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86B1 -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86B1
KR101173386B1 KR1020100111494A KR20100111494A KR101173386B1 KR 101173386 B1 KR101173386 B1 KR 101173386B1 KR 1020100111494 A KR1020100111494 A KR 1020100111494A KR 20100111494 A KR20100111494 A KR 20100111494A KR 101173386 B1 KR101173386 B1 KR 101173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el cell
contact terminal
base plat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132A (ko
Inventor
윤용식
전유택
Original Assignee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1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537Electric variables
    • H01M8/04544Voltage
    • H01M8/04559Voltage of fuel cell st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전압 검출 장치의 결합 및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분리판과 막-전극 접합체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앤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금속분리판 사이 간격에 삽입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접촉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단자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STACK VOLTAGE MONITORING APPARATUS OF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전지 스택에 대한 전압 검출 장치의 결합 및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가스와 산소 가스를 이용하여 전기 화학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료(수소) 및 공기(산소)를 전기화학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와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산화전극(anode)에서의 산화반응 및 환원전극(cathode)에서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전력(electric power)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백금 또는 백금-루테늄 금속 등을 포함하는 촉매층과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구성된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가 사용되며 막-전극 접합체 양단으로 전도성 물질의 분리판이 체결되어 셀(CELL)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셀 구조가 적층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게 되는데, 현재 상술한 연료전지는 대체 에너지(alternative energy source)로서 다양한 용도로 연구 및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를 들 수 있다.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는 출력밀도 및 에너지 전환효율이 높고 소형화 및 밀폐화가 가능한 장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무공해 자동차, 가정용 발전 시스템, 이동통신장비, 군사용 장비, 의료기기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대체에너지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연료전지 자동차에 사용되는 스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셀을 적층시켜야 하고, 운전시 스택 성능의 저하 예컨대 역전 현상 또는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적층된 다수의 셀 전압을 항상 측정하여야 한다.
즉,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의 평가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발생되는 전류와 전압 측정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각 셀(CELL)의 전압 측정은 스택 운전 시, 각 셀의 성능 및 특성을 나타내 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연료 전지 스택이 최적의 상태로 안정적으로 운전되고 갑작스런 성능 감소에 따른 운전 정지를 위해선 각 셀의 전압을 정확하여 모니터링 해야 하며, 그에 따라 셀 전압 측정장치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종래에는, 상기 다수의 셀 전압을 검출하기 위해서, 스택 내의 분리판의 개수만큼 전선과 핀을 납땜하고, 상기 전선과 핀을 지지대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스택 셀의 전압을 검출하는 경우 스택의 흔들림으로 인해 핀이 빠지거나. 스택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전선이 단락될 가능성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핀을 단자 형태로 제작하여 분리판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요 구성으로서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전극과,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발생된 수소이온을 전달하는 전해질 막의 접합체인 막-전극 접합체(101, MEA; 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이를 지지하는 분리판(1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료 전지 중 특히, 연료전지 자동차에서는 더 높은 전력을 얻기 위해서 개별 단위 셀(CELL)을 필요한 전위만큼 적층하여 연료 전지 스택(100; Stack)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100)은 다수개의 적층된 분리판(103)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2개의 엔드플레이트(113, 115)가 체결봉(117)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며, 분리판(103)과 막-전극 접합체(101; MEA) 사이에는 가스교환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가스 확산층(GD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연료 전지 스택(100)에서 상호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한 전류는 도체의 분리판(103)을 통하여 흐르게 되며, 분리판(103)의 맨 끝에서 전극을 통하여 뽑아낸다. 또한, 발생한 물은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일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때, 가능한 많은 양의 전류가 흐르는 연료 전지가 효율이 좋게 된다.
