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22B1 - 벽에 통합을 위한 렌즈 장치,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를구비한 벽에 통합된 장치, 그 장치의 설치 방법, 및 그장치를 갖는 운송 설비 - Google Patents
벽에 통합을 위한 렌즈 장치,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를구비한 벽에 통합된 장치, 그 장치의 설치 방법, 및 그장치를 갖는 운송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5822B1 KR101265822B1 KR1020060015594A KR20060015594A KR101265822B1 KR 101265822 B1 KR101265822 B1 KR 101265822B1 KR 1020060015594 A KR1020060015594 A KR 1020060015594A KR 20060015594 A KR20060015594 A KR 20060015594A KR 101265822 B1 KR101265822 B1 KR 101265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lens
- hole
- attachment
- lens arrang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22—Balustr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1/00—Accessories for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e.g. for sterilising or clean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Lens Barre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장치, 및 연결 하우징과 그 렌즈 장치를 갖는 벽에 통합된 장치. 연결 하우징 (7, 11) 은 복사선-방출 요소 (10) 를 갖는다. 이는 벽 (3)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하우징측 연결 부재 (8.2) 를 갖는 하우징측 부착부 (8) 를 갖는다. 렌즈 장치 (20) 는 벽 (3) 의 제 2 측면 방향으로 복사선에 대해 투과성인 렌즈 헤드부 (6) 를 갖고, 렌즈측 연결 부재 (6.2) 를 갖는 렌즈측 부착부 (6.1) 가 상기 렌즈 헤드부에 인접해 있다. 벽 (3) 은 벽 관통구멍 (5) 을 가지며, 이 관통구멍을 통해 1 이상의 부착부 (6.2, 8) 가 돌출해 있고, 하우징측 연결 부재 (8.2) 및 렌즈측 연결 부재 (6.2) 가 접촉하고 있다. 벽 관통구멍 (5) 및 이를 통해 돌출해 있는 1 이상의 부착부 (6.1, 8) 는 상보적이고, 렌즈 장치 (20) 가 미리 정해진 수평 위치 또는 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이 위치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벽, 관통구멍, 렌즈 장치, 운송 설비.
Description
도 1a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의 측 단면도이다.
도 1b 는 도 1a 의 A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2a 는 벽 관통구멍의 길이방향 축선 방향에서 바라본 벽 관통구멍을 갖는 벽을 나타낸다.
도 2b 는 벽 관통구멍을 갖는 벽에 있어서 벽 관통구멍의 길이방향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낸다.
도 2c 는, 도 2b 와 동일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이하게 형성된 벽 관통구멍을 갖는 벽을 나타낸다.
도 2d 는 도 2b 에 따른 벽 관통구멍을 갖는 벽을 나타내며, 여기서, 도 2b 및 도 2c 와 동일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벽 관통구멍의 제조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3a 는 렌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낸 렌즈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c 는 도 3a 에 나타낸 렌즈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d 는 도 3a 의 선 B-B 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렌즈 장치 및 연결 박스를 구비한 본 발명의 장치가 대응 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a 는 부가적인 고정 수단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 나타낸 장치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벽에 통합가능한 장치 2 스텝 밴드
3 스커트 채널, 벽 4 난간
5 벽 관통구멍 5.1 벽 접촉 표면
6 렌즈 헤드부 6.1 렌즈측 부착부
6.2 렌즈측 연결 부재 7 연결 박스 (연결 하우징)
8 부착부 8.2 하우징측 연결 부재
10 복사선-방출 요소 11 연결 박스 (연결 하우징)
12 연결 부재 (너트) 13 고정 수단
14 나사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 따른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장치, 그 렌즈 장치와 청구항 2 에 따른 연결 하우징을 구비한 벽에 통합된 장치, 청구항 11 에 따른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청구항 2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의 운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벽에 통합가능한" 그리고 "벽에 통합된"이라는 용어는 렌즈 장치가 대부분 벽의 경계 표면 내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완전히 그렇게 될 필요는 없음).
