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561B1 -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 Google Patents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561B1
KR101265561B1 KR1020110042749A KR20110042749A KR101265561B1 KR 101265561 B1 KR101265561 B1 KR 101265561B1 KR 1020110042749 A KR1020110042749 A KR 1020110042749A KR 20110042749 A KR20110042749 A KR 20110042749A KR 101265561 B1 KR101265561 B1 KR 10126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ope
band
elastic ban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857A (ko
Inventor
변선
Original Assignee
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선 filed Critical 변선
Priority to KR102011004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561B1/ko
Priority to PCT/KR2012/003382 priority patent/WO2012153929A2/ko
Publication of KR20120124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07B1/04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with a core of fibres or filaments arranged parallel to the centre lin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3/00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 D07B3/02General-purpose machin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wisted ropes or cables from component strands of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in which the supply reels rotate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or in which a guide member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rope or cable to guide the component strands away from the supply reels in fixed posi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4Structures that change the cross-sectio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96Rope or cable structures braid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48Cores characterised by their cross-sectional shap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7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 D07B2201/2068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having a load bearing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47Cores
    • D07B2201/2067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 D07B2201/2069Cores characterised by the elongation or tension behaviour being elastic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8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wrapped 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braided 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2Jackets or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5/00Rope or cable materials
    • D07B2205/20Organic high polymers
    • D07B2205/2075Rubbers, i.e. elastom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05Elongation or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38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4Rope bands

Landscapes

  • Ropes Or Cabl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이 넓으며 탄성을 갖는 면띠 형태의 심재의 표면을 표면섬유사로 엮어 단일 탄성고무심재나 여러 가닥의 고무질 심재를 이용하는 것보다 심재의 너비 면적을 조절하여 로프의 직경을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노화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일부분이 찔리거나 잘려도 쉽게 절단되지 않고 동일 단면적 제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로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사와 심재섬유사가 함침되어 넓은 띠 형태로 직조되는 탄성밴드를 구성하며, 상기 탄성밴드를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가 탄성밴드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로프는 탄성밴드로 심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탄성밴드의 폭 조절을 통한 탄성로프의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무심재를 사용할 때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도록 구성하여; 탄성력 또는 무탄성의 성질을 갖도록 직조된 띠 형태의 심재를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를 이용하여 감싸며 엮어서 제조하여, 심재의 넓이 조절로 간단하게 로프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제조기기를 구조 변경없이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Core band with a rope}
