여 유지 등이 분리되어 정화(처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생활오수의 보다 원활한 유출입을 위해 투입구(A)와 배출구(C)는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생활오수가 유입되고,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은 도 2의 L1, L2, R1 및 R2 이미지 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0)는 내부에 형성된 분리벽(180)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분리조(130) 및 배수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조(130)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 내 포함된 물, 유지 및 침전물을 분리하여 각각 이웃하는 배수조(150)로 전달(물)하거나 보관(유지 및/또는 침전물)할 수 있는 본체부(110) 내의 설정된 공간을 지칭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0)는 본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별도의 배관을 통해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유입)되는 분리조(130), 분리조(130)를 거쳐 침전물 및 유지가 분리된 생활오수(정화된 물)가 배출구(C)를 통해 외부로 유출(유수분리조(100)에 연결된 별도의 배관을 통해)될 수 있는 배수조(150), 분리조(130) 및 배수조(150)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있는 분리벽(180, 하부면에는 별도의 형성된 “관통홈”을 포함, 도 2의 L2 부호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관통홈”은 설정된 높이와 폭으로 형성된 일종의 구멍(Hole)으로써, 분리조(130) 및 배수조(150) 간의 생활오수 등이 유입 및/또는 유출될 수 있는 유로(流路)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분리벽(180)에 형성된 “관통홈(도 2의 L2 부호 참조)”은 분리조(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홈”이 분리조(130)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수직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분리조(130) 내로 유입된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이 물과의 비중차(물보다 높은 비중을 가진 침전물을 대상)에 의해 분리조(130) 바닥면에 가라앉도록 하는 동시에,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 내 물(water)만이 “관통홈”을 통해 이하 후술할 배수조(150)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0)는 설정된 내부에 폭기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1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B)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A)가 형성된 상기 분리조(13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120)의 공기 유입구(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11)의 마개부(111a)의 열림 상태(일 예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따라 마개부(111a)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는 형태)에 따라 폭기조(120) 내부로의 유입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120)는 투입구(A)를 통해 수평 방향(스마트 유수분리조(100)와 연결된 외부 배관의 연결 방향에 따라 결정)으로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내측 측면의 벽(투입구(A)와 반대측에 형성된 폭기조(120) 내부 측면 벽을 지칭)에 부딪혀 마찰되는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B)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섞이게 되면서 수직 방향(폭기조(120) 내부에서 중력 방향)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와류(渦流) 현상이 발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과 유지(기름 찌꺼기 등)을 1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120)는, 투입구(A)에 비해 낮은 위치에,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가 분리조(13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는 개방된 홈(도 2, L1 부호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120)는 주방,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싱크(Sink)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오수 배관과 연결된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낙하시키며, 낙하된 상기 생활오수가 상기 분리조(130)의 바닥에 설정된 동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10)는 설정된 내부에 유지보관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관조(140)는 생활오수 내 포함된 유지(기름 찌꺼기 등)가 생활오수 내 포함된 물과의 비중차 및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에 유지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유지(응고)를 손쉽게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조(100)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관조(140)는 유수분리조(100)의 일측에 탈부착 가능(도 4의 OC2 참조, 일 예로 수납식)하며, 이를 지원하는 별도의 외부 고정수단(도 4의 OC1, 140b 참조, 좌우 등 설정된 방향으로 손잡이를 밀어 유지분리조(140)를 본체부(110)의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관조(140)는 전술한 비중차 및 부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수면 위로 상승하는 생활오수 내 유지를 내부에 손쉽게 수용하기 위해 분리조(130)를 형성하는 공간의 높이(즉, 분리벽(180) 및 본체부(110)의 높이) 대비 낮게 설정될 수 있다(도 4 등 참조). 이를 통해 폭기조(120)를 통과하여 분리조(130)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유지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생활오수 수면 위에 부상하게 된 유지는 본체부(110) 및 분리벽(18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 유지보관조(140)의 내부로 전달되어 분리보관 되는 반면, 유지에 비해 비중이 큰 물의 경우 계속 분리조(130)에 남아 있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지보관조(140)는 분리조(130)의 타측에 부착 형성(폭기조(120), 분리조(130)를 거쳐 비중차와 부력이 자연스럽게 극대화될 수 있도록)될 수 있으며, 비중차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생활오수 내 유지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쉽게 제거할 수 잇는 착탈식(수납식)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분리조(130) 내부로의 생활오수 유입 및 유지 분리 과정을 요약하자면, 투입구(A)를 통해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유입된 생활오수는 폭기조(120)에서 외부 공기와 와류 현상을 통해 물과 침전물, 유지가 분리 용이한 상태로 1차적으로 처리되고, 폭기조(120)를 통과한 생활오수는 다시 분리조(130)에서 비중차에 의해 유지, 물 및 침전물이 각각 유지보관조(140), 배수조(150) 및 분리조(130)로 전달(유지 및 물) 또는 머무르게(침전물)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생활오수 내 물과 침전물의 분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조(130)는, 폭기조(120, 일 예로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 및 유지보관조(140, 일 예로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면 상부(내측 