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666B1 -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666B1
KR101266666B1 KR1020077030832A KR20077030832A KR101266666B1 KR 101266666 B1 KR101266666 B1 KR 101266666B1 KR 1020077030832 A KR1020077030832 A KR 1020077030832A KR 20077030832 A KR20077030832 A KR 20077030832A KR 101266666 B1 KR101266666 B1 KR 101266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ing factor
usage
pattern
assistanc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530A (ko
Inventor
캐리 와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3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143Bus networks involving priorit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multipoint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4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measures in reaction to resource unavailability
    • H04L47/743Reaction at the end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3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usag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04W74/0841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 H04W74/0858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with collision treatment collis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단일 또는 다중 우선순위 클래스의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경합의 자원(들)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자원(들)에 대해 각각의 클래스에 결정되고 임계값과 비교된다. 다음에,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는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생성된다.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자원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범위에 있을 때, 클래스 패턴은 클래스 내의 디바이스가 자원의 이용을 시도하도록 허용하는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한다. 그렇지 않으면, 클래스 패턴은 대응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중에 클래스 내의 모든 디바이스가 자원의 이용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를 갖고 생성된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는 이어서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로 제공된다.
자원, 이용 스케일링 팩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 스케일링 팩터, 비방해 엔트리, 차단 엔트리

Description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ATION OF RESOURCES OF CONTENTION UNDER ANY LOAD TO FACILITATE DESIRED BANDWIDTH ACROSS SINGLE OR MULTIPLE CLASSES OF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합의 자원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유선, LAN, WAN, WIMAX, 블루투스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 요소, 기지국, 네트워크, 통신 매체 등과 같은 다양한 자원을 이용할 필요가 있고, 여기서 복수의 디바이스가 소정의 자원 또는 자원의 풀(pool)에 대해 경합하거나 또는 경쟁한다. 게다가, 최신의 진화 데이터 전용(EVDO) EVDO Rev. A 및 다른 통신 시스템이 다수의 레벨의 디바이스 우선순위(priority)(우선순위 클래스)를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공유된 자원으로의 액세스가 우선순위화 방식으로 제공되고 더 높은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가 더 낮은 우선순위 디바이스와 비교하여 우선적인 이용을 수신한다. 단일 또는 다중 우선순위 레벨을 갖는 시스템에서, 다수의 디바이스가 자원에 동시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여 자원의 입력 처리 용량이 초과될 때(액세스 시도 충돌 장애), 또는 자원이 최대 용량에서 동작하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로부터 임의의 부가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이 불가능할 때(이용 시도 장애), 자원 경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VDO Rev. A 무선 네트워크에서 호(call)를 개시하기 위해, 휴대폰, PDA, 휴대형 컴퓨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는 액세스 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소정의 영역 또는 위치를 서비스하는 로컬 기지국으로의 액세스를 위해 경쟁한다. 이 경우, 기지국은 호를 셋업(set up)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채널을 식별하는 영역 내의 모든 디바이스에 방송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경합은 두 개 이상의 모바일 유닛이 액세스 채널 상에서 동시에 기지국에 액세스를 시도할 때 발생하여, 호 개시 메시지의 충돌을 유도한다. 자원 이용 경합은 제한된 이용 또는 부하 능력을 갖는 공유된 자원이 이용을 위한 몇몇 시도를 실패하게 할 때(예를 들면, 드롭된 데이터 패킷) 발생한다.
다수의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싱 디바이스는 어퍼시스턴스(apersistence)라 공지된 실패된 액세스 시도를 디바이스가 재시도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성을 포함한다. 통상의 다중 액세스 충돌 검출(MACD) 버스 중재 시스템에서, 공통의 버스 자원에 접속된 디바이스는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 전달을 개시할 수 있고, 충돌이 발생되는지를 검출하기 위해 버스를 청취할 수 있다. 충돌이 발생되면, 충돌에 연관된 각각의 디바이스는 랜덤 시간 동안 대기하고 이어서 전달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이 유형의 시스템에서, 따라서 디바이스 어퍼시스턴스는 랜덤 특성이고, 개별 디바이스가 랜덤 시간값을 내부에서 생성한다. 공유된 자원을 갖는 다른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는 경합의 자원으로부터 수신된 어퍼시스턴스 특성 정보를 사용하여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EVDO 환경에서의 디바이스는 이산 시간에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시도하도록 기지국과 동기화될 수 있고, 여기서 디바이스는 기지국에 의해 어퍼시스턴스 특성값 방송을 사용하여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내부에서 수행한다.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으로부터 어퍼시스턴스 넘버(number)를 유도하고, 각각의 액세스 사이클에 랜덤하게 생성된 값에 어퍼시스턴스 넘버를 비교하고, 이에 의해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이 시도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경합의 자원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해 판정된다. 이들 시스템에서, 자원은 일반적으로 현재의 자원 부하가 높을 때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퍼시스턴스 특성의 값을 조정한다. 그러나, 이는 다음의 액세스 사이클로 이월(carryover)되는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실패한 디바이스의 증가하는 누적을 유도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는 이어서 이 이월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경합의 자원의 액세스를 시도하는 임의의 도입 디바이스에 수행된다. 따라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실패하는 디바이스의 누적이 통신 시스템에서 완화될 수 있는 공유된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개량된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의 개요가 그 기초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시되고, 이 개요는 본 발명의 광범위한 개요는 아니고, 본 발명의 특정 요소를 식별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범주를 서술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오히려, 이 개요의 주 목적은 이하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앞서 간단한 형태로 본 발명의 몇몇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와 연관된 자원 또는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이 디바이스에 다중값 패턴의 형태의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제공하는, 공유된 자원의 액세스 또는 이용(이하, 이용이라 총칭함, 여기서 "이용"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신규한 액세스 또는 액세스 시도, 뿐만 아니라 이미 액세스되어 있는 자원의 지속적인 사용 등을 포함하는 자원의 임의의 사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됨)을 제어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값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의 특정 형태에 무관하게 임의의 유형의 자원 및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고, 여기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자원을 사용하려고 시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자원과 작동적으로 연관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또는 자원으로부터 수신된 값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한다. 자원 부하는 현재의 자원 이용 부하에 따라 연산된 스케일링 팩터(scaling factor)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이한 레벨의 어퍼시스턴스 스로틀링(throttling)이 현재의 이용량(또한 이하에 실제 이용, 측정된 이용, 또는 예측된 이용이라 칭하고, 스로틀링이 구현되기 전에 클래스 내의 모든 디바이스에 의한 총 시도된 이용 비율을 의미할 수 있음)이 높은지 또는 낮은지의 여부에 따라 이용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은 다중 엔트리 패턴에서의 엔트리로서 제공된다. 높은 부하 상황에서, 패턴 엔트리는 이용을 효과적으로 스로틀링하여, 이에 의해 디바이스 이월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향상된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얻는 차단 및 비차단 값을 포함한다.