본 발명은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이 넓으며탄성을 갖는 면띠 형태의 심재 표면을 표면섬유사로 엮어 단일 탄성고무심재나 여러 가닥의 고무질 심재를 이용하는 것보다 심재의 너비폭 면적을 조절하여 로프의 직경을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노화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일부분이 찔리거나 잘려도 쉽게 절단되지 않고 동일 단면적 제조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해양용으로는 선박용, 어망용으로 이용하며, 육상용으로는 건축현장의 안전줄, 농업용 또는 운수용 밧줄 등의 산업용에 이용되고 고층건물로 부터의 대피, 등산 또는 암벽용 자임, 군수용 자일 등 일상생활과 각종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 일반적인 로프는 대부분이 천연섬유인 마닐라삼과 사이잘삼이 흔히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강도도 풍부하고 잘 부패되지 아니하면서도 대량 생산이 되고 있는 나일론, 폴리에스텔, 비니론 등의 합성재료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로프는 가는 섬유를 모아 단사(單絲)로 하고 이를 몇개 내지 수십개씩 모아서 가닥으로 만들고, 다시 이가닥을 3~4개 또는 그 이상을 합쳐 꼬아서 만들어져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로프와 관련되어 선출원되어 등록된 사례를 예로 들면,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0173461호 "구 난용 로우프", 실용신안등록 제0209230호 "발광 등산용 로우프" 실용신안등록 제0211358호 "반사광 등산용 로프"와 특허등록 제0788519호 "신축성 구명줄"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는 단순히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서로 꼬는 방식으로 엮어서 제조되는 것으로 로프의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 가닥수의 증감을 통해 이루어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의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이용할 경우 심재가 모두 고무로 이루어져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단가 제조 비용의 증감이 커 제조사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의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이용할 경우 외부를 섬유사로 감싼다 하더라도 햇볕이나 추운 곳에서 장시간 사용할 경우 열화나 수축현상이 심해져 표면에 크랙이 발생되거나 신장 및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의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이용할 경우 사용상 심재의 표면이 뾰족한 구조물에 찔리거나 일부분이 예리한 도구에 의해 짤릴 경우 신장시 손상부위에 크랙이 진행되어 쉽게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프의 심재를 여러 가닥의 고무줄로 이용할 경우 로프의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고무줄을 엮어서 증대시켜야 하는 번거로움과 단일 고무줄 심재와 동일하게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단가 제조 비용의 증감이 커 제조사의 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띠 형태의 면 밴드를 심재로 이용하여 표면을 섬유사로 감싸 로프를 제작함으로써 밴드의 폭에 따라 다양한 직경을 갖는 로프를 제조가능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열화나 크랙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개선된 로프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탄성력 또는 무탄성의 성질을 갖도록 직조된 띠 형태의 심재를 여러 가닥의 탄성 또는 무탄성 표면섬유사를 이용하여 감싸며 엮어서 제조하여, 심재의 넓이 조절로 간단하게 로프의 직경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고무심재나 여러 가닥의 고무줄 심재를 사용할 경우보다 원가절감이 이루어지고, 로프의 단면적 조절이 용이하며 오랜 사용으로 인한 노화 현상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찔리거나 일부분 잘려도 쉽게 절단현상이 진행되지 않아 내구성 및 수명이 길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프에 볼록부와 균일부를 반복적으로 형성시켜 적재물의 이동시에도 볼록부에 의한 걸림작용으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형상기억 와이어를 삽입하여 신장 후 복원력에 의한 지지력 및 조임력이 증대되고, 비닐튜브의 내부에 심재가 삽입되어 우천시에도 심재가 젖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프에 있어서, 탄성사와 심재섬유사가 함침되어 넓은 띠 형태로 직조되는 탄성밴드를 구성하며, 상기 탄성밴드를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서로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가 탄성밴드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로프는 탄성밴드로 심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탄성밴드의 폭 조절을 통한 탄성로프의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무심재를 사용할 때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력 또는 무탄성의 성질을 갖도록 직조된 띠 형태의 심재를 여러 가닥의 탄성 또는 무탄성 표면섬유사를 이용하여 감싸며 엮어서 제조하여, 심재의 넓이 조절로 간단하게 로프의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제조기기를 구조 변경없이 제작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단일 고무심재나 여러 가닥의 고무줄 심재를 사용할 경우보다 원가절감이 이루어지고, 로프의 단면적 조절이 용이하며 오랜 사용으로 인한 노화 현상이 적게 발생되도록 하여 크랙이 발생되지 않아 절단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심재가 섬유 형태의 성질을 지니고 있어 찔리거나 일부분 잘려도 쉽게 절단현상이 진행되지 않아 내구성 및 수명이 길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로프에 볼록부와 균일부를 반복적으로 형성시켜 적재물의 이동시에도 볼록부에 의한 걸림작용으로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하는효과가 있다.