이러한 연료 전지 스택의 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종전의 셀 전압 측정장치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100)의 분리판(103)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에 소켓 형식의 전극 단자(111)를 고정하고, 전극 단자(111)에 끼워지는 각각의 분리판(103)들을 커넥터(107)와 연결시켜주는 전선(109)들이 형성된다. 이때, 전극 단자(111)는 전체 분리판(103)을 동시에 끼울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소정 개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끼울 수 있는 분할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켓 형식의 전극 단자(111)는 금속 분리판 제작 시 별도의 돌출부 형성을 고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돌출부의 형상으로 인하여 분리판의 모양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 형식의 전극 단자와 분리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5장의 금속 분리판(110)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리판 측면에 전극 단자(130)가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전극 단자(13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20)와 대응되는 슬릿(140)이 형성되고, 슬릿(140)이 형성된 면과 반대면에는 슬릿(140) 내에 끼워진 금속 분리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커넥터로 이어지는 전선(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돌출부(120)들은 슬릿(14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며,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져야 전극 단자(130)에 형성된 모든 슬릿(140)에 각각의 금속 분리판(110)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나쁘고 수 차례 반복 실험에 의한 탈부착 할 경우, 돌출부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크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접촉면적이 부족해지는 경우 정확한 셀 전압을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단자(111)는 엔드 플레이트(113)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전선(109)에 의해서 커넥터(107)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선들을 일일이 정리해야 함은 물론이고, 각 분리판으로부터 나온 전선들을 구분하여 커넥터(107)에 매치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연료 전지 스택의 각 셀에 대한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며, 각 셀의 성능이 공급 가스의 부족이나 쇼트 등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저하되었을 경우, 이를 모니터링 하고 해당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취해지지 못하여 연료 전지 스택의 열화를 일으키게 하는 등의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판에 별도의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고 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면에 밀어 끼우는 것으로 각 분리판에 접속되어 셀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금속분리판과 막-전극 접합체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앤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금속분리판 사이 간격에 삽입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접촉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단자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접촉단자는 일렬로 형성되거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복수의 열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2개로 분할 형성되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홀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짝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자는 상하에 경사면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며 금속분리판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자는 일면에 적어도 2부분의 접점을 구비할 수 있고, 폐곡면을 가지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중심막대와, 상기 중심막대의 양측에 형성되는 탄성가지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거나,
상기 접촉단자는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는 연료전지 스택의 일 측면에 소켓형의 전극 단자를 이용함으로써, 분리판에 별도의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분리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은 분리판 정렬 시 단자 결합을 위해서 돌출부를 일일이 맞추어가며 정렬할 필요가 없어 분리판의 정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택의 측면에 끼워지는 형태로 단자가 결합되고, 스택의 외부면을 보호하는 동시에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므로, 연료전지 스택의 외관이 좋아지고, 스택의 견고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각 셀의 성능을 용이하게 모니터링하고 문제 발생시 전지 스택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 형식의 전극 단자와 분리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연료전지 금속분리판의 개스킷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분리판의 개스킷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단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 및 도면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는, 연료전지 스택의 앤드 플레이트(202) 일측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2)와,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금속분리판(204) 사이 간격에 삽입되는 접촉단자(214)와, 각각의 접촉단자(214)와 연결되는 연결배선(216)을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212)는 절연재로 형성되며,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2)는 연료전지 스택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베이스플레이트(212)는 연료 전지 스택에서 한 쌍의 앤드 플레이트 사이를 채울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2)는 복수개의 접촉단자(214)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접촉단자(214)는 베이스플레이트(212)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접촉단자(214)가 원뿔 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후술하는 실시예들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촉단자(214)는 단부가 금속분리판(204) 사이로 삽입되어 그 측면이 금속분리판에 접속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접촉단자(214)는 자체가 탄성을 가지는 재질 또는 탄성을 제공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촉단자(214)의 삽입에 의하여 금속분리판(20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단자(214)가 탄성력으로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금속분리판(204)의 사이에는 냉각수(204)가 흐르거나, 막전극접합체(206)가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한쌍의 금속분리판(204)이 연결되어 전극을 형성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반적인 연료전지 금속분리판의 개스킷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분리판의 개스킷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접촉단자(214)는 금속분리판(204)의 사이로 삽입되는데, 금속분리판(204)의 사이에는 가스켓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일반적으로 금속분리판(204)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스켓(205)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가스켓(205)의 형태를 변화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냉각수 또는 반응가스가 통과하는 채널영역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가스켓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접촉단자(214)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각각의 채널영역 테두리 부분에만 가스켓(205)을 형성함으로써 가스켓(205) 사이에 금속분리판(204)이 노출되는 부분을 형성한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연료전지 스택에서 분리판은 매우 조밀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데, 이러한 배치는 접촉단자의 형성 및 연결배선의 형성에 어려움을 준다.
