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312B1 -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 Google Patents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312B1
KR101267312B1 KR1020110015208A KR20110015208A KR101267312B1 KR 101267312 B1 KR101267312 B1 KR 101267312B1 KR 1020110015208 A KR1020110015208 A KR 1020110015208A KR 20110015208 A KR20110015208 A KR 20110015208A KR 101267312 B1 KR101267312 B1 KR 101267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rs
cov
naxazole
acid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717A (ko
Inventor
오종원
안대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5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3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SARS-CoV 감염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SARS-CoV 감염에 대한 치료제는 개발된 바 없으므로 상기 화합물은 SARS-CoV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Novel anti-viral agent against SARS-CoV}
본 발명은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03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발병 기간 중 전 세계에 약 8000여명의 감염자가 발생하여 이들 중 770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2004년 4월 이후 추가적인 환자는 보고된 바 없으나, 사스의 병원체인 SARS-CoV(SARS coronavirus)는 다양한 동물들을 감염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재출현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SARS-CoV에 감염될 수 있는 동물로는 박쥐, 사향고양이, 우수리너구리, 마우스, 흰담비, 햄스터 및 원숭이를 포함한다(Xiao et al., J. Comp. Pathol. 138:171-179; Wentworth et al., Emerg. Infect. Dis., 10:1293-1296; Haagmans et al., PLoS Med. 3:e194; van den Brand et al., Vet. Pathol. 45:551-562). 박쥐, 사향고양이, 우수리너구리 및 흰담비와 같은 이들 동물 중의 일부는 서동부 아시아 국가의 동물 시장에서 여전히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SARS의 치료를 위하여, 인터페론, 리바비린 및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를 포함한 항바이러스제가 SARS 사태 동안 사용되었다(Christian et al., Clin. Infect. Dis. 38:1420-1427; Tai et al., Ann. Acad. Med. 36:438-443). 그러나, 이들은 SASR-CoV에 대한 특이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매우 감염성이 높으며 기도를 통해 퍼질 수 있는 SARS-CoV에 효과적 또는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치료제는 아직 개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SARS-Co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치료상 유효량의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SARS-Co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제조를 위한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잔소리졸은 잔소리졸이라는 명칭의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 잔소리졸로 전환되어 잔소리졸과 동일한 SARS-CoV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잔소리졸의 프로드럭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잔소리졸은 항박테리아(Hwang et al., Fitoterapia. 71, 321-323), 항진균(Rukayadi et al., J. Antimicrob. Chemother, 57:1231-1234), 항암(Ismail et al., Anticancer Res. 25:2221-2227) 및 항염증 활성(Chung et al., Carcinogenesis, 28:1224-1231)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잔소리졸의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한 보고나 연구는 거의 없다. 특히, 잔소리졸의 SARS-CoV뿐만 아니라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 없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잔소리졸은 SARS-CoV의 복제를 저해하여 SARS-CoV에 의한 감염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소리졸은 세포독성이 낮으면서도 SARS-CoV의 복제 저해를 위한 IC50값은 18 μM로 낮아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항사스바이러스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잔소리졸은 식물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일 수 있다. 잔소리졸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커큐마 잔소리자 Roxb.(Curcuma xanthorrhiza Roxb)의 추출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잔소리졸은 커큐마 잔소리자 Roxb.(Curcuma xanthorrhiza Roxb)의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즉, 잔소리졸은 단일 화합물로 정제되어 사용될 수도 있지만 커큐마 잔소리자 Roxb.의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잔소리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아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계 염을 포함하며;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통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있어서,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항사스바이러스 효과를 이루는데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으며, 1㎍/일~ 1g/kg/일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체'는 인간, 오랑우탄, 침팬지, 마우스, 랫트, 개, 소, 닭, 돼지, 염소, 양 등을 포함하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유효 성분인 잔소리졸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의 가용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의약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의 약제 제제 형태는 에어로졸, 과립제, 산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액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구강내, 비강내, 경피, 흡입,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SARS-CoV의 예방을 위해서는 에어로졸의 형태나 구강청정제와 같은 액제의 형태로 만들어 구강내 또는 비강내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상 유효량의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SARS-Co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의 제조를 위한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잔소리졸은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같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 이외에도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접,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식품에 있어서의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되어 있는 상기 예시한 식물의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과립, 