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68B1 -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68B1
KR101267068B1 KR1020060034907A KR20060034907A KR101267068B1 KR 101267068 B1 KR101267068 B1 KR 101267068B1 KR 1020060034907 A KR1020060034907 A KR 1020060034907A KR 20060034907 A KR20060034907 A KR 20060034907A KR 101267068 B1 KR101267068 B1 KR 101267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adhesive layer
adhesive
adhesive membe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162A (ko
Inventor
김성환
이경묵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68B1/ko
Publication of KR2007010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8Applying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에 형성되는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보상 기판을 포함하는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캐리어 기판, 휨, 열팽창계수, 유연성 기판, 점착부재

Description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CARRIER SUBSTRAT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캐리어 기판 및 이에 부착된 유연성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리어 기판을 사용하여 유연성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캐리어 기판의 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도 3의 캐리어 기판을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리어 기판 20 : 지지 기판
30 : 보상 기판 40, 50 : 점착부재
60 : 유연성 기판 70 : 표시소자
본 발명은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부응하여 인간과 정보의 매개체인 표시장치의 발전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 상에 세정, 증착, 사진, 식각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원하는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된다.
그런데, 유리 기판의 비중은 상당히 높은 편이므로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리 기판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리 기판 대신 플라스틱 및 서스(SUS; steel use stainless) 등과 같은 유연성 기판 상에 원하는 표시소자가 형성된 유연성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유연성 기판은 잘 휘어지므로 기존의 유리 기판을 처리하는 공정 장비를 사용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 기판을 사용하여 유연성 기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리어 기판 및 이에 부착된 유연성 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캐리어 기판을 사용하여 유연성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발생하는 캐리어 기판의 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캐리어 기판(1)으로는 유리 기판이 사용된다. 이러한 캐리어 기판(1) 상에 점착제(3)가 도포되며, 이 점착제(3)에 의해 유연성 기판(5)이 캐리어 기판(1) 상에 부착된다.
그러나, 유연성 기판(5)과 캐리어 기판(1) 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유연성 기판(5) 상에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고온 공정 시 캐리어 기판(1)의 휨(A)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기존 양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트랙 장비 및 로봇에 의한 캐리어 기판(1)의 이송 또는 카세트로의 수납 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양산 시 사용되는 증착 장비 내에서 캐리어 기판(1)의 고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캐리어 기판(1)의 휨(A)은 유연성 기판(5)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더욱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해 종래의 캐리어 기판(1)은 대면적의 유연성 기판(5)에는 적합하지 않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캐리어 기판의 휨 방지 및 기존 양산 설비에 적용 가능하면서도 대면적 대응이 가능한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기판은 상면에 형성되는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보상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은 점착부재의 하면을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보상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부재의 상면을 상기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점착부재의 하면을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보상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점착부재의 상면을 상기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상면에 상기 유연성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기판 상에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소자가 형성된 상기 유연성 기판을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은 지지 기판(20), 보상 기판(30) 및 점착부재(40)를 포함한다.
지지 기판(20)은 자신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연성 기판(60)을 지지한다. 이 때문에, 지지 기판(20)의 크기는 유연성 기판(60)의 크기와 같거나 크다. 이 지지 기판(20)은, 예를 들어, 유리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유연성 기판(60) 상에는 표시소자(70)가 형성되며, 이 표시소자(70)는 액정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또는 칼라필터 어레이일 수 있다. 여기서, 유연성 기판(6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 또는 서스 기판일 수 있으며, 그 두께는 0.1㎛ 내지 500㎛ 일 수 있다.
