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840B1 -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4840B1 KR101264840B1 KR1020120022398A KR20120022398A KR101264840B1 KR 101264840 B1 KR101264840 B1 KR 101264840B1 KR 1020120022398 A KR1020120022398 A KR 1020120022398A KR 20120022398 A KR20120022398 A KR 20120022398A KR 101264840 B1 KR101264840 B1 KR 101264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rting gas
- fire
- fire extinguishing
- needle valve
- clo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관이 파열되면 기동가스의 공급으로 소화액제통을 개방하여 소화액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이나 제어부 없이 기계적인 작동방식에 의해 유지보수 관리가 용이한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몸체(13)의 내부로 기동가스의 개폐를 위한 가동구(14)가 몸체(13)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디플렉터(17)에 지지되는 파열관(15)에 의해 지지된 열감지구(10)와, 상기 파열관(15)의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유동되면 제1타공편(22)이 전,후 이동하는 제1니들밸브(20)와, 상기 제1니들밸브(20)의 제1타공편(22)에 의해 제1디스크(31)의 파열로 제1소화액제통(3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1폐쇄구(34)가 이동하면서 소화액제가 분출되고, 동시에 제1니들밸브(20)로 유동된 기동가스가 유동되어 공급되면 제2타공편(42)이 전,후 이동하는 제2니들밸브(40)와, 상기 제2니들밸브(40)의 제2타공편(42)에 의해 제2디스크(51)의 파열로 제2소화액제통(5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2폐쇄구(54)가 이동하면서 소화액제가 제1소화액제통(33)의 소화액제와 합류되어 분출되도록 구성하여; 별도의 전원공급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원작동장치의 필요없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관의 파열로 유동하는 기동가스에 의해 소화액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관이 파열되면 기동가스의 공급으로 소화액제통을 개방하여 소화액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며 별도의 전원이나 제어부 없이 기계적인 작동방식에 의해 유지보수 관리가 용이한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스를 사용하는 각종 영업점이나 가정등에서는 가스 누출에 따른 폭발사고나 질식사고등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차단기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고 또한, 고층 아파트의 주방과 같이 화기 사용 지역에 의무적으로 자동식 소화기를 설치 하도록 소방법에 이를 명시하고 있다.
종래의 자동 소화장치는 여러 가지가 이미 알려져 있는데 대개 체크밸브를 구비한 소화기 작동장치는 조리대 상부의 좌우 수납장에 설치되고 분사노즐은 레인지후드의 하단부에 설치하며 작동장치와 분사노즐 사이에 방출도관이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제어부로부터 화재감지 신호를 받아 작동장치가 동작하게 되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를 설명하면 케이블에 내삽된 와이어가 평상시에는 인장되어 있어 스프링의 반발력과 내부 압력으로 연결통로를 누름핀이 차단하고 있어 소화기용기 안에있는 소화액재가 충전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 케이블속에 있는 와이어가 단선되고 스프링의 복원력의 힘으로 레버가 레버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누름핀을 누름으로써 연결통로가 개방되어 소화기용기 안에 있는 소화액이 방출연결관을 따라 노즐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모터방식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자동소화장치는 평상시 스프링의 반발력과 내부 압력으로 연결통로를 누름핀이 차단하고 있어 소화기용기 안에 있는 소화액재가 충전되어 있다가 화재발생시 제어부(미도시)로 부터 모터 전원선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가 회전하고 모터축에 부착된 기어가 회전하여 여러개의 피니언 기어에서 감속하여 테이퍼형 래크를 래크레일을 따라 이동됨으로서 누름을 하측으로 눌러 이로인해 연결통로가 개방되고 소화기용기내에 있는 소화액이 방출연결관을 따라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자동식 소화기들은 기계식과 모터방식으로 이루어져 소화기 용기 내부에 소화액을 충전시 작동장치와 따로 분리 되어있는 상태에서 소화기 용기 내부에 소화액을 넣고 헤드목형이 소화기 용기에 조립되고 누름핀을 누를수 있는 치공구로 눌러준 다음 방출할 때의 역으로 방출연결관 앞에 있는 방출구로 일정한 압력 만큼 충전하고 치공구를 제거해 압력이 빠지지 않게 하고 작동장치를 초기화 상태로 한 다음 소화기 헤드부에 별도의 부재로서 개폐 장치인 작동장치를 붙들어 매는 형태인데 최종적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누름핀을 눌러주어야 하는데 소화기용기의 내부 압력도 크기 때문에 기계식의 경우 장시간 경과시 스프링의 복원력이 현격히 감소하여 화재시 제대로 동작되지 않으며 모터식의 경우는 직결로 누를 수 있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감속기어 방식을 채택하고 있고 제어부에서 수시로 작동장치 출력쪽에 이상이 있는가를 체크하는데 모터 내부의 부러쉬 접점 때문에 작동장치가 이상이 없어도 제어부에서는 이를 제대로 인식지 못하여 이상상태를 나타내는 경고음을 발생하기도 하며 그 부피가 크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써, 별도로 전원을 이용하여 제어부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가 필요없이 화재의 열에 의해 간단히 작동하여 관리가 용이한 개선된 소화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별도의 전원공급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원작동장치의 필요없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관의 파열로 유동하는 기동가스에 의해 소화액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기동가스통에 연결되는 열감지부에 의해 다수개의 소화액제통을 동시에 개방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감지부와 기동가스통을 연결하는 연결너트가 자유회전되도록 하여 배기홀의 배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기동가스가 저장된 기동가스통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배기홀이 형성된 몸체를 형성하며, 상기 기동가스통의 개폐를 위해 몸체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가동구를 지지하며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되는 막대 형상의 파열관이 형성되고, 상기 파열관의 전방단이 내측면에 지지되며 열이 유입되는 열유입홀이 다수개로 형성된 디플렉터를 몸체의 전방에 결합하여 열감지구를 구성하고, 상기 열감지구의 