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835B1 -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835B1
KR101268835B1 KR1020110129987A KR20110129987A KR101268835B1 KR 101268835 B1 KR101268835 B1 KR 101268835B1 KR 1020110129987 A KR1020110129987 A KR 1020110129987A KR 20110129987 A KR20110129987 A KR 20110129987A KR 101268835 B1 KR101268835 B1 KR 10126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affle plate
chamber
exhaust
sile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균
한학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9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02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 F01N2490/06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the gases flowing longitudinally from inlet to outlet in opposite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2490/15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being disposed one after the other in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이 밀폐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3 개의 배플판과, 이 배플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4 개의 챔버들과, 상기 배플판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기튜브, 배기튜브, 중간튜브 및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튜브의 배출구에는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Muffler for vehicles having twin tail type muffler tip}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이 밀폐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3 개의 배플판과, 이 배플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4 개의 챔버들과, 상기 배플판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기튜브, 배기튜브, 중간튜브 및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튜브의 배출구에는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이 장착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일산화탄소나 질소화합물과 같은 인체의 유해한 성분을 정화시키는 촉매 장치를 통과한 후, 배기시스템 계통을 통하여 소음기로 전달된다.
상기 소음기(머플러, muffler)는 자동차가 배출하는 배기가스의 배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어 배기소음을 저하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소음기의 내부 공간은 배기 소음의 감쇄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배플판(baffle plate)에 의하여 여러개의 챔버(chamber)들로 구획되며, 배기가스의 소음은 이 챔버들의 공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파의 간섭, 압력 변동의 감소, 배기 온도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점차로 소음이 저감된다.
나아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후방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소음기(M)의 배기관(2)에 트윈 테일(twin tail)형 소음기 팁(tip)(3)을 장착하는 경우가 종래에 있어 왔다.
그러나, 상기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3)의 유입구(3a)가 배기관(2)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반면, 소음기 팁(3)의 배출구(3b)는 유입구(3a)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배기관(2)에 수평하게 입사된 배기가스의 배기 경로가 소음기 팁(3)의 관로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변환되면서 배기가스의 배기 저항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 저항으로 인하여 배기시의 토출소음(기류음)이 악화되었으며, 이는 배기 발생음(부밍, booming)을 증대시켜 외부소음 규제 법규를 만족하지 못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소음기는 배기가스의 배기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외부소음 규제법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의 구성은, 양단이 밀폐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3 개의 배플판과, 이 배플판에 의하여 형성되는 4 개의 챔버들과, 상기 배플판들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흡기튜브, 배기튜브, 중간튜브 및 케이스 외부로 연장되는 토출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토출튜브의 배출구에는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는, 중간튜브에 의하여 배기가스의 배출경로가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흡음재의 채용과 토출튜브의 확관 및 유입관과 토출관들의 배치가 평행한 형상의 소음기 팁의 구성을 통하여 배기가스의 배기 부밍과 배기 저항을 감소시킨 효과를 수득하였다.
도 1 은 종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장착한 소음기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소음기의 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소음기의 후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소음기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소음기의 토출튜브의 상세도,
도 6 은 본 발명 소음기의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 소음기의 배기 부밍의 소음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의 구성과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방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 자동차용 소음기(1)는 소정 용량의 실내 내부공간을 가지는 종치형 소음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 소음기(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10)는 그 양단이 일측 측면패널(20)과 타측 측면패널(21)로 밀폐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일측 측면패널(20)로부터 상기 타측 측면패널(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제 3 배플판(33)으로 이루어진 3 개의 배플판들이 상호 평행하게 간격을 이루면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플판(31,32,33)들에 의하여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는데, 상기 일측 측면패널(20)과 제 1 배플판(31) 사이의 공간인 제 1 챔버(C1), 제 1 배플판(31)과 제 2 배플판(32) 사이의 공간인 제 2 챔버(C2), 제 2 배플판(32)과 제 3 배플판(33) 사이의 공간인 제 3 챔버(C3), 제 3 배플판(33)과 타측 측면패널(21) 사이의 공간인 제 4 챔버(C4)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 소음기의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 상기 배플판(31,32,33)들과 수직 방향으로 흡기 튜브(40), 배기 튜브(50), 토출 튜브(60) 및 중간 튜브(70)가 설치된다.
