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56B1 -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56B1
KR101267056B1 KR1020120080135A KR20120080135A KR101267056B1 KR 101267056 B1 KR101267056 B1 KR 101267056B1 KR 1020120080135 A KR1020120080135 A KR 1020120080135A KR 20120080135 A KR20120080135 A KR 20120080135A KR 101267056 B1 KR101267056 B1 KR 10126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moving device
waiter
nth
dumb wa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유
Priority to KR102012008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56B1/ko
Priority to US14/414,939 priority patent/US20150183619A1/en
Priority to SG11201500441UA priority patent/SG11201500441UA/en
Priority to JP2015524172A priority patent/JP2015526360A/ja
Priority to CN201380039143.7A priority patent/CN104507844A/zh
Priority to PCT/KR2013/006504 priority patent/WO20140177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덤웨이터, 그리고 상기 덤웨이터가 형성된 평면상에서의 객체(J)의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는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집합인 도어집합체,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와 상기 덤웨이터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의 집합인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덤웨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를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평면상에서 360도 회전시켜 상부에 상기 객체(J)가 놓인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이동방향을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 각각으로 상기 객체(J)를 전달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 각각으로 향하도록 턴테이블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J)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Dump waiter system moving apparatus and turntable}
본 발명은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식품 기타 소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덤웨이터는 일반적으로 리프트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덤웨이터는 단층 또는 복층에서 사용가능한 음식점 등에서는 음식이동 전용의 이동장치로도 사용되며, 그 밖의 물품의 운반 및 운송을 위한 소형 리프트라고 보면 된다.
또한, 덤웨이터를 아파트 등의 집단건물에 설치하여 택배나 쓰레기 등의 운송에 활용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제10-0998523호의 홈 오토메이션 연동 덤웨이터 시스템이 제시된 바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종래의 수평면상에 형성된 덤웨이터 시스템(10)은 도 1과 같이 중앙의 이동장치가 덤웨이터 상에서 제 1 내지 제 4 덤웨이터 도어(20-1 내지 20-4)의 4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직선형의 운동만 가능하며 확장성 및 방향 전환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즉, 4개 이상의 다수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한 출구가 형성된 경우 하나의 덤웨이터만으로는 물품의 인수와 인계가 힘들어, 다수개의 덤웨이터를 배치함으로써, 인프라 형성을 위한 금전적 손실 및 장소적 제한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전이 가능한 턴테이블 위에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이동장치를 이용한 덤웨이터에 설치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물건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홈 오토메이션 연동 덤웨이터 시스템(Home-automation Linkage Dump Waiter System)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140848호)
2. 덤웨이터의 온도 유지 시스템(system maintaing temperature of a dumbwaiter)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16672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이동장치가 내장된 덤웨이터의 이동 방식이 일직선 이동방식만 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이 가능한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평면적으로 다수의 출구가 있는 경우, 하나의 덤웨이터만으로도 원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운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덤웨이터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직각 구조의 건물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물품의 반출과 반입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덤웨이터, 그리고 상기 덤웨이터가 형성된 평면상에서의 객체(J)의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는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집합인 도어집합체,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와 상기 덤웨이터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의 집합인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덤웨이터는,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를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평면상에서 360도 회전시켜 상부에 상기 객체(J)가 놓인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이동방향을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 각각으로 상기 객체(J)를 전달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 각각으로 향하도록 턴테이블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J)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는,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장치부와의 상기 객체(J)의 반입과 반출 상의 이동이 연동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는,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와의 상기 객체(J)의 반입과 반출 상의 이동이 연동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는, 상기 n이 4개일 경우, 평면상에서 사각형상의 상기 덤웨이터를 중심으로 상기 사각형상의 각 변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90도로 회전시마다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부터 상기 객체(J)를 전달받거나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 상기 객체(J)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각각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 내지 제 n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중앙 위치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 중 상기 제 1 덤웨이터 도어를 거쳐 제 1 이동장치로 객체(J)가 반입되면, 상기 제 1 위치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객체(J)가 상기 제 1 이동장치의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제어하여,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 상기 객체(J)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에 형성된 상기 중앙 위치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객체(J)가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반경의 중앙지점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턴테이블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제 2 내지 제 n 이동장치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각도만큼 회전시킨 뒤,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내지 제 n 이동장치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객체(J)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의 전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n 홈케이스로 이루어진 홈케이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홈케이스 각각은 상기 객체(J)의 반출시 상기 객체(J)를 인계받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는, 다수의 롤러의 집합체인 롤러형, 벨트형, 볼형 및 체인형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는,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가능한 이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종래의 이동장치가 내장된 덤웨이터의 이동 방식이 일직선 이동방식만 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이 가능하여 물품의 반입과 반출시 방향의 제한을 받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평면적으로 다수의 출구가 있는 경우, 하나의 덤웨이터만으로도 원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운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은, 종래의 덤웨이터가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직각 구조의 건물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물품의 반출과 반입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장치를 이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에서의 덤웨이터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1)에서의 덤웨이터(100)를 구동하는 구동/제어부(1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1)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1)은 덤웨이터(100), 도어 집합체(200), 그리고 홈케이스 집합체(300)를 포함한다.
