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735B1 -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735B1
KR101267735B1 KR1020110058407A KR20110058407A KR101267735B1 KR 101267735 B1 KR101267735 B1 KR 101267735B1 KR 1020110058407 A KR1020110058407 A KR 1020110058407A KR 20110058407 A KR20110058407 A KR 20110058407A KR 101267735 B1 KR101267735 B1 KR 10126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ontact portion
contac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954A (ko
Inventor
김희중
이강영
Original Assignee
세방전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방전지(주) filed Critical 세방전지(주)
Priority to KR102011005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735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전지의 터미널 연결이 쉽고 빠르며 간편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납축전지의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길이가 긴 띠 모양의 판스프링이고 전기가 통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도체부; 스프링 도체부의 양쪽 끝단 일부가 각각 연결된 상태로 구부려져 이루어지는 절곡부 및 절곡부의 끝단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하여 커넥터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생산성이 좋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터미널의 굵기 또는 두께가 다양한 경우에도 안정되게 접촉하며,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작업성이 좋아 납축전지의 충전을 위하여 각 터미널을 연결하는 준비시간 및 충전을 완료한 후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다수의 납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각 터미널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성이 개선되어 노동력을 적은 양으로 소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Connector for battery terminal}
본 발명은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전지의 터미널 연결이 쉽고 빠르며 간편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산업용 배터리는 납산축전지(lead acid battery, 납배터리 또는 납축전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2)차 전지(secondary battery)라 한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양극과 음극 극판으로 납(Pb)을 사용하고, 전해액은 황산(H2So4)을 사용하며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격리판, 양극, 음극, 전해액을 담는 전조(case)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양극과 음극에 의한 전극을 터미널(terminal)이라 부르기로 한다.
납축전지는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충전 또는 방전한다. 납축전지를 대량 생산하는 공장에서 처음 생산된 납축전지는 충전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충전시킨 후에 출고시켜야 한다.
납축전지 생산공장에서 대량의 납축전지를 충전하는 경우 각 납축전지의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야 하고 터미널의 연결에는 커넥터가 사용된다.
생산공장에서 납축전지를 충전하는 경우 연결된 커넥터를 통하여 많은 전류가 흐르므로 실제의 차량 또는 산업환경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납축전지의 연결과 동일한 조건 이상으로 각각의 터미널을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산업용 다수 납축전지의 각 터미널을 연결시키는 커넥터에 대한 종래 기술로 특허등록 제10-0711811호(2007.04.19.)에 의한 “다중 접촉식 배터리 커넥터 어셈블리”가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납축전지의 터미널에 걸림부를 추가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커넥터의 몸체 좌우에 삽입공, 코일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된 접속판, 걸림턱, 회전편, 걸림고리, 브래킷을 포함시켜 설치하여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생산비용 및 조립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걸림고리를 걸림부에 걸리게 하고 회전편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거나 연결상태를 해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납축전지의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를 간단하게하고 대량생산이 쉬우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한 커넥터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축전지와 납축전지의 각 터미널을 연결하는 커넥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대량생산이 쉬우며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적은 노동력으로 사용하기 간편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는 납축전지의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를 통하는 판스프링의 도체가 띠 모양을 하면서 아치(arch) 형상을 하는 스프링 도체부; 상기 스프링 도체부의 양쪽 끝단 일부가 연결된 상태로 구부려져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 도체부의 외부를 둘러싸고 미끄럼을 방지하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과 직각의 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상기 절곡부의 끝단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접촉부의 안쪽 끝부분과 제 2 접촉부의 안쪽 끝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직선은 상기 절곡부의 끝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3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상기 스프링 도체부의 양쪽 끝단에서 대응되는 반대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 부분에서 형성하는 직선거리가 상기 절곡부의 안쪽에서 형성하는 직선거리보다 길다.
상기 스프링 도체부는 표면을 납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커넥터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생산성이 좋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터미널의 굵기 또는 두께가 다양한 경우에도 안정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를 적층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그 관리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작업성이 좋아 납축전지의 충전을 위하여 각 터미널을 연결하는 준비시간 및 충전을 완료한 후에 연결된 상태로부터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다수의 납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하여 각 터미널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성이 개선되어 노동력을 적은 량으로 소모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조립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절곡부와 접촉부에 대한 확대 도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가 해당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상태의 도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가 해당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의 사진촬영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납축전지와 축전지는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문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조립 구성도 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절곡부와 접촉부에 대한 확대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스프링 도체부(10), 절곡부(20), 접촉부(30), 절연체부(40)를 포함한다.
