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64B1 -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64B1
KR101264064B1 KR1020130023124A KR20130023124A KR101264064B1 KR 101264064 B1 KR101264064 B1 KR 101264064B1 KR 1020130023124 A KR1020130023124 A KR 1020130023124A KR 20130023124 A KR20130023124 A KR 20130023124A KR 101264064 B1 KR101264064 B1 KR 101264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ans
mobile device
metal plate
rotary coupl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수현
Original Assignee
임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현 filed Critical 임수현
Priority to KR102013002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64B1/ko
Priority to PCT/KR2014/001783 priority patent/WO20141371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10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 A45F2005/1006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mbracing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 A45F2005/1013Handles for carrying purposes with means embracing the hand article to be carried comprising a strap or ba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기기 본체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는 손잡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는, 휴대기기 본체 또는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회전결합수단 및 제2회전결합수단; 일단은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된 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라도 자신의 손과 자신의 취향과 자신의 휴대기기에 맞는 손잡이를 기사용중인 휴대기기 본체 또는 케이스 후면에 장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휴대기기를 받쳐, 고정된 자세에서 오는 육체적인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이며,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HANDLE FOR PORTABLE DEVICE AND CASE OF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기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폰, 스마트폰, PMP, PDA, MP3, 게임기, 카메라, 테블릿PC, 노트북 등 휴대기기들의 기능의 경계성이 무너지면서 휴대성을 강조한 멀티플레이어 즉, 무선인터넷이 되는 초소형 컴퓨터화 되어 가고 있다.
무게가 가벼워지고 두께도 얇아졌지만, 다양한 기능들을 쉽고 빠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4.5인치 이상의 큰 화면이 요구되고 있다. 큰 화면의 휴대기기를 사용할 땐 항상 한쪽 손의 손바닥으로 휴대기기를 받치면서 손가락으로 잡아야 다른 쪽 손으로 조작 할 수 있다.
이때 휴대기기를 잡고 있는 손가락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힘이 집중되어서 손가락 마디가 저리고 아프며, 손목과 어깨, 목 또한 한 방향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통증이 유발되는 등 신체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다양한 기능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한시도 손에서 떼놓지 않고, 심지어는 사용 안 할 때에도 손에 쥐고 있다.
장기적인 사용으로 인한 육체적 통증은 신체의 변형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휴대기기들의 발달로 사용자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고, 사용 시간 또한 점차 늘고 있으며, 휴대기기 화면 크기의 증가로 무게도 무거워지고 있다.
이는 자라나는 미성년자들에게 더 위협적이지만, 날로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막을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 10-1062557호는 휴대기기 케이스에 한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잡이가 장착된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손잡이 구조는 휴대기기를 한손으로 사용하기는 편리하지만, 끼운 손가락이나 그 옆의 손가락들, 손목 모두 고정된 자세로 휴대기기를 받치고 있어 집중된 힘을 분산하지 못해 신체에 끼치는 통증 등을 완화시키지 못하고, 4.5인치 이상의 커다란 휴대기기를 사용하는데 무리가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97649호는 휴대기기 케이스 후면에 고정홀을 내어 손가락 전체를 넣을 수 있는 끈의 고정부를 고정홀 안쪽으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손잡이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서 끈의 고정부를 접착제로 고정시킨 경우는 고정부가 얇아 케이스와 휴대기기 사이의 이격은 거의 없지만, 인장력으로 인해 고정홀 주변의 끈이 움직여 마찰로 인해 절단되거나 고정부가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아 커다란 휴대기기를 안정감 있게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끈을 두껍게 하고 고정부를 더 단단하게 고정시킨다면 고정부 부재들의 두께 만큼 휴대기기와 케이스 사이에 이격이 커져 이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안쪽에 턱이 있는 두터운 케이스가 필요하며, 소비자는 손잡이가 부착된 두꺼운 케이스 사용할 수밖에 없어 휴대성이 떨어지고, 별도의 케이스를 구입해야 해서 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20-0464283호는 휴대기기 케이스 후면에 부착시키는 손잡이를 소개하고 있다. 