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649B1 -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649B1
KR101267649B1 KR1020110051620A KR20110051620A KR101267649B1 KR 101267649 B1 KR101267649 B1 KR 101267649B1 KR 1020110051620 A KR1020110051620 A KR 1020110051620A KR 20110051620 A KR20110051620 A KR 20110051620A KR 101267649 B1 KR101267649 B1 KR 10126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flow
exit
flow index
furnac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33112A (en
Inventor
민순기
김혁
이영재
이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649B1/en
Publication of KR20120133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1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014Devices for monitor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므로 노심 통액성 양호 또는 환상류 발달 유무의 추정이 가능하여 실시간 노하부 상황 판단과 적절한 조업 대응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the step of deriving the furnace melt flow index (Hearth)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bottom wall (D), and during the set period And determining core activation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re activation degree is determined through the change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it is possible to estimate whether the core fluidity is good or the cyclic flow is developed, thereby enabling the real-time bottom situation determination and appropriate operation response.

Description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본 발명은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 노하부의 용융물 거동을 추정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for estimating the melt behavior of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furnace.

고로 조업은 고로의 상부로 장입된 철광석이 풍구를 통해 공급된 열풍에 의해 용융되어 용융물(용선과 슬래그)을 생성하게 되고, 노하부에 축적되어 있는 용융물이 출선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공정이다.The blast furnace operation is a process in which the iron ore charged in the upper part of the blast furnace is melted by the hot air supplied through the tuyeres to produce melts (molten iron and slag), and the melts accumulated in the furnace are discharged continuously through the outlet .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 노하부에 존재하는 노심의 통액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노하부 벽부의 온도 데이터(TC 온도)를 이용하여 노하부용융물 거동을 추정할 수 있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fluidity of the core present in the bottom of the blast furnac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that can estimate the bottom melt flow behavior using the temperature data (TC temperature) of the bottom wall To provide a wa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eriving the furnace melt flow index (Hearth)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wall portion, and setting, And determining core activation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period.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의 온도 데이터로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의 양측 온도 데이터로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를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로 나눈 값이다.The deriving the furnace melt flow index may include calculating an average temperature of the two adjacent outlets using temperature data of two adjacent outlets among the temperature data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wall. Calculat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from the temperature data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am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emperature data, wherein the lower melt flow index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two adjacent outlets. It is the value divided b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exits.

상기 출선구는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방향으로 대칭되게 1번 출선구, 2번 출선구, 3번 출선구, 4번 출선구의 4개 출선구가 형성된다.The outlet has four outlets of No. 1, No. 2, No. 3, and No. 4 outlets symmetrically in a 90 degre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상기 일별로 1번 출선구와 상기 2번 출선구 구간, 상기 2번 출선구와 상기 3번 출선구 구간, 상기 3번 출선구와 상기 4번 출선구 구간, 상기 4번 출선구와 상기 1번 출선구 구간의 4 구간을 측정한다.The lower melt flow index of the outlet 1 and the outlet 2, the outlet 2 and the outlet 3, the outlet 3 and the outlet 4, the 4 Measure the four sections of the first exit and the first exit section.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는 각각 일별 평균값이다.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are averaged daily values.

상기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상승이면 노심 통액성이 양호하여 출선구측으로 용선의 이동이 활발한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하강이면 노심 통액성이 저하되어 용선의 노벽부 흐름이 유도되는 환상류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한다.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if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is increased, the core fluidity is good, it is estimated that the movement of the molten iron to the exit port is active, deduced during the set period If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is lowered, the core fluidity is lowered, and it is estimated that an annular flow is induced in which the furnace wall flow of the molten iron is induced.

상기 설정기간은 10일~30일이다.The setting period is 10 days to 30 days.

본 발명은 노하부 벽부의 온도계(T/C)를 이용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도출하고,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erives the furnace melt flow index by using a thermometer (T / C) of the furnace bottom wall, and determines the core activation degree through the trend of the furnace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이 경우 노심 통액성 양호 또는 환상류 발달 유무의 추정이 가능하여, 실시간 노하부 상황 판단과 적절한 조업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estimate whether the core fluidity is good or the cyclic flow is developed, and thus the real-time roadside situation judgment and appropriate operation response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조업자들이 출선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출선구 휴지를 결정하거나 출선구 작업 순서 결정 및 노심판단을 위한 지침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uide for the operator to determine the starting stop in the starting work or to determine the starting work order and the core judgment.