배기홀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1가스관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흡기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흡기단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1타공편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흡기단의 맞은편에 제1배기단이 형성된 제1니들밸브를 구성하며, 상기 제1니들밸브의 제1타공편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1타공편에 의해 파열되는 제1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크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스프링의 타끝단에 제1소화액제통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1폐쇄구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폐쇄구의 후방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1분출구가 형성된 제1소화밸브를 제1소화액제통과 연결 구성하여, 상기 제1니들밸브의 제1배기단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2가스관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흡기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흡기단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2타공편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2복귀스프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흡기단의 맞은편에 제2배기단이 형성된 제2니들밸브를 구성하며, 상기 제2니들밸브의 제2타공편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2타공편에 의해 파열되는 제2디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제2디스크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스프링의 타끝단에 제2소화액제통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2폐쇄구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폐쇄구의 후방으로 제1분출구와 연결되어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2분출구에 제2니들밸브의 제2배기단에서 유동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3가스관이 연결된 제2소화밸브를 제2소화액제통과 연결 구성하여, 상기 파열관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제1,2니들밸브의 제1,2타공편을 이동시켜 제1,2디스크를 파열하면, 소화액제의 압력이 제1,2폐쇄구를 밀면서 개방시켜 제1,2분출구로 소화액제 및 제3가스관으로 유동되는 기동가스가 합류되어 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공급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원작동장치의 필요없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관의 파열로 유동하는 기동가스에 의해 소화액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동가스통에 연결되는 열감지부에 의해 다수개의 소화액제통을 동시에 개방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열감지부와 기동가스통을 연결하는 연결너트가 자유회전되도록 하여 배기홀의 배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전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기동구와 솔레노이드작동체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파열기동구의 몸체와 연결너트에 핀와이어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니들/소화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의 유동과 소화액제의 유동 및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9는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배기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단면도,
도 10은 기동가스의 유동으로 니들밸브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가 파열되면서 폐쇄구가 이동하여 소화액제의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전면 구성도,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측면 구성도,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측면도,
도 15는 니들/소화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의 유동과 소화액제의 유동 및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7은 기동가스의 유동으로 니들밸브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가 파열되면서 폐쇄구가 이동하여 소화액제의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8은 소화액제통이 두 개로 구성된 소화시스템이 설치된 사용상태 정면도,
도 18은 소화액제통이 두 개로 구성된 소화시스템이 설치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열기동구와 솔레노이드작동체가 설치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파열기동구의 몸체와 연결너트에 핀와이어를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7은 니들/소화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의 유동과 소화액제의 유동 및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9는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배기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단면도,
도 10은 기동가스의 유동으로 니들밸브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가 파열되면서 폐쇄구가 이동하여 소화액제의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전면 구성도,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타나낸 측면 구성도,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파열기동구와 니들/소화밸브를 확대한 측면도,
도 15는 니들/소화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연기감지부에서 연기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작동체의 파열핀에 의해 파열기동구의 파열핀의 파열로 가동구가 이동하여 기동가스의 유동과 소화액제의 유동 및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7은 기동가스의 유동으로 니들밸브의 작동에 의해 디스크가 파열되면서 폐쇄구가 이동하여 소화액제의 배출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
도 18은 소화액제통이 두 개로 구성된 소화시스템이 설치된 사용상태 정면도,