이러한 유형의 벽에 통합된 장치는 예컨대 방의 모니터링 및/또는 조명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가 US 6,785,053 에 개시되어 있다. 복사선-방출 요소를 포함하는 연결 하우징이 본질적으로 벽의 일 측면에 배치된다. 렌즈 장치는, 복사선에 대해 투과성이고 벽의 다른 측면의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복사선을 벽의 이 다른 측면으로 안내하는 렌즈 헤드부를 갖는다. 연결 하우징은 내나사부 형태의 하우징측 또는 하우징부착 연결 부재를 갖는 하우징측 부착부를 갖는다.
상기 렌즈 장치는 상기 내나사부에 대해 상보적인 외나사부 형태의 렌즈부착 연결 부재를 갖는 부착부를 렌즈 헤드부에 인접한 렌즈 측면에 갖는다. 벽은 벽 관통구멍을 가지며, 이 벽 관통구멍을 통해 렌즈측 부착부가 돌출해 있다. 2 개의 연결 부재는, 연결 박스와 렌즈 장치가 벽 관통구멍 내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예컨대 에스컬레이터, 무빙 워크 및 엘리베이터와 같 은 운송 설비의 하부 영역을 조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많은 수의 렌즈 장치가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밴드 또는 무빙 워크의 팰릿 (pallet) 밴드의 측에 배치되어 있는 벽의 관통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벽은 스커트 패널 또는 난간 벽이 될 수 있다. 렌즈 헤드부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 쪽을 향하는 벽의 스텝측 또는 팰릿측으로부터 벽 관통구멍에 삽입만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 박스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의 반대편을 향하는 벽의 측면에 위치된다.
US 6,785,053 에 기재된 장치를 운송 설비의 영역에 사용할 때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발생한다.
특히, 이 장치는 벽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회전된 또는 각도를 갖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벽 관통구멍 내에 설치될 수 없다. 그러나, 이 장치는 특정 영역에의 복사선을 보내는 데에는 바람직할 것이다.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 워크를 조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이 장치 및 공지된 유사 장치의 단점은, 다수의 구성 부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가 비교적 복잡하고, 따라서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과, 한 자리에서 많은 설치 공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그러한 장치용으로서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향상된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장치, 그러한 렌즈 장치를 가지며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향상된 벽에 통합된 장치, 새로운 장치의 설치 방법, 및 새로운 장치의 사용을 제안함으로 써, 종래 기술의 단점을 회피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렌즈 장치의 경우, 청구항 1의 특징부의 구성에 의해, 상기 장치의 경우, 청구항 2의 특징부의 구성에 의해, 설치 방법의 경우, 청구항 11의 특징적 구성에 의해, 그리고 운송 설비의 경우, 청구항 12의 특징적 구성에 의해 해결된다.
새로운 장치와 새로운 운송 설비의 다른 바람직한 발명들은 종속항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편으로 벽 관통구멍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 부착부 또는 렌즈 부착부는, 렌즈 요소가 벽 관통구멍 내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이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중심 대칭이 아닌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설치상 문제가 없다. 어느 정도는 스스로 미리 정해진 바람직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공구 또는 특별한 기술이나 주의 없이도, 미리 정해진 수평 또는 회전 위치에 상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신규 장치는 운송 설비를 비추거나 조명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해 복사선의 사용과 관련한 용도, 즉 상기 벽이, 벽에 대해 이동하므로 결국 렌즈 헤드부에 대해 이동하는 대상물 또는 사람의 영역에 있는 운송 설비의 벽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어떤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 상기 장치를 설치하면, 빛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비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명이 필요한 발 영역은 비추어지지 않으면서 이동하는 사람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복사선에 영향을 미치는 반사기 또는 다른 요소를 렌즈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반사기 또는 다른 요소는 복사선에 방향을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영향을 미치므로, 복사선이 매우 정확한 방향으로 보내지고 그리고/또는 안내될 수 있다.
렌즈 헤드부가 벽의 표면과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렌즈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목한 또는 볼록한 렌즈 헤드부도 가능하다. 편평한 벽의 경우, 그러한 렌즈 헤드부는 편평하게 그리고 벽 표면과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벽의 세정 및 렌즈 헤드부의 가시부의 세정이 용이하고, 벽에 대해 이동하는 물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심각한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고의적인 파손 행위가 더욱 어려워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둥근 렌즈 헤드부 또는 오목한 렌즈 헤드부도 사용 가능하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벽 관통구멍은 벽 접촉 표면을 갖고, 벽을 통해 돌출하는 렌즈- 또는 하우징-단부 부착부는 부착부 접촉 표면을 갖는다. 상호 접촉을 위해 제공된 접촉 표면이 벽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회전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벽 관통구멍이 올바르게 그리고 정확히 위치되어 형성된다면, 렌즈 장치는 다소 자발적으로 바람직한 위치를 갖는다. 설치 상태에서, 2 개의 접촉 표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렌즈 장치와 연결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그리고 벽에 완벽히 고정된다.