도 1은 노내 상황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과정도.
도 3은 노하부 벽부의 높이별 온도계(T/C)를 보인 도.
도 4는 노하부 벽부의 방향별 온도계(T/C) 및 출선구를 보인 도.
도 5는 2번 출선구 출선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에 따른 노심 통액성 양호(a)와 환상류 발달(b)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
도 6은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한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의 실험예를 보인 그래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urnace situation.
Figure 2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height-specific thermometer (T / C) of the bottom wall.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thermometer (T / C) and the exit port for each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re fluidity good (a) and the cyclic flow development (b)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at the time of starting the exit No. 2.
6 is a graph showing an experimental example of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은,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of deriving a furnace earth flow index (Hearth Flow Index) by measuring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bottom wall (D), and a furnace bottom melt flow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And 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through the trend of the index.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은 고로 노하부(C)에 존재하는 노심의 통액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노심의 통액성과 노심 활성화는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다.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fluidity of the core present in the blast furnace furnace (C). The fluidity of the core and the vitalization of the core can be seen in the same sense.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노심은 고로로 장입되는 코크스가 노 중심부에서 일종의 코크스층을 형성하고 있는 노하부 코크스 충진층을 의미한다. 노심은 고로의 노열을 유지시키는 버퍼링(Buffering)이나 융착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re refers to a furnace bottom coke filling layer in which coke charged to the blast furnace forms a kind of coke layer at the center of the furnace. The core serves to support the buffering or fusion zones that maintain the furnace furnace heat.

노심은 고로(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노심(a), 중부 노심(b), 하부 노심(c)으로 구분된다. 상부 노심(a)은 풍구(3)로부터 반응가스가 상승하는 길목에 위치해 있어 노심 상태에 따라 상승하는 가스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노 벽부 또는 노정 가스 및 온도 측정장치를 통하여 노심 상태의 판단이 가능하다.The core is divided into the upper core (a), the middle core (b), the lower core (c)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last furnace (1). The upper core (a) is located on the road where the reaction gas rises from the tuyere (3), which affects the flow of the rising gas according to the core stat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core state through the furnace wall or the top gas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This is possible.

중부 노심(b)의 경우 코크스 프로브(probe)를 이용한 코크스 샘플링을 이용하여 노심 코크스 상태 및 노내 통기성, 통액성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central core (b),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e coke state, the in-vehicle breathability, and the liquid permeability using coke sampling using a coke probe.

용선과 슬래그가 용융물 상태로 존재하는 하부 노심(c)의 경우 출선 상황이나 용선 온도 및 슬래그 배재시간 등을 이용하여 노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노심(c)은 고로 내 가장 많은 열을 축적하고 있기 때문에 노내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데이터 측정에 한계가 있어 실시간 노하부 상황 판단과 적절한 조업 대응이 어렵다.In the case of the lower core (c) in which the molten iron and the slag exist in the molten state, the core state may be determined by using the starting state, the molten iron temperature, and the slag exclusion time. However, since the lower core (c) accumulates the most heat in the blast furnace, there is a limitation in measuring data that can determine the situation in the furnace.

실시간 노하부 상황 판단이 중요한 이유는, 하부 노심(c)의 통액성이 악화되면 노하부(C)의 용융물 배출이 불량해지고 출선구(#1,#2,#3,#4)별 용선온도 편차가 발생하는 등 노황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The real-time bottom part judgment is important because when the fluidity of the lower core c is deteriorated, the melt discharge of the bottom part C is poor and the molten iron temperature of each outlet (# 1, # 2, # 3, # 4) This is because the aging worsens, such as deviations.