바닥 상면)에 오름구간과 내림구간이 형성된 “오르내림부(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르내림부”는 폭기조(120)의 하단부를 통해 유출(도 2의 L1 참조)되는 생활오수가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1 오름구간(오름턱)”, 상기 제 1 오름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하강 이동할 수 있는 “하강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2 오름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르내림부”는 분리조(130) 내부에서 상기 생활오수의 낙수 및 마찰을 반복 유도(굴곡된 분리조(130) 내부의 바닥면을 따라 생활오수가 이동)하여, 상기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에서 이격시키고, “관통홈(분리조(130)의 바닥면으로부터 설정 높이 이격되어 형성)”을 통해 비중차에 의해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 내 물(Water)만을 배수조(150)로 전달(도 2의 L2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물과의 비중차에 의해 “관통홈”으로 침전물은 이동하지 못하고, 분리조(130) 바닥면에 계속 머무르게 되며, 물과의 비중차에 의해 물의 상면으로 부상하게 되는 유지는 유지보관조(140)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된 유지보관조(140)의 벽체를 넘어 유지보관조(140) 내부에 보관,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150)는 분리벽(180)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전달된 생활오수를 다시 한번 정화하고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처리된 생활오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본체부(110)내의 설정된 공간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150)는 내부에 배수가이드부(160) 및 필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가이드부(160)는 배수조(150)의 내측방향으로 분리벽(180)에 부착 형성되는 상부가 외부로 개방된 부재로 분리조(130) 및 “관통홈(L2)”을 통해 전달되는 생활오수를 특정한 방향으로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가이드부(160)는 개방된 상부가 배수조(150) 및 분리벽(18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분리벽(180)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으로부터 유입(분리조(130)로부터) 되는 생활오수가 상부(상면)로 넘치는 경우에 한해(도 2의 R1 참조) 상기 배수조(150)로 생활오수를 유출할 수 있도록 하부면, 측면 등은 폐쇄(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은 밀폐)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가이드부(160)는 분리벽(18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 형성되되, 상면은 분리벽(180) 보다 낮게 형성된 상태로 외부로 개방되며, 측면은 분리벽(180)의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홈(도 2의 L2)”보다 낮은 위치에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관통홈(L2)”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상기 상면 이외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배수가이드부(160)의 하면은 “관통홈(L2)”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수록(분리벽(180)에서 배수조(150)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바닥면이, 바닥면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단면(경사면, 도 3 참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수가이드부(160)는 분리조(130)를 통해 정화된 물만이 배수조(15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오름턱(제1 오름구간)”과 같이 형성된 L1구간(도 2 참조)을 통해 분리조(130)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는 “오름턱”의 경사에 따라 상승 방향으로 차고 오르면서 비중이 낮은 유지가 생활오수와 분리되어 더욱 빠르게 부상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이렇게 부상한 유지는 전술한 유지보관조(140) 내부로 수용). 또한 생활오수 내 비중이 큰 침전물은 “오름턱(제1 오름구간)” 이후 시작되는 “내림턱(하강구간)”을 따라 가라앉게 되면서 분리조(130) 바닥(도 3의 D2 영역)에 침전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홈(L2)은 분리벽(180)의 낮은 위치에 형성된 반면,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배수가이드부(160)는 상면(상부)만이 외부로 개방되는 바, 관통홈(L2)을 통과하여 배수가이드부(160)의 상면까지 차올라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는 유지 및 침전물이 제거된 정화된 물만이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필터부(170)는 배수조(150)의 내측 중 설정된 위치에 수용되고, 배출구(C)의 전면에 형성되어,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공급(도 3의 R1 참조)된 생활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이후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도 3의 R2 참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필터 모듈을 지칭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70)는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고 표면에는 생활오수 중 함유된 침전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간격과 모양으로 형성된 스크리닝 슬릿을 포함하는 “필터몸체부”(도 2 및 도 3 참조) 및 상기 “필터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생활오수 내 침전물을 흡착하거나 침전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필터몸체부”는 PVC 등 플라스틱 소재나 내산성, 내부식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면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직사각형 관통홀(스크리닝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몸체부”의 스크리닝 슬릿의 크기는 생활오수 내 포함될 수 있는 침전물이나 응고되어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 유지 등이 부착되는 반면, 생활오수 내 물은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터몸체부”의 스크리닝 슬릿은 생황오수 내 침전물 및/또는 응고된 유지 등이 수용(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된 원통홈, 사각형홈 또는 다각형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침전물 등이 수용(삽입)되어 막히게 될 경우 필터부(170)를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서 제거하여 침전물 등 끼여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설정된 위치에 삽입하여 침전물 등의 제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170) 내 “필터”는 전술한 “필터몸체부” 내부에 수용되며, “필터몸체부”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리닝 슬릿”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정화할 수 있는 미세유로가 형성된 다공성 필터로, 활성탄 또는 지오라이트를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170)는 상기 “필터몸체부”의 하단부가 배수조(150)의 바닥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터부(170)가 침전물 등에 의해 폐색(침전물 및/또는 응고된 유지 등에 의해 스크리닝 슬릿 및/또는 “필터”가 막혀 생활오수가 유출되지 않는 등)되는 경우에도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유입된 생활오수가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외부로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물에 비해 비중이 낮은 응고된 유지 등은 배수조(150) 및 필터부(170)의 하단부간 이격된 공간 사이로 유출되지 않고, 계속 필터부(170)를 통해 차단됨으로써, 정화된 물만을 외부로 배출(배출구, C)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수조(150)의 차별적 구조 및 이에 따른 특징을 요약하자면, “관통홈(L2)”을 통과한 생활오수는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배수조(150) 내부로 유입(도 2의 R1)되며, 이후 필터부(170)에서 한 차례 더 여과된 이후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배출(도 2의 R2 참조)하게 된다. 