자원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현재의 측정된 또는 예측된 도입 처리량에 의해 소정의 처리량을 나눔으로써, 또는 소정의 처리량에 의해 측정된 또는 예측된 도입 처리량을 나눔으로써, 또는 자원의 부하량이 변화함에 따라 변경하는 현재의 이용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임의의 다른 값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스케일링 팩터는, 스케일링 팩터가 스로틀링이 요구되지 않는 범위에 있는지 또는 자원 스로틀링이 이용되어야 하는 다른(더 높은 이용)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임계값에 비교된다. 스케일링 팩터가 저하되는 범위에 따라, 상이한 어퍼시스턴스 패턴값이 스로틀링 없음, 적당한 스로틀링 및 적극적인 스로틀링(aggressive throttling) 등을 구현하도록 경합 하에서 자원을 이용하려고 시도하는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낮은 부하 상황(예를 들면, 일 예에서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임계값을 상회함)을 지시하는 제 1 범위에서의 스케일링 팩터에 대해, 비방해(unimpeded) 패턴 엔트리값은 모든 디바이스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제 1 범위보다 더 높은 현재의 이용량 부하에 대응하는 스케일링 팩터의 제 2 범위에 대해, 어퍼시스턴스 패턴은 임의의 디바이스가 대응 액세스 사이클에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값, 뿐만 아니라 패턴 윈도우의 다른 액세스 사이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2 범위는 제 1 및 제 2 부분으로 더 세분화될 수 있고, 제 2 부분은 제 1 부분보다 더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고, 적당한 스로틀링은 제 1 부분 내의 특정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이용되고(예를 들면, 제 1 임계값과 제 2 더 낮은 임계값 사이), 더 적극적인 스로틀링이 제 2 범위의 제 2 부분 내의 스케일링 팩터값에 대해 이용된다(예를 들면, 제 2 임계값 미만의 스케일링 팩터). 이 경우, 패턴은 제 3 범위 내의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대한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비차단 엔트리는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된 값을 갖는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서, 스케일링 팩터는 소정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현재의 예측된 또는 측정된 도입 이용으로서 연산될 수 있고, 1.0의 값은 현재의 예측된 또는 측정된 부하가 소정의 레벨과 동일한 것을 지시하고, 더 높은 스케일링 팩터는 더 높은 도입 이용(더 높은 부하)을 지시한다. 현재의 예측된 또는 측정된 도입 부하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자원 부하를 표현하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사용하는 동등한 실시예에서, 단위 스케일링 팩터는 현재의 예측된 또는 측정된 부하가 소정의 레벨에 동일한 것을 지시하고, 더 낮은 스케일링 팩터는 더 높은 부하 상황을 지시한다. 이 경우, 제 1 범위는 제 1 임계값보다 큰 스케일링 팩터를 포함하고, 비방해 엔트리는 어퍼시스턴스 패턴에 제공된다.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일 구현예에서 1.0 이하와 같은 제 1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 어퍼시스턴스 패턴은 대응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및 그 액세스 사이클에서 임의의 디바이스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값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 예시되고 설명되는 일 구현예에서,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예를 들면, 제 1 임계값(1.0)과 제 2 임계값(0.5) 사이, 여기서 제 2 임계값은 제 1 임계값보다 더 높은 자원 부하를 지시함]에서의 측정된 또는 예측된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에 동일한 스케일링 팩터에서, 차단 엔트리는 비방해 엔트리 사이에 분산되고(예를 들면, 엔트리는 대응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및 그 액세스 사이클에서 모든 디바이스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허용함), 패턴 내의 총 엔트리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비율은 적당한 양의 스로틀링을 제공하도록 측정된 또는 예측된 현재의 이용량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제 2 임계값 미만의 더 낮은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서(예를 들면, 제 1 부분보다 더 높은 자원 부하를 갖는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서), 패턴은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고, 비차단 엔트리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된 어퍼시스턴스 값을 갖고, 패턴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대한 비차단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제 2 임계값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이 기술은 단일 또는 다중 클래스 구현예에 대해 향상된 자원 이용을 제공하도록 이미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실패한 일부 또는 이월 디바이스를 소거하기 위해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EVDO 또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수의 디바이스가 경합 하에서 자원의 사용을 위해 경합하는 임의의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자원 이용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신규한 방법은 소정의 이용량 및 현재의 이용량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자원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값은 현재의 이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변경된다. 스케일링 팩터는 무선 시스템 기지국과 같은 데이터 전달 시스템에 대한 처리량에 기초할 수 있거나 또는 자원의 부하(이용)의 임의의 다른 측정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소정의 이용량이 결정되고(예를 들면, 최번시 호 시도 또는 BHCA의 처리량), 현재의 부하 또는 다른 이용량이 이전의 어퍼시스턴스 윈도우 기간에 대해 측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정되고(예를 들면, 도입 처리량 트래픽 BHCA, 측정된, 예측된 등), 현재의 윈도우에 대한 스케일링 팩터는 측정된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으로서 계산된다. 시스템은 복수의 상이한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에 대해 다중 우선순위 클래스를 지원하고, 클래스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갖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음에, 엔트리는 EVDO 구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통신 디바이스로의 주기적인 방송 메시지에서와 같은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 각각의 갱신 사이클에서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은 자원 이용을 요구하는 디바이스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사이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엔트리를 갖는 패턴이 다중 갱신 사이클 패턴 윈도우에서 개별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한다. 상이한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가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면,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각각의 패턴 윈도우에서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생성된다. 이러한 다중 클래스 실시예에서, 상이한 윈도우 길이가 상이한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사용될 수 있고, 클래스 윈도우의 시작은 엇갈릴 수도 있다. 패턴(또는 클래스 패턴)은 대응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자원 부하에 대응하는 제 1 범위에 있는 경우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스케일링 팩터가 실제(예를 들면, 측정된 또는 예측된) 부하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부하의 비율로서 계산되는 일 예에서, 제 1 범위는 모든 디바이스가 낮은 부하 상황에 대해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 1 임계값(예를 들면, 현재의 이용량이 소정량보다 작은 경우 1.0의 임계값을 사용하여)보다 큰 스케일링 팩터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가, 차단 엔트리가 패턴 내의 비차단 엔트리 사이에 최대로 분산되어 있는 더 높은 부하 상황(예를 들면,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임계값 이하의 값의 제 2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예를 사용하여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부하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부하의 비율로서 계산됨)이 패턴에 삽입된다. 후술되는 구현예에서,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임계값 이하이지만 제 2 임계값보다 크면(예를 들면, 0.5, 여기서 스케일링 팩터는 제 1 범위보다 더 높은 부하이지만 제 2 범위의 제 2 부분보다 낮은 부하를 표현하는 제 2 범위의 제 1 부분 내에 있음),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총 엔트리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비율은 적당한 양의 시스템 스로틀링을 제공하도록 현재의 이용량(본 예에서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와 동일함)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임계값 이하이면(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서 더욱 더 높은 부하), 소정 클래스에 대한 패턴은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고, 비차단 패턴 엔트리는 더 적극적인 스로틀링을 제공하도록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된 값을 갖고, 총 엔트리에 대한 비차단 엔트리의 비율은,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이용량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로 규정되는 예에서의 제 2 임계값에 수치적으로 동일한 제 2 임계값에서의 현재의 이용량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자원 내에 통합되거나 또는 그와 다른 방식으로 작동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현재의 이용량에 기초하여 자원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값은 현재의 이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변경된다(예를 들면, 자원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 및 현재의 이용량을 결정하고, 이하의 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으로서 평균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계산함으로써).
시스템은 또한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패턴은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자원 부하 상황(예를 들면, 상기 예시적인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임계값보다 큼)에 대응하는 제 1 범위 내에 있으면 비방해 엔트리를 갖고 형성되고, 그렇지 않으면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예를 들면, 더 높은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범위 내의 스케일링 팩터에 대해)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이용량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로 규정되는 일 간단한 구현예에서,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총 엔트리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비율은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적당한 스로틀링에 대해 제 1 임계값 이하이고 제 2 임계값보다 크면(예를 들면,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범위의 제 1 부분 내에 있음)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임계값 이하이면(예를 들면, 제 2 범위의 제 2 부분 내에), 패턴은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를 갖고 구성되고, 여기서 비차단 엔트리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된 값을 갖고, 패턴 내의 총 엔트리에 대한 비차단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제 2 임계값에 따라 결정된다.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이용량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과 동일해야 하는 특정예에 대한 제한은 없고,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이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클래스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고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한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고,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제공하는 다중 클래스 우선순위화 시스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복수의 이동 통신 유닛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과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기지국에 통합될 수 있는, 이동 통신 유닛에 의한 기지국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자원을 제공한다.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은 기지국 자원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뿐만 아니라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패턴은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자원 이용을 지시하는 제 1 범위 내에 있으면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다른 경우에는 더 높은 부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를 포함한다.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은 또한 현재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으로부터 이동 통신 유닛에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가 수행될 수 있는 다수의 예시적인 방식을 지시하는 본 발명의 특정 예시적인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경합의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을 갖는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자원을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상세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대응 엔트리를 갖는 다수의 예시적인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개략도.
도 5는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과 작동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다수의 이동 통신 유닛을 위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 자원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개략도.