벽 관통구멍과 그에 접촉하는 부착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벽 관통구멍 및/또는 그에 접촉하는 부착부가 부분적으로 중접하는 2 개의 원통형 표면에 의해 경 계지워지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이렇게 되면 종래의 제조 방법 및 작업물과 공구 사이의 상대 원운동으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벽 관통구멍은 1 이상의 섹터 (sector) 에서 구멍의 길이 일부에서 1 이상의 테이퍼링 벽 접촉 표면을 갖는 본질적으로 원통형 구멍이다. 벽 관통구멍에 접촉하는 부착부는, 벽 접촉 표면에 상보적이고 또한 벽 접촉 표면에 접촉하는 부착부 접촉 표면을 갖는 원통형 외벽을 갖는다.
새로운 장치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경계 표면에 접촉하는 부착부는 렌즈-단부 부착부이고, 렌즈-단부 연결 부재는 나사부, 바람직하게는 외나사부 또는 내나사부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종종, 복사선-방출 요소는 광-방출 요소이고, 렌즈 헤드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완전히)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실시형태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사항 및 이점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는, 아래층 (E1) 과 위층 (E2) 을 연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 (1)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를 보여준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스텝을 갖는 스텝 밴드 (2) 를 갖고 있다. 가동 스텝 밴드 (2) 의 양측에는 위치고정된 스커트 패널 (3) 이 배치되어 있다. 측방향 경계로서, 에스컬레이터 (1) 는 하부에서 스커트 패널 (3) 을 가지며 상부에서는 위치고정된 난간 (4) 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이 난간의 상부에는 스텝 밴드 (2) 와 함께 이동가능한 핸드레일이 배치된다.
스커트 패널 (3) 은 낮은 벽들로 형성되며, 각각의 낮은 벽은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벽 관통구멍 (5) 을 갖고, 각각의 벽 관통구멍은, 예컨대 도 3a 내지 3d 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렌즈 장치 (6) 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벽 관통구멍 (5) 은 도 1b 에 나타낸 것처럼 스텝의 에지를 연결한 점선보다 항상 위쪽에 배치되어야 한다.
스텝 밴드 (2) 를 갖는 에스컬레이터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팰릿 밴드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갖는 무빙 워크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a 는 벽 관통구멍 (5) 중 하나를 갖는 스커트 패널 (3) 또는 벽 (3) 을 나타낸다. 벽 관통구멍 (5) 은 원통형 구멍이 아니라, 원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구멍은 원통형이지만, 벽 관통구멍 (5) 은 원통형 형상이 아니며, 이는 도 2a 내지 2d 의 좌측과 우측, 적어도 양측에서 구멍이 원뿔형 표면 (5.1) 형태의 벽 접촉면을 갖기 때문이다.
도 2b 는, 벽 접촉 표면 (5.1) 이 스커트 패널 (3) 의 축방향 길이의 전체 또는 벽 두께의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벽 관통구멍 (5) 을 나타낸다. 도 2c 는, 벽 접촉 표면 (5.1) 이 스커트 패널 (3) 의 축방향 길이 또는 벽 두께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벽 관통구멍 (5) 을 나타낸다. 도 2d 는, 연이은 두 가공 단계에서 사용되는 원뿔형 드릴 또는 커터 또는 펀칭 공구로 벽 접촉 표면 (5.1) 을 만드는 것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데, 첫 번째 가공 단계에서 드릴의 길이방향 축선 이 원래 구멍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한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고, 두 번째 가공 단계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도 3a 내지 3d 는, 벽 관통구멍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장치 (20) 를 보여준다.