상기 흡기튜브(40)는 상기 일측 측면패널(20),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및 제 3 배플판(33)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들 일측 측면패널(20)과 상기 배플판(31,32,33)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흡기튜브(40)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41)와, 이 유입구(41)를 통하여 진입한 배기가스를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구(42)를 가지며, 상기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는 상기 일측 측면패널(20)을 관통하여 케이스(10)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42)는 상기 제 4 챔버(C4)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중 일부 구간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1 챔버(C1)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제 1 통공(43a)이 형성되고, 이 제 1 통공(43a)은 상기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이 제 1 통공(43a)을 통하여 제 1 챔버(C1)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2 챔버(C2)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제 2 통공(43b)이 형성되고, 이 제 1 통공(43b)은 상기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이 제 2 통공(43b)을 통하여 제 2 챔버(C2)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3 챔버(C3)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제 3 통공(43c)이 형성되고, 이 제 3 통공(43c)은 상기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이 제 3 통공(43c)을 통하여 제 3 챔버(C3)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통공들(43a,43b,43c)를 통하여 이들 통공이 위치되는 챔버들로 각각 배출된 후, 잔여분의 배기가스는 배출구(42)를 통하여 제 4 챔버(C4)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튜브(50)는 상기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들 배플판(31,32)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배기튜브(50)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51)와 유입구(5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52)를 가지며, 상기 배기튜브(50)의 유입구(51)는 상기 제 1 챔버(C1)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52)는 제 3 챔버(C3)에 위치하되, 이 배출구(52)는 후술할 토출튜브(60)의 유입구(61)에 직결된다.
그러므로, 배기튜브(50)의 유입구(5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는 토출튜브(60)로 유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기튜브(50)의 튜브 몸체중 일부 구간에 다수개의 통공(53)이 형성되며, 이 통공(53)은 상기 배기튜브(5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2 챔버(C2)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튜브(50)의 유입구(51)를 통하여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상기 통공(53)을 통하여 제 2 챔버(C2)로 배출시킨다.
상기 토출 튜브(60)는 케이스(10)의 내측 벽면에 부착된 브라켓(80)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 3 챔버(C3)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S 자형의 튜브이며, 토출튜브(60)의 일방의 개구는 상기 배기튜브(50)의 배출구(52)와 직결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61)을 이루며, 토출튜브(60)의 타방의 개구는 케이스(10) 외부에 위치하는 트윈테일형 소음기팁(90)과 연결되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62)를 이룬다.
이때, 도 5 의 토출튜브의 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튜브(60)의 유입구(61) 외주는 상기 배기튜브(50)의 배출구(52)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플렌지(flange)(63)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63)의 내측면과 배기튜브(50)의 배출구(52) 사이에는 배기가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폐링(64)이 내삽된다.
또한, 토출튜브(60)의 전체적인 직경을 상기 배기튜브(5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토출튜브(60)의 확관을 통하여 배기가스의 배기저항 감소와 배기 부밍(booming)의 저감을 도모하였다.
상기 중간튜브(70)는 상기 제 1 배플판(31)과 제 2 배플판(32)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이들 배플판(31,32)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중간튜브(70)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유입구(71)와 유입구(7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72)를 가지며, 중간튜브(70)의 유입구(71)는 상기 제 3 챔버(C3)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72)는 제 1 챔버(C1)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유입구(71)를 통하여 상기 제 3 챔버(C3)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상기 제 1 챔버(C1)로 배출시킨다.
한편, 케이스(10)의 외부에서 상기 토출 튜브(60)의 배출구(62)에 트윈테일형 소음기 팁(90)이 연결된다.