도 6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한 후에 이용을 시도하기 위해 모바일 유닛으로부터 기지국 자원으로의 호 개시 시도 메시지 뿐만 아니라 어퍼시스턴스 특성을 포함하는 도 5의 모바일 유닛 통신 디바이스로의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메시지를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및 제 2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방송 메시지를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개략도.
도 8은 도 7의 방송 메시지로부터의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사용하여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로직을 갖는 EVDO 호환성 휴대폰과 같은 예시적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 또는 유닛을 도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개략도.
도 9는 도 8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
도 10은 테스트에 실패하여 재시도하도록 남아 있는 디바이스의 수가 비방해 어퍼시스턴스 엔트리가 제공될 때 액세스 사이클로부터 액세스 사이클로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이어서 차단값이 제공될 때 저하되는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경험하는 낮은 우선순위 디바이스의 수를 도시하고 있는 플롯.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10)이 도시되어 있다. 방법(10)은 일반적으로 단계 14 내지 18에서 자원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고, 단계 22 또는 30에서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값에 따라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고, 그 후에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은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갱신 사이클에서 단계 40에서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로 제공되고, 방법(10)은 이어서 다음의 윈도우에서 반복된다. 방법(10) 및 본 발명의 방법은 일련의 동작 또는 이벤트로서 예시되어 후술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은 이러한 동작 또는 이벤트의 예시된 순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몇몇 동작 또는 이벤트는 다른 순서로 그리고/또는 본 발명에 따라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된 것들과는 별개의 다른 동작 또는 이벤트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예시된 모든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요구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방법은 예시된 통신 시스템, 메시지 및 사용자 장비 또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예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장치와 연관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모든 이러한 대안은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서 고려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 자원(50)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80)에 의한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이하의 도 2의 예시적인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60)에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다수의 디바이스가 그와 연관된 자원 또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어퍼시스턴스 특성을 사용하여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공유된 자원 또는 자원의 풀을 이용하도록 시도하는 다른 시스템과 연관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방법(10)은 각각의 갱신시에 액세싱 디바이스에 값의 패턴으로부터 제공되고 있는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갖는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을 포함하는 단일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에 대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갱신 사이클에서, 디바이스는 후술되는 예에서 하나 이상의 액세스 사이클에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회수에 자원을 이용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디바이스가 동기식으로 또는 비동기식으로 액세스를 시도하던 간에 그리고 디바이스가 어퍼시스턴스 갱신마다 1회 또는 소정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다수회 시도하던 간에 임의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무선 EVDO Rev. A와 관련하여 후술될 것이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갖는 통신 시스템은 매 액세스 채널 사이클마다 1회 개별의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동기화되고(예를 들면, 예시된 예에서는 대략 매 0.106초마다 1회), 자원(예를 들면, EVDO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매 8회의 액세스 사이클(예를 들면, 1회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8회 액세스 채널 사이클)마다 그리고 패턴 윈도우마다 8회의 갱신 사이클에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예를 들면, 또는 시스템에 의해 지원되는 대응하는 복수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한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방송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수의 액세스 또는 갱신 사이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턴 윈도우에서의 갱신 사이클의 수는 각각의 클래스 내에서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상이한 우선순위 클래스가 지원되는 경우, 개별 디바이스는 적절한 클래스에 대해 생성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이용하고, 여기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은 소정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적용 가능한 값을 포함하는 클래스 패턴의 생성을 제공하고, 여기서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각각의 패턴 윈도우에서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클래스 구현예에서, 클래스 윈도우는 엇갈린 형태일 수 있고 동일한 길이를 가질 필요는 없고, 패턴 윈도우 길이는 또한 단일 및 다중 클래스 실시예에 대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신규한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또는 클래스 패턴 윈도우)는 도 1의 단계 12에서 시작하고, 소정의 이용량(예를 들면, 예시적인 EVDO 이동 통신 구현예에서는 최대 요구 처리량)은 단계 14에서 결정된다. 소정의 이용량은 예를 들면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관리 요소로부터(예를 들면, 기지국 자원 등과 연관된 네트워크 스위칭 요소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 내의 임의의 수단에 의해 임의의 적합한 소스로부터 얻어질 수 있고, 여기서 소정값은 다중 클래스 구현예에 대해 각각 지원된 클래스에 대한 소정의 이용량값을 포함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정격 처리량을 표현할 수 있고, 소정의 이용량은 때때로 수동으로 또는 다른 시스템 관리 요소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예시된 후술되는 예에서, 예를 들면 기지국 자원은 시간당 호의 단위의 6500회의 최번시 통화 시도수(BHCA)의 총 목표 처리량 부하를 갖지만, 임의의 적합한 소정의 자원 이용 측정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6에서, 현재의 이용량이 결정되고, 이는 실제, 예측된 또는 추정된 현재의 자원 이용(예를 들면, 현재의 처리량)을 표현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얻어진 임의의 적합한 값 또는 이전의 윈도우에서의 이용의 추정 및/또는 측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도입 트래픽 처리량은 선행의 패턴 윈도우 또는 다른 적합한 측정 기간에서 측정되고, 측정된 평균 처리량은 현재의 윈도우에 대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들)을 생성할 때 단계 16에서 현재의 이용량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에, 이용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면, 예시된 구현예에서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가 일 예에서 소정의 및 현재의 이용량의 비율로서 자원에 대해 단계 18에서 계산된다. 예를 들면 스케일링 팩터값의 상이한 범위에 따라 선택적 패턴 생성을 구현하기 위해 후술되는 임계값에 대한 대응 변화를 갖는[예를 들면, 낮은 이용에 대해 스로틀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고,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해 스로틀링이 더 많음] 소정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현재의 이용량의 비율과 같은 다른 자원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계산된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예시된 예에서 1.0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값일 수 있는 제 1 임계값(TH1)과 비교된다. 단계 20에서의 비교는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낮은 부하 범위에 있는지 제 2 더 높은 이용 부하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시된 예에서, 스케일링 팩터는 도입 이용의 감소에 따라 증가하고, 단위 스케일링 팩터는 동일한 소정의 및 도입 처리량을 지시하고, 1.0 초과의 스케일링 팩터는 제 1 범위 내에 있고, 임계값 미만의 다른 값들은 제 2 더 높은 현재의 이용량 부하 범위에 있다. 이동 통신 기지국 자원에 대한 특정 적용에서,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이전의 패턴 윈도우의 측정된/예측된 BHCA에 의해 나눠진 목표 BHCA의 비율이다. 이와 관련하여, 1.0 초과의 스케일링 팩터는 자원 스로틀링을 위한 요구가 없는 낮은 자원 부하 조건을 지시하고, 더 낮은 값은 소정의 처리량보다 더 많은 현재의 요구를 지시하고, 이 경우 자원 이용 스로틀링의 하나 이상의 레벨이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된다. 예시된 예에서, 더 높은 부하 상황이 적당한 또는 더 많은 적극적인 스로틀링이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예를 들면,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범위의 제 1 또는 제 2 부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제 2 더 낮은 임계값(예를 들면, 0.5)에 스케일링 팩터를 비교함으로써 선택적으로 관리된다. 스케일링 팩터가 소정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실제(또는 예측된) 도입 이용으로서 대안적으로 연산되는 경우에는, 2.0의 등가의 제 2 임계값이 사용될 수 있고, 1.0 미만의 스케일링 팩터에 대해서는 스로틀링이 사용되지 않고, 1.0과 2.0 사이의 값에서는 적당한 스로틀링이 사용되고, 2.0 초과의 스케일링 팩터에 대해서는 더 적극적인 스로틀링이 사용된다. 다른 이용 팩터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고, 여기서 스케일링 팩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현재의 이용량(측정된, 예측된 등) 및 소정의 이용량에 기초하고, 스케일링 팩터는 현재의 이용량 변화에 따라 변경(증가 또는 감소)된다.