즉, 노심의 온도가 저하하여 상당 기간동안 지속되면서 노하부(C)의 온도는 저하하고 노하부 벽부(D)의 온도는 상승한다. 노하부(C)의 온도가 저하하는 것은 용융물 배출이 불량해져 출선 속도가 저하되고 심할 경우 출선구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등 노황을 불안정하게 하며, 노하부 벽부(D)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이곳에 축조된 내화재(연와)의 마모(편상류에 의한 마모)를 촉진시켜 고로 수명을 단축시킨다.That is, as the temperature of the core decreases and last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lower portion C decreases and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lower wall portion D increases. The lowering of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part C destabilizes the yellowing, such as poor melt discharge, lowering the speed of exiting the vessel, severe blockage of the exit opening, and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lower wall D. The blast furnace life is shortened by promoting wear (wear due to drift) of the refractory material (flame) formed in the

따라서, 실시간 노하부 상황 판단과 적절한 조업 대응을 위한 표준화된 지수를 마련하고자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o provide a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in order to prepare a standardized index for real-time roadside situation judgment and appropriate operation response.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은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이용한다.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es are based on the Hearth Flow Index (H.F).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출선구와 출선구 간 온도비를 이용한 용융물 거동을 추정하는 지수이다.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도출은 고로 내측의 내화재가 노심 활성화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는 조업지수라는 가정하에 수행된다.The bottom melt flow index is an index that estimates the melt behavior using the temperature ratio between the tapping outlet and the tapping outlet. Derivation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is perform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fractory material inside the blast furnace is an operating index that can determine the core activation in real time.

이러한 가정은 노하부 형상이나 통액성에 따른 용융물 거동 추이를 판단한 결과 용융물이 노심을 통하지 않고 환상류를 형성할 경우, 출선하는 방향과 마주보는 출선구쪽 벽부 온도가 급상승한다는 실험 결과에 근거한 것이다.This assumption is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it side wall facing the direction to go out rapidly rises when the melt forms a cyclic flow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re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melt behavio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part and the liquid permeabilit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추출(S1)한 후,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의 온도 데이터로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A)를 산출하는 단계(S2)와,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의 양측 온도 데이터로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B)를 산출하는 단계(S3)의 수행 후,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A)를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B)로 나누어 도출한다.(S4)As shown in FIG. 2, the furnace melt flow index is extracted with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bottom wall part (S1), and then adjacent to the temperature data of two adjacent outlets among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bottom wall part. Computing the average temperature (A) of the two outlets (S2) and the average temperature (B)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with the temperature data on both sides of the wall between two adjacent outlets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urnace wall portion After performing step (S3), the average temperature (A) of two adjacent outlets is divided by the average temperature (B) of the wall between two adjacent outlets.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T/C 온도)를 이용하여 노하부 용융물의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는 없지만 온도계(T/C)가 위치한 내화재의 경우 열전달을 통해 용융물로부터의 열을 잘 반영하므로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추이를 이용하여 용융물의 흐름을 추정할 수 있다.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ttom melt using the circumferential temperature data (T / C temperature) of the furnace bottom wall (D), in the case of the refractory material where the thermometer (T / C) is located, heat transfer from the melt Since the heat is well reflected, the flow of the melt can be estimated by using the temperature data of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D.

온도계(T/C)는 온도측정에 쓰이는 센서인 써멀 커플러(Thermal Coupler, TC)이다.The thermometer (T / C) is a thermal coupler (TC), a sensor used to measure temperatur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계(t)는 노하부 벽부(D)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출선구의 양측,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의 양측으로 각각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thermometers t ar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ortion D,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exit port and at both sides of the wall part between two adjacent exit ports.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1)의 출선구는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방향으로 대칭되게 1번 출선구(#1), 2번 출선구(#2), 3번 출선구(#3), 4번 출선구(#4)의 4개 출선구가 형성된다. 노하부 벽부의 90도 방향으로 존재하는 출선구 위치로 인하여 환상류 형성 유무의 판단이 가능하고 각 출선구와 출선구 간 온도비에 대한 일관된 해석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ure 4, the exit port of the blast furnace 1 is the first exit port (# 1), the second exit port (# 2), symmetrically in a 90-degre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ortion (D), Four outlets # 3, # 4 and # 4 are formed. Due to the location of the exit port in the 90 ° direction of the lower wal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ormation of annular flow and to make consistent analysis of the temperature ratio between the exit port and the exit port.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물이 노심을 통과하는 경우 노심 통액성이 양호하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류는 용융물이 노심을 통과하지 않고 노하부 벽부측으로 회전하여 출선구측으로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환상류가 형성되면 회전 모멘트가 증가하여 용융물 유속이 빨라져 출선 속도가 저하되고 출선구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환상류 형성시 출선 속도 저하나 출선구로의 코크스 분출에 대한 원인 규명이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5A, the core fluidity is good when the melt passes through the core. As shown in (b) of FIG. 5, the annular flow means that the melt does not pass through the core and flows to the exit wall side by rotating to the bottom wall side. When the annular flow is formed, the rotation momen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melt flow rate, thereby lowering the speed of tapping out and causing plugging of taping ou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ause for the decrease in the starting speed in forming the melt annular flow or the coke ejection to the tap opening.