상기 소음기 팁(90)은 상기 토출튜브(6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91)와, 이 유입관(91)를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토출하는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의 제 1 토출관(92a)와 제 2 토출관(92b)를 가진 트윈 테일(twin-tail)형 소음기 팁(90)이다.
이때, 상기 소음기 팁(90)의 유입관(91)와 상기 제 1 토출관(92a) 및 제 2 토출관(92b)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이는 전술한 종래 소음기 팁(3)의 유입구와 토출구가 상호 직교되게 배치되는 것과 대비된다.
한편, 상기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및 제 3 배플판(33)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31a,32a,33a)들을 타공함으로써, 상기 제 1 배플판(31)의 홀(31a)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제 1 챔버(C1)와 제 2 챔버(C2) 사이에서 상호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배플판(32)의 홀(32a)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제 2 챔버(C2)와 제 3 챔버(C3) 사이에서 상호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배플판(33)의 홀(33a)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제 3 챔버(C3)와 제 4 챔버(C4) 사이에서 상호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 3 배플판(33)의 설치 위치를 타측 측면패널(21)에 근접되게 설치하여 제 4 챔버(C4)의 부피를 축소시킴으로써 제 4 챔버(C4)의 공명실 효과를 억제시켜 배기가스의 불필요한 부밍을 최소화시켰다.
또한, 상기 제 1 배플판(31) 및 제 2 배플판(32)에 타공된 홀(31a,32a)의 갯수보다 제 3 배플판(33)에 타공된 홀(33a)의 갯수가 더 적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 인하여 제 3 챔버(C3)와 제 4 챔버(C4)의 배기가스의 유동이 감소되므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4 챔버(C4)의 공명실 효과를 억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배기가스의 불필요한 부밍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제 1 배플판(31)과 제 2 배플판(32)의 홀(31a,32a)의 갯수는 270 개이나, 제 3 배플판(33)의 홀(33a)의 갯수는 70 개를 타공하였다.
또한, 후술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챔버(C2)의 내부 공간에는 고주파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흡음재(100)를 충진시킨 구성이다. 상기 흡음재(100)의 재질로써 유리솜(Glass Wo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소음기의 작동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 소음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의 배기계통으로부터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흡기튜브(40)의 유입구(41)를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배기가스는 흡기튜브(40)의 제 1 통공(43a), 제 2 통공(43b)을 통하여 그 일부가 각각 제 1 챔버(C1)과 제 2 챔버(C2)로 유출되고, 대부분의 배기가스는 제 3 통공(43c)을 통하여 제 3 챔버(C3)로 배출되며, 잔여분의 배기가스는 흡기튜브(40)의 배출구(42)를 통하여 제 4 챔버(C4)로 배출되나 제 4 챔버(C4)는 부피가 협소하여 공명실 기능이 억제된 상태이므로 배기가스의 부밍이 감소되면서 제 3 배플판(33)의 홀(33a)을 통하여 제 3 챔버(C3)로 재유동된다.
그러면, 제 3 챔버(C3)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일부는 중간튜브(70)의 유입구(71)로 유입되어 유동되면서 배출구(72)를 통하여 제 1 챔버(C1)로 배출되고, 제 1 챔버(C1) 내부에 위치한 배기튜브(50)의 유입구(51)로 유입된다.
상기 중간튜브(70)는 상기 제 3 챔버(C3)의 배기가스를 제 1 챔버(C1)까지 유동시켜 배기가스의 배기 경로를 길게 형성하는 이른바 롱 테일(Long-tail) 파이프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기 부밍을 저감시키게 된다.