또한 “관통홈”을 통해 생활오수를 전달받는 배수가이드부(160)는 설정된 높이를 가지는 상면(분리벽(180) 보다 낮은 상부 위치에서 개방)을 통해서만 생활오수가 배수조(150)로 유입되게 되는 바, 물에 비해 비중이 높은 침전물은 배수조(150)로 전달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분리조(130)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생활오수 내 침전물을 보다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C1 또는 C2)는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C1 또는 C2)는 선택에 따라 개방 및 폐쇄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 유수분리조(100)가 설치되는 공간(주방 싱크(Sink) 내부의 형상, 크기 등) 및 생활오수 유출입 배관의 동선에 따라 투입구(A) 및/또는 배출구(C)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청소배수구(190a)가 형성되고 외부로 일측이 노출된 청소구(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 관리, 청소 목적으로, 도 3의 D1 내지 D5 이미지 참조).
이 경우 청소구(190)는 배수가이드부(160) 및 분리조(130) 내부에 형성된 “오르내림부”에 형성된 구배(경사면)를 따라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에 누적된 침전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즉 사용자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에 침전 및 누적된 침전물의 제거를 위해 분리조(130) 내에 물을 부어 청소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D4 위치의 구멍을 통해 침전물 등을 포함한 청소된 물이 청소배수구(190a)를 통해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외부로 배출(D5)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조(130) 내부에 청소 목적의 물을 공급하게 될 경우, 분리조(130) 내부의 구배(경사면 형성)에 따라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D1, D2 및 D3를 거친(지나간) 물이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D4 구역(외부 배출구가 형성)을 통해 다시 청소배수구(190a)를 통해 외부로 배출(D5)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본체부(110) 내부에 저장된 유지, 침전물, 생활오수의 유량, 유속, 악취 및 가스 발생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센서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1b)는 뚜껑부(111)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고, pH센서, 가스 농도 측정 센서 및/또는 가스 압력 센서, 유량 센서, 유속 센서, 악취 감지 센서, 생활오수 내 포함된 환경호르몬 유발물질(EDCs(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등)에 대한 감지 센서 등이 선택적, 복합적으로 채택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외부 단말 등으로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송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11b)는 외부에서 식별 가능한 빛이나 색깔, 음향 등을 선택적으로 발신할 수 있는 알림모듈(소리 및/또는 빛 발산이 가능한 스피커, LED램프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11b)는 센서부(111b)의 안정적 동작을 위해 가정 등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유선으로 공급받거나 무선으로 충전되거나, 별도의 동력원(일 예로 배터리)과 같은 동력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1b)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를 보다 체계적, 효과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마트 유수분리조
110: 본체부
111: 뚜껑부
111a: 마개부
111b: 센서부
120: 폭기조
130: 분리조(오르내림부 포함)
140: 유지보관조
150: 배수조
160: 배수가이드부
170: 필터부(필터몸체부, 필터)
180: 분리벽(하부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 포함)
190: 청소구
190a: 청소배수구
A: 투입구(생활오수 투입구)
B: 공기 유입구
C1 및 C2: 배출구(정화된 물의 배출구)

Claims (9)

  1. 생활오수가 내부로 유입(IN)되는 투입구(A) 및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가 상기 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유지와 물을 분리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 및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를 구획하는 동시에,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에 의해서만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하도록 하는 분리벽(180);을 포함하며,
    상기 분리조(130)는,
    내부에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낙하시키는 폭기조(120);
    생활오수 내 포함된 물과 유지의 비중차에 의해 떠오르는 유지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유지보관조(14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폭기조(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유지보관조(140)의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오르내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르내림부는,
    상기 폭기조(120)의 하단부를 통해 유출되는 생활오수가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1 오름구간;
    상기 제1 오름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하강 이동할 수 있는 하강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2 오름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서 상기 생활오수의 낙수 및 마찰을 유도하여,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2. 생활오수가 내부로 유입(IN)되는 투입구(A) 및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가 상기 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 내 유지와 물을 분리하는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의 상면을 폐쇄하는 뚜껑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 및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를 구획하는 동시에,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에 의해서만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하도록 하는 분리벽(180);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조(150)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분리벽(180)의 설정된 면에 부착 형성되어, 하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넘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배수조(150)로 생활오수를 전달할 수 있는 배수가이드부(16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구(C)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공급된 생활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조(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폭기조(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유지보관조(140)의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오르내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르내림부는,
