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211B1 - 잉크 충전기 - Google Patents

잉크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211B1
KR101308211B1 KR1020120058011A KR20120058011A KR101308211B1 KR 101308211 B1 KR101308211 B1 KR 101308211B1 KR 1020120058011 A KR1020120058011 A KR 1020120058011A KR 20120058011 A KR20120058011 A KR 20120058011A KR 101308211 B1 KR101308211 B1 KR 10130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mounting plate
hol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
Original Assignee
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철 filed Critical 허철
Priority to KR1020120058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5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96Ink pumps, ink valv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통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에 충전하는 잉크 충전기에 있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제1결합홀이 형성된 제1설치판과, 제2결합홀과 관통홀이 형성된 제2설치판으로 분리구성되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설치판넬; 상기 설치판넬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에 결합되며, 제1설치판의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잉크통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넬; 상기 제1설치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결합홀에 결합되어 잉크통에 연결되는 주입구와, 제2설치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결합홀에 결합되어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주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성된 충전연결부; 상기 제2설치판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호스를 통해 카트리지로 유입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하는 충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가 생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홀과 끼움홈을 통해 잉크통과 카트리지를 손쉽게 장착한 후, 카트리지 내부의 공기가 잉크통으로 올라오지 않을 때까지 잉크통을 손으로 눌러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잉크의 충전을 완료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잉크의 흘림 현상 없이 용이한 충전을 이룰 수 있고, 고정수단을 통해 끝 부분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호스에 의해 잉크통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잉크가 흐르는 것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잉크충전을 완료 후, 카트리지를 분리할 때에도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카트리지의 분리 후에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작동하는 충전조절부의 가압부재가 호스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므로, 잉크통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배출구를 통해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되어 이용자가 간편한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잉크 충전기{A ink refill device}
본 발명은 잉크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가 생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홀과 끼움홈을 통해 잉크통과 카트리지를 손쉽게 장착한 후, 카트리지 내부의 공기가 잉크통으로 올라오지 않을 때까지 잉크통을 손으로 눌러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잉크의 충전을 완료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잉크의 흘림 현상 없이 용이한 충전을 이룰 수 있고, 고정수단을 통해 끝 부분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호스에 의해 잉크통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잉크가 흐르는 것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잉크충전을 완료 후, 카트리지를 분리할 때에도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카트리지의 분리 후에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작동하는 충전조절부의 가압부재가 호스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므로, 잉크통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배출구를 통해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되어 이용자가 간편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잉크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값이 싸고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잉크 전용의 프린터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간편하게 소형화되면서 이에 사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도 점점 더 작아져 용량이 적은 카트리지를 사용하므로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트리지는 반복적인 인쇄로 잉크가 소모되면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며 소모된 카트리지는 버려지거나 재활용 업자에 의해서 수거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 할 수 있고, 상기의 재활용 업자에게 수거된 카트리지는 별도의 잉크 충전기에 의해서 재충전되어 신규제품보다 저렴하게 유통되기는 하나, 소모된 카트리지를 수거하고 잉크를 재충전하며 또다시 판매유통 단계를 걸치면서 많은 공정과 인건비로 인하여 그다지 저렴하게 유통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직접 소모된 카트리지 들고가 별도의 충전기가 설치된 잉크 충전방에서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재충전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소모된 잉크 카트리지의 휴대 및 보관 불량으로 인하여 잉크가 새어 나오는 폐단과 잔루하는 잉크가 굳어져 재사용이 어려운 카트리지가 발생하기도 하였으므로, 일상 생활이 바쁜 현대인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하여 재충전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사용하기를 선호하고 있었다.
한편, 잉크충전방을 운영하는 업자들은 카트리지에 잉크를 재충전할 수 있는 장비로서 공지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2002-0017859호 "폐잉크카트리지용 잉크 충전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것은 잉크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아있는 폐잉크의 배출과 새로운 잉크의 충전 및 잉크카트리지 내부의 공기압 조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잉크카트리지용 잉크 충전장치는 그 구성의 복잡함과 이로 인한 기계구매비용의 증가, 잉크의 주입시 카트리지 내부의 기포발생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술한 소비자의 소비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였다.