도 18은 소화액제통이 두 개로 구성된 소화시스템이 설치된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시스템은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몸체(13)의 내부로 기동가스의 개폐를 위한 가동구(14)가 몸체(13)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디플렉터(17)에 지지되는 파열관(15)에 의해 지지된 열감지구(10)와, 상기 파열관(15)의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유동되면 제1타공편(22)이 전,후 이동하는 제1니들밸브(20)와, 상기 제1니들밸브(20)의 제1타공편(22)에 의해 제1디스크(31)의 파열로 제1소화액제통(3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1폐쇄구(34)가 이동하면서 소화액제가 분출되고, 동시에 제1니들밸브(20)로 유동된 기동가스가 유동되어 공급되면 제2타공편(42)이 전,후 이동하는 제2니들밸브(40)와, 상기 제2니들밸브(40)의 제2타공편(42)에 의해 제2디스크(51)의 파열로 제2소화액제통(5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2폐쇄구(54)가 이동하면서 소화액제가 제1소화액제통(33)의 소화액제와 합류되어 분출되도록 하는 소화시스템(100A)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감지구(10)는 기동가스가 저장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배기홀(12)이 형성된 몸체(1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감지구(10)의 몸체(13)와 기동가스통(11)이 연결하기 위해 연결너트(18)가 몸체(13)의 후방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3)의 삽입단(13a)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홈(13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너트(18)의 내주면을 따라 너트홈(18a)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18a)에 연통되는 관통홀(18b)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삽입단(13a)을 연결너트(18)의 내부로 삽입하여 몸체홈(13b)과 너트홈(18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홀(18b)을 통해 핀와이어(19)를 삽입하여 몸체홈(13b)과 너트홈(18b)의 따라 감겨지게 위치시킨 다음 관통홀(18b)을 통해 노출되는 핀와이어(19)를 절단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너트(18)가 몸체(13)에서 핀와이어(19)를 따라 걸림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너트(18)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이유는 열감지구(10)의 설치시 배기홀(12)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기동가스통(11)의 개폐를 위해 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가동구(14)를 지지하며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되는 막대 형상의 파열관(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파열관(15)의 전방단이 내측면에 지지되며 열이 유입되는 열유입홀(16)이 다수개로 형성된 디플렉터(17)를 몸체(13)의 전방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니들밸브(20)는 열감지구(10)의 배기홀(12)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1가스관(12a)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흡기단(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흡기단(2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1타공편(2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23)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타공편(22)은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제1파열경사단(22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후방에는 기동가스가 전방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니들밸브(20)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하는 제1밀폐구(22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밀폐구(22b)의 후방으로는 제1밀폐구(22b)와 제1니들밸브(20) 내면 사이에 기동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공간(22c)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간격유지구(22d)가 밀착되도록 제1니들밸브(20)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1흡기단(21)의 맞은편에 제1배기단(2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소화밸브(30)는 제1니들밸브(20)의 제1타공편(2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1타공편(22)에 의해 파열되는 제1디스크(3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디스크(3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스프링(32)의 타끝단에 제1소화액제통(3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1폐쇄구(34)가 지지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폐쇄구(34)의 후방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1분출구(35)가 형성된 제1소화밸브(30)를 제1소화액제통(33)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반면, 상기 제2니들밸브(40)는 제1니들밸브(20)의 제1배기단(24)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2가스관(24a)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흡기단(41)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단(4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2타공편(4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2복귀스프링(43)으로 지지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타공편(42)은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제1파열경사단(42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후방에는 기동가스가 전방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니들밸브(40)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하는 제2밀폐구(42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밀폐구(42b)의 후방으로는 제2밀폐구(42b)와 제2니들밸브(40) 내면 사이에 기동가스가 유입되는 제2유입공간(42c)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2간격유지구(42d)가 밀착되도록 제2니들밸브(40)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흡기단(21)의 맞은편에 