덤웨이터(100)는 턴테이블(110),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 및 이동장치부(130), 센서집합체(140), 구동/제어부(150), 입출력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하며, 턴테이블(110),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 및 이동장치부(130)의 재질은 철, 고무, 플라스틱 및 스테인레스 등 상황에 따라 변형하여 사용가능하다.
턴테이블(110)은 구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를 수평면상에서 360도 회전시켜 상부에 객체(J)가 놓인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의 이동방향을 다수의 이동장치로 형성된 이동장치부(130) 중 구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객체(J)를 반출하기 위한 이동장치로 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는 제 1 이동장치(130-1), 제 2 이동장치(130-2) 및 제 3 이동장치(130-3)를 포함하는 이동장치부(130)와의 연동을 통해 객체(J)가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롤러의 집합체인 롤러형뿐만 아니라, 벨트형, 볼형, 체인형 등으로 변형 가능하며, 형태도 턴테이블 중앙을 가로질러 일정한 폭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형성되는 도시된 직선형뿐만 아니라 라운드형(도 7 참조)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이동장치(120)의 양쪽 끝단은 턴테이블(110)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 형을 이루어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동장치(130-1)(130-2)(130-3)와의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게 한다.
이동장치부(130)는 제 1 이동장치(130-1), 제 2 이동장치(130-2) 및 제 3 이동장치(130-3)를 포함하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와 동일하게 객체(J)가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와 제 1 홈케이스(300-1), 제 2 홈케이스(300-2) 및 제 3 홈케이스(300-3)을 포함하는 "홈케이스부(300)" 사이에서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이동장치(130-1), 제 2 이동장치(130-2), 그리고 제 3 이동장치(130-3)는 평면을 기준으로 사각형상의 덤웨이터(100)를 중심으로 턴테이블(110)이 각각 90도의 회전시에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와 일직선이 되는 구조를 갖고, 사각형상의 덤웨이터(100) 각 변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센서집합체(140)는 제 1 위치감지센서(141), 제 2 위치감지센서(142), 제 3 위치감지센서(143), 그리고 중앙 위치감지센서(144)를 포함하며, 각 센서는 압력감지센서의 집합체로 형성가능하다. 한편, 센서집합체(140)의 종류와 수량은 변경하여 적용가능하다.
제 1 위치감지센서(141), 제 2 위치감지센서(142) 및 제 3 위치감지센서(143) 각각은 제 1 이동장치(130-1), 제 2 이동장치(130-2), 제 3 이동장치(130-2)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구동/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중앙 위치감지센서(144)는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구동/제어부(150)로 전송한다.