본 예에서, 스케일링 팩터(ATSF)가 제 1 임계값(TH1)보다 큰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단계 20에서 이루어진다. 만일 판정이 이루어지면[단계 20에서, 예(YES)], ATSF는 제 1 범위 내에 있고, 방법은 비방해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갖는 현재의 패턴 윈도우에 대해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이 생성되는 단계 22로 진행하고, 엔트리는 이어서 예를 들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지국 자원(50)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80)로 송신된 방송 메시지(82)에서 단계 40에서 현재의 윈도우의 각각의 갱신 사이클에서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그러나, 스케일링 팩터(ATSF)가 임계값(TH1) 이하이면[도 1의 단계 20에서 아니오(NO), ATSF가 제 2 더 높은 부하 범위에 있음],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하나 이상의 비방해 엔트리와 함께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를 포함하는 현재의 패턴 윈도우에 대해 단계 30에서 생성되고, 엔트리는 단계 40에서 현재의 윈도우의 각각의 갱신 사이클에서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이러한 차단 엔트리는, 어퍼시스턴스 테스트의 수행시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때 디바이스가 테스트를 실패하게 하고 따라서 대응 갱신 사이클 및 그 임의의 액세스 사이클에서 디바이스에 의한 이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엔트리이다. 다음에, 어퍼시스턴스 윈도우는 단계 42에서 완료되고, 방법(1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음의 패턴 윈도우에 대해 반복된다. 이 시점에서, 자원이 다중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에 의해 우선순위화된 이용을 지원하는 경우에, 상기 절차는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사용되고,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단계 22 또는 30에서 생성되고, 그 값이 단계 40에서 디바이스에 제공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2는 다수의 이동 통신 디바이스(80)를 서비스하는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자원(5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몇몇 디바이스(80a)는 제 1 우선순위 클래스(예를 들면, 높은 우선순위)를 갖고, 다른 디바이스(80b)는 제 2 클래스(본 예에서는 낮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자원(50)은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명세서에 설 명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ACS)(60)을 포함한다. 어퍼시스턴스 제어는 디바이스(80)에 제공된 어퍼시스턴스 값의 동적 제어를 위한 시스템(60)과 같은 자동화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수동으로 또한 이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60)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가능 로직 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모든 이러한 변형 구현예는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제어 시스템(60)이 관련 자원(50) 내에 물리적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배치되지 않고, 대신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자원과 작동적으로 결합된 스위칭 요소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의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SC(60)는 기지국(50)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이와 달리 기지국 자원(50)과 작동적으로 연관되는 네트워크 서버(92)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60)은 두 개의 클래스에 대해 측정된 처리량(54a, 54b)과 함께 소정의 처리량 값(52a, 52b)을 수신하고, 연산 서브시스템(62)(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조합)은 제 1 및 제 2 클래스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이용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면,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1, ATSF2)](64a, 64b)를 생성한다. 예시된 예에서, 개별 스케일링 팩터(64)는 대응 클래스에 대한 측정된 처리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처리량으로서 서브시스템(62)에서 연산된다.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64)는 제 1 임계값(TH1)(68a) 및 제 2 임계값(TH2)(68b) 각각과 함께 비교 및 로직 서브시스템(66)에 제공되고, 서브시스템(66)은 제 1 및 제 2 클래스 각각에 대해 어퍼시스턴스 값 패턴(70a, 70b)을 생성한다. 다중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제 1 및 제 2 임계값의 상이한 세트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60)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하는데, 이하의 도 4a 내지 도 4d는 두 개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한 클래스 패턴을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정보의 다수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자원(50)은 예를 들면 기지국 자원(50)을 사용하여 호를 개시하려고 선택적으로 시도하기 위해 디바이스(80)에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수행할 때의 어퍼시스턴스 로직 시스템(90)에 의해 사용을 위한 갱신 사이클 기간에서 전송된 방송 메시지에서 패턴(70)으로부터 디바이스(80)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 또는 엔트리를 제공한다.
EVDO 이동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자원의 이용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선순위화된 또는 단일 클래스 자원 관리가 복수의 디바이스 중에서 공유되는 임의의 단일 자원 또는 다수의 자원에 대한 잠재적인 경합을 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무선, 유선, LAN, WAN, WIMAX, 블루투스 등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 및 모든 형태의 매체와 연관하여 효용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그와 연관된 자원(50) 또는 제어 시스템(60)은 디바이스에 어퍼시스턴스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무선 구현예에서, 예를 들면 기지국 자원(50)은 공지의 무선 통신 기술 및 장치를 사용하여 방송 메시지에서 이동 통신 디바이스(80)에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을 송신한다. 통신 매체가 대칭 전파 특성을 가져 디바이스로부터 자원(들)으로의 통신이 역방향(예를 들면, 무선 LAN 등)으로의 통신과 잠재적으로 물리적으로 간섭하는 상황에서, 병렬 LAN과 같은 제 2 병렬 통신 매체가 혼잡 트래픽(busy traffic)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경합의 자원으로부터(또는 그와 작동적으로 연관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어퍼시스턴스 정보를 전달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통신 매체가 대칭적이지 않은 상황에서(예를 들면, 무선), 2차 병렬 매체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EVDO Rev. A 기지국 자원(50)(도 5) 및 EVDO 호환성 이동 통신 유닛(80)의 예에서, 기지국(50)은 예시된 예에서 제 1 및 제 2(예를 들면, 높은 및 낮은) 우선순위에 대응하는 어퍼시스턴스 값(204a, 204b)(도 4a 내지 도 4d)을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82)(도 6 및 도 7)를 디바이스(80)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예를 들면,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중에 적어도 1회). EVDO의 경우에, 최대 4개의 상이한 클래스가 지원될 수 있고, 임의의 수의 클래스가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두 개의 클래스만이 단지 예시를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더욱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은 제 1 및 제 2 클래스에 대해 각각 "n1" 및 "n2"로서 나타내고 있고, 각각의 "n"값은 0 내지 63을 포괄하는 범위의 정수이지만, 다른 값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EVDO 모바일 유닛(80)(도 8)은, 도 9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디바이스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적절한 "n"값을 사용하여 어퍼시스턴스 테스트(400)를 구현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로직 또는 펌웨어(90)를 포함한다. 어퍼시스턴스 특성값("n")은 적절한 어퍼시스턴스 갱신이 기지국 자원(50)으로부터 방송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단계 401에서 수신되고, 어퍼시스턴스 테스트(400)는 본질적으로 갱신으로부터 비동기식으로 동작한다. 디바이스 어퍼시스턴스 테스트(400)는 단계 402에서 시작되고, 여기서 디바이스(80)는 기지국 방송 메시지(82)에서 전송된 가장 최근에 수신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n"값)(204)을 단계 404에서 획득하고 단계 4406에서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ITSF)(=p=2-n/4)를 연산한다. 랜덤 수 "x"가 단계 408에서 생성되고(예를 들면, 0 내지 1을 포괄하는 범위), "x"값은 디바이스(80)가 이용을 시도해야 하는지 여부(예를 들면, 현재의 액세스 사이클에서 호 시도를 개시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단계 410에서 ITSF(p)와 비교된다. 테스트가 실패하면(예를 들면, x가 p 이상인지에 대해 단계 410에서 아니오), 방법(400)은 단계 404로 복귀되고, 다른 테스트가 후속의 액세스 사이클에서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 410에서 예), 이용 시도가 단계 412에서 이루어지고, 성공적이면(단계 420에서 예), 어퍼시스턴스 방법(400)은 단계 430에서 종료된다. 시도가 비성공적이면(단계 420에서 아니오), 어퍼시스턴스 방법(4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단계 404에서 다른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복귀된다.