제2배기단(4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소화밸브(50)는 제2니들밸브(40)의 제2타공편(4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2타공편(42)에 의해 파열되는 제2디스크(5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디스크(5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스프링(52)의 타끝단에 제2소화액제통(5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2폐쇄구(54)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폐쇄구(54)의 후방으로 제1분출구(35)와 연결되어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2분출구(55)에는 제2니들밸브(40)의 제2배기단(43)에서 유동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3가스관(55a)이 연결된 제2소화밸브(50)를 제2소화액제통(53)과 연결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파열관(15)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제1,2니들밸브(20)(40)의 제1,2타공편(22)(42)을 이동시켜 제1,2디스크(31)(51)를 파열하면, 소화액제의 압력이 제1,2폐쇄구(34)(54)를 밀면서 개방시켜 제1,2분출구(35)(55)로 소화액제 및 제3가스관(55a)으로 유동되는 기동가스가 합류되어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 예로써 도 5 및 도 9,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시스템은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몸체(13)의 내부로 기동가스의 개폐를 위한 가동구(14)가 몸체(13)의 전면으로 결합되는 디플렉터(17)에 지지되는 파열관(15)에 의해 지지된 열감지구(10)와, 상기 파열관(15)의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유동되면 타공편(62)이 전,후 이동하는 니들밸브(60)와, 상기 니들밸브(60)의 타공편(62)에 의해 디스크(71)의 파열로 소화액제통(73)의 출구를 폐쇄하는 폐쇄구(74)가 이동하면서 소화액제가 분출되도록 하는 소화시스템(100B)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열감지구(10)는 기동가스가 저장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배기홀(12)이 형성된 몸체(1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열감지구(10)의 몸체(13)와 기동가스통(11)이 연결하기 위해 연결너트(18)가 몸체(13)의 후방으로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몸체(13)의 삽입단(13a)의 외주면을 따라 몸체홈(13b)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너트(18)의 내주면을 따라 너트홈(18a)을 형성하고, 상기 너트홈(18a)에 연통되는 관통홀(18b)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삽입단(13a)을 연결너트(18)의 내부로 삽입하여 몸체홈(13b)과 너트홈(18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홀(18b)을 통해 핀와이어(19)를 삽입하여 몸체홈(13b)과 너트홈(18b)의 따라 감겨지게 위치시킨 다음 관통홀(18b)을 통해 노출되는 핀와이어(19)를 절단 구성한다.
즉, 상기 연결너트(18)가 몸체(13)에서 핀와이어(19)를 따라 걸림되면서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너트(18)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이유는 열감지구(10)의 설치시 배기홀(12)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기동가스통(11)의 개폐를 위해 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가동구(14)를 지지하며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되는 막대 형상의 파열관(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파열관(15)의 전방단이 내측면에 지지되며 열이 유입되는 열유입홀(16)이 다수개로 형성된 디플렉터(17)를 몸체(13)의 전방에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니들밸브(60)는 열감지구(10)의 배기홀(12)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가스관(12a)이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단(61)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흡기단(6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타공편(6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복귀스프링(63)으로 지지되어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흡기단(61)의 맞은편에 배기단(64)이 형성되어 기동가스가 배기된다.
여기서, 상기 타공편(62)은 끝단이 경사지게 절단되어 파열경사단(62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후방에는 기동가스가 전방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며 니들밸브(60)의 내부에서 전, 후 이동하는 밀폐구(62b)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밀폐구(62b)의 후방으로는 밀폐구(62b)와 니들밸브(60) 내면 사이에 기동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간(62c)을 확보하기 위하여 간격유지구(62d)가 밀착되도록 니들밸브(60)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소화밸브(70)는 니들밸브(60)의 타공편(6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타공편(62)에 의해 파열되는 디스크(7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7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72)의 타끝단에 소화액제통(73)의 출구를 폐쇄하는 폐쇄구(74)가 지지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폐쇄구(74)의 후방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분출구(75)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출구(75)에는 배기단(64)에 연결되어 기동가스가 유동되는 배기관(64a)이 연결되는 소화밸브(70)가 소화액제통(73)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파열관(15)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니들밸브(60)의 타공편(62)을 이동시켜 디스크(71)를 파열하면, 소화액제의 압력이 폐쇄구(74)를 밀면서 개방시켜 분출구(75)로 기동가스가 합류된 상태로 소화액제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분출구(35)과 제2분출구(55)는 각각 제1,2방출관(35a)(55b)이 연결되며, 상기 제1,2방출관(35a)(55b)은 제1,2소화액제통(33)(53)에 저장된 소화액제가 함께 분출되는 분출헤드(80)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0,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시스템(100A)은 화재예방을 위한 공간 내에 천장에 가까운 일측 벽면에 설치고정한다.