또한, 제 3 챔버(C3)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나머지 일부는 제 2 배플판(32)의 홀(32a)과 제 1 배플판(31)의 홀(31a)을 통하여 제 2 챔버(C2)와 제 3 챔버(C3)까지 유동되며, 유동 과정에서 배기튜브(50)의 유입구(51)나 통공(53)을 통하여 배기튜브(5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2 챔버(C2)의 내부 공간에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솜(Glass Wool)로 이루어진 흡음재(100)가 충진됨으로써, 흡음재(100)에 의하여 제 2 챔버(C2)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고주파수 대역의 배기 부밍의 토출음을 저감시켜 주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배기튜브(5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토출튜브(60)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의 토출튜브(60)의 직경은 상기 배기튜브(5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기 관로의 확관을 통하여 배기가스의 배기 부밍이 한층 더 감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튜브(60)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토출튜브(60)의 말단 개구에 형성된 배출구(62)를 통하여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90)의 유입관(91)으로 유입되며, 유입관(91) 후단의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 1 토출관(92a)과 제 2 토출관(92b)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소음기 팁(90)의 유입관(91)과 제 1 토출관(92a) 및 제 2 토출관(92b)의 관로는 상호 평행한 방향이므로, 전술한 종래 소음기 팁(3)의 유입구와 토출구가 상호 직교되게 배치됨으로써 배기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기 팁(90)은 자동차의 후방 외관을 미려하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의 후방 범퍼의 우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 소음기의 배기 부밍의 소음도를 측정한 그래프로서,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영역의 RPM(엔진회전수)에 걸쳐서 배기가스의 기류음이 종래 소음기 대비 6-8 dB(A) 범위에서 감소되었으며,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영역의 RPM 에 걸쳐서 배기가스의 C2 성분 부밍음이 종래 소음기보다 감소되는 결과를 수득함으로써, 외부소음 규제법규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소음기
10; 케이스
20; 일측 측면패널 21; 타측 측면패널
31; 제 1 배플판 31a; 홀
32; 제 2 배플판 32a; 홀
33; 제 3 배플판 33a; 홀
40; 흡기 튜브
41; 유입구 42; 배출구
43a; 제 1 통공 43b; 제 2 통공
43c; 제 3 통공
50; 배기 튜브
51; 유입구 52; 배출구
53; 통공
60; 토출 튜브
61; 유입구 62; 배출구
63; 플렌지 64; 밀폐링
70; 중간 튜브
71; 유입구 72; 배출구
80; 브라켓
90; 트윈테일형 소음기 팁
91; 유입관
92a; 제 1 토출관 92b; 제 2 토출관
100; 흡음재
C1; 제 1 챔버 C2; 제 2 챔버
C3; 제 3 챔버 C4; 제 4 챔버

Claims (6)

  1. 자동차의 배기계통으로부터 전달되는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양단이 일측 측면패널(20)과 타측 측면패널(21)에 의하여 밀폐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에서 상호 평행하게 간격을 이루면서 설치되는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및 제 3 배플판(33);
    상기 일측 측면패널(20)과 제 1 배플판(31) 사이의 공간인 제 1 챔버(C1), 제 1 배플판(31)과 제 2 배플판(32) 사이의 공간인 제 2 챔버(C2), 제 2 배플판(32)과 제 3 배플판(33) 사이의 공간인 제 3 챔버(C3), 제 3 배플판(33)과 상기 타측 측면패널(21) 사이의 공간인 제 4 챔버(C4);
    상기 일측 측면패널(20),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및 제 3 배플판(33)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유입구(41)는 상기 일측 측면패널(20)을 관통하여 케이스(10)의 외측에 위치하고, 배출구(42)는 상기 제 4 챔버(C4)에 위치하며, 그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3 챔버(C3) 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다수개의 제 3 통공(43c)이 형성된 흡기튜브(40);
    상기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유입구(51)는 상기 제 1 챔버(C1)에 위치하고, 배출구(52)는 제 3 챔버(C3)에 위치하는 배기튜브(50);
    케이스(10)의 내측 벽면에 부착된 브라켓(80)에 의하여 설치되며, S 자형의 관로를 형성하되 유입구(61)는 상기 제 3 챔버(C3) 내에서 상기 배기튜브(50)의 배출구(52)와 직결되고, 배출구(62)는 상기 케이스(10) 외부에 위치하는 토출 튜브(60);
    상기 제 1 배플판(31)과 제 2 배플판(3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유입구(71)는 상기 제 3 챔버(C3)에 위치하고, 배출구(72)는 제 1 챔버(C1)에 위치하는 중간튜브(70);