또 하나의 공지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2003-0023278호 "잉크충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개인이 직접 잉크를 잉크통으로부터 카트리지로 간편하고 청결, 신속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출원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위해 잉크를 공급하는 인젝터, 잉크가 흐르는 관로인 잉크충전호스, 인젝터에서 공급하는 잉크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잉크충전호스에 장착시켰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리필하기 위해 별도의 주사기를 이용해야 됨으로 사용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즉, 잉크가 채워진 주사기를 구입한 뒤 주사 바늘을 잉크 카트리지에 꽂아 주사를 놓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손잡이를 눌러 잉크가 잉크 카트리지에 들어가도록 해야되는데, 이때 잉크가 밖으로 흐를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주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충전장치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잉크 충전장치는 카트리지에 잉크를 주입시 선행되어지는 많은 번거로운 작업들을 거친 이후에도 적정 주입량의 조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입량이 과다할 경우 잉크가 외부로 누설되어 카트리지 전체가 얼룩이지게 되고 작업환경 역시 쉽게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숙련자가 아니어도 잉크의 충전을 손쉽게 이룰 수 있는 저가의 잉크 충전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잉크 충전기는, 잉크통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에 충전하는 잉크 충전기에 있어서, 프레임; 제1결합홀이 형성된 제1설치판과, 제2결합홀과 관통홀이 형성된 제2설치판으로 분리구성되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설치판넬; 상기 설치판넬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에 결합되며, 제1설치판의 제1결합홀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잉크통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판넬; 상기 제1설치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결합홀에 결합되어 잉크통에 연결되는 주입구와, 제2설치판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결합홀에 결합되어 카트리지에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주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성된 충전연결부; 상기 제2설치판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호스를 통해 카트리지로 유입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하는 충전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충전기는 간단한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가 생산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홀과 끼움홈을 통해 잉크통과 카트리지를 손쉽게 장착한 후, 카트리지 내부의 공기가 잉크통으로 올라오지 않을 때까지 잉크통을 손으로 눌러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잉크의 충전을 완료할 수 있어 숙련자가 아니어도 잉크의 흘림 현상 없이 용이한 충전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통해 끝 부분이 ∩자 형상으로 형성된 호스에 의해 잉크통에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잉크가 흐르는 것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잉크충전을 완료 후, 카트리지를 분리할 때에도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카트리지의 분리 후에는, 탄성체에 의해 자동작동하는 충전조절부의 가압부재가 호스를 가압하는 작용을 하므로, 잉크통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배출구를 통해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되어 이용자가 간편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레임과 설치판넬과 고정판넬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잉크통과 카트리지가 장착된 잉크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잉크통과 카트리지가 분리된 잉크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충전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를 장착하지 않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카트리지를 장착한 정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 사용한 카트리지(9)에 잉크를 재충전하기 위해 잉크통(1)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9)에 충전하는 잉크 충전기(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설치판넬(40)과, 고정판넬(50)과, 충전연결부(60)와, 충전조절부(70)로 구성된다.