이때, 상기 화재의 발생으로 열과 연기가 발생하는데 화재열이 디플렉터(17)의 열유입홀(16)을 통해 유입되어 디플렉터(17)와 가동구(14)를 지지하는 파열관(15)이 열에 의해 파열되면 기동가스통(11)에서 기동가스를 배기를 차단하던 가동구(14)가 파열관(15)의 지지력이 해제되면서 이동하는 동시에 기동가스가 배기된다.
이렇게, 배기된 기동가스는 열감지구(10)의 몸체(13)에 형성된 배기홀(12)을 통해 기동가스가 고압으로 배기되어 제1가스관(12a)을 따라 유동되어 제1니들밸브(20)의 제1유입공간(22c)으로 빠르게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유입공간(22c)에 충진되는 기동가스에 의해 제1밀폐구(22b)가 이동하여 제1타공편(22)이 함께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제1타공편(22)의 이동으로 제1파열경사단(22a)이 제1소화밸브(30)의 제1디스크(31)를 파열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디스크(31)의 파열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지면 제1소화액제통(33)에 저장된 소화액제의 분출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던 제1폐쇄구(34)가 제1지지스프링(32)을 가압하면서 제1디스크(31) 쪽으로 소화액제의 분출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제1분출구(35)를 통해 배출되어 제1방출관(35a)을 따라 유동되어 방출헤드(80)에서 고압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제1니들밸브(20)의 제1흡기단(21)을 통해 유동된 기동가스는 제1배기단(24)을 빠르게 이동하여 제2니들밸브(40)의 제2흡기단(41)을 내부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제2흡기단(41)을 통해 유입된 기동가스는 제2유입공간(42c)에 빠르게 고압으로 충진되는 작용에 의하여 제2밀폐구(42b)가 이동하여 제2타공편(42)이 함께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제2타공편(42)의 이동으로 제2파열경사단(42a)이 제2소화밸브(50)의 제2디스크(51)를 파열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디스크(51)의 파열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지면 제2소화액제통(53)에 저장된 소화액제의 분출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던 제2폐쇄구(54)가 제2지지스프링(52)을 가압하면서 제2디스크(51) 쪽으로 소화액제의 분출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제2분출구(55)를 통해 고압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분출구(55)를 통해 배출되는 소화액제와 제1분출구(35)에서 분출되는 소화액제는 제2방출관(55b)을 따라 유동되어 방출헤드(80)에서 합류되어 동시에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니들밸브(40)로 유동된 기동가스는 제2배기단(43)과 연결된 제3가스관(55a)을 통해 제2분출구(55)로 유입되어 제2방출관(55b)을 통해 유동되어 방출헤드(80)에서 합류되어 동시에 배출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9, 도 10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시스템(100B)도 소화시스템(100A)와 같이 화재예방을 위한 공간 내에 천장에 가까운 일측 벽면에 설치고정한다.
이때, 상기 화재의 발생으로 열과 연기가 발생하는데 화재열이 디플렉터(17)의 열유입홀(16)을 통해 유입되어 디플렉터(17)와 가동구(14)를 지지하는 파열관(15)이 열에 의해 파열되면 기동가스통(11)에서 기동가스를 배기를 차단하던 가동구(14)가 파열관(15)의 지지력이 해제되면서 이동하는 동시에 기동가스가 배기된다.
이렇게, 배기된 기동가스는 열감지구(10)의 몸체(13)에 형성된 배기홀(12)을 통해 기동가스가 고압으로 배기되어 가스관(12a)을 따라 유동되어 니들밸브(60)의 유입공간(62c)으로 빠르게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간(62c)에 충진되는 기동가스에 의해 밀폐구(62b)가 이동하여 타공편(62)이 함께 빠르게 이동한다.