상기의 손잡이는 소비자가 기사용중인 휴대기기 케이스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지만, 손가락을 넣을 수 있는 거치구에 비해 거치구를 고정시켜주는 양면테이프의 접착면적이 적어서 손가락 일부분은 유지할 수 있지만, 손가락 전체를 넣고 사용하기에는 안정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긴 끈에 손가락 전체를 끼워도 유지력 있는 손잡이를 기사용중인 휴대기기 본체나 케이스 외부에 부착하여 전체적인 휴대기기의 두께에 변화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의 문제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기사용중인 휴대기기의 케이스에 긴 끈이 달린 손잡이를 부착하여 손가락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끼워 다양한 자세로 바꿔가면서 휴대기기를 받쳐, 손의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힘의 압력을 분산시켜서 고정된 자세에서 오는 육체적인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이고, 모든 손가락에 자유를 주어 좀 더 안정감 있고, 편안하고,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부착하여도 본래의 휴대기기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손잡이의 끈은 유연성이 있어 접히거나 꼬여도 그 기능상에 이상이 없도록 형성하며, 사용자가 원할 때는 휴대기기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분리할 수 있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중에 끈을 힘껏 잡아당기더라도 한 번에 손잡이 전체가 휴대기기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서히 시간차를 두고 분리되어, 사용자가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져,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력 있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손등의 둘레만큼 긴 끈과, 끈을 부착고정시킬 받침판과, 받침판의 배면과 휴대기기의 케이스를 결합시켜줄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때 휴대기기의 크기와 무게, 상기 휴대기기 본체나 케이스의 재질, 휴대기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상기 끈의 부착고정방법 등에 따라 상기 부재들의 제조와 고정에 사용되는 부자재들을 각각의 특성에 맞게 달리 형성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휴대기기의 크기와 무게, 휴대기기 본체나 케이스의 재질, 휴대기기 사용자의 연령과 성별, 상기 끈의 부착고정방법 등에 따라 사용되는 부재들의 크기와 두께, 재질 등을 달리하여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유지력를 비슷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의 재질과 부재들의 고정에 사용되는 부자재들의 특성에 따라 상기 유지력에 차이가 나므로 상기 부재들의 크기와 두께 등을 달리하거나, 찢김방지판을 추가 부착하여 비슷한 유지력을 갖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들의 재질과 합체방법이 달라도 비슷한 외관을 보이면서 같은 효능을 갖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휴대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회전결합수단 및 제2회전결합수단; 일단은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된 끈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에서, 상기의 제1회전결합수단 및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하나의 금속판이 구부러져 상부금속판과 하부금속판으로 포개지고,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고리부; 상기 바디의 상부금속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과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 삽입되는 연결장식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끈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연결링을 통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기기 케이스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회전결합수단 및 제2회전결합수단과, 일단은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된 손잡이용 끈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 케이스에서 상기의 제1회전결합수단 및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고,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과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상기 관통홀과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 삽입되는 연결장식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끈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연결링을 통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부착구멍; 상기 부착구멍의 찢김 또는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서 상기 부착구멍의 주변에 부착되는 찢김방지판; 상기 찢김방지판을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남녀노소 누구라도 자신의 손과 자신의 취향과 자신의 휴대기기에 맞는 손잡이를 기사용중인 휴대기기 본체 또는 케이스 후면에 장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휴대기기를 받쳐, 고정된 자세에서 오는 육체적인 고통을 조금이라도 줄이면서, 안정감 있고, 편안하게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크기에 따라 1개 이상의 손잡이를 가장자리마다 부착하여 더욱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조작할 수 있고, 손바닥이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받침판에 닿아 있어 휴대기기를 오래 사용하면 발생하는 저온화상의 위협으로부터 조금은 안전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손잡이는 얇아 바지주머니에 넣는데 방해가 없고, 손잡이가 달린 휴대기기 본체나 케이스는 휴대기기를 받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들고 다닐 수도 있어 휴대기기의 크기와 무게에 구애받지 않고,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과 끈의 응용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측단면도(가)와 후면도(나)
도 4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결합수단 상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활용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용 끈을 부착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상태도(가)와 분해사시도(나)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용 끈을 부착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기기"는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휴대기기를 총칭한다.
또한, "휴대기기 케이스(1)"는 휴대기기 본체의 배면과 휴대기기에 별도로 결합되는 보호용 또는 장식용 케이스를 포함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손잡이는 휴대기기 자체의 배면에 결합되거나 보호용 또는 장식용 케이스에 결합된다.
