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676B1 -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676B1
KR101265676B1 KR1020100138272A KR20100138272A KR101265676B1 KR 101265676 B1 KR101265676 B1 KR 101265676B1 KR 1020100138272 A KR1020100138272 A KR 1020100138272A KR 20100138272 A KR20100138272 A KR 20100138272A KR 101265676 B1 KR101265676 B1 KR 101265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ink cartridge
injection
coupl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6216A (ko
Inventor
오광호
Original Assignee
오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호 filed Critical 오광호
Priority to KR102010013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6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67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잉크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를 결합시킨 홀더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잉크를 흡입수단으로 흡입하고, 잉크카트리지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주입수단으로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상하부면이 개구되게 복수개의 지지판을 결합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된 주입판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가 상부에 결합하고 하부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연통공을 형성시킨 결합관이 결합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손실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잉크에 오염되지 않으며 잉크충전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Ink refill jig equipment of ink cartridge}
본 발명은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손실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잉크 젯 프린터의 작동을 살펴보면, 프린터에 부착되어 있는 캐리지 상에 잉크카트리지가 장착되고, 프린터 헤드는 잉크 공급로를 통하여 잉크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잉크를 공급받고, 캐리어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인쇄작업이 수행된다.
여기서, 잉크 젯 프린터에는 4가지 색(적, 청, 황, 흑)의 잉크를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적색, 청색 및 황색 잉크를 하나의 카트리지로 제작하고, 흑색 잉크를 별도의 카트리지로 제작하여 통상 2개의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이때, 잉크카트리지는 다공질 부재(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수납되어 잉크를 담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고해상도의 인쇄물을 얻기 위해 분사되는 잉크의 양 및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해야하기 때문에 구조도 복잡하고 값도 비싸다.
특히, 잉크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를 새로운 잉크카트리지로 교체하고, 교체된 기존의 잉크카트리지는 폐기처분되었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유발하고, 또한 자원보존을 위해서도 잉크카트리지에 잉크를 충전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재는 이러한 재사용이 일반화되었다.
여기서, 잉크카트리지를 재사용하기 위해 잉크가 채워진 리필용 주입수단을 잉크카트리지에 꽂아 주입하는 수작업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주입된 잉크가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스펀지에 흡수되어 잉크카트리지를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충전방식은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자칫 잘못하면 잉크가 누출되어 잉크카트리지 또는 작업자의 손에 묻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충전방식은 노즐에 남은 잉크까지 완벽히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폐잉크찌꺼기에 의한 인쇄품질의 하락을 초래하였으며, 또한 노즐의 성능저하를 초래하여 잉크카트리지의 재사용 횟수를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손실 없이 잉크카트리지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에 맞추어 주입수단의 위치와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잉크카트리지 하단에 위치한 노즐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노즐에 남은 미세량의 폐 잉크까지 완벽히 제거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잉크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를 결합시킨 홀더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잉크를 흡입수단으로 흡입하고, 잉크카트리지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주입수단으로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상하부면이 개구되게 복수개의 지지판을 결합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된 주입판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가 상부에 결합하고 하부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연통공을 형성시킨 결합관이 결합된 고정판을 포함하여,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손실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안내홈을 상하로 하나 이상 형성시키고, 상기 제1안내홈에 삽입되는 주입판은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판은 제1안내홈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면에는 주입수단이 이동하는 이동공간이 관통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외측으로 제2안내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편이 결합되며, 상기 제2이동판은 상기 제2안내홈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관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의 몸체부 내측면에는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주입판과, 홀더가 결합하는 고정판이 결합되어,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손실 없이 잉크카트리지에 충전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잉크에 오염되지 않으며 잉크충전작업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는 지지판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안내홈을 상하로 하나 이상 형성시키고, 상기 제1안내홈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판과 상기 제1이동판에는 주입수단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2이동판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에 맞추어 주입수단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의 고정판에는 홀더와 흡입수단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결합관이 마련되어, 잉크카트리지 하단에 위치한 노즐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노즐에 남은 미세량의 폐잉크까지 완벽히 제거하도록 하여, 잉크카트리지 노즐의 성능이 향상되고 잉크카트리지의 재사용 횟수가 늘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복수개의 지지판 111을 결합한 몸체부 110와, 몸체부 110 내측면에는 주입수단 30이 관통되게 삽입된 주입판 120과, 홀더 20와 흡입수단 40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결합관 131이 결합된 고정판 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100는 잉크 1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 10를 결합시킨 홀더 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 21을 통해 잉크카트리지 10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잉크 1를 흡입수단 40으로 흡입하고, 잉크카트리지 10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공 11을 통해 주입수단 30으로 잉크 1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10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상하부면이 개구되게 복수개의 지지판 111을 결합한 몸체부 110와, 상기 몸체부 110의 내측면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입수단 30이 삽입되는 결합공 129이 관통된 주입판 120과, 상기 몸체부 110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 20가 상부에 결합하고 하부에는 흡입수단 40과 연결되는 연결관 133이 연결되는 연통공 131a을 형성시킨 결합관 131이 결합된 고정판 130을 포함한다.