보상 기판(30)은 지지 기판(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연성 기판(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유연성 기판(60) 상에 표시소자(70)를 형성하는 고온 공정 시 발생하는 휨이 방지된다. 즉, 보상 기판(30)은 유연성 기판(60)과 지지 기판(20) 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 는 지지 기판(20)의 휨을 초래하는 힘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힘의 크기를 지지 기판(20)의 휨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지지 기판(20)에 가함으로써 지지 기판(2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상 기판(30)은 유연성 기판(60)과 동일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상 기판(30)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서스 기판일 수 있다. 이 때에는 보상 기판(30) 상에 표시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점착부재(40)는 지지 기판(20)과 보상 기판(3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상 기판(30)을 지지 기판(20)의 하면에 부착시킨다. 점착부재(40)는 그 두께가 0.1㎛ 내지 500㎛을 가지는 판 형상의 시트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도포하는 방식이 아닌 적층하는 방식으로 보상 기판(30) 및 지지 기판(20)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부재(40)는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 기판(2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이 보상 기판(3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부재(40)는 지지 기판(20)의 하면과 부착되는 제1 점착층(41), 보상 기판(30)의 상면과 부착되는 제2 점착층(42) 및 제1 및 제2 점착층(41, 42)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점착층(41, 42)과 부착되는 매개층(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점착층(41)의 점착력이 제2 점착층(42)의 점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쉽게 보상 기판 (30)을 점착부재(40)에 탈부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은 지지 기판(20), 보상 기판(30) 및 점착부재(40, 50)를 포함하며, 지지 기판(20), 보상 기 판(30) 및 점착부재(4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점착부재(50)는 지지 기판(20)과 유연성 기판(6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유연성 기판(60)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에 부착시킨다. 점착부재(50)는 그 두께가 0.1㎛ 내지 500㎛을 가지는 판 형상의 시트 형태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도포하는 방식이 아닌 적층하는 방식으로 유연성 기판(60) 및 지지 기판(20)에 부착될 수 있다.
점착부재(50)는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 기판(2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이 유연성 기판(6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착부재(50)는 지지 기판(20)의 상면과 부착되는 제3 점착층(51), 유연성 기판(60)의 하면과 부착되는 제4 점착층(52) 및 제3 및 제4 점착층(51, 52) 사이에 형성되어 제3 및 제4 점착층(51, 52)과 부착되는 매개층(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점착층(51)의 점착력이 제4 점착층(52)의 점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쉽게 유연성 기판(60)을 점착부재(50)에 탈부착할 수 있다.
한편, 표시소자(70)가 형성된 유연성 기판(60)을 점착부재(50)로부터 탈착한 후, 다른 유연성 기판(60)을 점착부재(50)에 부착하여 다른 유연성 기판(60) 상에 표시소자(7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다수의 유연성 기판(60)을 탈부착한다 하더라도 유연성 기판(60)과 부착되는 점착부재(50)의 면의 점착력은 감소되지 않으므로 캐리어 기판(10)은 재활용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의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을 마련하는 단계는 먼저, 보상 기판(30)을 준비한 다음 점착부재(40)를 보상 기판(30)과 얼라인한 후, 점착부재(40)의 하면의 일측을 보상 기판(30)의 상면의 일측에 부착한다. 이어, 롤러(90)를 회전시켜 점착부재(40)의 하면의 타측이 보상 기판(30)의 상면의 타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점착부재(40)와 보상 기판(3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기포는 유연성 기판(60) 상에 표시소자(70)를 형성하는 고온 공정 시 점착부재(40)의 점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상 기판(30)의 들뜸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점착부재(40)의 하면을 보상 기판(30)의 상면에 부착하기 전에 보상 기판(30)에 어닐링 공정을 수행하여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c 및 도 5d를 참조하면, 점착부재(40)와 부착된 보상 기판(30)과 지지 기판(20)을 얼라인한 후, 점착부재(40)의 상면의 일측을 지지 기판(20)의 하면의 일측에 부착한다. 이어, 롤러(90)를 회전시켜 점착부재(40)의 상면의 타측이 지지 기판(20)의 하면의 타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점착부재(40)와 지지 기판(2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점착부재(40)의 상면과 지지 기판(20)의 하면을 부착하기 전에 지지 기판(20)에 어닐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을 마련하는 단계는 먼저, 점착부재(40) 하면을 보상 기판(30)의 상면에 부착하고, 점착부재(40) 상면을 지지 기판(20)의 하면에 부착한다. 이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10)의 형성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점착부재(40)에 의해 보상 기판(30)과 부착된 지지 기판(20) 및 점착부재(50)를 얼라인한 후, 점착부재(50)의 하면의 일측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의 일측에 부착한다. 