만약,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출선구와 출선구의 각도가 90도를 형성하지 않을 경우, 인접한 출선구 간격 차이가 동일하지 않음에 의해 환상류 형성 유무 판단이 어렵고 온도 편차 원인 규명이 어렵게 된다. If the angle of the exit port and the exit port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D does not form 90 degre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nnular flow formation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exit ports is not the same and the temperature deviation is different. The cause becomes difficult to identify.

또한 기본적으로 4개의 출선구 중 1개의 출선구가 휴지상태에 있기 때문에 한쪽 출선구 휴지로 인한 용용물 거동에 따른 온도 편차 및 추이 결과를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려워 출선구별 온도 상관성을 해석하는데 신뢰성이 떨어진다.In addition, since one of the four outlets is basically at res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nterpret temperature deviations and trends resulting from the melt behavior caused by one outlet stop, which makes it less reliable to analyze the temperature correlations of each outlet. .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일별로 1번 출선구(#1)와 2번 출선구(#2) 구간, 2번 출선구(#2)와 3번 출선구(#3) 구간, 3번 출선구(#3)와 4번 출선구(#4) 구간, 4번 출선구(#4)와 1번 출선구(#1) 구간의 4 구간을 측정한다.The melt flow index for the lower part of the furnace is divided into the 1st exit (# 1) and the 2nd exit (# 2), the 2nd exit (# 2) and the 3rd exit (# 3), and the 3rd exit. Measure the 4 sections of (# 3) and the 4th exit (# 4) section, the 4th exit (# 4) and the 1st exit (# 1).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1번 출선구(#1)와 2번 출선구(#2) 구간의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the bottom melt flow index of the first exit (# 1) and the second exit (# 2) section is

1번 출선구(#1) 양측의 온도 데이터를 17, 18Temperature data on both sides of No. 1 outlet (# 1) is 17, 18

2번 출선구(#2) 양측의 온도 데이터를 2, 3Temperature data on both sides of exit 2 (# 2) is 2, 3

1번 출선구(#1)와 2번 출선구(#2) 간 벽부 온도 데이터를 1, 20이라 가정하면,Assuming that the wall temperature data between exit 1 (# 1) and exit 2 (# 2) is 1 and 20,

1번 출선구(#1)와 2번 출선구(#2)의 온도 데이터 17, 18, 2, 3의 온도 평균(A)을 1번 출선구(#1)와 2번 출선구(#2) 간 벽부 온도 데이터 1, 20의 온도 평균(B)으로 나누어 도출한다. 즉, 출선구와 출선구 간 온도비로 용융물 거동을 추정하는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도출한다.Temperature averages (A) of temperature data 17, 18, 2, and 3 at exit 1 (# 1) and exit 2 (# 2) are displayed at exit 1 (# 1) and exit 2 (# 2). ) Derived by dividing by the temperature average (B) of the wall temperature data 1 and 20 of the wall. That is, the bottom melt flow index for estimating the melt behavior based on the temperature ratio between the exit port and the exit port is derived.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도출시 노하부 벽부(D)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는 각각 일별 평균값을 이용한다. In deriving the furnace melt flow index,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emperature data of the furnace wall D uses daily average values.