정제 또는 캡슐형태의 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드링크와 같은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SARS-CoV는 기도를 통해 퍼질 수 있기 때문에 구강 또는 비강 내에서 SARS-CoV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청정제 조성물를 제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SARS-CoV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외에도 구강청정제의 향미나 사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민트, 시나믹알데히드, 메틸살리실레이트, 레모노일, 시트랄과 같은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 추가로 함유되는 향료의 함량은 0.1∼1.0중량%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잇몸질환 예방 및 항균효과가 큰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트리클로산을 0.005∼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3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0.005중량% 이하가 되면 조성물 내에서 트리클로산의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고, 1.0중량% 이상을 사용하면, 항균물질의 과다 복용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세균들의 내성 증가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치아 에나멜질의 내산성을 증가시켜 치아의 우식예방에 효과가 있는 불소화합물, 예를 들어 불화나트륨 및 제일불소인산나트륨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불소화합물의 함량은 0.001∼3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1.0중량%이며, 유효 불소량인 1200ppm(국내 사용허용치)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함량이 너무 많으면, 구강내 불소 중독증을 초래해 구강의 안전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구강청정제는 1회 사용량이 치약보다 많기 때문에 치약 조성물에 비해 불소화합물을 적게 사용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또한 구강청정제의 일반적인 성분인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 용제 및 기타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로서는 솔비톨,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함량은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청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기포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로일사코신산나트륨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Poloxamer)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이다.
또 pH 조정제로 제일인산나트륨 또는 제삼인산나트륨, 및 에칠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이나트륨(EDTA 2Na)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의 pH는 약산성 또는 중성 영역인 5.0∼8.0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pH가 낮을수록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쉬워지나, 조성물의 pH가 5.0 이하가 되면 조성물의 산성으로 인해 구강내 산성화도의 증가와 같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수가 있으며, pH가 8.0 이상이 되면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감미제로서는 삭카린, 스테비오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0.01∼0.5중량%가 바람직하다. 또한 양치시 상쾌한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중량에 대해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SARS-CoV 감염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 SARS-CoV 감염에 대한 치료제는 개발된 바 없으므로 상기 화합물은 SARS-CoV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레플리콘의 모식도를 보여준다.
도 2는 HEK293 세포에 대한 잔소리졸의 세포독성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SARS-CoV 복제에 대한 잔소리졸의 저해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잔소리졸 처리에 의해 SARS-CoV N 유전자의 mRNA 수준이 감소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실시예 1: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SARS - CoV 레플리콘의 제작
바이러스 게놈의 민감하고 정량적인 탐지를 위해, 그리고 항바이러스 활성의 세포-기반 분석을 위해 비감염성 SARS-CoV 레플리콘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lmazan et al.(J. Virol. 80:10900-10906)이 보고한 SARS-CoV replicon pBAC-SARS-CoV-REP 를 백본 벡터(도 1에서 REP로 표시됨)로 이용하여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유전자를 발현하는 SARS-CoV 레플리콘을 제작하였다. (도 1, Feo). 먼저, Feo 유전자(네오마이신 포스포트랜스포라아제 유전자에 융합된 반딧불이 루시퍼라아제 유전자)를 HCV 레플리콘 플라스미드 pRep-Feo (Tanabe et al., J. Infect. Dis. 189:1129-1139)로부터 증폭시키고, SARS-CoV의 sg-mRNA 합성에 필요한 시스 작용 RNA 요소(cis-acting RNA element)인 전사조절서열 9 (transcription regulating sequence 9, TRS9)의 cDNA (Sola et al., J. Virol. 79:2506-2516)와 연결시켰다. 융합된 DNA 단편을 pBAC-SARS-CoV-REP 내 레플리카아제 유전자(ORF 1a 및 1b)와 N 유전자 사이에 삽입하여 pSARS-REP-Feo 플라스미드(도 1, Feo)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SARS - CoV 복제에 대한 잔소리졸의 효과
SARS-CoV 복제에 대한 잔소리졸의 효과를 pSARS-REP-Feo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우선, 진소리졸의 세포독성을 HEK293 세포에서 MTT 어세이를 통해 시험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50 μM의 농도에서 유의한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잔소리졸의 저해 효과를 pSARS-REP-Feo가 트랙스펙션된 HEK293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HEK293 세포(5x104)를 트랜스펙션 하루 전에 48웰 플레이트에 씨딩하였다. 트랜스펙션 1시간 전에, 배지를 140 μl의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반딧불이 루시퍼라아제를 발현하는 0.5 ㎍의 pSARS-REP-Feo 및 레닐라 루시퍼라아제를 발현하는 0.05 ㎍의 pRL-TK를 Fugene HD (Roche Applied Science)를 이용하여 트랜스펙션하였다. 6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후, 세포들을 다양한 농도의 잔소리졸로 처리하였다. 트랜스펙션 후 30시간째에,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들을 150 μl의 1x Glo 용해 버퍼(Promega)로 부드럽게 쉐이킹하면서 실온에서 10분 동안 용해시켰다. 듀얼-루시퍼라아제 어세이(Dual-luciferase assays)를 Dual-Glo Luciferase Reporter assay system (Promega)을 이용하여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Glomax Multi detection system (Promega)에서 확인하였다. 실험은 세번 반복하여 수행되었다. 상대적인 루시퍼라아제 활성은 레닐라 루시퍼라아제 활성에 대한 반딧불이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노말라이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잔소리졸은 투여량 의존적으로 SARS-CoV 복제를 감소시키며, 50 μM의 농도에서 90%까지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잔소리졸의 IC50값은 18 μM로 측정되었다.