    상기 폭기조(120)의 하단부를 통해 유출되는 생활오수가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1 오름구간;
    상기 제1 오름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하강 이동할 수 있는 하강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2 오름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서 상기 생활오수의 낙수 및 마찰을 유도하여,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3. 생활오수가 내부로 유입(IN)되는 투입구(A) 및 정화된 물이 외부로 배출(OUT)될 수 있는 배출구(C)가 상기 투입구(A)에 비해, 높이를 기준으로, 낮은 설정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스마트 유수분리조(100)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뚜껑부(111)에 의해 상면이 폐쇄되며,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유입되는 분리조(130); 및 상기 배출구(C)를 통해 정화된 물을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배수조(150);가 분리벽(180)을 통해 구획되되, 상기 분리조(130) 및 상기 배수조(150)는 상기 분리벽(180)의 하부면의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는 본체부(110);
    상부에 외부 공기 유입을 위한 공기 유입구(B)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A)가 형성된 상기 분리조(130)의 일측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투입구(A)를 통해 유입되는 생활오수에 외부 공기를 혼합하여 낙하시키며, 낙하된 상기 생활오수가 상기 분리조(130)의 바닥에 설정된 동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폭기조(120);
    상기 분리조(130)의 타측에 부착 형성되며, 비중차에 의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생활오수 내 유지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유지보관조(14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방향에서 상기 분리벽(180)에 부착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넘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배수조(150)로 생활오수를 유출할 수 있는 배수가이드부(160);
    상기 배수조(15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배출구(C)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가이드부(160)를 통해 공급된 생활오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조(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된 폭기조(120) 및 상기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유지보관조(140)의 사이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오르내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르내림부는,
    상기 폭기조(120)의 하단부를 통해 유출되는 생활오수가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1 오름구간;
    상기 제1 오름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하강 이동할 수 있는 하강구간; 및
    상기 하강구간 이후 상기 생활오수가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있는 제2 오름구간을 포함하여,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서 상기 생활오수의 낙수 및 마찰을 유도하여, 생활오수 내 포함된 침전물을 상기 분리조(130)의 내측 바닥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상기 침전물이 분리된 생활오수를 상기 배수조(150)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C)는,
    상기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선택에 따라 개방 및 폐쇄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가 설치되는 공간 및 생활오수 유출입 배관의 동선에 따라 상기 투입구(A)와 상기 배출구(C)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 및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5. 삭제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수가이드부(160)는,
    상기 분리벽(180)의 설정된 위치에 부착 형성되되,
    상면은 상기 분리벽(180) 보다 낮게 형성된 상태로 개방되며,
    측면은 상기 분리벽(180)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관통홈보다 낮은 위치에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홈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오수가 상기 상면 이외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하면은 상기 관통홈으로부터 이격될수록 바닥면이, 바닥면을 기준으로, 점진적으로 상승하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형성되며, 내부가 관통된 청소배수구(190a)가 형성되고 외부로 일측이 노출된 청소구(1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청소구(190)는,
    상기 배수가이드부(160) 및 상기 분리조(130) 내부에 형성된 상기 오르내림부에 형성된 구배를 따라 상기 유수분리조(100) 내부의 침전물을 외부로 손쉽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170)는,
    상기 배수조(150)의 설정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고 표면에는 생활오수 중 함유된 침전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간격과 모양으로 형성된 스크리닝 슬릿을 포함하는 필터몸체부; 및
    상기 필터몸체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생활오수 내 침전물을 흡착하거나 침전물을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부(170)는,
    상기 필터몸체부의 하단부가 상기 배수조(150)의 바닥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부(170)가 침전물에 의해 폐색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로 유입된 생활오수가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외부로 임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111)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센서부(111b)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11b)는,
    상기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내부에 저장된 유지, 침전물, 생활오수의 유량, 유속, 악취, 가스 발생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실시간 또는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모니터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유수분리조(100).