도 3a 는 렌즈 헤드부 (6), 1 또는 2 개의 렌즈측 부착부 (6.1), 및 본 실시예에서 렌즈에 고정되는 조이는 렌즈측 연결 부재 (6.2) 를 갖는 렌즈 장치 (20) 를 보여준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렌즈 헤드부는, 장착 상태에서 스텝 밴드 (2) 를 향하는 스커트 패널의 벽 (3) 의 표면과 편평한 면을 이루는 편평한 경계 표면에 의해 경계지워진다. 렌즈 장치 (20) 는 그러한 표면에 통합가능한 (surface-integrable) 경계 표면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복사선양 (radiation yield) 이 충분하고 따라서 렌즈 헤드부가 손상으로부터 크게 보호되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렌즈 장치가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벽 안쪽으로 들어가게 배치된 렌즈 헤드부는 복사선을 약하게 하고, 스커트 패널과 렌즈 헤드부의 오염을 촉진하며, 세정을 어렵게 할 수 있고, 반면에 돌출한 렌즈 헤드부는 복사선양을 향상시키지만, 또한 손상에 크게 민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목한 또는 볼록한 렌즈 헤드부가 가능하고, 또한 유색 렌즈 헤드부 및/또는 많은 또는 적은 면을 갖는 렌즈 헤드부도 사용 가능하다. 적어도 스텝 밴드 (2) 를 향하는 렌즈 헤드부 (6) 의 표면은, 도 4 에서 연결 박스 (7) 내에 배치된 복사선-방출 요소 (10), 예컨대 램프에 의해 방출되는 복사선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다. 이하에서, 도 4 를 참조하여 연결 박스 (7) 를 상세히 설명한다.
장착 상태에서, 렌즈측 부착부 (6.2) 는 벽 관통구멍 (5) 을 통과하여 돌출해 있다.
이와 달리, 랜즈측 부착부 (6.1) 또는 연결 박스 (7) 의 박스측 부착부 (8) 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벽 관통구멍 (5) 을 통과하여 돌출하거나, 또는 단지 연결 박스 (7) 의 박스측 부착부 (8) 만이 벽 관통구멍 (5) 을 통과하여 돌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본 실시형태에서, 렌즈측 또는 렌즈부착 연결 부재 (6.2) 는 외나사부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서 연결 박스 (7) 의 연결측 부착부에 내나사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보적인 하우징측 연결 부재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렌즈 장치 (20)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렌즈측 부착부 (6.1) 는 벽 관통구멍 (5) 에 상보적으로 형성되므로, 서로 반대편에 있는 원뿔형 표면 형태의 두 부착부 접촉 표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렌즈 장치 (20) 는 원하는 경우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서 벽 관통구멍 안에 배열될 수 있으며, 장착시 어느 정도 스스로 중심맞춤될 수 있다.
도 4 는 벽 (3)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보여주는데, 이 벽의 표면 (3.1) 은 스텝 밴드 (2) 를 향하고, 이 벽은 원뿔형 벽 접촉 표면 (5.1) 을 갖는 벽 관통구멍 (5) 을 갖고 있다. 또한, 렌즈 헤드부 (6), 부착부 접촉 표면을 갖는 렌즈측 부착부 (6.1), 및 렌즈측 또는 렌즈부착 연결 부재 또는 외나사부 (6.2) 를 갖는 렌즈 장치 (20) 가 나타나있다. 또한, 박스측 연결 부재 (8.2) 또는 내나사부 (8.2) 가 제공된 박스측 부착부 (8) 를 갖는 연결 박스 (7) 가 나타나있다.
벽 접촉 표면과 부착부 접촉 표면이 서로 맞닿도록, 스텝 밴드 (2) 를 향하는 벽 (3) 의 측면으로부터 렌즈 요소 (20) 를 벽 관통구멍에 밀어 넣는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연결 박스 (7) 를 단단히 조이는데, 이때 렌즈 장치 (20) 가 아닌 연결 박스 (7) 만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장착은 다수의 너트와 용접 스터드가 사용되는 종래 장치의 장착보다 더 빠르고 더 간단할 뿐만 아니라, 다른 볼트, 너트, 와셔, 또는 용접 스터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도 5a 및 5b 는, 연결 박스 (11) 가 고정 수단 (13), 특히 연결박스 고정 브래킷 또는 연결박스 고정 홀더를 갖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그러한 고정 수단 (13) 에 의해, 더 큰 하중지지력 (load-bearing capacity) 과 향상된 기계적 안정성이 얻어진다. 이러한 고정 수단 (13) 의 사용으로 인해, 더 많은 전기부품을 수용할 수 있거나 또는 더 큰 또는 더 강력한 송신기 및 수신기 또는 더 큰 광원을 갖는 더 큰 그리고/또는 더 무거운 연결 박스 (11) 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수단 (13) 은, 박스측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너트 또는 플라스틱 너트 (12) 에 의해 렌즈측 연결 부재 또는 외나사부 (6.2) 에 볼트체결된다. 고정 수단 (13) 은 둥근 구멍을 갖는데, 이 구멍을 통해 외나사부 (6.2) 에 끼워져 회전하지 않게 너트 (12) 로 고정될 수 있다. 나사 (14) 에 의해, 연결 박스 (11) 자체가 고정 수단 (13) 과 결합된다.