또한, 형상기억 와이어를 삽입하여 신장 후 복원력에 의한 지지력 및 조임력이 증대되고, 비닐튜브의 내부에 심재가 삽입되어 우천시에도 심재가 젖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의 제조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가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의 중앙으로 공급되는 부분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탄성 형상기억 합금 와이어가 탄성밴드와 함께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되는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탄성밴드나 무탄성밴드를 적층한 상태로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되는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되는 탄성로프를 잡아당겨 볼록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다수 탄성밴드나 무탄성밴드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볼록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8은 탄성밴드나 무탄성밴드에 적층부를 생성시켜 볼록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9는 합성비닐튜브의 내부에 탄성밴드나 무탄성밴드를 삽입한 후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되는 공정도,
도 10은 무탄성로프를 제조하는 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공정도,
도 11은 탄성로프나 무탄성로프를 다양한 배열 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탄성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수 가닥의 탄성사와 섬유심재사를 꼬지않은 상태에서 여러 가닥의 표면섬유사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되어 탄성로프가 제작되는 공정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에 관한 것으로,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가 함침되어 넓은 띠 형태로 직조되는 탄성밴드(1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10)는 현대 일상에서 쉽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탄성을 갖는 탄성밴드(10)의 경우에는 속옷(팬티) 등에 사용하는 허리밴드를 예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탄성밴드(10)는 도면상 표현하지 않은 별도의 직조기계에서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가 함께 서로 엮여져 직조됨으로써 탄성을 갖는 면 형태로 제조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탄성밴드(10)를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3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표면섬유사(20)의 중앙으로 삽입되는 탄성밴드(10)는 말려서 공급되거나 구겨지는 상태, 겹쳐져 공급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심재섬유사(12)와 표면섬유사(20)는 합성섬유재질로 직조된 섬유사를 이용하는 것일 바람직 할 것이며, 상기 표면섬유사(20)는 탄성섬유사 또는 무탄성섬유사 또는 탄성섬유사와 무탄성섬유사 혼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표면섬유사(20)는 도면상 표현하지 않은 별도의 직조기계에 여러 개의 섬유사가 감겨진 실타레를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을 원판에 직립되게 설치한 후 원판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원판을 감싸는 다른 큰 원판이 회전하면서 엑스자 형태로 엮어지는 기계를 이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는 탄성밴드(1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곡단(41)을 다수 개로 형성하는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를 하나 이상으로 함께 삽입시켜 제조되는 탄성로프(3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탄성로프(30)가 신장될 때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의 절곡단(41)이 펴지면서 신장되며, 신장이 완료된 후 절곡단(41)의 복원력에 의해 당김력이 증대,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를 사용할 경우 탄성로프(30)의 양 끝단은 탄성밴드(10)와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 표면섬유사(20)가 신장될 경우와 수축될 경우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별도의 마감구를 이용하여 일체화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0)는 하나 이상으로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탄성로프(30)을 다양한 직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밴드(10)는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적층된 탄성밴드(10)를 일체로 결합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한 것으로 제조 방식이나 사용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탄성밴드(10)가 삽입되어 탄성로프(30)가 제조될 때 탄성로프(30)를 제조완료되는 방향쪽에서 잡아당겨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간격이 넓어져 탄성밴드(10)를 가압하는 표면섬유사(20)의 가압력이 작아지고 탄성밴드(10)의 수축으로 직경이 커지는 직경이 커지는 볼록부(31)를 구성한다.
삭제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탄성로프(30)를 당길 경우 탄성로프(30)는 신장되고, 일정한 속도롤 회전하면서 엮어지는 표면섬유사(20)는 탄성로프(30)를 잡아당기지 않았을 때보다 엮어지는 간격이 커지게 되는데, 잡아당겼던 탄성로프(30)에 당김력을 제거하면 탄성로프(30)의 수축작용으로 표면섬유사(20)의 엮임 간격이 넓은 부분이 볼록하게 직경이 확대되는 볼록부(31)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로프(30)를 잡아당기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켜 균일단(32)을 반복적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로프(30)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고정시킬 때 적재물이 유동되더라도 볼록부(31)가 적재물의 모서리에 걸림되어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탄성로프(30)의 볼록부(31)는 길이가 짧은 다수 개의 탄성밴드(10)의 마주 보는 끝단을 서로 겹쳐서 제봉사(13)로 결합시켜 연결부(14)를 구성한다.
즉,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연결부(14)가 형성된 탄성밴드(10)를 삽입시 연결부(14)의 체적이 연결되지 않은 탄성밴드(10)의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탄성로프(30)의 볼록부(31)는 탄성밴드(1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에스자 형태가 되도록 적층시켜 적층단(15)을 다수 개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단(15)을 제봉사(13)로 풀리지 않도록 결합시켜 적층부(16)를 구성한다.