실질적으로 금속분리판(204) 사이의 간격은 0.4mm 내외이고, 금속분리판(204)의 두께는 0.1~0.2mm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크기에서 각각의 금속분리판(204) 사이에 접촉단자(224a, 224b)를 형성하려면 공간이 협소하여 각각의 접촉단자들이 단락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기가 곤란한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 2 실시예는 접촉단자(224a, 224b)를 2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실시예는 접촉단자(224a, 224b)가 2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촉단자(224)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든 셀에 접속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면에서 좌측열의 접촉단자들(224a)은 홀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도록 배열되며, 우측열의 접촉단자들(224b)은 짝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도록 배열된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222)에 접촉단자들이 2열로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2개로 분할하여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홀수층 금속분리판에 접촉되도록 접촉단자를 배열하고, 다른 하나의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짝수층 금속분리판에 접촉되도록 접촉단자를 배열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와 같이 접촉단자를 복수의 열로 형성하는 구조는 접촉단자 형성공간 및 배선 연결 공간을 확보하여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제 2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단턱부(223)를 구비하고, 상기 단턱부(223)가 앤드플레이트(202)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22)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225)을 이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22)를 앤드플레이트(202)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가 연료전지 스택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장치(230)는 접촉단자(234)의 형태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보다 안정적인 접속을 위하여 접촉단자(234)의 일면의 적어도 2부분이 금속분리판에 접속되도록 하고, 아울러 접촉단자(234)가 금속분리판(204)으로 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접촉단자의 결합력을 강화시킨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의 접촉단자(234)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소정의 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이러한 접촉단자(234)는 크게 3 부분으로 구성된다.
접촉단자(234)는, 베이스 플레이트(232)에 연결되는 부분은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기단부(234a)와, 베이스 플레이트(232)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져 목부(234b)와, 다시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록 확장되었다가 단부는 다시 좁아지는 확장부(234c)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단자(234)는 기단부(234a)와 확장부(234c)가 모두 금속분리판(204)에 접촉되어 안정적인 전기접속을 가져오며, 확장부(234c)의 형상으로 인해 분리판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형태의 접촉단자(234)는 금속분리판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기단부(234a)와 확장부(234c)가 금속분리판에 접촉하게 된다. 즉 2부분이 금속 분리판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접촉단자(234)가 보다 안정적으로 금속 분리판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지점에서 접속되도록 형성된 경우 이물질이 끼이거나 접촉단자가 변형되는 경우 원활한 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많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단자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접촉단자(240)를 금속판으로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형태는 접촉단자에 탄성력을 확보해준다.
