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046B1 -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046B1
KR101267046B1 KR1020120120873A KR20120120873A KR101267046B1 KR 101267046 B1 KR101267046 B1 KR 101267046B1 KR 1020120120873 A KR1020120120873 A KR 1020120120873A KR 20120120873 A KR20120120873 A KR 20120120873A KR 101267046 B1 KR101267046 B1 KR 10126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container
internal space
valve
purge
gas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2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8Protection of installations or persons from the effects of high voltage induced in the pipe-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01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controlling, signalling, or supervising the conveyance of a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점화 요인이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전술한 점화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blocking ignition factors}
본 발명은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점화 요인이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전술한 점화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에 의하여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위험 지역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는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각종 장치의 설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험 지역에서는 내부와 외부를 격리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구비하고 그 안전장치의 용기 내에 점화 요인을 갖는 각종 장치를 설치해야만하므로, 이와 같은 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에 의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점화 요인이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각종 장치를 점화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 용기; 보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1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급로; 상기 제1 공급로 상에 설치된 퍼지용 밸브;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2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2 공급로; 상기 제2 공급로 상에 설치된 정상 압력 유지용 유량계;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3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되, 중간 부분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 부분을 지난 후반 부분이 상기 밀폐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3 공급로; 상기 제3 공급로의 상기 중간 부분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3 공급로의 상기 후반 부분 상에 설치된 니들 밸브와 보호가스 냉각기; 상기 밀폐 용기의 제2 측면의 제1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제1 방출로; 상기 제1 방출로 상에 순차 설치된 퍼지용 유량계와 퍼지용 배기 밸브; 상기 밀폐 용기의 제2 측면의 제2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제2 방출로; 상기 제2 방출로 상에 설치된 안전 방출 밸브;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차압 스위치; 상기 차압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시청각적 알람을 작동하는 경보기; 및 상기 유량계의 유량 데이터, 상기 밀폐 용기의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차압 스위치의 압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각종 밸브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3 지점은 상기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2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폐 용기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벌크헤드 유니온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점화 요인이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점화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벌크헤드 유니온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벌크헤드 유니온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벌크헤드 유니온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벌크헤드 유니온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용기(10), 가스 공급부(20), 제1 공급로(21), 제2 공급로(22), 제3 공급로(23), 퍼지용 밸브(31), 솔레노이드 밸브(32), 니들 밸브(33), 정상 압력 유지용 유량계(41), 퍼지용 유량계(42), 보호가스 냉각기(50), 제1 방출로(61), 제2 방출로(62), 퍼지용 배기 밸브(71), 안전 방출 밸브(72), 차압 스위치(80), 경보기(85), 및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 용기(10)는 적어도 외부로부터 밀폐된 내부 공간(10a)을 갖고 그 내부 공간(10a)에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외부와 격리시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밀폐 용기(10)의 외형은 일예로 좌우전후의 4 측면과 상하면을 갖는 육면체로 형성하고 전면에는 내부 공간(10a)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용기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가스 공급부(20)는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보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제1 내지 제3 공급로(21~23)와 제1 내지 제2 방출로(61~62)는 가스 공급부(20)로부터 제공된 보호 가스를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 공급하거나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에 