연결 박스 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복사선-방출 요소 (10) 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선택된 복사선-방출 요소 (10) 에 따라 다른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램프 및 광원, 광 배리어, LED, 광 커튼, 적외선 배리어, 송신기 및 수신기, 초음파, 및 레이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가적인 공구 또는 특별한 기술이나 주의 없이도, 미리 정해진 수평 또는 회전 위치에 상기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미리 정해진 회전 위치에 상기 장치를 설치하면, 빛이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비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명이 필요한 발 영역은 비추어지지 않으면서 이동하는 사람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게 됨으로써, 복사선에 영향을 미치는 반사기 또는 다른 요소를 렌즈 장치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반사기 또는 다른 요소는 복사선에 방향을 결정하고 그리고/또는 영향을 미치므로, 복사선이 매우 정확한 방향으로 보내지고 그리고/또는 안내될 수 있다.
Claims (14)
- 연결 하우징 (7, 11) 이 설치될 수 있는 벽 (3) 에 고정되는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장치 (20) 를 포함하는 렌즈 설비로서, 상기 렌즈 장치 (20) 는 복사선에 대해 투과성인 렌즈 헤드부 (6), 부착부 및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부착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별개인 반대편의 원뿔형 표면부를 구비한 벽 관통구멍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하우징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렌즈 설비에 있어서,상기 렌즈 장치 (20) 의 부착부는 벽 관통구멍 (5) 에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원뿔형 표면 형태인 적어도 2 이상의 별개인 부착 접촉 표면을 구비하며, 상기 별개인 부착 접촉 표면은 상기 부착부의 종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고, 상기 벽 관통구멍의 원뿔 표면부에 상보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렌즈 장치 (20) 의 부착부는 상기 벽 관통구멍의 부착 원뿔형 표면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 미리 정해진 고정된 수평 회전 위치에서 삽입되고 유지되며 상기 벽 관통구멍에서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시스템을 포함하는 렌즈 설비로서, 상기 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시스템은 연결 하우징 (7, 11), 렌즈 장치 (20) 및 벽 (3) 을 포함하고,상기 연결 하우징 (7, 11) 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사선-방출 또는 복사선-흡수 요소 (10) 를 가지며, 상기 벽 (3) 의 제 1 측면에 배치되고, 또한 부착부 및 연결 부재 (8.2) 를 가지며,상기 렌즈 장치 (20) 는, 상기 벽의 제 2 측면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상기 복사선-방출 및 복사선-흡수 요소의 복사선에 대해 투과성인, 렌즈 헤드부를 가지고, 또한 부착부 및 연결 부재를 가지며,상기 벽은 중심-비대칭의 벽 관통구멍 (5) 을 가지며, 이 관통구멍을 통해 하나 이상의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 부착부 (6.1, 8) 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해 있고,상기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의 연결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렌즈 설비에 있어서,상기 벽 관통구멍 (5) 및 벽 관통구멍을 통해 돌출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착부 (6.1, 8) 는, 원뿔형 표면 형태인 적어도 2 이상의 별개인 반대편의 부착 접촉 표면과 함께 서로 상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서로 맞물리며, 그에 따라, 부착 원뿔형 표면은 상기 부착부의 종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렌즈 헤드부는 상기 벽 관통구멍의 부착 원뿔형 표면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 미리 정해진 고정된 수평 회전 위치에서 유지되고 회전하지 못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 렌즈 헤드부 (6) 가, 벽 (3) 의 제 2 측면 상의 벽 (3) 의 표면 (3.1) 과 편평한 전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 렌즈 헤드부 (6) 가, 벽 (3) 의 제 2 측면 상의 벽 (3) 의 표면 (3.1) 에 대해 오목 또는 볼록한 전방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렌즈 장치 (20) 가 복사선을 방향전환시키거나, 복사선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복사선을 접속하기 위해, 반사 장치 및 