즉,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적층부(16)가 다수 개로 형성된 탄성밴드(10)를 삽입시 적층부(16)의 체적이 적층되지 않은 탄성밴드(10)의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0)를 원통 형상의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비닐튜브(50)는 탄성밴드(10)가 신장될 때 함께 신장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주름(51)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밴드(10)가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어 표면섬유사(20)가 합성비닐튜브(50)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서 구성되는 탄성로프(30)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탄성밴드(10)가 젖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름(51)을 생성하는 이유는 탄성로프(30)가 신장될 때 합성비닐튜브(50)에 주름(51)이 펼쳐지면서 탄성로프(30)의 신장 길이에 대응하여 펼쳐져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로프는 무탄성 심재섬유사(12)를 넓은 띠 형태로 직조하는 무탄성밴드(60)를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무탄성밴드(60)를 여러 개의 무탄성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무탄성밴드(60)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완성되는 무탄성로프(70)를 구성한다.
즉, 상기 무탄성로프(70)는 무탄성밴드(60)로 심재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무탄성밴드(60)의 폭 조절을 통한 무탄성로프(70)의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탄성밴드(60)는 하나 이상으로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무탄성로프(70)을 다양한 직경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탄성밴드(60)는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며, 적층된 무탄성밴드(70)를 일체로 결합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한 것으로 제조 방식이나 사용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탄성로프(70)의 직경을 증감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무탄성밴드(60)의 너비(폭)가 다른 것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탄성로프(70)에 볼록부(3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짧은 다수 개의 무탄성밴드(60)의 마주 보는 끝단을 서로 겹쳐서 제봉사(13)로 결합시켜 연결부(14)를 구성한다.
즉,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연결부(14)가 형성된 무탄성밴드(60)를 삽입시 연결부(14)의 체적이 연결되지 않은 무탄성밴드(60)의 균일단(32)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무탄성로프(70)의 볼록부(31)는 무탄성밴드(6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에스자 형태가 되도록 적층시켜 적층단(15)을 다수 개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적층단(15)을 제봉사(13)로 풀리지 않도록 결합시켜 적층부(16)를 구성한다.
즉,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적층부(16)가 다수 개로 형성된 무탄성밴드(60)를 삽입시 적층부(16)의 체적이 적층되지 않은 무탄성밴드(60)의 균일단(32)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탄성밴드(60)를 원통 형상의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합성비닐튜브(50)는 무탄성밴드(60)를 길이방향을 따라 감싸는 것으로 다수의 주름(5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주름(51)이 형성되지 않을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된 무탄성밴드(60)가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어 표면섬유사(20)가 합성비닐튜브(50)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서 구성되는 무탄성로프(70)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탄성밴드(10)가 젖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렇게 제조된 상기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를 서로 꼬지 않은 상태에서 2열, 5열, 3열, 4열, 7열 중 하나로 배열 후,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로프(3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1의 (a)와 (b)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의 2열, 5열 배열시에는 직사각형 로프, (c)도면에서와 같이 3열 배열시에는 삼각형 로프, (d)도면에서와 같이 4열 배열시에는 정사각형 로프, (e)도면에서와 같이 7열 배열시에는 육각형 로프로 단면적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기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의 심재가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로 형성되어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의 폭 조절을 통한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의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무심재를 사용할 때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조 순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20)와 무탄성로프(70)는 탄성밴드(10)에 탄성사(11)를 함침하거나 함침하지 않는 차이로 구분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10)를 제조할 경우에는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를 함께 함침시켜 탄성밴드(10)를 직조하며, 심재섬유사(12)를 넓은 띠 형태로 별도의 직조기계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면섬유사(20)는 탄성섬유사 또는 무탄성섬유사 또는 탄성섬유사와 무탄성섬유사 혼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사용여건에 따라 준비하여 별도의 엮는 기계에 설치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를 제조하는 동시에 제조된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를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를 제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곡단(41)을 다수 개로 형성하는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를 하나 이상으로 함께 삽입시켜 탄성로프(30)를 제조한다.