(b)는 접촉단자(250)를 나무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심막대(252)와, 중심막대(252)의 양측에 경사지게 형성된 탄성가지(254)를 구비하여 상기 탄성가지(254)들이 금속분리판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c)는 접촉단자(260)를 막대형태로 형성하되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262)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들이 금속분리판에 접촉되록 형성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2, 222, 232 : 베이스 플레이트
214, 224, 234 : 접촉단자
216, 226, 236 : 연결케이블

Claims (11)

  1. 복수의 금속분리판과 막-전극 접합체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스택의 앤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각각의 금속분리판 사이 간격에 삽입되는 접촉단자; 및
    상기 접촉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단자는 복수의 열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좌측열의 접촉단자들은 홀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도록 배열되고, 우측열의 접촉단자들은 짝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접촉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부분은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기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져 목부와, 다시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록 확장되었다가 단부는 다시 좁아지는 확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기단부와 상기 확장부에 접점을 구비함으로써 1면에 적어도 2개의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2개로 분할 형성되며, 제1 베이스 플레이트는 홀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는 짝수층의 금속분리판에 삽입되는 접촉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단자는 상하에 경사면을 가지며,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며 금속분리판에 접속되고, 폐곡면을 가지는 판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부분은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는 기단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멀어질수록 간격이 좁아져 목부와, 다시 금속분리판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록 확장되었다가 단부는 다시 좁아지는 확장부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앤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단자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11494A 2010-11-10 2010-11-10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1173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94A KR101173386B1 (ko) 2010-11-10 2010-11-10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94A KR101173386B1 (ko) 2010-11-10 2010-11-10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32A KR20120050132A (ko) 2012-05-18
KR101173386B1 true KR101173386B1 (ko) 2012-08-10

Family

ID=4626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494A KR101173386B1 (ko) 2010-11-10 2010-11-10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3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027B1 (ko) 2013-12-24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택 전압 측정 장치
DE102016210316A1 (de) * 2016-06-10 2017-12-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Kontaktieren von mehreren Separatorplatten sowie Brennstoffzellensystem
DE102017212884A1 (de) * 2017-07-26 2019-01-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rüfvorrichtung für einen Brennstoffzellenstapel
DE102018213688A1 (de) 2018-08-14 2020-02-20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Stecker mit einem Kontaktelement und Kontaktanordnung zur Kontaktierung eines Bipolarstapels
KR102668307B1 (ko) * 2018-12-07 2024-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KR102659055B1 (ko) * 2018-12-11 2024-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셀 모니터링 커넥터 및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SE2250917A1 (en) * 2022-07-18 2024-01-19 Powercell Sweden Ab Voltage monitor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 cell stack, particularly for a fuel cell stac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285A (ja) 2000-10-18 2002-04-2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電圧測定装置
KR100749257B1 (ko) 2006-09-04 2007-08-13 주식회사 케피코 제브라가 적용된 전압 측정 단자를 갖춘 연료전지의 전압측정 모듈
KR100800965B1 (ko) 2006-09-04 2008-02-05 주식회사 케피코 핀스프링형 전압 측정 단자가 적용된 연료전지의 전압 측정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285A (ja) 2000-10-18 2002-04-26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の電圧測定装置
KR100749257B1 (ko) 2006-09-04 2007-08-13 주식회사 케피코 제브라가 적용된 전압 측정 단자를 갖춘 연료전지의 전압측정 모듈
KR100800965B1 (ko) 2006-09-04 2008-02-05 주식회사 케피코 핀스프링형 전압 측정 단자가 적용된 연료전지의 전압 측정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32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42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1173386B1 (ko)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JPH11339828A (ja) セル電圧測定端子付き燃料電池スタック
US11031608B2 (en) Connecting element for electrically contact-connecting separator plates of a fuel cell stack
US11355763B2 (en) Cell-monitoring connector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to fuel cell
US11177491B2 (en) Cell-monitoring connector and fuel cell having structure for detachably mounting the cell-monitoring connector thereon
JP4055349B2 (ja) 燃料電池の電圧測定装置
CN113049965A (zh) 燃料电池双极板的巡检连接结构及电堆电压的监测系统
JP2002124285A5 (ko)
JP2009187677A (ja) 燃料電池におけるコネクタ接続方法およびセル電圧測定用コネクタ
US7682714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a cell monitor connector to a fuel cell stack
US8835072B2 (en) Solid oxide fuel cell stacks and fuel cell module having the same
KR100520558B1 (ko)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KR100534770B1 (ko) 연료 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KR101105050B1 (ko) 연료전지 스택
KR101090626B1 (ko) 일체형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 검출 장치
KR100821767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JP2006140166A5 (ko)
JP2006140166A (ja) 燃料電池セルモニタ装置
KR100749258B1 (ko) 커넥터형 전압 측정 단자를 갖춘 연료전지의 전압측정 모듈
KR101405374B1 (ko) 연료 전지
KR20130133442A (ko) 연료전지의 스택전압 검출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의 스택 전압검출장치
KR100588518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셀 전압 측정장치
KR101372081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의 전압 단자대 정렬장치
KR102668307B1 (ko) 셀 모니터링 커넥터가 탈착 가능한 연료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