스프링 도체부(10)는 띠 모양으로 길이가 길고 판스프링 형상을 하며 전기가 잘 통하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도체부(10)는 그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단면이 알파벳의 시(C) 또는 유(U) 자인 아치(arch)형상을 할 수 있다.
스프링 도체부(10)와 절곡부(20) 및 접촉부(30)는 동(Cu)이 포함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을 납 도금 처리하여 도전성이 있는 도체의 특성을 보호하며 전기적인 접촉성을 개선시킨다. 또한, 도금된 납은 접촉하면서 물리적인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즉, 납 도금은 스프링 도체부(10)와 절곡부(20) 및 접촉부(30)의 표면을 보호하므로 부식을 방지시키고 전기가 잘 흐르게 하는 전도도(도전율)를 유지 또는 개선시킨다. 한편, 도금된 납의 유연성에 의하여 다른 금속과 접촉하는 경우 그 접촉 면적이 늘어날 수 있고 접촉면적이 늘어나는 경우는 전기 전도도가 개선된다.
납축전지는 전해액으로 황산을 사용하고, 황산 용액의 일부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증기로 증발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 도체부(10) 및 절곡부(20)는 항상 부식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스프링 도체부(10)와 절곡부(20) 및 접촉부(30)의 표면을 납으로 도금하는 경우 부식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절곡부(20)는 스프링 도체부(10)의 양쪽 끝단을 각각 물리적 및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구부려 트린 형상을 한다.
첨부된 도 1 에서의 A 부분은 절곡부와 접촉부가 포함되며 도 2 에서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접촉부(30)는 절곡부(20)의 끝단 일부에 열려 개방된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납축전지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제 1 접촉부(310), 제 2 접촉부(320) 및 제 3 접촉부(330)를 포함한다.
제 1 접촉부(310)는 절곡부(20)의 끝단 가장자리와 직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접촉부(330)와 연결된다.
제 2 접촉부(320)는 절곡부(20)의 끝단 가장자리와 미리 정해진 비스듬한 각 또는 경사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3 접촉부(33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접촉부(330)는 제 1 접촉부(310)의 안쪽 끝부분과 제 2 접촉부(320)의 안쪽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면서 절곡부(20)의 끝단 가장자리와 평행을 이룬다.
제 1 접촉부(310), 제 2 접촉부(320) 및 제 3 접촉부(330)가 포함되는 접촉부(30)는 판금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접촉부(310)와 제 2 접촉부(320)가 형성하는 모양은 안쪽의 폭보다 절곡부(20)의 끝단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더 넓어지는 형상을 한다. 즉, 절곡부(20)의 끝단 부분에서 제 1 접촉부(310)와 제 2 접촉부(320)가 형성하는 직선거리는 절곡부(20)의 안쪽에서 형성하는 직선거리보다 길다.
그러므로 접촉하는 터미널의 굵기 또는 크기가 크거나 작거나에 관계없고 또한 터미널의 두께가 넓거나 좁거나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터미널에 대하여 모두 안정되게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절곡부(20)의 끝단과 직각을 형성하는 제 1 접촉부(310)는 축전지 터미널의 평편한 측면과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므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가 터미널과 접촉된 자세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축전지 터미널은 굵기 또는 두께가 작은 경우 제 3 접촉부(330)에 접촉될 수 있다.
절연체부(40)는 스프링 도체부(10)의 외부를 둘러싸는 것으로, 스프링 도체부(10)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절연체부(40)는 미끄러짐이 방지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안전함에 의하여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의 손잡이 기능을 한다. 또한, 도전성이 있는 이물질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절연시켜 전기가 누설되지 않게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가 해당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상태의 도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축전지(2)의 터미널(3)과 터미널(3)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경우 절연체부(40)로 둘러싸인 스프링 도체부(10)에 손아귀의 힘이 포함되는 외력을 가하여 눌러준다.
스프링 도체부(10)는 이러한 외력에 의하여 양쪽 끝단에 각각 설치된 절곡부(20)와 절곡부(20) 또는 접촉부(30)와 접촉부(30) 사이의 직선거리를 좁히게 되고, 그 직선거리가 충분히 좁혀진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축전지(2)의 터미널(3)과 터미널(3)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절연체부(40)로 둘러싸인 스프링 도체부(10)의 외력을 서서히 줄이면 절곡부(20)와 절곡부(20) 또는 접촉부(30)와 접촉부(30) 사이의 직선거리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각각의 접촉부(30)가 해당 터미널(3)과 접촉한다.