이러한, 상기 탄성로프(30)가 신장될 때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의 절곡단(41)이 펴지면서 신장되며, 신장이 완료된 후 절곡단(41)의 복원력에 의해 당김력이 증대,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0)는 하나 이상으로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킬 수 있으며, 간단하게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의 개수를 간단히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을 갖는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로프(30)의 제조완료되는 방향쪽에서 잡아당겨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간격을 조절하여 볼록부(31)를 형성하거나(도 6참조), 길이가 짧은 다수 개의 탄성밴드(10)의 마주 보는 끝단을 서로 겹쳐서 제봉사(13)로 결합시켜 연결부(14)를 이용하여 볼록부(31)를 형성하거나(도 7참조), 적층단(15)을 제봉사(13)로 풀리지 않도록 결합시켜 적층부(16)를 이용하여 볼록부(31)를 형성시켜(도 8참조) 볼록부(31)가 적재물의 모서리에 걸림되어 적재물이 유동하더라도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고 걸림되어 유동을 차단하는 이점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밴드(10)를 원통 형상의 주름(51)이 형성된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를 이용하여 합성비닐튜브(50)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서 구성되어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탄성밴드(10)가 젖지 않아 수분으로 인한 적재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무게가 증가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를 서로 꼬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배열에 따른 단면적 형상에 의해 적재물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굴곡될 때 각각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가 지지면적이 넓어져 적재물의 안정적인 지지력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는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면 표면에 크랙이나 일부분 찔림, 짤림 등이 발생되면 적재물의 고정을 위해 지속적인 사용시 찔린 부분이나 짤림 부분에 크랙이 쉽게 진행되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는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면 햇볕 같은 곳에서 장시간 사용할 때 고무의 특성상 표면이 열화나 노화된 상태에서 적재물의 고정을 위해 지속적인 사용시 크랙이 쉽게 진행되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는 심재를 단일 고무줄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면 단위 길이당(예로써 1M당) 제조단가 100원이라고 하면 본 발명은 약 40~50원 정도로 저렴해지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는 심재를 여러 가닥의 고무줄을 이용할 경우와 비교하면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로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고무줄 심재를 충진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의 탄성로프(30)의 경우 탄성사(11)에 의해 신장과 수축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심재섬유사(12)의 체적에 의해 필요로 하는 단면적을 쉽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은, 상기 본 발명의 탄성로프(30)나 무탄성로프(70)의 용도는 탄성의 유무에 따라 사용용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 예로써 화물차용 적재물을 고정하는 고정로프, 오토바이 자전거의 적재물 고정로프, 가정에서 이용하는 각종 로프, 안전(인명구조)로프, 줄넘기 줄, 해양용, 산업용, 건설토목분야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탄성밴드(10)나 무탄성밴드(60)는 절단되어도 연결하여 로프를 제조하는데 재 사용가능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로프(30)의 심재를 탄성을 갖는 탄성사(11)와 탄성을 갖는 심재섬유사(12)로 여러 가닥으로 구성하되, 상기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는 서로 꼬아서 엮지 않은 상태로 평행하게 서로 혼합된 상태로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서로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3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탄성밴드 11 : 탄성사
12 : 심재섬유사 13 : 제봉사
14 : 연결부 15 : 적층단
16 : 적층부 20 : 표면섬유사
30 : 탄성로프 31 : 볼록부
32 : 균일단 40 :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
41 : 절곡단 50 : 합성비닐튜브
51 : 주름 60 : 무탄성밴드
70 : 무탄성로프

Claims (16)

  1. 로프에 있어서,
    탄성사(11)와 심재섬유사(12)가 함침되어 넓은 띠 형태로 직조되는 탄성밴드(10)를 구성하며,