있는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파이프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급로(21)는 가스 공급부(20)의 출구로부터 밀폐 용기(10)의 제1 측면(도면상의 우측면)의 제1 지점(11)을 통해 내부 공간(10a)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제2 공급로(22)는 가스 공급부(20)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밀폐 용기(10)의 제1 측면의 제2 지점(12)을 통해 내부 공간(10a)으로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제3 공급로(23)는 가스 공급부(20)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밀폐 용기(10)의 제1 측면의 하나 이상의 제3 지점(13a,13b: 13)을 통해 내부 공간(10a)으로 각각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로(23a,23b)를 형성하도록 설치하되, 예를 들어, 제3 공급로(23)의 중간 부분은 내부 공간(10a)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 부분을 제외한 전반 부분과 후반 부분은 밀폐 용기(1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1 방출로(61)는 밀폐 용기(10)의 제2 측면(도면상의 좌측면)의 제1 지점(14)을 통해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고, 제2 방출로(62)는 밀폐 용기(10)의 제2 측면의 제2 지점(15)을 통해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밀폐 용기(10)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대향하고, 제1 측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지점(11~13)은 제2 측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2 지점(61~6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퍼지용 밸브(31)는 제1 공급로(21) 상에 설치되어 제1 공급로(21)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솔레노이드 밸브(32: 32a,32b)는 제3 공급로(23: 23a,23b)의 중간 부분(즉,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에 위치한 부분) 상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10a)의 온도에 따라 개폐 동작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공간(10a)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미도시)는 솔레노이드 밸브(32: 32a,32b)에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니들 밸브(33: 33a,33b)는 제3 공급로(23: 23a,23b)의 후반 부분(즉, 밀폐 용기(10)의 외부에 위치한 후반 부분) 상에 설치되어 제3 공급로(23: 23a,23b)를 통해 냉각기(50: 50a,50b)에 공급되는 보호 가스의 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정상 압력 유지용 유량계(41)는 제2 공급로(22) 상에 설치되어 제2 공급로(22)를 통해 흐르는 유량을 측정하여 나타냄으로써 밀폐 용기(10)내의 정상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10~100LPM의 범위를 가진다.
퍼지용 유량계(42)는 제1 방출로(61) 상에 설치되어 제1 방출로(61)를 통해 방출되는 배기 유량을 측정하여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60~300LPM의 범위를 가진다.
보호가스 냉각기(50: 50a,50b)는 제3 공급로(23:23a,23b)의 후반 부분 상의 니들 밸브(33: 33a,33b)의 후단에 설치되어 니들 밸브(33: 33a,33b)의 작동으로 제3 공급로(23:23a,23b)를 통해 인입되는 보호 가스를 냉각한 후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퍼지용 배기 밸브(71)는 제1 방출로(61) 상의 퍼지용 유량계(42)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1 방출로(61)를 통해 밀폐 용기(10)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배기 가스양을 개폐 조절하고, 퍼지용 밸브(31)와 연동함으로써,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을 퍼징(purging)하기 위한 것이다.
안전 방출 밸브(SAFETY RELIEF VALVE)(72)는 제2 방출로(62) 상에 설치되어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내부 양압이 기 설정된 기준점(예를 들어, 200mmH2O) 이하에서 열리고 기준점 이상이 되면 닫히도록 개폐 동작하기 위한 것이다.
차압 스위치(DIFF. PRESSURE SWITCH)(80)는 대기와 밀폐 용기(10) 내부와의 차압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에 설치되어 압력(양압)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압력(양압)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여 경보기(8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경보기(85)는 차압 스위치(80)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인 경고 표시를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경광등과 같이 시각적인 알람을 표시하거나 사이렌 또는 혼(HORN)과 같이 청각적인 알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술한 유량계(41,42)의 유량 데이터,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온도, 및 차압 스위치(80)의 압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전술한 각종 밸브(31~33, 71~72)의 온/오프(개폐)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밀폐 용기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어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유니온은 기본적으로 수나사 형태의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과 암나사 형태의 제2 벌크헤드 유니온(200)을 한 쌍으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 삽입 연결체(130), 제1 패킹부(150), 및 제1 톱니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10)는 내측이 도 1과 같이 원통형의 제1 암나사부(111)로 형성되고 외측은 도 2와 같이 다각형의 기둥(11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몸체(110)의 외측은 스패너나 렌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조일 수 있도록 6각 기둥의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쉽고 강하게 조일 수 있는 모양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 연결체(130)는 제1 몸체(110)의 선단부로부터 원통 수나사의 형태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제1 몸체(110)의 일단부로부터 제1 몸체(110)의 내경에 대응하거나 그 이하의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연장되고 