예를 들면, n=8이면, 어퍼시스턴스 로직(90)은 랜덤하게 생성된 수(x)를 ITSF=2-8/4=0.25와 비교한다. x<0.25이면, 모바일 디바이스(80)는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허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디바이스(80)는 다시 재시도하기 위해 다음의 액세스 사이클을 대기해야 한다. 이용 시도가 허용되기 전에 디바이스(80)가 경험하고 실패하는 최대수의 어퍼시스턴스 테스트(예를 들면, 4/p)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n=8인 일 예에서, 디바이스(80)는 15 테스트 실패 후의 제 16 사이클에서 액세스를 시도하도록 허용된다. n=0에 대해, 모바일 유닛(80)은 어퍼시스턴스 테스트(400)를 통과하는 것이 보장되고, 이 어퍼시스턴스 특성값은 "비방해"이라 칭한다는 것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n=63일 때, 로직(90)은 시도를 차단하고, 어퍼시스턴스 테스트(400)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n=63)은 "차단" 엔트리값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칭하고, 이는 소정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80)에 의한 기지국 자원(50)의 호 시도 액세스 또는 다른 이용을 본질적으로 차단한다. 비방해 엔트리값(n=0)을 포함하는 0과 63 사이의 다른 n 값은 "비방해" 값이라 칭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 결과는 해당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랜덤 수("x")와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n" 값에 따라 소정의 디바이스에서 결정된다. 소정의 디바이스(80)가 소정의 액세스 사이클의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통과하는 경우, 기지국 자원(50)을 사용하여 호를 개시하도록 시도하는 이동 통신 디바이스(80)와 같이, 자원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자원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디바이스(80)는 어퍼시스턴스 테스트가 통과될 때 단일 논리 시도에 대응하는 다중의 물 리적 이용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EVDO Rev. A 표준에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려고 시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80)는 최대수의 실패된 시도가 도달할 때까지 또는 액세스가 호를 개시하는 것을 성공할 때까지 증가하는 전력 레벨에서 다중 액세스 프로브를 기지국(50)에 송신할 수 있다.
이제, 도 3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도 3a 및 도 3b는 무선 기지국 자원[상기 자원(50)]에 대한 동적 이용 제어를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의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된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204)를 갖는 제 1 및 제 2 클래스에 대한 패턴(70a, 70b)을 포함하는 다수의 예시적인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정보 세트(200)를 도시하고 있다.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는 도 3a에서 단계 102에서 시작되고, 다양한 예시적인 패턴 윈도우(202)가 각각 8개의 엔트리(204)를 갖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패턴(200)이 각각의 패턴 윈도우(202)에 대해 8개의 엔트리(204)를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윈도우 길이[예를 들면, 윈도우(202)마다의 특성 엔트리(204)의 수]는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패턴 윈도우(202)마다의 엔트리(204)의 수는,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범위(예를 들면, 제 1 임계값 미만)에 있는 경우에 대해 엔트리(204)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분포 및 교번값을 제공할 수 있는 최소 정수로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례의 조밀도는 변화하는 부하 조건에 동적으로 응답하는 능력에 대해 평형화될 수 있고, 이는 다수의 상이한 클래스 패턴이 비방해 엔트리(204) 내의 차단 엔트 리(204)의 분포에 대해 상이한 분포 비례값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과 함께, 윈도우 크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고려 사항일 수 있다. 게다가, 상이한 클래스에 대한 패턴이 상이한 윈도우 길이를 갖는 구현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이한 클래스에 대한 패턴은 시간상으로 엇갈리거나 또는 오프셋될 수 있는데, 이는 상이한 클래스를 가로지르는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경험하는 차단된 디바이스의 축적을 완만하게 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a의 어퍼시스턴스 패턴 정보(200a)는 제 1 임계값(TH1=1.0)을 상회하는 낮은 자원 부하 조건[예를 들면, 도 2의 ATSF1(64a) 및 ATSF2(64b)]과 연관된 제 1 범위에서 스케일링 팩터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204a, 204b)(예를 들면, n=0)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예를 들면, n=63)는 상기 방법(10)에서와 같이 더 낮은 스케일링 팩터값[예를 들면 스케일링 팩터(64) 중 하나 또는 모두가 1.0 이하의 범위를 갖는 제 1 범위 외에 있는 경우]에 대한 클래스 패턴(들)으로 도 4b 내지 도4d에 포함되어 있다. 이 방식으로, 방법(100)은, 대응 클래스 이용 스케일링 팩터(ATSF)가 차단 엔트리(204)가 패턴(70)[예를 들면, 도 4b의 패턴(7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에서 비방해 엔트리(204) 사이에 최대로 분산되어 있는 TH1(68a) 미만인 제 2 더 높은 부하 범위에서 스케일링 팩터에 대한 클래스 패턴(70)에서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204)(n=63)를 제공한다. 더욱이, 이 구현예에서, 클래스 2 이용 스케일링 팩터(ATSF2)가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일 예에서, TH1 이하이지만 제 2 임계값(TH2=0.5)보다는 큼]에 있으면, 도 4b의 정보(200b)에서의 대응 패턴(70b)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 리(204b)(n=63)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방해 엔트리(n=0)를 포함하고, 총 엔트리(204b)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비율은 적당한 양의 시스템 스로틀링을 제공하도록 현재의 처리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처리량의 비율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더욱이,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ATSF2)가 TH2 이하이면, 정보(200c, 200d) 내의 클래스 패턴(70b)은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204b)(도 4c 및 도 4d)를 포함하고, 비차단 패턴 엔트리는 현재의 도입 처리량의 적극적인 스로틀링을 위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된 값을 갖는다.
최대 소정의 처리량은 단계 104에서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결정되고, 도입(예를 들면, 현재의) 처리량은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단계 106에서 결정된다. 다음에,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가 단계 108에서 각각의 클래스에 대한 도입 처리량에 의해 소정의 처리량을 나눔으로써 단계 108에서 계산된다. 다음에, 각각의 클래스에 대한 ATSF는 단계 110에서 제 1 임계값(TH1)(예를 들면, 1.0)에 비교되고, 클래스에 대한 ATSF가 TH1보다 크면(단계 110에서 예), 방법(100)은 도 3b에서 단계 112로 진행되고, 여기서 해당 클래스가 비방해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도록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이 생성된다. 도 4a는 특성값(n=0)을 갖는 모든 비방해 엔트리(204a, 204b)를 각각 포함하는 패턴(70a, 70b)을 갖는 패턴 정보(200a)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방법은 도 3a에서 단계 140으로 진행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 또는 엔트리가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기간에서 패턴으로부터 디바이스에 제공되고, 패턴 윈도우는 단계 142에서 종료된다.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가 제 1 임계값(TH1) 이하인 경우(도 3a의 단계 110에서 아니오), 방법(100)은 단계 120으로 진행되고, 여기서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임계값(예를 들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0.5)보다 큰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만일 크면(단계 120에서 예),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는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고, 방법(100)은 도 3b의 단계 122로 진행되고, 여기서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204)(n=63) 및 하나 이상의 비방해 엔트리(204)(n=0)를 포함하는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패턴(70)이 생성되고, 총 엔트리(204)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비율은 현재의 처리량으로 나눠진 소정의 처리량의 비율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차단 엔트리(204)는 선택적으로 도 3b의 단계 124에서 비방해 엔트리(204) 사이에 최대로 분산될 수 있고, 방법은 도 3a의 단계 140으로 진행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 특성값 또는 엔트리가 전술된 바와 같이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기간에 패턴(70)으로부터 디바이스(80)에 제공된다. 