또한,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이용한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 판단은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10일~30일 기간 추이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즉,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한다.(S5)In addition,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using the derived bottom melt flow index is determined using the 10 to 30 day perio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That is, the core activation degree is determined based on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S5).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자체보다는 설정기간(10일~30일) 동안의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가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는 코크스가 장입되고 코크스가 노하부 코크스 충진층을 형성해서 노심 활성화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간을 고려하기 위함이다.Trends in the bottom melt flow index over a set period (10-30 day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bottom melt flow index itself, which means that coke is charged and coke forms the bottom coke filling layer to affect core activation. This is to take into account the period of time that may be affected.

설정기간 10일 미만은 코크스가 충진층을 형성하지 못해 노심 활성화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설정기간 30일 초과는 충진층을 형성한 코크스가 연소되고 새로운 코크스가 장입되므로 이 또한 노심 활성화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Less than 10 days in the set period does not affect the core activ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the filling layer, and more than 30 days in the set period also affects the core activation because the coke forming the filling layer is burned and new coke is charged. Does not reach.

설정기간은 15일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코크스가 장입되고 충진층을 형성하여 노심 활성화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간이 평균적으로 15일이기 때문이다.The setting period is most preferably 15 days, since the average period over which coke is charged and the filling layer can affect core activation is on average 15 days.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상승이면 노심 통액성이 양호하여 출선구측으로 용선의 이동이 활발한 것으로 추정하고,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하강이면 노심 통액성이 저하되어 용선의 노벽부 흐름이 유도되는 환상류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한다.If the lower melt flow index is increased during the set period, the core liquidity is good,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flow of molten iron to the exit port is active.If the lower melt flow index is lowered during the set period, the core melt flow index is lowered. It is presumed that an annular flow developed in which the liquidity is lowered and the flow of the furnace wall of the molten iron is developed.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상승이면 출선구 간 벽부의 평균 온도가 출선구측 온도보다 낮아지는 추이므로 용융물이 노심을 통하여 출선구측으로 활발하게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flow rate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is increased,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part between the exit ports is lower than the exit port temperatur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melt has actively moved to the exit port through the core.

반면,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하강이면 출선구간 벽부의 평균 온도가 출선구측 온도보다 높아지는 추이므로 용융물의 벽부 흐름이 유도되는 환상류가 발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low rate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fall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of the tapping section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tapping outlet side, and thus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annular flow inducing the wall flow of the melt is developed.

환상류 발달시 노황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장입되는 코크스 품질을 향상시켜 노열을 상승시키거나 노열 보상을 위한 브랜크 코크스(blank coke)(코크스만 단독으로 장입하는 경우) 장입으로 적절한 고로 조업 대응이 가능하다.Proper blast furnace operation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quality of coke that is charged to prevent the instability of cyclic flows, increasing the heat, or by charging a blank coke (if only coke is charged alone) for compensation of heat. Do.

또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는 조업자들이 출선 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출선구 휴지를 결정하거나 출선구 작업 순서 결정 및 노심 판단을 위한 지침서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rends in the bottom melt flow index can be guides for operators to determine the starting stops for the starting work, or to determine the starting work order and the core judgment.

이하, 본 발명의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일 실시예><Example 1>

1.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도출1. Derived furnace melt flow index

우선,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추출한다. First,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is extracted.

온도 데이터 추출은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로 설치된 온도계(T/C)로부터 추출한다. The temperature data extraction is extracted from a thermometer T / C provided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art.

추출한 온도 데이터로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A)를 산출하고 인접한 두 출선구 벽부의 평균 온도(B)도 산출한다. The extracted temperature data is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temperature (A) of two adjacent outlets and the average temperature (B) of two adjacent outlets.

다음으로,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A)를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의 평균 온도(B)로 나누어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도출한다. Next, the bottom melt flow index is derived by dividing the average temperature A of two adjacent outlets by the average temperature B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wo adjacent outlets.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일별로 1번 출선구와 2번 출선구 구간(1-2 구간), 2번 출선구와 3번 출선구 구간(2-3 구간), 3번 출선구와 4번 출선구 구간(3-4 구간), 4번 출선구와 1번 출선구 구간(4-1 구간)의 4 구간을 도출한다.
The melt flow index for the lower part of the furnace is divided into exit 1 and exit 2 (1-2), exit 2 and exit 3 (2-3), exit 3 and 4, respectively. Derived four sections: pioneer section (section 3-4), exit 4 and exit 1 (section 4-1).