첫째, 프레임(10)은 본 발명을 지지하며, 내부에 설치판넬(40)과, 고정판넬(50), 충전연결구(60), 충전조절부(70)를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ㄷ자 형상의 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는 카트리지(9)가 끼워지는 끼움홈(11)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카트리지(9)의 용이한 장착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설치판넬(40)은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제1, 2설치판(20, 30)으로 분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설치판(30)은 하측에 카트리지(9)를 장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의 중간 부분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판(20)은 제1, 2설치판(20, 30) 사이에 충전연결부(60)와 충전조절부(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2설치판(3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설치판(20)에는 충전연결부(60)의 일측을 잉크통(1)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1결합홀(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설치판(30)에는 충전연결부(60)의 타측을 카트리지(9)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2결합홀(31)과 충전조절부(70)를 결합설치하기 위한 관통홀(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고정판넬(50)은 상기 설치판넬(40)에 구성된 제1설치판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설치판(20)의 제1결합홀(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홀(5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홀(51)에 의하면, 고정홀(51)에 잉크통(1)의 헤드 부분을 끼워넣을 수 있어 잉크통(1)의 용이한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넷째, 충전연결부(6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설치판(20, 30) 사이에 설치되어 잉크통(1)과 카트리지(9)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제1설치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결합홀(21)에 결합되어 잉크통(1)에 연결되는 주입구(61)와, 제2설치판(3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결합홀(31)에 결합되어 카트리지(9)에 연결되는 배출구(63)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주입구(61)와 배출구(63)는 호스(65)를 통해 연결되어 잉크통(1)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9)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호스(65)는 충전조절부(70)를 통해 용이한 가압이 이루어짐은 물론, 가압 후, 복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잉크의 유동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연질이면서도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스(65)는 호스(65)의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배출구(63)에 인접한 부분이 고정수단(67)을 통해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67)에 의하면, 배출구(63)에 연결되는 호스(65)의 끝 부분이 ∩자 형상을 갖게 되므로, 호스(65)와 연결된 배출구(63)를 통해 카트리지(9)로 공급되는 잉크가 호스(65)의 ∩자 형상 부분에서 상승 되는 부분을 거치게 되며, 이로 인해 잉크통(1)에 외력을 가하지 않을 시 배출구(63)를 통해 카트리지(9)로 잉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구(63)와 연결된 카트리지(9)를 분리하였을 시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섯째, 충전조절부(7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판넬에 구성된 제2설치판(30)의 관통홀(33)에 결합되어 호스(65)를 통해 카트리지(9)로 유입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고정핀(74)과, 힌지부(75)와, 가압부재(76)와, 탄성체(77)로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상기 충전조절부(7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충전조절부(70)의 고정핀(74)은 상기 제2설치판(30)의 관통홀(33)에 끼워져 설치되는 핀(72)과, 상기 핀(7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설치판(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머리부(7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72)의 끝단 부분은 관통홀(33)을 통해 제2설치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2설치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된 핀(72)의 끝단 부분에는 연결홀(71)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74)은 배출구(63)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카트리지(9)를 충전연결부(60)의 배출구(63)와 연결하여 프레임(10)의 끼움홈(11)에 장착할 시 카트리지(9)의 상면에 의해 상측으로 밀리는 작동이 일어나도록 해야 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제2설치판(30)에 구성된 제2결합홈(31)과 관통홀(33)을 카트리지(9)가 끼워지는 끼움홈(1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힌지부(75)는 상기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가압부재(76)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통상의 본드나 용접과 같은 통상의 접합수단(미도시)을 통해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75)는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된다고 기술하였으나, 제2설치판(30)이 아닌 프레임(10)의 전면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며, 프레임(10)과 제2설치판(30)에 모두 접합되어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부재(76)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고정핀(74)의 연결홀(71)에 끼워지고, 타측이 힌지부(75)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고정핀(74)의 승강 작동에 따라 힌지부(75)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작동하여 충전연결부(60)에 구성된 호스(65)를 가압하거나, 호스(65)에서 이격되어 가압해제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탄성체(77)는 상기 고정핀(74)의 핀(72)에 끼워져 머리부(73)와 제2설치판(30) 사이에 위치되는 구성으로, 카트리지(9)의 미장착시 고정핀(74)를 하강시키는 작용을 하며 통상의 스프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74)의 연결홀(71)에 끼워진 가압부재(76)가 힌지부(75)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여 호스(65)를 가압하는 작용이 일어나며, 이를 통해 호스(65)와 연결된 배출구(63)로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충전연결부(60)에 구성된 