먼저, 몸체부 110의 지지판 111은 사각의 판형상이다. 실시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판 111을 마주보게 배치하고 배면에는 다른 지지판 111으로 마감하여 전면과 상하부가 개구되게 형성시킨다.
이때, 지지판 111은 잉크 1의 충전이 용이하도록 투명한 재질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더불어, 주입판 120은 몸체부 110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이때, 주입판 120은 몸체부 11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러한, 주입판 120의 내측에 주입수단 30을 결합한다. 여기서, 주입수단 30은 수동 또는 자동 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주사기 타입이 적합하다.
또한, 주입판 120의 내측에는 결합공 129을 관통시킨다. 이러한, 결합공 129에는 주입수단 30을 삽입 결합한다.
한편, 고정판 130은 몸체부 110의 내측면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판 130은 몸체부 110의 하부에 결합한다. 이러한, 고정판 130의 상부면에는 홀더 20를 결합한다.
이러한, 홀더 20에는 잉크 1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 10를 결합한다. 이처럼, 잉크카트리지 10를 결합한 홀더 20가 고정판 130에 고정되도록 고정판 130의 내측에 결합관 131을 결합한다.
이때, 결합관 131에는 연통공 131a이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연통공 131a의 상부에는 홀더 2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 21이 삽입된다. 더불어, 연통공 131a의 하부에는 연결관 133이 삽입된다. 여기서, 연결관 133은 흡입수단 40에 연결한다.
나아가, 연통공 131a의 중간에 단턱을 형성시켜 연결관 133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도록 한다. 여기서, 흡입수단 40은 수동 또는 자동 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주사기 타입이 적합하다.
즉, 고정판 130에는 홀더 20와 흡입수단 40이 연통되게 연결하는 결합관 131을 결합시켜, 잉크카트리지 10 하단에 위치한 노즐 13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 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노즐 13에 남은 미세량의 폐잉크까지 완벽히 제거하도록 하여, 잉크카트리지 10 노즐 13의 성능이 향상되고 잉크카트리지 10의 재사용 횟수가 늘게 된다.
이처럼, 잉크카트리지 10가 결합된 홀더 20를 연결관 133에 고정한 상태에서 잔여잉크를 제거하거나 충전을 할 수 있다.
결국,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100는 몸체부 110의 내측면에 주입수단 30이 삽입되는 주입판 120과, 홀더 20가 결합하는 고정판 130을 포함하여, 잉크 1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 10와 주입수단 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 1를 손실 없이 잉크카트리지 10에 충전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잉크 1에 오염되지 않으며 잉크충전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지지판 111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안내홈 113을 상하로 하나 이상 형성시킨다. 이때, 제1안내홈 113에는 주입판 120을 삽입한다. 즉, 복수개의 제1안내홈 113에 주입판 120을 선택적으로 삽입한다. 이처럼, 잉크카트리지 10와 홀더 20의 사이즈에 따라 주입수단 30이 결합된 주입판 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주입판 120은 제1이동판 121과 제2이동판 127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안내홈 113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판 121과 상기 제1이동판 121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2이동판 127을 결합한다.
이러한, 제1이동판 121의 상부면에는 주입수단 30이 이동하는 이동공간 123을 관통시킨다. 더불어, 이동공간 123의 외측으로 제2안내홈 125a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편 125을 결합시킨다. 이때, 한 쌍의 안내편 125은 제2안내홈 125a이 마주보면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한다.
더불어, 제2이동판 127은 주입수단 30이 삽입되는 결합공 129을 관통시킨다.
결국, 상기 지지판 111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안내홈 113을 상하로 하나 이상 형성시킨다. 더불어, 제1안내홈 113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판 121과 상기 제1이동판 121에는 주입수단 30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2이동판 127을 결합한다. 즉,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 10에 맞추어 주입수단 30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잉크 1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 10를 홀더 20에 결합시킨다. 이때, 잉크카트리지 10 하부에 형성된 노즐과 홀더 20의 요홈 23이 일치되도록 한다.
더불어, 홀더 20의 하부면에 돌출시킨 배출관 21을 결합관 131의 연통공 131a에 삽입한다. 이때, 홀더 20의 종류에 따라 배출관 21이 결합관 131의 외주연에 끼움 결합 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관 131에 연결관 133을 연결한다. 덧붙여, 연결관 133의 타측에는 흡입수단 40을 연결한다.
이러한, 흡입수단 40을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 10 하단에 위치한 노즐 13을 통하여 잉크카트리지 10 내부를 진공을 상태로 만들어 노즐 13에 남은 미세량의 폐잉크까지 완벽히 제거하도록 하여, 잉크카트리지 10 노즐 13의 성능이 향상되고 잉크카트리지 10의 재사용 횟수가 늘게 된다.
나아가, 제2이동판 127을 제2안내홈 125a에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이처럼 제2이동판 127이 결합된 제1이동판 121을 복수개의 제1안내홈 113에 선택적으로 끼움 결합시킨다.