외측에 원통형의 제1 수나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킹부(15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의 일단부의 단면(115)상에 삽입 연결체(130)의 제1 수나사부(131)의 하부의 주위를 링 형태로 둘러싸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 예로 도 2와 같이 제1 몸체(110)의 단면(115)상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거나,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와는 별개의 패킹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패킹부(150)의 재료로는 고무가 탄력이 있고 잘 변하지 않아 가장 흔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유출 또는 유입에 관계된 물질이나 온도, 압력 등 주변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반응성이 낮은 가죽, 합성수지, 석면, 금속,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톱니부(170)는 제1 몸체(110)의 일단부의 단면(115)상의 외주연에 패킹부재(11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톱니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톱니부(170)의 톱니는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와 다르게 연속적이지 않고 그 개수와 크기, 형태 등을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몸체(110)의 일단부의 둘레로부터 바깥으로 확장된 원판부(117)를 형성하면, 전술한 제1 몸체(110)의 단면(115)의 면적을 확장하여 제1 패킹부(150)와 제1 톱니부(170)를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패킹부(150)는 제1 톱니부(170) 보다 제1 몸체(110)의 단면(11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벌크헤드 유니온(2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벌크헤드 유니온(200)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10), 제2 패킹부(250), 및 제2 톱니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210)는 전술한 삽입 연결체(130)의 제1 수나사부(131)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 암나사부(211)가 내측의 선단부에 형성되고 외측은 다각형의 기둥(213)으로 형성되며, 내측 후단부에는 전술한 제1 몸체(110)의 제1 암나사부(111)와 대응하는 암나사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210)의 외측은 스패너나 렌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쉽게 조일 수 있도록 6각 기둥의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일 예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쉽고 강하게 조일 수 있는 모양이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패킹부(25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10)의 일단부의 단면(215)상에 제2 암나사부(211)의 일단부의 주위를 링 형태로 둘러싸도록 돌출 형성된 것으로, 일 예로 도 2와 같이 제2 몸체(210)의 단면(215)상에 고정되도록 형성하거나,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210)와는 별개의 패킹으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 패킹부(250)의 재료로는 고무가 탄력이 있고 잘 변하지 않아 가장 흔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유출 또는 유입에 관계된 물질이나 온도, 압력 등 주변 조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반응성이 낮은 가죽, 합성수지, 석면, 금속,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톱니부(270)는 제2 몸체(210)의 일단부의 단면(215)상의 외주연에 패킹부재(21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톱니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톱니부(270)의 톱니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르게 연속적이지 않고 그 개수와 크기, 형태 등을 조절하여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몸체(210)의 일단부의 둘레로부터 바깥으로 확장된 원판부(217)를 형성하면, 전술한 제2 몸체(210)의 단면(215)의 면적을 확장하여 제2 패킹부(250)와 제2 톱니부(270)를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패킹부(250)는 제2 톱니부(270) 보다 제2 몸체(210)의 단면(21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벌크헤드 유니온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의 삽입 연결체(130)를 예를 들어 도 1의 밀폐 용기(10)의 바닥면으로서의 격벽(400)의 구멍에 끼우고, 제2 벌크헤드 유니온(200)의 제2 암나사부(211) 내에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의 삽입 연결체(130)의 제1 수나사부(131)를 끼워 나사 결합한 후, 제1,2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을 서로 조이면, 제1,2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의 선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2 톱니부(170,270)가 격벽(400)의 양면에 각각 접하여 제1,2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이 겉도는 것을 방지하면서 강하게 조일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조일수록 제1,2 패킹부(150,250)가 납작하게 되어 높이 방향의 부피가 넓이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주위의 빈틈을 막아주어 제1,2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의 결합 시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된 통로를 만들어 준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 벌크헤드 유니온(100,200)을 격벽(4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한 후, 제1 벌크헤드 유니온(100)의 암나사부(111)와 제2 벌크헤드 유니온(200)의 암나사부(213)에 각각 해당 파이프 또는 튜브 등을 연결하여 원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퍼지용 밸브(31)와 퍼지용 배기 밸브(72)를 연동하여 개방하고 퍼지용 유량계(42)의 유량 데이터를 기초로 제1 공급로(21)와 제1 방출로(61)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스 공급부(20)로부터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으로 보호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밀폐 용기(10)의 내부를 일정 시간 동안 퍼징한다.