광선형성 (ray-forming)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벽 관통구멍 (5) 및 이 벽 관통구멍과 맞물리는 부착부 (6.1) 가 2 이상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원통형 표면에 의해 경계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벽 관통구멍 (5) 은 벽 접촉 표면 (5.1) 을 가지고, 이 벽 접촉 표면과 맞물리는 부착부는 부착 접촉 표면 (6.1) 을 가지며, 상기 접촉 표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하고 또한 벽 (3) 에 수직인 축선 (Z) 에 대해 회전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연결 하우징 (7, 11) 의 부착부는, 렌즈 장치 부착부 (6.1) 에 연결 하우징 (7, 11) 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 (13)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맞물리는 부착부 (6.1) 는 렌즈 장치 부착부이고, 렌즈 장치 연결 부재 (6.2) 는 나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에 있어서,복사선-방출 요소 (10) 는 광방출 요소이고, 렌즈 헤드부 (6)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
- 제 2 항에 따른 렌즈 설비의 조립 방법으로서,벽 (3) 의 접촉 표면과 렌즈 장치 (20) 가 회전 불가능하게 서로 접촉되고 연결 하우징 (7, 11) 이 렌즈 장치 (20) 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운송 설비의 스텝 밴드 또는 팰릿 밴드 (2) 와 마주하는 벽 (3) 의 측면으로부터 벽 관통 구멍 (5) 내로 렌즈 장치 (20) 가 밀어넣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설비의 조립 방법.
- 벽에 설치되는 제 2 항에 따른 렌즈 설비 및 벽을 포함하는 운송 설비로서,상기 운송 설비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 또는 엘리베이터인 운송 설비.
-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벽 (3) 은 측방 또는 수직 스커트 패널 또는 측방 또는 직선 또는 경사진 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벽에 통합가능한 렌즈 장치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 워크에 빛을 비추거나 또는 조명하거나 또는 모니터링하기 위해 위치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5101181 | 2005-02-17 | ||
EP05101181.5 | 2005-02-1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2150A KR20060092150A (ko) | 2006-08-22 |
KR101265822B1 true KR101265822B1 (ko) | 2013-05-20 |
Family
ID=3493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594A KR101265822B1 (ko) | 2005-02-17 | 2006-02-17 | 벽에 통합을 위한 렌즈 장치,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를구비한 벽에 통합된 장치, 그 장치의 설치 방법, 및 그장치를 갖는 운송 설비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7460316B2 (ko) |
JP (1) | JP5348826B2 (ko) |
KR (1) | KR101265822B1 (ko) |
CN (1) | CN100570424C (ko) |
AT (1) | ATE537101T1 (ko) |
AU (1) | AU2006200649B2 (ko) |
BR (1) | BRPI0600389B1 (ko) |
CA (1) | CA2536705C (ko) |
ES (1) | ES2379473T3 (ko) |
HK (1) | HK10969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14815B1 (en) * | 2004-11-26 | 2009-04-29 | Otis Elevator Company | People conveyor glass balustrade lighting |
JP2009537420A (ja) * | 2006-05-19 | 2009-10-29 |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 乗客コンベヤの照明 |
CN105967034B (zh) * | 2016-05-09 | 2017-07-04 | 江南嘉捷电梯股份有限公司 | 自动人行道现场缩短改造方法 |
US10871386B1 (en) * | 2017-06-21 | 2020-12-22 | Mark Buntain | Sensor mount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11360A (en) * | 1969-11-19 | 1971-10-05 | Switchcraft | Readily replaceable jewel lamp assembly for jack panel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35681A (en) * | 1975-12-22 | 1977-07-12 | Savage John Jun | Polygonal lens |
GB2025596B (en) | 1978-05-19 | 1982-09-29 | Savage J M | Panel-mounted indicator lamps |
JPS6345688Y2 (ko) * | 1985-02-25 | 1988-11-28 | ||
JPH03259895A (ja) | 1990-03-09 | 1991-11-19 | Toshiba Corp | マンコンベアの安全装置 |