도 4b는 클래스 1에 대한 스케일링 팩터(ATSF1)가 1.0을 상회하고 모든 비방해 엔트리(204a)(n=0)가 제 1 클래스 패턴(70a)에 있고, 클래스 2에 대한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가 0.5 내지 1.0 사이의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고 제 2 클래스 패턴(70b)이 6개의 비방해 엔트리(204b)(n=0)를 갖고 최대로 삽입되거나 또는 분산되어 있는 두 개의 차단 엔트리(204b)(n=0)를 갖는 상황에서의 예시적인 패턴 정보(200b)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는 정확하게 0.75이고, 패턴(70b) 내의 8개의 엔트리(204b)의 총수에 대한 6개의 비방해 엔트리(204b)의 비율은 스케일링 팩터(ATSF2)에 비례하지만, 정확한 비례가 요구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윈도우 길 이는 향상된 비례를 제공하도록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여기서 조정은 모든 클래스 또는 상이한 클래스가 상이한 윈도우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지만, 더 짧은 윈도우 길이가 일반적으로 시스템(60)의 더 양호한 동적 응답이 자원(50)에서의 이용 조건을 변화시키도록 허용될 수 있고, 따라서 다수의 구현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b의 이 조건은 제 2 클래스(0.5 내지 1.0 사이의 ATSF2)에 대한 트래픽의 적당한 스로틀링을 제공하고, 반면 더 높은 우선순위 트래픽(1.0 초과의 ATSF1)은 방해받지 않는다.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ATSF)가 여전히 더 높은 이용 부하에 대응하는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고, 제 2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임계값(TH2) 이하인 제 3 상황이 존재한다(도 3a의 단계 120에서 아니오). 이 경우, 방법(100)은 더 적극적인 스로틀링을 위해 도 3b의 단계 130으로 진행한다. 예로서, 0.105의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에 대해, 교번적인 차단 및 비차단 엔트리(204)를 포함하는 클래스 패턴(70b)이 단계 130에서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이 특징의 더 일반적인 경우에, 총 패턴 엔트리에 대한 비차단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제 2 임계값에 실질적으로 비례하고(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일 때), 적극적인 차단 클래스 패턴은 차단 엔트리가 모든 다른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마다 발생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기서는 이는 제 2 임계값(TH=0.5)을 갖는 경우이다. 0.333인 제 2 임계값(TH2)을 갖는 다른 예에서, 적극적인 스로틀링 클래스 패턴(70)은 각각의 패턴 윈도우 내의 총 3개의 엔트리에 대한 비차단 사이클로 이어지는 두 개의 차단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고, 패턴 윈도우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대한 비차단 엔트리의 비율은 제 2 임계값(TH2)에 대략 비례하고, 비차단 엔트리 내의 어퍼시스턴스 값은 클래스(ATSF)에 따라 결정된다. 제 2 임계값(TH2=0.667)을 갖는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적극적인 차단 클래스 패턴은 두 개의 비차단 엔트리를 갖고, 이어서 3개의 엔트리의 각각의 패턴 내의 차단 엔트리를 갖고, 비차단 엔트리 내의 어퍼시스턴스 값은 ATSF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현재의 이용량의 증가에 의해 감소되는 예시된 경우에,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은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의 비가 넘버(K) 이하인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K는 0보다 크고 1.0 이하인 미리 결정된 임계 넘버(예를 들면, 상기 예에서 TH2)이다. 이 경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는 경우에는, 패턴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의해 나눠진 비차단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실질적으로 K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제 2 임계값은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이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서, 비차단 엔트리의 값은 클래스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비차단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값의 결정은 식, 룩업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비차단 값은 소정 방식으로 클래스(ATSF)에 관련된다. 이하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n"값(0 내지 62의 값에 대해 칼럼 1), 순시 스케일링 팩터값(ITSF)(=p=2-n/4)(칼럼 2), 디바이스(80)가 이용을 시도하기 전의 실패된 시도의 선택적인 최대수(칼럼 3), 순시 폭(칼럼 4에서 1/p) 및 대응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 및 왕복 1/ATSF(각각 칼럼 5 및 6)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EVDO Rev. A 표준에서 거의 모든 가능한 값에 대한 값들은 다음 표에 나타나 있는데, 여기서 n=63인 경우는 모바일 디바이스(80)가 이용의 임의의 시도를 억제하도록 명령하고, 디바이스(80)는 일반적으로 이 경우에 있어서 그 실패에 대해 상위 소프트웨어 레이어에 통지하도록 동작한다(예를 들면, 따라서 n=63은 EVDO Rev. A 예에서의 "차단" 값임). 칼럼 4는 제 2 칼럼에서의 ITSF "p" 값의 의미에 대한 감각을 제공하고, 여기서 예를 들면 n=23, p=0.018581은 지연이 53.8의 팩터에 의해 액세스 시도를 효과적으로 확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1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2
도 4c는 클래스 1 스케일링 팩터(ATSF1)가 TH1을 상회하여 남아 있고 대응 패턴(70a)이 모든 비방해 엔트리(204a)(n=0)를 포함하고, 반면에 현재의 도입 클래스 2 트래픽이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가 약 0.105인 지점으로 증가되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에 따라 결정되는 값(본 예에서는 n=17)을 갖는 교번적인 차단 엔트리(204b)(n=63) 및 비차단 엔트리(204b)를 포함하는 제 2 패턴(70b)이 도 3b의 단계 130에서 구성된다. 기지국 자원(50)에서, 상기 표 1과 같은 표가 유지될 수 있고, ATSF2 값이 결정될 때(예를 들면, 현재의 도입 및 소정의 처리량에 기초하여), "n"의 값은 그에 따라 비차단 패턴 엔트리(204b)에 대해 선택된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ATSF2(예를 들면, 0.1048)에 가장 근접한 값은 제 5 칼럼에 배치되어 있고, 대응 "n" 값이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턴(70b)에서 비차단 엔트리(204b)에 대해 사용된다(예를 들면, n=17). 이 경우에, 클래스 2 디바이스(80)는 순시 스케일링 팩터(ITSF)(=p=-17/4=0.0526)를 개별적으로 연산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따라서 두 개의 클래스가 상이한 스로틀링의 레벨에서 동작하고, 이에 의해 공유된 기지국 자원(50)으로의 이용의 우선순위화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 어퍼시스턴스가 모든 다른 사이클마다 효과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되는[예를 들면, 기지국 자원(50)이 교번적인 차단 및 비차단 패턴 엔트리(204)를 제공함] 적극적인 스로틀링에 대한 일 가능한 상황에서, 예시적인 이동 통신 디바이스(80)에서 작동 가능한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ITSF)와 EVDO Rev. A 기지국 자원(50)에서 계산된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본질적으로, 목적은 소정의 사이클에서 어퍼시스턴스 테스트에 실패한 디바이스(80)의 수를 다음 사이클로 전달을 수행하고 어퍼시스턴스 테스트의 신규한 도입 시도에 이를 합산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R은 사이클당 이용 시도의 비율인 것으로 가정한다. p는 전술된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ITSF)이다(예를 들면, 표 1에서 칼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VDO Rev. A에서 p=2-n/4). 단지 디바이스(80)만이 ITSF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디바이스(80)는 기지국 자원(50)에 의해 결정되는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N은 소정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의 액세스 사이클의 수로 가정되고, 여기서 어퍼시스턴스는 N개의 연속적인 액세스 사이클에 대해 효과적으로 턴온되고 이어서 N개의 연속적인 사이클은 턴오프된다. 이 경우, 평균 처리량은 이하의 수학식 1 내지 3에 의해 제공된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3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4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5
수학식 3에서, 직선형 괄호 내의 부분은 이전 사이클로부터의 이월을 나타내고, 마지막의 "R"은 현재의 유입(influx)을 나타낸다.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는 수학식 4에 제공된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6
상기의 무선 EVDO Rev. A 예에서, 어퍼시스턴스 특성 갱신 사이클은 각각 8개의 액세스 채널 사이클을 각각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계산은 온(ON) 상태인 8개의 액세스 채널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적극적인 스로틀링 경우에 사용된 비차단 "n" 값), 이어서 오프(OFF) 상태인 8개의 연속적인 액세스 채널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예를 들면, 차단 "n" 값). 본 예에서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ATSF: 표 1에서 칼럼 5)는 이하의 수학식 5에 의해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p)(ITSF: 표 1 의 칼럼 2)에 관련된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7
여기서, 상기 표 1의 제 6 칼럼은 어퍼시스턴스의 유효 평균폭이고 간단히 ATSF의 역수이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식 1 및 4는 비차단 엔트리에 대한 차단 엔트리의 상대 수가 적극적인 스로틀링에 대해 변화할 때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일 예에서, 두 개의 차단 엔트리 및 하나의 비차단 엔트리를 갖는 패턴에서, 수학식 1 및 2의 값 "2N"은 "3N"으로 대체될 수 있고, 대응 제 2 임계값(TH2)은 0.333일 수 있다. 차단된 것들과 비교하여 더 많은 비차단 윈도우가 존재하는 상대 비율에 대해서도, 수학식 1 및 4에 적절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분자(numerator)는 어퍼시스턴스가 어퍼시스턴스 패턴에서 비차단될 때 액세스 사이클이고, 분모(denominator)는 어퍼시스턴스 패턴에서의 액세스/이용 사이클의 총수이다.