아울러, 주입수단 30을 제2이동판 127에 형성시킨 결합공 129에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잉크카트리지 10의 주입공 11과 주입수단 30의 바늘위치가 일치되도록 제2이동판 127을 좌우로 조정하고 제1이동판 121을 전후로 조절한다.
이처럼, 주입수단 30의 위치조절이 완료되면 주입수단 30의 바늘을 주입공 11을 통해 잉크카트리지 10 내부로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삽입된 주입수단 30을 이용하여 잉크카트리지 10 내부에 잉크 1를 충전시킨다.
결국, 잉크 1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 10와 주입수단 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 1를 잉크카트리지 10에 손실 없이 충전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잉크 1에 오염되지 않으며, 잉크 1를 충전하는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더불어, 제1안내홈 113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이동판 121과 상기 제1이동판 121에는 주입수단 30이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한 제2이동판 127이 결합되어, 다양한 형상과 사이즈의 잉크카트리지 10에 맞추어 주입수단 30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잉크
10 : 잉크카트리지 11 : 주입공
20 : 홀더 21 : 배출관
30 : 주입수단 40 : 흡입수단
100 :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110 : 몸체부 111 : 지지판
113 : 제1안내홈
120 : 주입판 121 : 제1이동판
123 : 이동공간 125 : 안내편
125a : 제2안내홈 127 : 제2이동판
129 : 결합공
130 : 고정판 131 : 결합관
131a : 연통공 133 : 연결관

Claims (2)

  1. 잉크를 모두 소모한 잉크카트리지를 결합시킨 홀더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관을 통해 잉크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여 잉크를 흡입수단으로 흡입하고, 잉크카트리지 상부면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주입수단으로 잉크를 충전하는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에 있어서,
    전면과 상하부면이 개구되게 복수개의 지지판을 결합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상부에 결합하며 상기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이 관통된 주입판과,
    상기 몸체부의 내측면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가 상부에 결합하고 하부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되는 연결관이 연결되는 연통공을 형성시킨 결합관이 결합된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 마주보는 한 쌍의 제1안내홈을 상하로 하나 이상 형성시키고, 상기 제1안내홈에 삽입되는 주입판은 제1이동판과 제2이동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이동판은 제1안내홈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부면에는 주입수단이 이동하는 이동공간이 관통되며 상기 이동공간의 외측으로 제2안내홈이 형성된 한 쌍의 안내편이 결합되며, 상기 제2이동판은 상기 제2안내홈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주입수단이 삽입되는 결합공을 관통시켜,
    잉크를 충전하고자 하는 잉크카트리지와 주입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일정량의 잉크를 잉크카트리지에 손실 없이 충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2. 삭제
KR1020100138272A 2010-12-29 2010-12-29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KR101265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72A KR101265676B1 (ko) 2010-12-29 2010-12-29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272A KR101265676B1 (ko) 2010-12-29 2010-12-29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16A KR20120076216A (ko) 2012-07-09
KR101265676B1 true KR101265676B1 (ko) 2013-05-22

Family

ID=46709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272A KR101265676B1 (ko) 2010-12-29 2010-12-29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6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804A (ko) * 2018-11-30 2020-06-22 주식회사 와이테크 3d 프린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804A (ko) * 2018-11-30 2020-06-22 주식회사 와이테크 3d 프린터
KR102246186B1 (ko) * 2018-11-30 2021-04-29 안미선 3d 프린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216A (ko) 201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9900B2 (en) Liquid supply unit
CN1035422C (zh) 印墨补充装置及印墨补充的方法
EP2921303A2 (en) Liquid supply unit
CN106004060A (zh) 盒以及液体喷射装置
KR101343645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101265676B1 (ko)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KR101660128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100675982B1 (ko) 잉크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벌크잉크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잉크 재충전방법
CN104972758A (zh) 具有振动功能的集中供墨装置
KR101332132B1 (ko)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
CN202174815U (zh) 用于墨盒的注墨装置和负压注墨器
CN102555504A (zh) 打印机墨水回收装置及使用该回收装置的打印机
JP5018916B2 (ja) 液体導出管取り付け構造及び液体噴射装置
JP2015160314A (ja) 液体供給ユニット
CN211994717U (zh) 高立体感窗帘面料数字喷墨印刷的供墨机构
KR101424409B1 (ko) 액상 파우더 분산 장치
CN216001878U (zh) 一种打印头以及字车
JP5212565B2 (ja) 液体導出管取り付け構造及び液体噴射装置
JP5212560B2 (ja) 液体導出管取り付け構造及び液体噴射装置
KR20140046700A (ko) 잉크 충진기
KR200175015Y1 (ko) 프린터용 카트리지의 구멍뚫기용 지그.
KR101308211B1 (ko) 잉크 충전기
KR101069188B1 (ko)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주입장치
KR100545839B1 (ko) 잉크충전장치
KR200286641Y1 (ko)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및 상기 잉크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