2.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한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2.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by Trends in the Bottom Melt Flow Index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해 고로 용융물 흐름을 추정한다. The blast furnace melt flow is estimated by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아래의 표 1은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보인 것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구분division 출선구 Exit 1차(12/1~12/15)Primary (12/1-12/15) 2차(12/30~1/13)2nd (12/30 ~ 1/13) 3차(1/26~2/9)3rd (1/26 ~ 2/9)
H.F Index

HF Index
1-2 구간1-2 segments
2-3 구간2-3 sections 3-4 구간3-4 section 4-1 구간4-1 section 용융물 흐름 추정Melt Flow Estimation 전 구간 노심 주변 환상류Circulation around all cores 노심을 통한 용융물 흐름Melt Flow Through Core 전 구간 노심 통액성 양호Good core fluidity in all sections

[H.F Index: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F Index: Lower melt flow index]

표 1에 의하면, 1차 기간에서는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가 하강으로 나타났고, 2차 기간에서는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가 1-2 구간을 제외하고는 상승으로 전환되었으며, 3차 기간에서는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가 상승으로 전환되었다. According to Table 1, the lower melt flow index trend is lower in the first period, and the lower melt flow index trend is higher in the second period except for 1-2 sections. The bottom melt flow index trend has turned upward.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의 하강은 노심 통액성 저하에 따른 용선의 벽부 흐름인 환상류가 유도되어 출선구 사이 벽부의 평균 온도가 상승한 때문이고,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의 상승은 노심 통액성의 양호에 따른 출선구쪽 용선 이동이 활발하여 출선구 방향 평균 온도가 상승한 때문이다.The fall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trend is due to the increase in the mean temperature of the wall between the exit ports due to the induction of cyclic flow, which is the wall flow of the molten iron, due to the lower core fluidit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molten iron flows to the exit port according to good condition and the average temperature in the exit port rises.

이러한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re activation degre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표 1의 데이터는 도 6의 그래프에서 더 자세히 확인되는데, 도 6에 의하면 1차 기간에는 하강, 2차 기간에는 일부 상승, 3차 기간에는 상승으로 전환되는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 추이가 확인됨을 확인할 수 있다.The data in Table 1 is confirmed in more detail in the graph of FIG. 6, which shows that the lower melt flow index trends are confirmed, which are converted into a fall in the first period, a partial rise in the second period, and a rise in the third period. Can b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1:고로 3:풍구
A:노상부 B:노중부
C:노하부 D:노하부 벽부
a:상부 노심 b:중부 노심
c:하부 노심 t:온도계
#1:1번 출선구 #2:2번 출선구
#3:3번 출선구 #4:4번 출선구
1: blast furnace 3: air balloon
A: Upper part B: Old part
C: Lower part D: Lower part wall part
a: Upper core b: Central core
c: lower core t: thermometer
# 1: 1 exit # 2: 2 exit
# 3: exit 3 # 4: exit 4

Claims (7)