    상기 탄성밴드(10)를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서로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제조되는 탄성로프(30)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로프(30)는 탄성밴드(10)로 심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탄성밴드(10)의 폭 조절을 통한 탄성로프(30)의 직경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무심재를 사용할 때보다 중량이 가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는 탄성밴드(10)에 지그재그 형상의 절곡단(41)을 다수 개로 형성하는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를 하나 이상으로 함께 삽입시켜 제조되는 탄성로프(30)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로프(30)가 신장될 때 초탄성 형상기억 와이어(40)의 절곡단(41)이 펴지면서 신장되며, 신장이 완료된 후 절곡단(41)의 복원력에 의해 당김력이 증대,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10)는 하나 이상으로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탄성로프(30)을 다양한 직경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탄성밴드(10)가 삽입되어 탄성로프(30)가 제조될 때 탄성로프(30)를 제조완료되는 방향쪽에서 잡아당겨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간격이 넓어져 탄성밴드(10)를 가압하는 표면섬유사(20)의 가압력이 작아지고 탄성밴드(10)의 수축으로 직경이 커지는 볼록부(31)와, 상기 탄성로프(30)를 잡아당기지 않은 상태로 유지시켜 균일단(32)을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탄성로프(30)를 이용하여 적재물을 고정시킬 때 적재물이 유동되더라도 볼록부(31)가 적재물의 모서리에 걸림되어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프(30)의 볼록부(31)는 길이가 짧은 다수 개의 탄성밴드(10)의 마주 보는 끝단을 서로 겹쳐서 제봉사(13)로 결합시켜 연결부(14)를 구성하여,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연결부(14)가 형성된 탄성밴드(10)를 삽입시 연결부(14)의 체적이 연결되지 않은 탄성밴드(10)의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로프(30)의 볼록부(31)는 탄성밴드(1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에스자 형태가 되도록 적층시켜 적층단(15)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상기 적층단(15)을 제봉사(13)로 풀리지 않도록 결합시켜 적층부(16)를 구성하여,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적층부(16)가 다수 개로 형성된 탄성밴드(10)를 삽입시 적층부(16)의 체적이 적층되지 않은 탄성밴드(10)의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10)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감싸며 엮어지는 표면섬유사(20)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로프(30)를 서로 꼬지 않은 상태에서 2열, 5열, 3열, 4열, 7열 중 하나로 배열 후,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탄성로프(3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도록 구성하여,
    상기 2열, 5열 배열시에는 직사각형 로프, 3열 배열시에는 삼각형 로프, 4열 배열시에는 정사각형 로프, 7열 배열시에는 육각형 로프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10)를 원통 형상의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하고,
    상기 합성비닐튜브(50)는 탄성밴드(10)가 신장될 때 함께 신장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주름(5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된 탄성밴드(10)가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어 표면섬유사(20)가 합성비닐튜브(50)와 탄성밴드(1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서 구성되는 탄성로프(30)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탄성밴드(10)가 젖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섬유사(12)와 표면섬유사(20)는 탄성섬유사 또는 무탄성섬유사 또는 탄성섬유사와 무탄성섬유사 혼합된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10. 로프에 있어서,
    무탄성 심재섬유사(12)를 넓은 띠 형태로 직조하는 무탄성밴드(60)를 구성하며,
    상기 무탄성밴드(60)를 여러 개의 무탄성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서로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무탄성밴드(60)의 표면을 가압하며 감싸서 엮어 완성되는 무탄성로프(70)를 구성하여,
    상기 무탄성로프(70)는 무탄성밴드(60)로 심재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무탄성밴드(60)의 폭 조절을 통한 무탄성로프(70)의 단면적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사용에도 크랙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11. 삭제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성밴드(60)는 하나 이상으로 적층한 상태로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무탄성로프(70)을 다양한 직경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성로프(70)에 볼록부(3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길이가 짧은 다수 개의 무탄성밴드(60)의 마주 보는 끝단을 서로 겹쳐서 제봉사(13)로 결합시켜 연결부(14)를 구성하여,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연결부(14)가 형성된 무탄성밴드(60)를 삽입시 연결부(14)의 체적이 연결되지 않은 무탄성밴드(60)의 균일단(32)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성로프(70)의 볼록부(31)는 무탄성밴드(6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에스자 형태가 되도록 적층시켜 적층단(15)을 다수 개로 형성하고,