구동/제어부(150)는 도 4에서와 같이 제 1 홈케이스(300-1)로부터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를 거쳐 제 1 이동장치(130-1)로 객체(J)가 반입되면, 제 1 위치감지센서(141)에 의한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객체(J)의 제 1 이동장치(130-1)의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제어부(150)는 제 1 이동장치(130-1)에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로 객체(J)가 전달되면,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에 형성된 중앙 위치감지센서(144)에 의해 감지하여,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의 중앙지점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제어부(150)는 턴테이블(110)을 정방향(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뒤,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를 제어하여 제 2 이동장치(130-2)로 객체(J)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2 이동장치(130-2)는 구동/제어부(150)의 제 2 위치감지센서(142)로부터 위치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기초로 구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른 제 2 덤웨이터 도어(200-2)를 거쳐 제 2 홈케이스(300-2)로 객체(J)가 반출되도록 한다.
한편, 구동/제어부(15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 2 홈케이스(300-2)로부터 제 2 덤웨이터 도어(200-2)를 거쳐 제 2 이동장치(130-2)로 객체(J)가 반입되면, 제 2 위치감지센서(142)에 의한 위치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객체(J)의 제 2 이동장치(130-2)의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제어부(150)는 제 2 이동장치(130-2)에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로 객체(J)가 전달되면,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에 형성된 중앙 위치감지센서(144)에 의한 감지에 따라,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의 중앙지점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제어부(150)는 턴테이블(110)을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뒤,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를 제어하여 제 3 이동장치(130-3)로 객체(J)가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 3 이동장치(130-3)는 구동/제어부(150)의 제 3 위치감지센서(143)로부터 위치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전달된 위치감지신호를 기초로 다시 구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른 제 3 덤웨이터 도어(200-3)를 거쳐 제 3 홈케이스(300-3)로 객체(J)가 반출되도록 한다.
입출력부(160)는 구동/제어부(150)의 제어를 위한 홈케이스 집합체(300)를 구성하는 제 1 홈케이스(300-1) 내지 제 3 홈스케이스(300-3)로의 객체(J)에 대한 이동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입출력부(160)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부와 CRT,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로 형성되는 출력부가 개별적으로 형성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터치모듈을 구비한 입력부와 출력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70)는 상술한 입출력부(160)로 입력되는 이동명령의 일련의 집합들이 미리 저장되어 구동/제어부(150)로부터 독출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제어부(150)에 의한 이동명령의 일련의 집합들이 자동적인 프로세스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덤웨이터 도어부(200)는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제 2 덤웨이터 도어(200-2), 그리고 제 3 덤웨이터 도어(200-3)를 포함하며, 구동/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자동적으로 각 도어(200-1 내지 200-3)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자동개폐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제 2 덤웨이터 도어(200-2) 및 제 3 덤웨이터 도어(200-3) 각각은 제 1 이동장치(130-1)와 제 1 홈케이스(300-1) 사이, 제 2 이동장치(130-2)와 제 2 홈케이스(300-2) 사이, 제 3 이동장치(130-3)와 제 3 홈케이스(300-3) 사이에 형성되어, 구동/제어부(150)의 자동제어 또는 수작업에 의해 객체(J)에 대한 반입 및 반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홈케이스부(300)는 제 1 홈케이스(300-1), 제 2 홈케이스(300-2) 및 제 3 홈케이스(300-3)를 포함한다. 제 1 홈케이스(300-1), 제 2 홈케이스(300-2) 및 제 3 홈케이스(300-3) 각각은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제 2 덤웨이터 도어(200-2),그리고 제 3 덤웨이터 도어(200-3)의 전단에 형성되어, 각 홈케이스로 객체(J)가 반출을 통해 완전히 인계되면, 사용자가 각 홈케이스의 도어(미도시)를 열수 있게 하여 안전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2)은 덤웨이터(100)가 평면상에서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각 변에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내지 제 6 덤웨이터 도어(200-6)와 맞닿아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내지 제 6 덤웨이터 도어(200-6)의 전면에는 제 1 홈케이스(300-1) 내지 제 6 홈케이스(300-6)가 형성된다.
구동/제어부(150)는 턴테이블(110) 상부에 형성된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의 360도 회전 및 객체(J)의 수평 이동을 통해 제 1 홈케이스(300-1) 내지 제 6 홈케이스(300-6) 상호간의 객체(J)의 반입 및 반출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3)은 덤웨이터(100)가 평면상에서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각 변에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내지 제 4 덤웨이터 도어(200-4)와 맞닿아 형성된다. 한편,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 내지 제 4 덤웨이터 도어(200-4)의 전면에는 제 1 홈케이스(300-1) 내지 제 4 홈케이스(300-4)이 형성된다.