이러한, 상기 타공편(62)의 이동으로 파열경사단(62a)이 소화밸브(70)의 제1디스크(31)를 파열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디스크(71)의 파열로 인하여 압력이 낮아지면 소화액제통(73)에 저장된 소화액제의 분출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던 폐쇄구(74)가 지지스프링(72)을 가압하면서 디스크(71) 쪽으로 소화액제의 분출 압력에 의해 밀리면서 분출구(75)를 통해 배출되어 방출관(80a)을 따라 유동되어 방출헤드(80)에서 고압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공통적으로, 상기 소화시스템(100A,100B)은 화재로 인한 열이 일정온도로 상승하면 파열관(15)이 파손되는 것으로, 별도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 또는 화재감지와 소화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전원 및 동력이 필요치 않아 구조가 간편해 지며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열에 의한 파열관(15)의 파열로 작동하는 구조로써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 또는 화재감지와 소화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전원 및 동력이 필요치 않아 오작동이나 시설 노후에 따른 관리 보수가 적게 요구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0 : 열감지구 11 : 기동가스통
12 : 배기홀 13 : 몸체
13a : 삽입단 13b : 몸체홈
14 : 가동구 15 : 파열관
16 : 열유입홀 17 : 디플렉터
18 : 연결너트 18a : 너트홈
18b : 관통홀 19 : 핀와이어
20 : 제1니들밸브 21 : 제1흡기단
22 : 제1타공편 22a : 제1파열경사단
22b : 제1밀폐구 22c : 제1유입공간
22d : 제1간격유지구 23 : 제1복귀스프링
24 : 제1배기단 24a : 제2가스관
30 : 제1소화밸브
31 : 제1디스크 32 : 제1지지스프링
33 : 제1소화액제통 34 : 제1폐쇄구
35 : 제1분출구 35a : 제1방출관
40 : 제2니들밸브 41 : 제2흡기단
42 : 제2타공편 42a : 제2파열경사단
42b : 제2밀폐구 42c : 제2유입공간
42d : 제2간격유지구 50 : 제2소화밸브
51 : 제2디스크 52 : 제2지지스프링
53 : 제2소화액제통 54 : 제2폐쇄구
55 : 제2분출구 55a : 제3가스관
55b : 제2방출관
60 : 니들밸브 61 : 흡기단
62 : 타공편 62a : 파열경사단
62b : 밀폐구 62c : 유입공간
62d : 간격유지구 63 : 복귀스프링
64 : 배기단 64a : 가스관
70 : 소화밸브
71 : 디스크 72 : 지지스프링
73 : 소화액제통 74 : 폐쇄구
75 : 분출구 80 : 분출헤드
80a: 방출관 100A,100B : 소화시스템
12 : 배기홀 13 : 몸체
13a : 삽입단 13b : 몸체홈
14 : 가동구 15 : 파열관
16 : 열유입홀 17 : 디플렉터
18 : 연결너트 18a : 너트홈
18b : 관통홀 19 : 핀와이어
20 : 제1니들밸브 21 : 제1흡기단
22 : 제1타공편 22a : 제1파열경사단
22b : 제1밀폐구 22c : 제1유입공간
22d : 제1간격유지구 23 : 제1복귀스프링
24 : 제1배기단 24a : 제2가스관
30 : 제1소화밸브
31 : 제1디스크 32 : 제1지지스프링
33 : 제1소화액제통 34 : 제1폐쇄구
35 : 제1분출구 35a : 제1방출관
40 : 제2니들밸브 41 : 제2흡기단
42 : 제2타공편 42a : 제2파열경사단
42b : 제2밀폐구 42c : 제2유입공간
42d : 제2간격유지구 50 : 제2소화밸브
51 : 제2디스크 52 : 제2지지스프링
53 : 제2소화액제통 54 : 제2폐쇄구
55 : 제2분출구 55a : 제3가스관
55b : 제2방출관
60 : 니들밸브 61 : 흡기단
62 : 타공편 62a : 파열경사단
62b : 밀폐구 62c : 유입공간
62d : 간격유지구 63 : 복귀스프링
64 : 배기단 64a : 가스관
70 : 소화밸브
71 : 디스크 72 : 지지스프링
73 : 소화액제통 74 : 폐쇄구
75 : 분출구 80 : 분출헤드
80a: 방출관 100A,100B : 소화시스템
Claims (4)
-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기동가스가 저장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배기홀(12)이 형성된 몸체(13)를 형성하며, 상기 기동가스통(11)의 개폐를 위해 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가동구(14)를 지지하며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되는 막대 형상의 파열관(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열관(15)의 전방단이 내측면에 지지되며 열이 유입되는 열유입홀(16)이 다수개로 형성된 디플렉터(17)를 몸체(13)의 전방에 결합하여 열감지구(10)를 구성하고,
상기 열감지구(10)의 배기홀(12)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1가스관(12a)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1흡기단(21)에 연결되고, 상기 제1흡기단(2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1타공편(2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1복귀스프링(23)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흡기단(21)의 맞은편에 제1배기단(24)이 형성된 제1니들밸브(20)를 구성하며,
상기 제1니들밸브(20)의 제1타공편(2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1타공편(22)에 의해 파열되는 제1디스크(31)가 설치되고, 상기 제1디스크(3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스프링(32)의 타끝단에 제1소화액제통(3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1폐쇄구(34)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1폐쇄구(34)의 후방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1분출구(35)가 형성된 제1소화밸브(30)를 제1소화액제통(33)과 연결 구성하여,