이때,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연결될 터미널(3)과 터미널(3) 사이에서 탄성에 의하여 밀어주는 상태로 접촉한다.
즉,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옆면에서 집는 방식(clip)으로 터미널(3)에 접속하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적은 탄성력의 스프링을 사용하여 더욱 튼튼하게 터미널(3)과 터미널(3)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 도체부(10)의 절단면이 알파벳의 시(C) 또는 유(U) 자의 아치(arch)형상을 하므로 사용이 완료된 다수의 스프링 도체부(10)를 보관하는 경우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은 면적에서 다수의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를 보관 및 관리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가 해당 터미널과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의 사진촬영도 이다.
첨부된 도 5 에서는 각 축전지의 해당 터미널을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축전지를 생산하는 공장에서 다수의 축전지를 제조한 후 출고하기 전에 각 축전지를 동시에 충전하는 공정의 상태가 사진으로 촬영되었다.
다수의 축전지(2)가 동시에 충전되기 위하여 해당 터미널(3)과 터미널(3) 사이에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가 접촉되어 있다.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절연체부가 배치된 부분을 해당 작업자가 손아귀로 잡으므로 적은 노동력을 사용하여 쉽게 연결 및 분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1)는 터미널(3)과 터미널(3) 사이에 배치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어내는 방식으로 접촉하므로 적은 탄성력으로도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2 : 축전지 3 : 터미널
10 : 스프링 도체부 20 : 절곡부
30 : 접촉부 40 : 절연체부
310 : 제 1 접촉부 320 : 제 2 접촉부
330 : 제 3 접촉부

Claims (5)

  1. 납축전지의 터미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전기를 통하는 판스프링의 도체가 띠 모양을 하면서 아치(arch) 형상을 하는 스프링 도체부;
    상기 스프링 도체부의 양쪽 끝단 일부가 연결된 상태로 구부려져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끝단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과 직각의 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상기 절곡부의 끝단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경사각을 형성하고 안쪽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1 접촉부의 안쪽 끝부분과 제 2 접촉부의 안쪽 끝부분을 직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직선은 상기 절곡부의 끝단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3 접촉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상기 스프링 도체부의 양쪽 끝단에서 대응되는 반대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 도체부에 피복되고, 전기가 통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절연체부; 를 더 포함하는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는,
    상기 절곡부의 끝단 부분에서 형성하는 폭이 상기 절곡부의 안쪽으로 향하면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도체부는,
    표면을 납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KR1020110058407A 2011-06-16 2011-06-16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KR10126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07A KR101267735B1 (ko) 2011-06-16 2011-06-16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407A KR101267735B1 (ko) 2011-06-16 2011-06-16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54A KR20120138954A (ko) 2012-12-27
KR101267735B1 true KR101267735B1 (ko) 2013-05-27

Family

ID=4790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407A KR101267735B1 (ko) 2011-06-16 2011-06-16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73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241A (ja) 2008-07-15 2010-02-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ジョイント端子及び電池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7241A (ja) 2008-07-15 2010-02-04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ジョイント端子及び電池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954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796B1 (ko) 2차 전지용 버스바 및 2차 전지 모듈
EP2343756B1 (en) Inter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cell assemblies
US7599191B2 (en) Electrochemical low ESR capacitor with connector
US8945757B2 (en) Battery pack having conductive line holders
KR100816218B1 (ko) 이차전지
KR10133642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
JP5825991B2 (ja) 蓄電池用の電線配索構造
JP2013536979A (ja) 抵抗溶接によるセルタブ連結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
US9413086B2 (en) Cost optimized cell voltage tap-off connection
JP6022897B2 (ja) コネクタ、単電池および組電池
KR20110008700A (ko) 2차 전지용 커넥터
KR10117338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JP2009187677A (ja) 燃料電池におけるコネクタ接続方法およびセル電圧測定用コネクタ
EP2600433A1 (en) Lithium ion battery
KR101267735B1 (ko) 축전지 터미널 연결용 커넥터
JP2014149982A (ja) 配線モジュール
US9184433B2 (en) Battery,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ies
JP5751676B2 (ja) 電池用配線モジュール
CN106328876B (zh) 棱柱形的蓄电池单池和蓄电池组
US10297800B2 (en) Battery housing and power storage device having a non-metallic terminal
CN110892548A (zh) 用于向紧急电话供电的电池模块
CN115152073A (zh) 包括夹式连接器的电池组
CN211700667U (zh) 一种插簧端子及具有插簧端子的电池包
CN209979705U (zh) 新型测试顶针
CN105576180A (zh) 蓄电装置以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