호스(65)는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가압부재(76)가 가압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ㄷ자 형상의 가압부재(76)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핀(74)의 연결홀(72)과 힌지부(75)에 끼워지는 가압부재(76)의 끝단부분에는 상기 가압부재(76)가 연결홀(71) 및 힌지부(75)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마개(미도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넬(50)에 형성된 고정홀(51)에 잉크통(1)을 끼워 넣어 잉크통(1)과 충전연결부(60)의 주입구(61)를 연결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끼움홈(11)에 카트리지(9)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9)를 상측으로 밀어 올려 카트리지(9)의 잉크주입구와 충전연결부(60)의 배출구(63)를 연결하는 것으로 카트리지(9)의 장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9)의 장착을 이루면, 카트리지(9)의 상면에 의해 충전조절부(70)에 구성된 고정핀(74)이 상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고정핀(74)의 상승운동에 따라 탄성체(77)가 압축되는 작용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74)의 상승운동에 의하면, 상기 고정핀(74)의 연결홀(71)에 끼워진 가압부재(76)가 힌지부(75)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충전연결부(60)에 구성된 호스(65)에서 이격되게 되며, 이를 통해 호스(65)의 가압해제 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호스(65)가 고정수단(67)을 통해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수단(67)에 의해 호스(65)에 ∩자 형상의 부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통(1)에 저장된 잉크가 카트리지(9)로 자동공급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잉크통(1)을 눌렀다 놓았다를 반복하는 작업을 통해 잉크통(1)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9)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9)에 잉크가 공급될 때에는, 상기 카트리지(9) 내부에 있는 공기가 배출되므로, 잉크통(1)에 공기방울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잉크통(1)에 공기방울이 형성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잉크통(1)을 눌렀다 놓았다는 반복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카트리지(9)의 만 충전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통해 카트리지(9)의 만 충전을 이룬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카트리지(9)를 분리하는 것으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데, 상기 카트리지(9)가 분리되면, 고정핀(74)을 가압하는 힘이 사라지게 되므로, 탄성체(7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핀(74)이 초기상태로 복귀되어 가압부재(76)를 통해 호스(65)의 재 가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잉크통(1)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잉크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잉크통(1)을 본 발명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통해 사용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잉크에서 사용되는 4가지 색상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4가지 색상의 카트리지를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잉크통 9 : 카트리지
10 : 프레임 11 : 끼움홈
20, 30 : 제1, 2설치판 21, 31 : 제1, 2결합홈
33 : 관통홀 40 : 설치판넬
50 : 고정판넬 51 : 고정홀
60 : 충전연결부 61 : 주입구
63 : 배출구 65 : 호스
67 : 고정수단 70 : 충전조절부
71 : 연결홀 72 : 핀
73 : 머리부 74 : 고정핀
75 : 힌지부 76 : 가압부재
77 : 탄성체 100 : 잉크 충전기

Claims (4)

  1. 잉크통에 저장된 잉크를 카트리지에 충전하는 잉크 충전기에 있어서,
    프레임(10);
    제1결합홀(21)이 형성된 제1설치판(20)과, 제2결합홀(31)과 관통홀(33)이 형성된 제2설치판(30)으로 분리구성되어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설치판넬(40);
    상기 설치판넬(4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제1설치판(20)의 제1결합홀(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잉크통(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51)이 형성된 고정판넬(50);
    상기 제1설치판(2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결합홀(21)에 결합되어 잉크통(1)에 연결되는 주입구(61)와, 제2설치판(3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결합홀(31)에 결합되어 카트리지(9)에 연결되는 배출구(63)와, 상기 주입구(61)와 배출구(63)를 연결하는 호스(65)로 구성된 충전연결부(60);
    상기 제2설치판(30)의 관통홀(33)에 결합되어 호스(65)를 통해 카트리지(9)로 유입되는 잉크의 흐름을 제어하는 충전조절부(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잉크 충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카트리지(9)가 끼워지는 끼움홈(11)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잉크 충전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연결부(60)에 구성된 호스(65)는 배출구(63)에 인접한 부분이 고정수단(67)을 통해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고정수단(67)에 의해 배출구(63)에 연결되는 호스(65)의 끝 부분이 ∩자 형상을 갖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잉크 충전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조절부(70)는,
    상기 제2설치판(30)의 관통홀(33)에 끼워져 제2설치판(30)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연결홀(71)이 관통형성된 핀(72)과, 상기 핀(7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설치판(30)의 하측에 위치하는 머리부(73)로 구성된 고정핀(74);
    상기 제2설치판(30)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힌지부(75);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고정핀(74)의 연결홀(71)에 끼워지고, 타측이 힌지부(75)에 끼워지는 가압부재(76);
    상기 고정핀(74)의 핀(72)에 끼워져 머리부(73)와 제2설치판(3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체(77);로 구성되어 탄성체(77)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부(75)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가압부재(76)가 호스(65)의 가압을 이루는 작용을 하며, 카트리지(9)의 연결시에는 고정핀(74)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부재(76)를 힌지부(75)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부재(76)를 통한 호스(65)의 가압이 해제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는 잉크 충전기.