이어, 롤러(90)를 회전시켜 점착부재(50)의 하면의 타측이 지지 기판(20)의 상면의 타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점착부재(50)와 지지 기판(2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점착부재(50)의 하면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에 부착하기 전에 지지 기판(20)의 어닐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유연성 기판(60)과 점착부재(50)를 미리 부착시킨 후, 이 유연성 기판(60)과 부착된 점착부재(50)의 하면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에 부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g는 도 3의 캐리어 기판을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캐리어 기판을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3의 캐리어 기판을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을 이용하여 유연성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기판(10)을 마련한 후 유연성 기판(60)과 기 부착된 점착부재(50)와 지지 기판(20)을 얼라인한 후, 유연성 기판(60)과 기 부착된 점착부재(50)의 하면의 일측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의 일측에 부착한다. 이어, 롤러(90)를 회전시켜 유연성 기판(60)과 기 부착된 점착부재(50)의 하면의 타측이 지지 기판(20)의 상면의 타측에 부착되도록 한다. 이 때, 지지 기판(20) 및 유연성 기판(60)과 기 부착된 점착부재(5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연성 기판(60)과 기 부착된 점착부재(50)의 하면을 지지 기판(20)의 상면에 부착하기 전에, 지지 기판(20)의 어닐링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기판(60)과 점착부재(50) 사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연성 기판(60)과 점착부재(50)를 부착하기 전에 유연성 기판(60)에 어닐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점착부재(50)는 지지 기판(2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이 유연성 기판(60)과 부착되는 면의 점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기판(60) 상에 표시소자(70)를 형성한 후,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70)가 형성된 유연성 기판(60)을 지지 기판(20)의 상면과 부착된 점착부재(50)로부터 분리한다. 이어,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소자(70)가 형성된 유연성 기판(60)을 x축 및 y축으로 절단하여,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유연성 표시장치(80)를 제조한다. 이어,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90)를 사용하여 다른 유연성 기판(60)을 점착부재(50) 상에 부착한 다음, 다른 유연성 기판(60) 상에 표시소자(70)를 형성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유연성 기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열팽창계수를 가진 보상 기판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연성 기판 상에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고온 공정 시 유연성 기판과 지지 기판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대면적의 유연성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기존 양산 설비에서 사용되는 트랙 장비 및 로봇에 의한 캐리어 기판의 이송 또는 카세트로의 수납 등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양산 장비에 캐리어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캐리어 기판의 두께가 얇으므로 기존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양산 설비의 변경없이 적용 가능하다.

Claims (11)

  1. 상면에 형성되는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보상 기판;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과 부착되는 제1 점착층;
    상기 보상 기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제2 점착층; 및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과 부착되는 매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제2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기판은 상기 유연성 기판과 동일한 재질인 캐리어 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 및 보상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상 기판을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부착시키는 점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기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 및 상기 유연성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유연성 기판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시키는 점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기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재는 적어도 1층 이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과 부착되는 제3 점착층, 상기 유연성 기판의 하면과 부착되는 제4 점착층 및 상기 제3 점착층 및 상기 제4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점착층 및 상기 제4 점착층과 부착되는 매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제4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판.
  6. 지지 기판의 하면과 부착될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보상 기판의 상면과 부착될 제2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과 부착되는 매개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점착층, 상기 제2 점착층, 및 상기 매개층를 포함하는 점착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점착부재의 하면을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상기 보상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부재의 상면을 상기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제2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유연성 기판과 기 부착된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인 캐리어 기판의 형성방법.