제 2 스케일링 팩터(ATSF2)가 약 0.10으로 유지되고, ATSF1이 이제 감소하는 더 높은 우선순위 트래픽이 약 0.33으로 증가되는 또 다른 가능한 예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70a)은 ATSF1에 따라 결정된 값(n=8)을 갖는 교번적인 차단 엔트리(204a)(n=63) 및 비차단 엔트리(204a)를 포함하는 적극적인 스로틀링을 제공하도록 도 3b의 단계 130에서 구성된다. 이 경우, 클래스 1 디바이스는 순시 스케일링 팩터(ITSF)(=p=-8/4=0.25)를 계산할 수 있 다. 이 방식으로, 예시된 EVDO Rev. A 실시예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비차단 엔트리(204)의 결정을 제공한다. 상기 예는 ATSF 값에 기초하여 "n" 값을 결정하기 위한 일 특정 기술을 이용하였지만,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예는 본 발명의 엄격한 요건은 아니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자원이 다중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에 의한 사용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절차는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이용될 수 있고,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각각의 클래스에 대해 단계 110 내지 130에서 생성된다.
다수의 상세한 설명이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실제(측정된 또는 예측된) 이용으로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인 간단한 정의를 사용하였지만, 이용 스케일링 팩터는 펑션이 실제 이용에 따라 변경되는 한, 소정의 및 실제 이용(현재의 이용량에 따라 변경됨)의 임의의 펑션일 수 있다. 이 점을 설명하기 위해, 이하의 이용 스케일링 팩터(SF)를 고려한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8
여기서, UC는 현재의 이용량(예를 들면, 측정된, 예측된 등이건 간에 현재의 이용량을 지시하는 임의의 값)이고, UD는 소정의 이용량이다. 표 1과 유사한 평균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SF')에 대한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에 관한 표(표시 생략)가 수학식 6에서의 UC에 대해 상기 수학식 1을 치환하고 수학식 6에서의 UD를 R로 치환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09
여기서, 이 경우에 N은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의 액세스 사이클의 수이고, Ti는 차단되지 않은 액세스 사이클에 걸쳐 수학식 2 및 3에 의한 순시 처리량 스케일링 팩터(ITSF 또는 p)에 관련된다. 수학식 7은 차단되고 있는 그리고 비차단되고 있는 교번적인 어퍼시스턴스 엔트리를 구현하는 수학식 1의 형태를 사용하고, 여기서 비차단 엔트리의 값은 이용 스케일링 팩터(예를 들면, 본 예에서 수학식 7을 사용하여 생성된 룩업 테이블에 의한 ATSF)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 일반적인 예에서, 수학식 6은 UD/UC의 함수로 감소될 수 없고, 따라서 제 1 및 제 2 범위 사이, 뿐만 아니라 제 2 범위 내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임계값은 SF'가 상수에 비교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없고, 오히려 UD(또는 동등하게는 편리하지는 않지만 UC)의 함수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UD=UC인 이전의 예에서 공통으로 사용된 제 1 임계값이 수학식 6에서 UD를 UC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진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10
UD/UC=0.5(제 2 범위 내의 제 2 부분에서의 교번적인 차단 및 비차단 어퍼시스턴스 엔트리의 사용을 구동함)인 이전의 예에 공통으로 사용된 제 2 임계값은 이 하의 수학식 9로서 수학식 6에서 UC를 2UD로 치환함으로써 얻어진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11
따라서, 이 일반적인 경우에,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UD/UC의 함수로 감소될 수 없고, 미리 결정된 값(UD)이 제 1 및 제 2 범위 사이, 뿐만 아니라 제 2 범위 내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임계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수학식 7은 UC 또는 UD에 명시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따라서 표 1과 유사하게 ITSF(p) 및 ATSF'의 값 사이의 관계를 제공한다.
SF'의 사용은 소정의 및 실제(측정 또는 예측된) 이용(UD 및 UC)을 결정하고 수학식 6을 통한 SF'의 계산으로 이루어진다. SF'가 TH1'과 TH2' 사이에 있으면, SF'는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고, 따라서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가 하나 이상의 차단 엔트리 및 하나 이상의 비방해 엔트리로 이루어지는 적당한 스로틀링을 사용하고, 패턴 윈도우 내의 총 엔트리에 대한 비방해 엔트리의 수의 비는 실질적으로 UD/UC에 비례한다. SF'가 TH1'의 다른측에 있으면, SF'가 제 1 범위에 있고, 따라서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 내의 비방해 엔트리를 사용한다. 그 외에는, SF'는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어야 하며, 따라서 수학식 7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표에 의해 제공되는 ITSF(p)로의 ATSF' 맵핑에 따른 적극적인 스로틀링을 사용한다.
실제로, 수학식 6의 특정예는 증가하는 실제 이용(UC)에 대한 증가하는 SF'를 나타낸다. 따라서, SF'≤TH1'은 스로틀링이 없는 것에 대한 낮은 자원 부하의 범위 1에 대응하고, TH1'<SF'≤TH2'는 적당한 스로틀링에 대한 범위 2 내의 부분 2에 대응하고, TH2'<SF'는 적극적인 스로틀링에 대한 범위 2 내의 부분 2에 대응한다. 그러나, 이전의 단락은 현재의 이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인식을 회피하는 로직을 경험한다.
수학식 7은 M개의 액세스 사이클로 이루어지는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N개의 연속적인 비차단 액세스 채널을 취급하도록 수정될 수 있는데,
Figure 112007094572772-pct00012
여기서, 수학식 9의 TH2'로의 대응 변화는 (UD/UC=N/M→UC=(M/N)UD)일 수 있다.
Figure 112007094572772-pct00013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플롯(500)은, 테스트에 실패하여 재시도하도록 남아 있는 디바이스의 수가 비차단 어퍼시스턴스 엔트리가 제공될 때 액세스 사이클로부터 액세스 사이클로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고(예를 들면, 도 10의 502), 이어서 적극적인 스로틀링이 사용되는 상기의 경우에 대해 차단값이 제공될 때 감소하는 시간의 함수로서의 어퍼시스턴스 테스트를 경험하는 낮은 우선순위 디바이스의 수 를 도시하고 있다. 온 상태(비차단 어퍼시스턴스 값이 사용됨)인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 내에서, 소수의 디바이스 액세스 시도는 시작시에 성공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수의 시도가 이 갱신 사이클에서 이후에 성공할 수 있어, 가능하게는 고부하 상황에서의 충돌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비차단 갱신 사이클의 수)/(패턴 내의 갱신 사이클의 총수)>0.5를 갖는 예시된 경우가 이 영향을 과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충돌이 문제가 되지 않으면, 사이클을 가로지르는 성공의 분포는 평활/평탄한 것으로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80)는 장시간 동안 계속 시도하도록 허용되기 때문에 평균에서 성공적인 액세스/이용에 대한 더 긴 지연이 있을 수 있고, ITSF는 0.5의 비율을 사용하는 것에 비교하여 동일한 전체 평균 이용을 유지하도록 더 낮게 조정된다. 한편, (비차단 갱신 사이클의 수)/(패턴 내의 갱신 사이클의 총수)<0.5를 갖는 것은 적어도 비율이 <<0.5일 때 더 좁은 윈도우 내로의 동일한 전체 대역폭(클래스 당)의 스퀴징(squeezing)에 기인하여 더 많은 충돌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TH2=0.5의 경우는 우수한 성능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구현예 또는 실시예에 대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등가의 대안 및 수정이 이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을 숙독하여 이해할 때 당업자에게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술된 구성 요소(조립체, 디바이스, 시스템, 회로 등)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수단"의 참조를 포함함)는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예에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시된 구조와 구조적으로 는 동일하지 않더라도 설명된 구성 요소의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구성 요소에 대응(즉, 기능적으로 동등함)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이 다수의 구현예의 단지 하나에 대해 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특징은 임의의 소정의 또는 특정 적용에 대해 요구되고 유리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구현예의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용어 "구비하는", "구비한다", "갖는", "갖는다", "가지는" 또는 이들의 파생어가 상세한 설명 및/또는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용어는 "포함하는"과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의 의미로 의도된다.