    상기 토출 튜브(60)의 배출구(62)에 연결된 유입관(91)과, 상기 유입관(91)과 연결되며 2 갈레로 갈라진 형상의 제 1 토출관(92a)와 제 2 토출관(92b)를 가진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9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1 챔버(C1)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제 1 통공(43a)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튜브(4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2 챔버(C2)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제 2 통공(43b)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튜브(50)의 튜브 몸체 구간중 상기 제 2 챔버(C2)내에 위치하는 튜브 몸체 구간에 통공(5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플판(31), 제 2 배플판(32) 및 제 3 배플판(33)의 표면에 다수개의 홀(31a,32a,33a)들을 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챔버(C2)의 내부 공간에 흡음재(100)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튜브(60)의 유입구(61) 외주에 플렌지(63)가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63)와 배기튜브(50)의 배출구(52) 사이에 밀폐링(64)이 내삽되고,
    상기 토출튜브(60)의 직경은 상기 배기튜브(5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팁(90)의 유입관(91)과 상기 제 1 토출관(92a) 및 제 2 토출관(92b)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KR1020110129987A 2011-12-07 2011-12-07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0126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987A KR101268835B1 (ko) 2011-12-07 2011-12-07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987A KR101268835B1 (ko) 2011-12-07 2011-12-07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835B1 true KR101268835B1 (ko) 2013-05-29

Family

ID=4866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987A KR101268835B1 (ko) 2011-12-07 2011-12-07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8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1256A (zh) * 2017-07-05 2017-09-22 重庆长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耐腐蚀汽车尾管
CN110588868A (zh) * 2019-10-28 2019-12-20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跨骑式车辆及其发动机布置结构
KR20200125002A (ko) * 2019-04-25 2020-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류음이 저감되는 머플러의 테일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
US11454148B2 (en) 2019-10-31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Muffler for vehicle for implementing sporty exhaust soun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1256A (zh) * 2017-07-05 2017-09-22 重庆长野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耐腐蚀汽车尾管
KR20200125002A (ko) * 2019-04-25 2020-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류음이 저감되는 머플러의 테일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
KR102175260B1 (ko) * 2019-04-25 2020-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류음이 저감되는 머플러의 테일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
CN110588868A (zh) * 2019-10-28 2019-12-20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跨骑式车辆及其发动机布置结构
US11454148B2 (en) 2019-10-31 2022-09-27 Hyundai Motor Company Muffler for vehicle for implementing sporty exhaust s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80644A (ko) 듀얼 머플러
JP5064453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排気管に設けられる消音器
KR101705160B1 (ko) 스포티 배기 음질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01268835B1 (ko) 트윈 테일형 소음기 팁을 구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01126970B1 (ko) 차량용 소음기
JP2012057610A (ja) 車両用マフラー
JP6043526B2 (ja) デュアル排気ガス排出パイプを備えた車両用消音器
JP2004150310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US7503427B2 (en) Muffler
CN106321193A (zh) 一种轿车后消声器
KR101237931B1 (ko) 스포티 배기 음질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100946493B1 (ko) 자동차의 배기 소음기
KR200340730Y1 (ko) 자동차 머플러
KR20210051829A (ko) 스포티 배기 음색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20090114051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100925942B1 (ko) 차량의 소음기
KR20190036829A (ko) 자동차 배기장치의 소음기
KR100882654B1 (ko) 자동차의 저용량 소음기
CN114922714B (zh) 降低施工车辆发动机噪声的消声器
CN219202743U (zh) 一种阻抗复合式消声器
CN215007487U (zh) 一种工程机械消声器
KR20048359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171218Y1 (ko) 특정 주파수 감쇄용 분기관을 구비한 소음기
CN216043947U (zh) 用于车辆排气系统的消声器
KR20110052841A (ko) 자동차의 소음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