이어, 정압 유지용 유량계(41)의 유량 데이터와 차압 스위치(80)의 압력 데이터를 기초로 퍼지용 밸브(31)와 퍼지용 배기 밸브(72)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을 기 설정된 정상 압력 상태로 만든 후 퍼지용 밸브(31)와 퍼지용 배기 밸브(72)를 닫고 정압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양압이 기 설정된 하한 값 예컨대 10mmH2O 이하로 떨어지면 차압 스위치(80)가 온 동작하고 이에 따라 경보기(85)가 작동하여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보를 행한다.
또한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양압이 기 설정된 상한 값 예컨대 200mmH2O 이상으로 올라가면 안전 방출 밸브(72)를 열어 내부 공간(10a)의 가스를 자동 배출하고 정상 압력이 되면 안전 방출 밸브(72)를 닫는다.
한편 안전 방출 밸브(72)의 고장 시 내부 공간(10a)의 압력 상승으로 밀폐 용기(10)가 뒤틀려 밀폐 용기(10)내에 설치될 전기 장치 등의 고장 위험이 있는데, 이 경우 퍼지용 배기 밸브(71)와 솔레노이드 밸브(32)를 연동 작동하여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압력 및 온도를 기 설정된 정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밀폐 용기(10)를 옥외에 설치하게 되면 하절기 등 더운 날씨에 밀폐 용기(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32)와 니들 밸브(33) 및 퍼지용 배기 밸브(71) 등을 연동하고 냉각기(50)를 작동시켜 밀폐 용기(10)의 내부 온도를 정상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계(41,42)의 유량 데이터, 밀폐 용기(10)의 내부 공간(10a)의 온도 데이터, 및 차압 스위치(80)의 압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전술한 각종 밸브(31~33, 71~72)와 냉각기(50) 또는 경보기(85) 등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밀폐 용기(10)내에 공기 또는 불활성 가스와 같은 보호 가스를 공급하여 퍼지(purging)를 하고, 용기(10) 내의 압력을 외부 압력보다 50Pa 정도 높게 유지하여 용기(10) 내에 외부로부터의 가연성 가스 또는 증기 등이 침입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차단하고 정상 압력 및 온도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화성 및 가연성이 강한 가스나 증기 및 분진과 같은 각종 점화 요인이 화재나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는 농도로 대기 중에 존재하거나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용기(10)내에 점화원이 될 수 있는 요인을 갖는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설치하면, 전기 설비와 같은 각종 장치를 전술한 점화 요인으로부터 차단하여 안전하게 설치 및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은 제어부(90)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밀폐 용기
20: 가스 공급부
21~23: 제1 내지 제3 공급로
31: 퍼지용 밸브
32: 솔레노이드 밸브
33: 니들 밸브
41: 정상 압력 유지용 유량계
42: 퍼지용 유량계
50: 보호가스 냉각기
61~62: 제1 내지 제2 방출로
71: 퍼지용 배기 밸브
72: 안전 방출 밸브
80: 차압 스위치
85: 경보기
90: 제어부
100,200: 벌크헤드 유니온
100: 제1 벌크헤드 유니온
110: 제1 몸체
111: 제1 암나사부
130: 삽입 연결체
131: 제1 수나사부
150: 제1 패킹부
170: 제1 톱니부
200: 제2 벌크헤드 유니온
210: 제2 몸체
211: 제2 암나사부
250: 제2 패킹부
270: 제2 톱니부

Claims (3)

  1. 외부로부터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 용기;
    보호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 공급부;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1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1 공급로;
    상기 제1 공급로 상에 설치된 퍼지용 밸브;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2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2 공급로;
    상기 제2 공급로 상에 설치된 정상 압력 유지용 유량계;
    상기 가스 공급부의 출구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밀폐 용기의 제1 측면의 제3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되, 중간 부분이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위치하고 그 중간 부분을 지난 후반 부분이 상기 밀폐 용기의 외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제3 공급로;
    상기 제3 공급로의 상기 중간 부분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온도에 따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상기 제3 공급로의 상기 후반 부분 상에 설치된 니들 밸브와 보호가스 냉각기;
    상기 밀폐 용기의 제2 측면의 제1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제1 방출로;
    상기 제1 방출로 상에 순차 설치된 퍼지용 유량계와 퍼지용 배기 밸브;
    상기 밀폐 용기의 제2 측면의 제2 지점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제2 방출로;