JPH09249373A (ja) * | 1996-03-14 | 1997-09-22 |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 移動踏段表示装置 |
US6224241B1 (en) * | 1996-07-01 | 2001-05-01 | Willi Wolfgang Oswald | Lighting device |
US5848839A (en) * | 1997-04-07 | 1998-12-15 | Savage, Jr.; John M. | LED sealing lens cap and retainer |
EP1150152A1 (en) * | 2000-04-25 | 2001-10-31 |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 Optical assembly mounting |
US6785053B2 (en) * | 2002-09-27 | 2004-08-31 | John M. Savage, Jr. | Threaded lens coupling to LED apparatus |
JP2004194223A (ja) * | 2002-12-13 | 2004-07-08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2006
- 2006-02-07 JP JP2006029625A patent/JP5348826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13 ES ES06101609T patent/ES2379473T3/es active Active
- 2006-02-13 AT AT06101609T patent/ATE537101T1/de active
- 2006-02-15 CA CA2536705A patent/CA2536705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2-15 CN CNB2006100047427A patent/CN100570424C/zh active Active
- 2006-02-15 BR BRPI0600389-3A patent/BRPI0600389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06-02-16 AU AU2006200649A patent/AU2006200649B2/en not_active Ceased
- 2006-02-17 KR KR1020060015594A patent/KR1012658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2-17 US US11/356,783 patent/US7460316B2/en active Active
-
2007
- 2007-02-15 HK HK07101777.0A patent/HK1096938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11360A (en) * | 1969-11-19 | 1971-10-05 | Switchcraft | Readily replaceable jewel lamp assembly for jack pane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536705C (en) | 2013-05-14 |
AU2006200649A1 (en) | 2006-08-31 |
ATE537101T1 (de) | 2011-12-15 |
BRPI0600389A (pt) | 2006-10-03 |
ES2379473T3 (es) | 2012-04-26 |
BRPI0600389B1 (pt) | 2018-01-09 |
JP2006227615A (ja) | 2006-08-31 |
US7460316B2 (en) | 2008-12-02 |
AU2006200649B2 (en) | 2011-06-30 |
US20060181868A1 (en) | 2006-08-17 |
CA2536705A1 (en) | 2006-08-17 |
KR20060092150A (ko) | 2006-08-22 |
CN100570424C (zh) | 2009-12-16 |
HK1096938A1 (en) | 2007-06-15 |
CN1821826A (zh) | 2006-08-23 |
JP5348826B2 (ja) | 2013-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3612B2 (en) | Post cap assembly | |
US20140016318A1 (en) | LED Light Assembly | |
KR101265822B1 (ko) | 벽에 통합을 위한 렌즈 장치, 연결 하우징 및 렌즈 장치를구비한 벽에 통합된 장치, 그 장치의 설치 방법, 및 그장치를 갖는 운송 설비 | |
ITRE20060052A1 (it) | DISPOSITIVO OTTICO SECONDARIO PER LAMPADE A LEDs | |
EP3040610B1 (en) | Led streetlamp | |
KR101855361B1 (ko) | Gmp용 조명등기구 | |
JP2014125831A (ja) | 衛生設備室 | |
JP5369208B2 (ja) | 反射型高天井灯 | |
US7152715B2 (en) | Snap-fit elevator hall fixture assemblies | |
CN218209198U (zh) | 一种具有投影功能的灯具 | |
US20180058663A1 (en) | Light-emitting diode obstruction light | |
JP2020140815A (ja) | 照明装置 | |
KR20170003842U (ko) | 엘이디 조명등 커버 결합 장치 | |
KR101633311B1 (ko) |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다면 발광 조명등 | |
JP6316018B2 (ja) | 照明装置 | |
JP7235699B2 (ja) | 照明装置 | |
JP6812030B2 (ja) | 照明装置 | |
US20240118483A1 (en) | Lightweight And Efficient Edge-Lit Luminaire | |
US20170268745A1 (en) | Reflector Inserts for Emergency Egress Light Fixtures | |
CN114963046A (zh) | 用于照明装置的光学同步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