  9. 지지 기판의 하면과 부착될 제1 점착층을 형성하고, 보상 기판의 상면과 부착될 제2 점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2 점착층과 부착되는 매개층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점착층, 상기 제2 점착층, 및 상기 매개층를 포함하는 점착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점착부재의 하면을 유연성 기판과 열팽창계수가 동일 또는 유사한 상기 보상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점착부재의 상면을 상기 유연성 기판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 기판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상면에 상기 유연성 기판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유연성 기판 상에 표시소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소자가 형성된 상기 유연성 기판을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상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점착층의 점착력이 상기 제2 점착층의 점착력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유연성 기판과 기 부착된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하면을 상기 지지 기판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인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다른 유연성 기판을 상기 다른 점착부재의 상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연성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034907A 2006-04-18 2006-04-18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267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07A KR101267068B1 (ko) 2006-04-18 2006-04-18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907A KR101267068B1 (ko) 2006-04-18 2006-04-18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162A KR20070103162A (ko) 2007-10-23
KR101267068B1 true KR101267068B1 (ko) 2013-05-23

Family

ID=3881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907A KR101267068B1 (ko) 2006-04-18 2006-04-18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0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62B1 (ko) 2013-08-13 2015-04-10 주식회사 거림 연성회로기판용 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연성회로기판용 플레이트 조립체
KR20170112441A (ko) 2016-03-31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TWI628985B (zh) * 2015-12-03 2018-07-01 康寧精密素材股份有限公司 用於黏合及脫黏高可撓性基板與載體之方法及設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928B1 (ko) * 2010-03-23 2016-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평판표시장치
KR20140029987A (ko) 2012-08-31 2014-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리어 기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9727B1 (ko) 2012-11-26 2019-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캐리어 기판
KR101534503B1 (ko) * 2013-11-18 2015-07-07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플렉시블 기판 접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33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기판,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기판의 적층 방법 및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733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캐리어 기판,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기판의 적층 방법 및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62B1 (ko) 2013-08-13 2015-04-10 주식회사 거림 연성회로기판용 플레이트 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연성회로기판용 플레이트 조립체
TWI628985B (zh) * 2015-12-03 2018-07-01 康寧精密素材股份有限公司 用於黏合及脫黏高可撓性基板與載體之方法及設備
KR20170112441A (ko) 2016-03-31 2017-10-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162A (ko) 200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068B1 (ko) 캐리어 기판, 이의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연성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5029523B2 (ja) ガラス積層体、支持体付き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用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5254212B2 (ja) 可撓性基板のための多孔質加工キャリヤ
EP274112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and the corresponding curved-surface display
US9240437B2 (en) Flexible TFT backpanel by glass substrate removal
WO2010079688A1 (ja) ガラス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506497A (ja) ガラス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80223509A1 (en) Adhes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WO2021082473A1 (zh) 柔性显示屏的制作方法及待剥离临时基板的柔性显示屏
US8304873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04047057A1 (ja) 画素制御素子の選択転写方法、画素制御素子の選択転写方法に使用される画素制御素子の実装装置、画素制御素子転写後の配線形成方法、及び、平面ディスプレイ基板
KR20080001744A (ko) 점착반송기판 및 이를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제조방법
JP2016521247A (ja) ガラス構造体ならびにガラス構造体の製造および加工方法
JP2014141344A (ja) 基板の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並びに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09186916A (ja) 表示装置用パネルの製造方法
US20090038749A1 (en) Adhesive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using the same
JPH1195028A (ja) 光学フィルム貼合基板の製造方法
KR101279257B1 (ko) 가요성 표시장치용 기판
US20130105089A1 (en) Method for separating substrate assembly
US9827799B2 (en) Transfer printing substrate
KR101309397B1 (ko) 가요성 표시장치용 기판
TWI652731B (zh) Stripping device and peeling method of laminat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nic component
WO2018119752A1 (zh) 显示面板的制造方法
JP3617522B2 (ja) 平面ディスプレイ基板
JP2007248594A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