    상기 제2 방출로 상에 설치된 안전 방출 밸브;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압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압력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하는 차압 스위치;
    상기 차압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시청각적 알람을 작동하는 경보기; 및
    상기 유량계의 유량 데이터, 상기 밀폐 용기의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상기 차압 스위치의 압력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각종 밸브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서로 대향하고, 상기 제1 측면의 제1 내지 제3 지점은 상기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2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용기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벌크헤드 유니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KR1020120120873A 2012-10-30 2012-10-30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KR10126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873A KR101267046B1 (ko) 2012-10-30 2012-10-30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873A KR101267046B1 (ko) 2012-10-30 2012-10-30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046B1 true KR101267046B1 (ko) 2013-05-24

Family

ID=4866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873A KR101267046B1 (ko) 2012-10-30 2012-10-30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17B1 (ko) * 2016-07-14 2016-11-29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376Y1 (ko) 2006-08-28 2006-12-04 이종호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JP2009115400A (ja) 2007-11-07 2009-05-28 Panasonic Corp 燃焼装置、燃料処理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376Y1 (ko) 2006-08-28 2006-12-04 이종호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JP2009115400A (ja) 2007-11-07 2009-05-28 Panasonic Corp 燃焼装置、燃料処理装置、及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17B1 (ko) * 2016-07-14 2016-11-29 주식회사 엑스큐시스템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5400A1 (en) Shut-off valve system
JP6005062B2 (ja) 流体漏洩検出システム
ES2363277T3 (es) Sistema y método de suministro de gas basados en presión para reducir los riesgos asociados con el almacenamiento y suministro de gases de alta presión.
CN202938025U (zh) 气体泄漏检测装置
JP2006321041A (ja) 内圧防爆システム
KR20140071883A (ko) 가스 충전장치
JP2009216394A (ja) ガスクロマトグラフ装置
KR100807742B1 (ko) 배전선 및 소방설비를 탑재 보호하는 지중배관
CN103502718A (zh) 安装在容纳有高压气体的箱上的气门
KR101267046B1 (ko) 점화요인의 차단을 위한 안전장치
CN208282995U (zh) 一种压力检测装置及压力检测系统
CN205806930U (zh) 液化气钢瓶综合保护器
KR101680617B1 (ko) 안전방출밸브와 이것이 구비된 점화요인 차단용 안전장치
JP2014055927A (ja) ガスリーク検知装置およびガスクロマトグラフ
KR102239352B1 (ko) 원유저장탱크 레벨 및 밀도측정장치, 이의 밀폐시스템
CN216666593U (zh) 气路过载保护装置
KR20140067319A (ko) 가스 누설 자동 차단장치
JP6735709B2 (ja) 環境試験装置及び発煙検知装置
JP2000074717A (ja) 圧力異常監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ガスメータ
US9135801B2 (en) Fully mechanical pneumatic excessive heat or/and fire line-type detector, and system, methods, applications thereof
CN207471004U (zh) 一种管路截流装置
ES2765736T3 (es) Sistema de encapsulación a sobrepresión para la protección frente a explosiones y procedimiento de funcionamiento correspondiente
KR101547511B1 (ko) 전력용 변압기의 oltc 실린더 내 가스배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636939B1 (ko) 탈이온수를 이용한 미분무 소화설비
KR20150081934A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 설비용 가스 인터페이스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