SARS-CoV에 대한 잔소리졸의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뉴클레오캡시드 (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SARS-CoV 레플리콘이 트랜스펙션된 세포들은 2.8x108 copies/㎍의 N 유전자의 mRNA를 가지고 있는 반면, 50 μM의 잔소리졸로 처리된 세포들은 4.3x107 copies/㎍의 N 유전자의 mRNA를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85%의 감소를 나타냈다.
루시퍼라아제 활성 및 N 유전자의 mRNA의 감소의 수준이 유사하였으므로, 루시퍼라아제 활성의 감소는 viral translation의 감소가 아닌 SARS-CoV 게놈의 감소에 근거한 것이다. 레플리콘 플라스미드는 스파이크, 엔벨로프, 및 막 단백질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잔소리졸이 바이러스 감염, viral assembly 또는 viral translation의 과정이 아닌, 세포 내에서의 복제 동안 SARS-CoV를 저해한다는 것이 명확하다.

Claims (9)

  1.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 coronavirus)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은 식물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4. 잔소리졸 또는 그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은 식물로부터 추출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잔소리졸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청정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것이거나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청정제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소리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인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청정제 조성물.
KR1020110015208A 2011-02-21 2011-02-21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KR101267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08A KR101267312B1 (ko) 2011-02-21 2011-02-21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208A KR101267312B1 (ko) 2011-02-21 2011-02-21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17A KR20120095717A (ko) 2012-08-29
KR101267312B1 true KR101267312B1 (ko) 2013-05-24

Family

ID=4688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208A KR101267312B1 (ko) 2011-02-21 2011-02-21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3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695A1 (ko) * 2021-10-14 2023-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잔토리졸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487A (ko) 2020-05-25 2021-12-02 김영규 사스 및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케이즈 nsP13의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695A1 (ko) * 2021-10-14 2023-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잔토리졸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717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188B1 (ko)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9500B1 (ko)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US11612575B2 (en) Combination therapies with disulfiram
JP4847756B2 (ja) ヒトβディフェンシン分泌促進剤
US20130158127A1 (en) Tea tree oil derivatives
KR20190122453A (ko) 진세노사이드 Re를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040258632A1 (en) Stable aqueous antiplaque oral compositions
KR101267312B1 (ko) 신규 항사스바이러스 치료제
KR20160088841A (ko) 에모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2769B1 (ko) 푸코실락토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14036994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auroursodeoxycholic acid
KR101838379B1 (ko) 자바강황 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4909B1 (ko) 중동호흡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JP7333751B2 (ja) ヒト抗菌ペプチド産生促進剤
KR20170141030A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2671B1 (ko) 테로스틸벤 4’-글루코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Goyal et al. Green tea and oral health-A review
KR101563219B1 (ko) 카르노스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 호흡기융합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2097387B1 (ko) 흑미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5408882B2 (ja) 唾液分泌促進剤
JP2023550768A (ja) 微生物感染症及び腸内毒素症を治療又は予防するためのサトウキビ由来抽出物の使用
JP2022096411A (ja) 抗ウイルス剤
KR102642553B1 (ko) 네오만지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9398A (ko) 항바이러스 조성물 및 이의 이용
KR20150120757A (ko) 에모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