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188B1 -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188B1
KR101520188B1 KR1020130131782A KR20130131782A KR101520188B1 KR 101520188 B1 KR101520188 B1 KR 101520188B1 KR 1020130131782 A KR1020130131782 A KR 1020130131782A KR 20130131782 A KR20130131782 A KR 20130131782A KR 101520188 B1 KR101520188 B1 KR 10152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tosentanin
present
composition accord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0239A (ko
Inventor
유정헌
이설훈
이상화
류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13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1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센다닌(Toosendanin)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RAL DISEASE COMPRISING TOOSENDANIN}
본 발명은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센다닌(Toosendanin)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건강에 있어서, 타액 내 존재하는 분비형 면역 글로불린 A(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sIgA는 구강 내 병원균과 결합하여 병원균이 치아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고, 구강 내 존재하는 유해 독소나 바이러스 등을 중화시키는 역학을 할 뿐만 아니라, 타액 내에 존재하는 항박테리아성 인자들, 예컨대 리소좀, 락토페린(lactoferrin), 타액성 과산화 효소(salivary peroxidase), 뮤신 등과 같은 인자들과 항균 작용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구강의 건강 및 구강의 면역을 책임지고 있는 sIgA의 분비가 적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구강 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sIgA는 형질 세포에서 생성된 IgA의 분비 형태로서, 타액선 표피 세포에 존재하는 pIgR(Polymeric immunoglobulin receptor)을 통해 구강 내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기 pIgR은 sIgA의 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1).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취 등과 같은 구강 질환은 근본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eptococcus mutans), 포피로모나스 긴기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액티노바실러스 액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등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하는, 칸디다속(Candida spp.)의 구강 병원균으로부터 주로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따라서, 종래에는 구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상기 구강 병원균들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나 항균 물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항균 물질들은 구강 내 유해한 병원균뿐만 아니라, 구강 내 유익한 균까지도 모두 제거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항균 물질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항균 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거나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 내성이 생기는 구강 병원균들이 증가함에 따라 종래와 같은 항균 물질만을 이용하여서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항균 활성 이외의 활성으로 구강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물질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에 투센다닌(Toosendanin)이 구강 내 존재하는 면역 물질인 sIgA의 분비를 촉진하여 구강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한 구강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3912호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Reviews, 62(1): 71-109, 1998.
본 발명은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강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구현예로서 투센다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투센다닌(Toosendanin)은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계열의 물질로, 자연 상태에서는 멀구슬 나무과(Meliaceae) 멀구슬 나무속(Melia)에 속하는 식물인 멀구슬 나무(Melia azedrach L.) 등의 근피, 수피 또는 과실의 일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다. 멀구슬 나무의 근피 또는 수피는 고련피라하고, 멀구슬 나무의 과실은 천련자라고도 하는데 이들은 예부터 항균 작용, 이뇨 작용 및 해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구충제, 지사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투센다닌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99354008-pat00001

본 발명의 투센다닌은 타액 내 존재하는 분비형 면역 글로불린 A(Secretory immunoglobulin A; sIgA)의 분비를 촉진하여 구강 내 면역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투센다닌은 sIgA의 분비를 조절하는 pIgR(Polymeric immunoglobulin receptor)의 생성을 촉진하여 sIgA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하고 개선하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내 타액선 상피 세포인 A-253에 투센다닌을 0.2 ppm 및 2 ppm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pIgR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pIgR 생성률을 측정한 결과, 투센다닌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6배 내지 2배 높은 pIgR 생성률을 보였다(실시예 2).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A-253에 투센다닌을 0.2 ppm 및 2 ppm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sIgA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sIgA의 분비율을 측정한 결과, 투센다닌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1.6배 내지 2배 높은 sIgA 분비율을 보였다(실시예 3).