삭제delete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의 온도 데이터로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 중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의 양측 온도 데이터로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의 평균 온도를 상기 인접한 두 출선구 간 벽부 평균 온도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Determining a bottom melt flow index (HF) by measuring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furnace bottom wall;
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Deriving the furnace bottom melt flow index,
Calculating an average temperature of the two adjacent outlets from the temperature data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of the furnace by the temperature data of the two adjacent outlets;
Comput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from the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ortion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The bottom melt flow index is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two adjacent outlets divided b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wall por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outle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출선구는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90도 방향으로 대칭되게 1번 출선구, 2번 출선구, 3번 출선구, 4번 출선구의 4개 출선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xit port is a blast furnace melt flow, characterized in that four outlets of the first outlet, the second outlet, the third outlet, the fourth outlet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90-degre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ortion Estimation metho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는
일별로 상기 1번 출선구와 상기 2번 출선구 구간, 상기 2번 출선구와 상기 3번 출선구 구간, 상기 3번 출선구와 상기 4번 출선구 구간, 상기 4번 출선구와 상기 1번 출선구 구간의 4 구간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bottom melt flow index is
The first exit and the second exit, the first exit and the third exit, the first exit and the fourth exit, the fourth exit, the fourth exit and the first exit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four sections of the outlet section.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는 각각 일별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Determining a bottom melt flow index (HF) by measuring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furnace bottom wall;
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wall portion is a daily average value.
노하부 벽부의 원주 방향별 온도 데이터를 측정하여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Hearth Flow Index, H.F)를 도출하는 단계와;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를 통하여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심 활성화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상승이면 노심 통액성이 양호하여 출선구측으로 용선의 이동이 활발한 것으로 추정하고,
상기 설정기간 동안 도출한 상기 노하부 용융물 흐름 지수의 추이가 하강이면 노심 통액성이 저하되어 용선의 노벽부 흐름이 유도되는 환상류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Determining a bottom melt flow index (HF) by measuring temperature data for each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furnace bottom wall;
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through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Determining the core activation degree,
If the trend of the lower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is increased, the core liquidity is good, and it is assumed that the molten iron is actively moved to the exit port.
The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f the trend of the bottom melt flow index derived during the set period is falling, the core fluidity is lowered to develop a cyclic flow leading to the flow of the furnace wall portion of the molten iron.
청구항 2, 청구항 5,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은 10일~3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용융물 흐름 추정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5 and 6,
The set period is blast furnace melt flow estim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10 to 30 days.
KR1020110051620A 2011-05-30 2011-05-30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KR101267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20A KR101267649B1 (en) 2011-05-30 2011-05-30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620A KR101267649B1 (en) 2011-05-30 2011-05-30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12A KR20120133112A (en) 2012-12-10
KR101267649B1 true KR101267649B1 (en) 2013-05-27

Family

ID=4751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620A KR101267649B1 (en) 2011-05-30 2011-05-30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6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3795A (en) * 2019-07-30 2019-10-18 安徽工业大学 A kind of active quantization signifying method of blast furnace crucibe
CN113528721A (en) * 2021-06-30 2021-10-22 包头钢铁(集团)有限责任公司 Establishment method for evaluating activity degree of blast furnace hearth
KR102519905B1 (en) 2022-06-17 2023-04-11 최영환 Ship with propeller detect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112A (en) 2012-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49B1 (en) Method for assuming liquid flow of blast furnace
CN10343999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bnormal furnace temperature of blast furnace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s of cooling wall
Torrkulla et al. Indicators of the internal state of the blast furnace hearth
KR101257472B1 (en) Measuring apparatus for slag and measuring method thereof
JP6248550B2 (en) How to determine blast furnace operating conditions
CN110618715B (en) Automatic control method for heating furnace soaking section burner
KR101412403B1 (en) Dropping judgment method of charging material into blast furnace
WO1999023262A1 (en) Method of operating blast furnace
KR101185300B1 (en) Method for estimating position bordered to furnace wall of softening zone
CN104525926B (en) Ladle roll off the production line judge method
KR101224961B1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KR101246192B1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JP2019535995A (en)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of hot water surface height
JP5854200B2 (en) Blast furnace operation method
KR101246461B1 (en) Judgment method for central area of blast furnace
KR20120044425A (en) Crack diagnosis device of solidified shell in mold and method thereof
KR100776036B1 (en) The Method For Decision Of Upper Core Change using Central Gas Distribution Ratio
KR100424814B1 (en) A method of judging a inactivity index and flowage at the lower part of blast furnace
KR880002277B1 (en) Blast furnace
JP5862470B2 (en) Blast furnace resting method
JP7243677B2 (en) Furnace bottom temperature raising method and blast furnace start-up method
KR101225273B1 (en) Method for estimating thickness bordered to furnace wall of softening zone
KR10126769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prejudgement of blowing pressure in blast furnace
TW201331373A (en) Method for estimating temperature of iron water of a blast furnace
JPS6293304A (en)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