상기 제1니들밸브(20)의 제1배기단(24)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2가스관(24a)이 일측에 형성되는 제2흡기단(41)에 연결되고, 상기 제2흡기단(4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제2타공편(4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제2복귀스프링(43)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흡기단(21)의 맞은편에 제2배기단(43)이 형성된 제2니들밸브(40)를 구성하며,
상기 제2니들밸브(40)의 제2타공편(4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제2타공편(42)에 의해 파열되는 제2디스크(51)가 설치되고, 상기 제2디스크(5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스프링(52)의 타끝단에 제2소화액제통(53)의 출구를 폐쇄하는 제2폐쇄구(54)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폐쇄구(54)의 후방으로 제1분출구(35)와 연결되어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제2분출구(55)에는 제2니들밸브(40)의 제2배기단(43)에서 유동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제3가스관(55a)이 연결된 제2소화밸브(50)를 제2소화액제통(53)과 연결 구성하여,
상기 파열관(15)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제1,2니들밸브(20)(40)의 제1,2타공편(22)(42)을 이동시켜 제1,2디스크(31)(51)를 파열하면, 소화액제의 압력이 제1,2폐쇄구(34)(54)를 밀면서 개방시켜 제1,2분출구(35)(55)로 소화액제 및 제3가스관(55a)으로 유동되는 기동가스가 합류되어 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구(10)의 몸체(13)와 기동가스통(11)이 연결하기 위해 연결너트(18)가 몸체(13)의 후방으로 연결되되, 몸체(13)의 내주면을 따라 몸체홈(13a)이 형성하고, 상기 몸체홈(13a)에 연통되는 관통홀(13b)을 몸체(13)에 형성하며,
상기 연결너트(18)를 형성하는 삽입단(18a)의 외주면을 따라 너트홈(18b)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단(18a)을 몸체(13)의 내부로 삽입하여 몸체홈(13a)과 너트홈(18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홀(13b)을 통해 핀와이어(19)를 삽입하여 몸체홈(13a)과 너트홈(18b)을 따라 위치시킨 다음 관통홀(13b)을 통해 노출되는 핀와이어(19)를 절단 구성하여,
상기 연결너트(18)가 몸체(13)에서 핀와이어(19)를 따라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 소화시스템에 있어서,
기동가스가 저장된 기동가스통(11)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배기홀(12)이 형성된 몸체(13)를 형성하며, 상기 기동가스통(11)의 개폐를 위해 몸체(13)의 내측 상부에 위치되는 가동구(14)를 지지하며 화재로 인한 열에 의해 파열되는 막대 형상의 파열관(15)이 형성되고, 상기 파열관(15)의 전방단이 내측면에 지지되며 열이 유입되는 열유입홀(16)이 다수개로 형성된 디플렉터(17)를 몸체(13)의 전방에 결합하여 열감지구(10)를 구성하고,
상기 열감지구(10)의 배기홀(12)을 통해 배기되는 기동가스의 유동을 위한 가스관(12a)이 일측에 형성되는 흡기단(61)에 연결되고, 상기 흡기단(61)으로 유입되는 기동가스의 압력으로 내부에서 전,후 이동하는 타공편(62)이 탄성력으로 복귀되도록 복귀스프링(63)으로 지지되며, 상기 흡기단(61)의 맞은편에 배기단(64)이 형성된 니들밸브(60)를 구성하며,
상기 니들밸브(60)의 타공편(62)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내부 전면에 타공편(62)에 의해 파열되는 디스크(71)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크(71)의 후방면을 지지하는 지지스프링(72)의 타끝단에 소화액제통(73)의 출구를 폐쇄하는 폐쇄구(74)가 지지되어 설치되며, 상기 폐쇄구(74)의 후방으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는 분출구(75)에는 배기단(64)과 연결되어 기동가스가 유동되는 배기관(64a)이 연결된 소화밸브(70)를 소화액제통(73)과 연결 구성하여,
상기 파열관(15)이 화재 열에 의한 파열로 가동구(14)가 이동하여 기동가스가 니들밸브(60)의 타공편(62)을 이동시켜 디스크(71)를 파열하면, 소화액제의 압력이 폐쇄구(74)를 밀면서 개방시켜 분출구(75)로 소화액제가 분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구(10)의 몸체(13)와 기동가스통(11)이 연결하기 위해 연결너트(18)가 몸체(13)의 후방으로 연결되되, 몸체(13)의 내주면을 따라 몸체홈(13a)이 형성하고, 상기 몸체홈(13a)에 연통되는 관통홀(13b)을 몸체(13)에 형성하며,
상기 연결너트(18)를 형성하는 삽입단(18a)의 외주면을 따라 너트홈(18b)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단(18a)을 몸체(13)의 내부로 삽입하여 몸체홈(13a)과 너트홈(18b)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관통홀(13b)을 통해 핀와이어(19)를 삽입하여 몸체홈(13a)과 너트홈(18b)을 따라 위치시킨 다음 관통홀(13b)을 통해 노출되는 핀와이어(19)를 절단 구성하여,