본 발명에서, 상기 투센다닌은 이와 동일한 효능을 갖는 범위 내에서 투센다닌 수화물, 투센다닌 유도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용매화합물이나 입체 이성질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센다닌은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천연 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국내외 화학 분야 회사들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투센다닌은 이의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동 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예를 들어,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레인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fumaric acid),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gluconic acid),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센다닌은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금속염으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바람직하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를 들어,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투센다닌의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투센다닌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록시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기의 기타 약학적, 위생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는 하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염 등을 들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센다닌 또는 이의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한다. 상기 투센다닌 또는 이의 염의 유효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01 내지 99.99 중량%로 포함되거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투센다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에 더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 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의약품,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구강용 스프레이제, 구강용 세정제, 치약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거나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구강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구강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 질환은 구강에 발생하는 질환이라면 그 병증에 관계없이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나,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하게는 구강 면역 저하에 의한 구강 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구취, 구강 건조증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투센다닌 또는 이의 위생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센다닌, 이의 위생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강 질환 및 예방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은 구강의 위생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 및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약, 구강 세정제, 구강용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제, 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강 위생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투센다닌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투센타닌,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강 질환, 예방, 및 개선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추가 성분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음료 또는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구강 내 면역을 증강시켜 구강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pIgR의 생성을 촉진하고 sIgA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구강 내 면역을 증강시켜 구강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253 세포에 투센다닌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의 pIgR 생성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253 세포에 투센다닌을 농도별로 처리한 경우의 sIgA 분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투센다닌의 세포 독성 확인
구강 내 타액선 상피 세포인 A-253의 세포 생존능을 저해하지 않는 투센다닌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포 독성 실험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A-253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1×104 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 버퍼인 포스페이트 버퍼드 살린(Pho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McCoy's 5A Medium, Modified, ATCC) 배지에 투센다닌을 농도별(0.2 ppm, 2 ppm 및 20 ppm)로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독성 측정은 세포 증식 정도를 관찰할 수 있는 CCK-8(Cell Counting Kit-8, DOJINDO Laboratories)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투센다닌을 농도별(0.2 ppm, 2 ppm 및 20 ppm)로 처리한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CCK-8 용액을 10 ㎕씩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 1시간 30분 동안 배양 한 후 ELISA reader(SPECTRA MAX 190, Molecular Devices)를 사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투센다닌의 세포 독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각각 3회씩 반복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세포 증식률은 투센다닌이 함유되지 않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 배지만을 첨가한 대조군 대비 흡광도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은 투센다닌의 농도에 따른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험 물질 세포 증식률(%)
대조군 100
0.2 ppm 투센다닌 99
2 ppm 투센다닌 101
20 ppm 투센다닌 85
상기 실험 결과, 투센다닌의 농도가 20 ppm 이하인 경우에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2: 투센다닌의 pIgR 생성 촉진 효과 확인
A-253 상피 세포에 투센다닌을 처리한 후, pIgR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A-253 상피 세포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0×105 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 버퍼인 포스페이트 버퍼드 살린으로 세포를 세척하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 배지에 투센다닌을 2 ppm 및 0.2 ppm 농도로 첨가(세포 독성이 나타났던 20 ppm 이상의 농도 제외)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척 버퍼인 포스페이트 버퍼드 살린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용해 버퍼(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하여 pIgR을 분석하였다. pIgR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pIgR ELISA kit(antibodies-online)를 구입하여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키트에 포함된 설명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pIgR 생성률은 투센다닌이 함유되지 않고,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 배지만을 첨가한 대조군 대비 흡광도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 및 도 1에 투센다닌의 농도에 따른 pIgR 생성률을 나타내었다.
처리 물질 pIgR 생성률(%)
대조군 100
0.2 ppm 투센다닌 160
2 ppm 투센다닌 200
상기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투센다닌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pIgR의 생성률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투센다닌의 sIgA 분비 촉진 효과 확인
형질 세포에서 생성된 IgA를 동일하게 처리한 A-253 상피 투센다닌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타액선 상피 세포를 거치면서 변형된 분비 형태인 sIgA의 분비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A-253 상피 세포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2.0×105 세포/웰의 농도로 접종시키고 37℃,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지를 제거하고 세척 버퍼인 포스페이트 버퍼드 살린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ng/㎖의 IgA를 포함하며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 배지에 투센다닌을 0.2 ppm 및 2 ppm 농도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상등액을 수거하여 분비된 sIgA를 분석하였다. sIgA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sIgA ELISA kit(MyBiosource)를 구입하여 측정하였고 측정 방법은 키트에 포함된 설명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sIgA 분비율은 투센다닌이 함유되지 않고, IgA를 포함하며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맥코이즈 5A 미디엄, 모디파이드 배지만을 첨가한 대조군 대비 흡광도의 비율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3 및 도 2에 투센다닌의 농도에 따른 sIgA 분비율을 나타내었다.