    상기 적층단(15)을 제봉사(13)로 풀리지 않도록 결합시켜 적층부(16)를 구성하여,
    상기 표면섬유사(20)가 엮어지는 중앙으로 적층부(16)가 다수 개로 형성된 무탄성밴드(60)를 삽입시 적층부(16)의 체적이 적층되지 않은 무탄성밴드(60)의 균일단(32) 체적보다 증대되어 볼록부(31)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성밴드(60)의 표면을 가압하면서 감싸며 엮어지는 표면섬유사(20)에 의해 구성되는 무탄성로프(70)를 서로 꼬지 않은 상태에서 2열, 5열, 3열, 4열, 7열 중 하나로 배열 후,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시켜 표면섬유사(20)가 무탄성로프(7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도록 구성하여,
    상기 2열, 5열 배열시에는 직사각형 로프, 3열 배열시에는 삼각형 로프, 4열 배열시에는 정사각형 로프, 7열 배열시에는 육각형 로프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탄성밴드(60)를 원통 형상의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시켜 구성하여,
    상기 합성비닐튜브(50)의 내부에 삽입된 무탄성밴드(60)가 여러 개의 표면섬유사(20)가 엑스자 배열 방식으로 회전되며 엮어지는 중앙으로 삽입되어 표면섬유사(20)가 합성비닐튜브(50)와 무탄성밴드(60)의 표면을 조밀하게 감싸서 구성되는 무탄성로프(70)가 수분에 노출되더라도 무탄성밴드(60)가 젖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KR1020110042749A 2011-05-06 2011-05-06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KR101265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49A KR101265561B1 (ko) 2011-05-06 2011-05-06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PCT/KR2012/003382 WO2012153929A2 (ko) 2011-05-06 2012-04-30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49A KR101265561B1 (ko) 2011-05-06 2011-05-06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57A KR20120124857A (ko) 2012-11-14
KR101265561B1 true KR101265561B1 (ko) 2013-05-20

Family

ID=47139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49A KR101265561B1 (ko) 2011-05-06 2011-05-06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5561B1 (ko)
WO (1) WO2012153929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476A (en) 1995-10-13 1996-10-15 Murdock Webbing Company, Inc. Elasticized double wall tubular cor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5588A (ja) * 1990-06-29 1992-03-02 Masahiko Kanbayashi 伸縮ロープ
PL1743964T3 (pl) * 2005-07-15 2009-04-30 Teijin Aramid Bv Kord
KR101213795B1 (ko) * 2009-07-23 2012-12-18 김정석 신축안전로프원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4476A (en) 1995-10-13 1996-10-15 Murdock Webbing Company, Inc. Elasticized double wall tubular co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53929A3 (ko) 2013-01-24
KR20120124857A (ko) 2012-11-14
WO2012153929A2 (ko) 201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21B1 (ko) 하이브리드 로프 및 그 제조 방법
WO2014097666A1 (ja) 高強力繊維線材及び該高強力繊維線材を有してなる複合材
JP2008523255A5 (ko)
US20140178615A1 (en) Ribbed woven material
KR100992580B1 (ko) 와이어 로프 슬링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와이어로프 슬링
JP5671325B2 (ja) 伸縮性テー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711673T3 (es) Proceso para fabricar fibras de hierba artificial
WO2021063196A1 (zh) 针通纸绳、包芯针通纸绳及其制造方法
JP3541146B2 (ja)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KR101265561B1 (ko) 밴드 형태의 심재를 갖는 로프
CN203700704U (zh) 一种圆形夹芯编织绳
JPH0238616A (ja) 土木用網
JP2012510002A5 (ko)
CN211256218U (zh) 一种服装用弹性织带
CN211284696U (zh) 一种高强度复合纱线
CN209443142U (zh) 帘子布专用复合包芯纱
JP6320119B2 (ja) 歯付きベルト用織物
CN103361817A (zh) 三维圆柱体绳索和制作方法
CN210505230U (zh) 带纬向束缚的环形吊装带
CN203905504U (zh) 复合线状体的末端固定结构
JP4605529B2 (ja) 農業用ネット
US10357071B2 (en) Combustion-resistant artificial tree
CN219877642U (zh) 一种提高防滑效果及耐用性的束发松紧圈
CN216765225U (zh) 一种耐老化的涤纶渔网线
EP4067057A2 (en) Shear band construction for use in a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