KR1020190135548A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유수분리조 KR10223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48A KR102236483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유수분리조
PCT/KR2019/016157 WO2021085724A1 (ko) 2019-10-29 2019-11-22 스마트 유수분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548A KR102236483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유수분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483B1 true KR102236483B1 (ko) 2021-04-06

Family

ID=7547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548A KR102236483B1 (ko) 2019-10-29 2019-10-29 스마트 유수분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6483B1 (ko)
WO (1) WO20210857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0905A (zh) * 2022-08-04 2022-10-04 丽瑾(浙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污水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1712B (zh) * 2021-04-15 2022-11-01 青岛达能环保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浓度有机废水排放自动化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13415854A (zh) * 2021-06-23 2021-09-21 山东普迪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厨房回收用油水干湿分离系统
CN115090003B (zh) * 2022-05-25 2024-04-09 安徽锦源复合材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污水处理集油装置
CN115072831B (zh) * 2022-07-18 2023-11-14 王宏勋 一种餐饮油污水的环保节能处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584A (ko) 1998-12-03 1999-05-25 신규언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KR200251956Y1 (ko) * 2001-08-01 2001-11-22 이강경 3단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유량조를 구비한 접촉폭기오수 정화조
KR20100011025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프라코 조집기
JP2010203853A (ja) * 2009-03-02 2010-09-16 Shinten Kogyo Kk 油漏れ検知装置
KR101796531B1 (ko) 2017-04-11 2017-11-10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KR20180008062A (ko) * 2016-07-15 2018-01-24 (주)거도 유수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9461B2 (en) * 2001-12-31 2005-09-06 Clark Joseph Use Water pollution trap with oil segregator/coll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584A (ko) 1998-12-03 1999-05-25 신규언 여과지 공기 역세척용 산기장치
KR200251956Y1 (ko) * 2001-08-01 2001-11-22 이강경 3단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유량조를 구비한 접촉폭기오수 정화조
KR20100011025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프라코 조집기
JP2010203853A (ja) * 2009-03-02 2010-09-16 Shinten Kogyo Kk 油漏れ検知装置
KR20180008062A (ko) * 2016-07-15 2018-01-24 (주)거도 유수분리장치
KR101796531B1 (ko) 2017-04-11 2017-11-10 (주)오택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40905A (zh) * 2022-08-04 2022-10-04 丽瑾(浙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污水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724A1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483B1 (ko) 스마트 유수분리조
KR101373302B1 (ko) 고액분리장치
US7875178B2 (en) Water quality drain basin insert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CN209957509U (zh) 一种餐饮环保用的油水分离装置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608197B1 (ko)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CN202343009U (zh) 餐厨油水分离装置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150109085A (ko) 빗물 여과장치
US20080185325A1 (en) Pollutant Trap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CN106215507B (zh) 一种油水分离器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US20090211963A1 (en) Particle Interceptor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36019B1 (ko) 오수의 오염물질 여과장치
KR101799513B1 (ko)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CN107935324B (zh) 一种油水分离器
JP2006118342A (ja) 油水分離装置
RU160712U1 (ru) Фильтрующий патрон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размещаемый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WO2017213351A1 (ko) 투시창이 구비된 맨홀
KR101586628B1 (ko) 상·하수 슬러지 분리침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 처리 방법
CN209397009U (zh) 一种温控式隔油装置
JP2016123900A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