한편, 제 1 덤웨이터 도어(200-1)와 제 1 홈케이스(300-1), 제 3 덤웨이터 도어(200-2)와 제 2 홈케이스(300-2), 제 3 덤웨이터 도어(200-3)와 제 3 홈케이스(300-3), 제 4 덤웨이터 도어(200-4)와 제 4 홈케이스(300-4) 각각의 사이에는 제 1 객체이동로(400-1), 제 2 객체이동로(400-2), 제 3 객체이동로(400-3) 및 제 4 객체이동로(40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객체이동로(400-1)는 짧은 직선형으로 양측이 격벽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제 1 객체이동로(400-1)가 맞닿은 평면상에서 육각형태의 덤웨이터(100)의 한 변과 제 1 홈케이스(300-1) 사이에는 높이의 차가 있을 수 있다.
제 2 객체이동로(400-2)는 제 1 객체이동로(400-1)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나, 제 1 객체이동로(400-1)에 비해 긴 직선형으로 양측이 격벽에 의해 형성되며, 이때 격벽의 길이는 상호 다를 수 있다.
제 3 객체이동로(400-3) 및 제 4 객체이동로(400-4)는 모두 곡선형으로 형성되며, 이 경우 제 3 객체이동로(400-3)와 제 4 객체이동로(400-4) 상호간의 곡선형의 곡률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덤웨이터(100) 상에 놓인 턴테이블(110) 상부의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는 이동식으로 형성가능하다.
즉 도 8의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는 제 1 이동장치(130-1), 제 2 이동장치(130-2) 및 제 3 이동장치(130-3)를 포함하는 이동장치부(130)와의 이격이 있는 경우 객체(J)가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턴테이블(110)과의 사이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가능한 이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와 턴테이블(110) 사이에는 롤러형, 벨트형, 볼형, 체인형 등의 수평과 수직의 직선 운동이 가능한 이동장치가 구비된다. 즉 도 8에서의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가 제 1 이동장치(130-1)로 근접을 원할 경우 수직 하방의 직선 운동을 통해 도 9와 같은 상태로 제 1 이동장치(130-1)로 근접할 수 있다.
이후,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8과 같이 원위치 후,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120)는 턴테이블(110)에 의한 회전에 따라 제 2 이동장치(130-2) 또는 제 3 이동장치(130-3)로의 근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덤웨이터 시스템
100: 덤웨이터
110: 턴테이블
120: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
130: 이동장치부
130-1: 제 1 이동장치
130-2: 제 2 이동장치
130-3: 제 3 이동장치
140: 센서집합체
141: 제 1 위치감지센서
142: 제 2 위치감지센서
143: 제 3 위치감지센서
144: 중앙 위치감지센서
150: 구동/제어부
160: 입출력부
170: 저장부
200: 도어 집합체
200-1: 제 1 덤웨이터 도어
200-2: 제 2 덤웨이터 도어
200-3: 제 3 덤웨이터 도어
300: 홈케이스 집합체
300-1: 제 1 홈케이스
300-2: 제 2 홈케이스
300-3: 제 3 홈케이스

Claims (11)

  1. 객체(J)의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는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n은 2 이상의 자연수)가 형성되고,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원반형태의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턴테이블 상부에는 상기 객체(J)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아오는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가 턴테이블 중앙을 가로질러 일정한 폭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는 상기 객체(J)의 반입과 반출이 수행되도록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이 가능케 하는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상부이동장치의 양쪽 끝단은 턴테이블의 가장자리의 형상을 따라 라운드 형을 이루어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와의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상기 객체(J)가 놓인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방향을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 각각으로 향하도록 제어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객체(J)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는,
    상기 n이 4개일 경우, 평면상에서 사각형상의 상기 덤웨이터를 중심으로 상기 사각형상의 각 변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구동/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90도로 회전시마다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부터 상기 객체(J)를 전달받거나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 상기 객체(J)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이동장치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각각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1 내지 제 n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내부 또는 상부면에 일렬의 압력감지센서 집합체로 형성되어, 위치감지신호를 상기 구동/제어부로 전송하는 중앙 위치감지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 중 상기 제 1 덤웨이터 도어를 거쳐 제 1 이동장치로 객체(J)가 반입되면, 상기 제 1 위치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객체(J)가 상기 제 1 이동장치의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기능을 