상기 연결너트(18)가 몸체(13)에서 핀와이어(19)를 따라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2398A KR101264840B1 (ko) | 2012-03-05 | 2012-03-05 | 소화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2398A KR101264840B1 (ko) | 2012-03-05 | 2012-03-05 | 소화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4840B1 true KR101264840B1 (ko) | 2013-05-15 |
Family
ID=4866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2398A KR101264840B1 (ko) | 2012-03-05 | 2012-03-05 | 소화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484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789B1 (ko) | 2014-11-17 | 2015-12-15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소화시스템 |
KR20210008778A (ko) * | 2019-07-15 | 2021-01-25 | 정상규 |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
RU2821374C1 (ru) * | 2023-10-17 | 2024-06-21 |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Луковников |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наполь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94950A (ja) | 2002-12-19 | 2004-07-15 | Hatsuta Seisakusho Co Ltd | 移動式粉末消火設備 |
KR100877358B1 (ko) | 2008-03-21 | 2009-01-07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가스식 f형 밸브개방기 |
-
2012
- 2012-03-05 KR KR1020120022398A patent/KR1012648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94950A (ja) | 2002-12-19 | 2004-07-15 | Hatsuta Seisakusho Co Ltd | 移動式粉末消火設備 |
KR100877358B1 (ko) | 2008-03-21 | 2009-01-07 |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 가스식 f형 밸브개방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7789B1 (ko) | 2014-11-17 | 2015-12-15 |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 소화시스템 |
KR20210008778A (ko) * | 2019-07-15 | 2021-01-25 | 정상규 |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
KR102211827B1 (ko) * | 2019-07-15 | 2021-02-03 | 정상규 |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용 밸브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
RU2821374C1 (ru) * | 2023-10-17 | 2024-06-21 | Олег Николаевич Луковников |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наполь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
RU228582U1 (ru) * | 2024-06-14 | 2024-09-03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ЗОРИ ДЕЛЛА ТЕРРА" |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762561C (en) | Fire sprinkler system having combined detection and distribution piping | |
CA2469251C (en) | Valve element | |
KR101662590B1 (ko) |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 |
KR101264840B1 (ko) | 소화시스템 | |
KR102176163B1 (ko) | 자동 소화 시스템 | |
KR101373131B1 (ko) |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 |
KR20020075858A (ko) | 화재를 진화하기 위한 장치 | |
KR101264847B1 (ko) | 소화시스템 | |
CN212789491U (zh) | 一种撬装式加油站用的防爆消防装置 | |
JP6219476B1 (ja) | 簡易型自動消火器 | |
KR100807078B1 (ko) |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 |
GB2438370A (en) | Apparatus for extinguishing cooking fires | |
JP4290914B2 (ja) | 消火装置 | |
JP5759631B6 (ja) | 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 | |
KR101577789B1 (ko) | 소화시스템 | |
KR102024746B1 (ko) | 자동소화장치 | |
KR102030806B1 (ko) | 캐비넷형 호스릴 소화장치 | |
CN101229417A (zh) | 一种强力自动灭火装置 | |
CN115539684A (zh) | 阀模块、阀组以及灭火装置 | |
CN110339519A (zh) | 一种压开式喷洒执行机构 | |
WO2014168156A1 (ja) | 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 | |
KR102578258B1 (ko) | 자동소화기용 밸브장치 | |
KR200421459Y1 (ko) | 자동소화기용 씨오투 실린더밸브 | |
US20150265864A1 (en) | Nozzle assembly | |
KR20090001152U (ko) | 자동소화기용 실린더 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