처리 물질 sIgA 분비율(%)
대조군 100
0.2 ppm 투센다닌 156
2 ppm 투센다닌 207
상기 실험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투센다닌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sIgA의 분비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상기 실시예 1로부터 구강 내 타액선 상피 세포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투센다닌의 처리 농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처리하여 표 2 및 도 1과 같이 투센다닌이 구강 내 sIgA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IgR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표 3 및 도 2와 같이 투센다닌이 구강 내 분비 형태인 sIgA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투센다닌이 pIgR 생성을 촉진시켜 구강 내 sIgA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소재로서 효능이 우수함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투센다닌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IgA의 분비를 촉진시켜 구강 병원균으로부터 야기되는 구강 질환, 예컨대,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구취, 구강 건조증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14)

  1. 투센다닌(Toosendanin)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9979466-pat00002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pIgR(Polymeric immunoglobulin receptor)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sIgA(Secretory immunoglobulin A)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은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구취 및 구강 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투센다닌(Toosendanin) 또는 이의 위생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9979466-pat00003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pIgR의 생성을 촉진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sIgA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구강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은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구취 및 구강 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질환인 것인, 구강 위생 조성물.
  12. 투센다닌(Toosendanin)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센다닌은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5029979466-pat0000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질환은 치아 우식증, 치은염, 치주염, 구강 내 점막 궤양, 구취 및 구강 건조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질환인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130131782A 2013-10-31 2013-10-31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0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782A KR101520188B1 (ko) 2013-10-31 2013-10-31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782A KR101520188B1 (ko) 2013-10-31 2013-10-31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39A KR20150050239A (ko) 2015-05-08
KR101520188B1 true KR101520188B1 (ko) 2015-05-13

Family

ID=53388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782A KR101520188B1 (ko) 2013-10-31 2013-10-31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884B1 (ko) * 2016-03-04 2020-09-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천련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5306B1 (ko) 2016-10-19 2024-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르시토사이드 비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05700B1 (ko) 2016-10-27 2023-11-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1,2,4-Trihydroxyanthraquinone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6865B1 (ko) 2016-10-27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크로토노시드(Crotonoside)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5309B1 (ko) 2016-10-27 2024-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코디세핀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7494B1 (ko) 2016-10-27 2024-04-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리소스퍼믹 액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4258B1 (ko) 2016-10-27 2024-02-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잔드린 a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6864B1 (ko) 2016-10-27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시코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7495B1 (ko) 2016-10-27 2024-04-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스틸빈(Astilbin)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5310B1 (ko) 2016-10-27 2024-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베어바스코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4161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D-테트라히드로팔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64162A (ko)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디하이드로탄시논 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5575B1 (ko) 2016-12-21 2020-05-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개똥쑥과 죽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968B1 (ko) 2017-10-13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카스티신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9936B1 (ko) 2017-10-13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칸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969B1 (ko) 2017-10-13 2023-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징코라이드 c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74859B1 (ko) 2018-02-06 2023-09-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은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7066B1 (ko) 2018-02-06 2020-11-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삼지구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6599B1 (ko) 2018-02-06 202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해바라기유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7849A (ja) 2003-12-30 2007-10-04 カウンシル・オブ・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アンド・インダストリアル・リサーチ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7849A (ja) 2003-12-30 2007-10-04 カウンシル・オブ・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アンド・インダストリアル・リサーチ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239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188B1 (ko) 투센다닌을 함유하는 구강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60088841A (ko) 에모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34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3374B1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76937B1 (ko) 오시멘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9B1 (ko) 에틸바닐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1029B1 (ko) 수베르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41027A (ko) 황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96438B1 (ko) 글라브리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632336B1 (ko) 팥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0757A (ko) 에모딘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7411A (ko) 구강 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및 구강붕해필름
KR20170134123A (ko) 에스트라갈로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1441B1 (ko)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76938B1 (ko) 카르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 또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3B1 (ko) 네오만지페린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1909B1 (ko) 하이드록시겐콰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2552B1 (ko) 가르데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14873A (ko) 참가시나무 열매 및 바나바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67725B1 (ko) 꼬리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또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