Claims (10)

  1.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자원 또는 자원의 풀(pool)의 이용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현재의 이용량에 기초하여 자원 또는 자원의 풀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utilization sacling factor)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값은 상기 현재의 이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변경됨 - 와,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apersistence pattern window)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는 제 1 범위에 있는 경우 비방해 엔트리(unimpeded entries)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보다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는 제 2 범위에 있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차단 또는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함 - 와,
    상기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1 범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모든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에 있으면, 차단 엔트리는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내에서 비차단 엔트리 사이로 최대로 분산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이한 우선순위 클래스의 디바이스들이 상기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클래스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결정되고,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이 각각의 우선순위 클래스에 대해 생성되고,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가 상기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상기 클래스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 제공되고,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대응하는 클래스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클래스의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에 대한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정의 클래스에 대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1 범위에 있으면, 상기 소정 클래스에 대한 패턴은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클래스에 대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에 있으면, 상기 소정 클래스에 대한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범위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범위의 제 1 부분보다 보다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고,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의해 나눠진 비방해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상기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에 비례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으면, 상기 비차단 엔트리에 대한 값은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되는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은 상기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이 K 이하인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대응하고, K는 0보다 크고 1.0 이하이며,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의해 나눠진 비차단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K에 비례하는
    방법.
  9. 복수의 디바이스에 의한 자원 또는 자원의 풀의 이용을 제어하기 위한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현재의 이용량에 기초하여 자원 또는 자원의 풀에 대한 이용 스케일링 팩터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의 값은 상기 현재의 이용량이 변화함에 따라 변경됨 - 과,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 대응하는 복수의 어퍼시스턴스 특성 엔트리를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낮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는 제 1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보다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는 제 2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차단 또는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함 - 과,
    상기 어퍼시스턴스 패턴 윈도우의 각각의 어퍼시스턴스 갱신 사이클에서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엔트리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범위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범위의 제 1 부분보다 보다 높은 현재의 이용량에 대응하고,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1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방해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 내의 엔트리의 총수에 의해 나눠진 비방해 엔트리의 수의 비율은 상기 현재의 이용량에 의해 나눠진 소정의 이용량의 비율에 비례하며,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가 상기 제 2 범위의 제 2 부분에 있으면, 상기 어퍼시스턴스 특성 패턴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 엔트리 및 적어도 하나의 비차단 엔트리를 포함하고, 상기 비차단 엔트리의 값은 상기 이용 스케일링 팩터에 따라 결정되는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KR1020077030832A 2005-07-29 2006-07-21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KR101266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93,522 2005-07-29
US11/193,522 US8010672B2 (en) 2005-07-29 2005-07-29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utilization of resources of cont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530A KR20080035530A (ko) 2008-04-23
KR101266666B1 true KR101266666B1 (ko) 2013-05-22

Family

ID=3723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832A KR101266666B1 (ko) 2005-07-29 2006-07-21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010672B2 (ko)
EP (1) EP1911223B1 (ko)
JP (1) JP4864970B2 (ko)
KR (1) KR101266666B1 (ko)
CN (1) CN101223739A (ko)
AT (1) ATE501569T1 (ko)
AU (1) AU2006276004B2 (ko)
BR (1) BRPI0611777A2 (ko)
DE (1) DE602006020581D1 (ko)
ES (1) ES2362436T3 (ko)
IL (1) IL188526A (ko)
MX (1) MX2007016031A (ko)
RU (1) RU2423011C2 (ko)
WO (1) WO200701602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2307B1 (en) * 2006-07-25 2014-05-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edictive control for resource entitlement
US8134953B2 (en) * 2007-03-22 2012-03-13 Alcatel Lucent Method of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ccess class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E102008038590A1 (de) * 2008-08-21 2010-02-25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zur Selektion von auszulösenden Ressourcen im Überlastfall in einem zellularen Mobilfunknetz
US8752061B2 (en) * 2008-11-24 2014-06-10 Freescale Seimconductor, Inc. Resource allocation within multiple resource providers based on the incoming resource request and the expected state transition of the resource requesting application, and selecting a resource provider based on the sum of the percentage of the resource provider currently used, the requesting load as a percentage of the resource provider's total resource, and the additional load imposed by the expected state of the requesting application as a percentage of the resource provider's total resource
JP5258672B2 (ja) * 2009-06-02 2013-08-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集積回路
CN101600098B (zh) * 2009-06-19 201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分布式节点视频监控系统及其管理方法
GB2471486A (en) * 2009-06-30 2011-01-05 Nokia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lving resource contention using access priority.
US9258249B2 (en) 2012-02-13 2016-02-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access throttling
JP2014057279A (ja) * 2012-09-14 2014-03-27 Hitachi Ltd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WO2014141650A1 (ja) * 2013-03-15 2014-09-18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装置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US10606652B2 (en) * 2014-07-28 2020-03-31 Micro Focus Llc Determining tenant priority based on resource utilization in separate time intervals and selecting requests from a particular tenant based on the priority
JP2019519162A (ja) 2016-06-21 2019-07-04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Muリソース要求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659189B1 (en) 2017-07-24 2020-05-19 Nxp Usa, Inc. Control field for resource request with multiple formula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529A1 (en) * 2002-07-26 2004-08-26 Lg Electronics Inc. Overload control method of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464B1 (ko) * 1996-11-30 1999-07-15 김영환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적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6707792B1 (en) * 1998-06-30 2004-03-16 Cisco Technology, Inc. Overload redu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434559B1 (en) * 1998-10-09 2002-08-13 Xpandable Technology, Inc. Critical resource management
US6535736B1 (en) 1998-12-11 2003-03-18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y delaying access reques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374099B1 (en) * 1999-05-10 2002-04-16 Lucent Technologies Inc. High priority and/or emergency overload access control system
US7173904B1 (en) * 1999-09-23 2007-02-06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verse link overload control
US6785546B1 (en) * 2000-03-16 2004-08-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pplication processor occupancy based traffic overload
US20020118661A1 (en) 2000-12-22 2002-08-29 Daniel Voce Method of optimizing random access performance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dynamically controlled persistence techniques
CN100456717C (zh) 2003-10-17 2009-01-28 北京邮电大学 在无线局域网中保证高优先级用户的带宽的实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529A1 (en) * 2002-07-26 2004-08-26 Lg Electronics Inc. Overload control method of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3739A (zh) 2008-07-16
AU2006276004B2 (en) 2010-10-21
RU2008107256A (ru) 2009-09-10
JP4864970B2 (ja) 2012-02-01
EP1911223A2 (en) 2008-04-16
JP2009504014A (ja) 2009-01-29
EP1911223B1 (en) 2011-03-09
US8010672B2 (en) 2011-08-30
WO2007016023A3 (en) 2007-04-12
MX2007016031A (es) 2008-03-10
AU2006276004A1 (en) 2007-02-08
KR20080035530A (ko) 2008-04-23
IL188526A (en) 2012-02-29
ATE501569T1 (de) 2011-03-15
IL188526A0 (en) 2008-04-13
DE602006020581D1 (de) 2011-04-21
WO2007016023A2 (en) 2007-02-08
US20070058662A1 (en) 2007-03-15
RU2423011C2 (ru) 2011-06-27
ES2362436T3 (es) 2011-07-05
BRPI0611777A2 (pt)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666B1 (ko) 자원 이용 제어 방법 및 어퍼시스턴스 제어 시스템
KR101086212B1 (ko) 통신 시스템용 액세스 매체의 과부하 관리
JP6248527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KR101069328B1 (ko)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컴퓨터화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팅 장치
EP3200546A1 (en) Carrier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unlicensed carriers, and transmission node
KR20090049971A (ko) 우선순위 기반의 랜덤 액세스 방법
US6768905B2 (en) Method and processor for determining loading of a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applications of the system-loading determination
EP262280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able product for admission control
EP119399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resource assigning method therefor
WO2018028545A1 (zh) 非授权频谱的接入方法、装置及传输节点
CN111371675B (zh) 智能寻址方法、装置、设备及其存储介质
JP2003244162A (ja) 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無線リンクを評価する方法
CN116684690A (zh) 视频卡顿预测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384076B1 (en) Method for selecting a transmission channel with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communications system
KR20160094263A (ko) 랜덤 채널 접속의 백-오프 카운터 선택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40993A (ko) Sotmda를 사용하기 위해 asm 채널에서 슬롯을 할당하는 단말 및 슬롯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