KR1020120058011A 2012-05-31 2012-05-31 잉크 충전기 KR10130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11A KR101308211B1 (ko) 2012-05-31 2012-05-31 잉크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011A KR101308211B1 (ko) 2012-05-31 2012-05-31 잉크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211B1 true KR101308211B1 (ko) 2013-09-26

Family

ID=4945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011A KR101308211B1 (ko) 2012-05-31 2012-05-31 잉크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6854A (zh) * 2018-09-29 2018-12-18 北海绩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注墨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72Y1 (ko) 2002-06-12 2002-11-13 (주)알아이오코리아 폐잉크카트리지용 잉크 충전장치
KR100411332B1 (en) 2003-02-12 2003-12-24 Taeil Systems Co Ltd Automatic ink feeding device
KR20050062457A (ko) * 2004-12-18 2005-06-23 황병옥 탈착식 지그를 이용한 자동 잉크 충전 및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672Y1 (ko) 2002-06-12 2002-11-13 (주)알아이오코리아 폐잉크카트리지용 잉크 충전장치
KR100411332B1 (en) 2003-02-12 2003-12-24 Taeil Systems Co Ltd Automatic ink feeding device
KR20050062457A (ko) * 2004-12-18 2005-06-23 황병옥 탈착식 지그를 이용한 자동 잉크 충전 및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6854A (zh) * 2018-09-29 2018-12-18 北海绩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注墨机
CN109016854B (zh) * 2018-09-29 2023-07-07 北海绩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注墨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409667B2 (en) Airbrush
KR101308211B1 (ko) 잉크 충전기
US5411183A (en) Liquid spray or foam dispensing apparatus
US7686436B2 (en) Ink recharging system for ink cartridge, bulk ink cartridge used in said system, and ink recharging method using them
KR101660128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20090030405A (ko) 수동펌프용 잉크 충전장치
KR100437935B1 (ko) 프린터용 컬러잉크 카트리지의 재충전장치
CA2606931C (en) Ink cartridge refill system for inkjet printers and method of refilling ink cartridges using the same
KR20100052201A (ko) 프린터의 잉크공급장치
KR102079488B1 (ko) 잉크카트리지용 잉크충전장치
KR200380298Y1 (ko) 이동식 잉크충전기
KR101332132B1 (ko) 잉크 충전 장치 및 노즐 어댑터
KR101719071B1 (ko) 잉크 충전기
KR200286641Y1 (ko)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충전장치 및 상기 잉크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받침대
KR100673355B1 (ko) 프린터 잉크카트리지용 잉크 충전시스템
KR101265676B1 (ko) 잉크카트리지 잉크충전용 지그장치
CN219171987U (zh) 一种便于注墨的墨盒
KR20100027516A (ko) 잉크 충전기
KR200406317Y1 (ko) 급결물질 공급장치
CN211368145U (zh) 利用加重块增压的水箱及自动补水蒸汽产生设备
KR200409334Y1 (ko) 휴대용 잉크충전기
CN103072381A (zh) 灌墨装置
KR20090069486A (ko) 진공 잉크 충전/흡입 장치
KR20050100520A (ko) 잉크 카트리지의 잉크 리필 시스템
KR20090029416A (ko) 잉크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