제어하여,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로 상기 객체(J)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에 형성된 상기 중앙 위치감지센서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객체(J)가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의 일직선상의 수평 이동 반경의 중앙지점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턴테이블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상기 제 2 내지 제 n 이동장치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각도만큼 회전시킨 뒤,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 2 내지 제 n 이동장치 중 어느 하나로 상기 객체(J)가 전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n 덤웨이터 도어의 전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n 홈케이스로 이루어진 홈케이스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내지 제 n 홈케이스 각각은 상기 객체(J)의 반출시 상기 객체(J)를 인계받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는,
    다수의 롤러의 집합체인 롤러형, 벨트형, 볼형 및 체인형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 상부이동장치는,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가능한 이동장치가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KR1020120080135A 2012-07-23 2012-07-23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KR10126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35A KR101267056B1 (ko) 2012-07-23 2012-07-23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US14/414,939 US20150183619A1 (en) 2012-07-23 2013-07-19 Dumbwaiter System
SG11201500441UA SG11201500441UA (en) 2012-07-23 2013-07-19 Dumbwaiter system
JP2015524172A JP2015526360A (ja) 2012-07-23 2013-07-19 ダムウェータシステム
CN201380039143.7A CN104507844A (zh) 2012-07-23 2013-07-19 杂货电梯系统
PCT/KR2013/006504 WO2014017786A1 (ko) 2012-07-23 2013-07-19 덤웨이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135A KR101267056B1 (ko) 2012-07-23 2012-07-23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056B1 true KR101267056B1 (ko) 2013-05-27

Family

ID=4866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135A KR101267056B1 (ko) 2012-07-23 2012-07-23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362A (zh) * 2017-12-27 2019-07-05 苏州锐创广告有限公司 一种电梯广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681A (ja) * 2001-02-09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ダムウェータのかご
JP2011111296A (ja) * 2009-11-27 2011-06-09 Omni Yoshida Co Ltd 荷搬出入制御方法および荷昇降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4681A (ja) * 2001-02-09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ダムウェータのかご
JP2011111296A (ja) * 2009-11-27 2011-06-09 Omni Yoshida Co Ltd 荷搬出入制御方法および荷昇降搬送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9362A (zh) * 2017-12-27 2019-07-05 苏州锐创广告有限公司 一种电梯广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2664B2 (ja) 搬送装置
US8322287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CN105683065A (zh) 用于在位于不同高度的实验室自动化系统之间传送生物材料试样的设备
CN110136329A (zh) 自动售货设备、自动售货配送系统及自动售货配送方法
US20100242784A1 (en) Switching Facility for Crossed Paths
US20150183619A1 (en) Dumbwaiter System
US20150063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lush transfer of large-surface-area panels of different types of construction to a transporting vehicle
US10106324B2 (en)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material to be conveyed
CN103065388A (zh) 一种升降式、快捷的自动售货机
US6557669B2 (en) Automatic dish serving system
WO2021103819A1 (zh) 分拣设备
KR101267056B1 (ko) 이동장치와 턴테이블을 결합한 덤웨이터 시스템
KR20220054686A (ko) 컨베이어 장치, 컨베이어 배열체, 및 물체를 취급하는 방법
KR102460391B1 (ko)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CN208985278U (zh) 一种出货装置
CN102275709A (zh) 物品配货系统
JP2007058422A (ja) 物品搬送設備
CN206437533U (zh) 一种智能传菜装置
WO2021009035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JP649800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6988600B2 (ja) 走行体、搬送システム及び走行体の制御方法
JP4100103B2 (ja) 走行装置
US10647526B1 (en) Decline station
CN209442146U (zh) 传输装置、传输线以及分拣设备
WO2020062932A1 (zh) 传输组件及分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