"인장력"은 상기 손잡이를 휴대기기의 후면에 부착하여 사용중 끈(30)을 앞뒤, 또는 좌우로 잡아당겼을 때 발생하는 힘을 의미하며,
"유지력"은 상기 인장력에 버티는 힘을 의미하고, 끈(30)의 절단 또는 마모에 대한 대항력, 부착구멍(11,11')의 찢어짐 또는 늘어남에 대한 대항력, 그리고 양면테이프(20)의 접착력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기기 케이스(1)에 양면테이프(20)를 통해 결합되는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에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회전결합수단(40,40'),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회전결합수단(40,40')에 결합된 끈(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가)를 참조하면, 아일렛 등의 고정장식(32)를 사용하여 끈(30)을 회전결합수단(40)의 연결링(42)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받침판(10)의 후면 전체에 양면테이프(20)를 접착시키고, 부착구멍(11,11')을 천공한 뒤, 상기 받침판(10)의 부착구멍(11,11')과 상기 회전결합수단(40,40')의 관통홀(41)을 맞추어 리벳 등의 연결장식(43)을 사용하여 고정시켰다.
여기서, 상기의 고정장식(32), 회전결합수단(40), 연결링(42), 연결장식(43) 등 고정에 사용되는 부자재들의 재질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하지만, 금속재질이 형태 유지력이 높아 닳거나 늘어나지 않고, 강도가 강하면서 얇아 상기 부재들을 더 단단해지도록 보조해 주면서, 미관상 깔끔하고, 장착방법도 간단하며, 종류별 크기도 다양하여 부자재로써 적정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러한 부자재들이 금속재질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상기 아일렛과 리벳은 예시적으로 사용한 금속장식의 하나이며, 물체들을 고정할 수 있는 금속장식이면 다른 종류도 무방하다.
상기 끈(30)을 상기 연결링(42)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끈(30)의 재질에 따라 실로 고정, 접착고정, 금속장식 사용고정, 묶어고정 등 어떠한 방법이든 무방하며, 접히는 부분을 최대한 얇고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 된다. 이때, 상기 금속장식 사용고정시는 끈(30)의 양단에 각각 고정구멍(31)을 천공한 뒤, 상기 고정장식(32)을 삽입하여 연결링(42)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끈(30)의 재질은 질기면서 유연성이 있어 접거나 꼬거나 잡아당겨도 쉽게 절단되지 않는 재질이면 된다. 예를 들면, 가죽끈, 운동화끈, 리본끈, 줄, 금속체인줄, 우레탄밴드 등등 다양하다.
이는 상기 끈(30)이 받침판(10)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회전결합수단(40)을 사용하여 간접 고정되어 인장력과 외부마찰력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끈(30)의 재질과 모양등이 자유롭고, 도 2의 (가)처럼 탈부착용고리(33) 등 추가 부자재를 장착하여 변형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판(10)은 모서리가 둥근 납작한 모양으로 안쪽에 천공된 부착구멍을 포함하며, 받침판(10)의 모양과 크기, 부착구멍의 개수와 위치는 자유롭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내경을 조절가능하게 형성하는 방법에는 끈(30)을 길이조절 가능한 형태로 고정하던지, 도 2의 (나)처럼 끈(30)의 양단을 두 개의 받침판(10)에 나누어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고 커다란 휴대기기를 좀 더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 2의 (다)처럼 하나의 받침판(10)을 크게 하여 1개 이상의 끈(30)을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받침판(10)의 변과 끈(30)의 길이와 휴대기기의 변과는 평행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받침판(10)의 모양과 부착구멍(11,11')의 위치도 자유롭다. 그 이유는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내경 안에 손을 넣을 때, 손이 수직으로만 들어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제조방법을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받침판(10)이 모서리가 둥근 납작한 직육면체로 2개의 부착구멍(11,11')을 포함하며, 받침판(10)의 긴변과 끈(30)의 길이와 휴대기기 케이스(1)의 긴변이 평행하다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부착구멍(11,11')간의 간격과 끈(30)의 길이는 상기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내경 안에 손가락 4개 이상 들어갈 수 있도록 상호 조절하여 형성한다.
받침판(10)의 재질은 내구성, 내마모성, 내열성, 절연성이 있으며, 생활방수가 되면 어떤 재질이든 무방하다. 그 이유는 가죽과 같이 연한 받침판이라면 부착구멍(11,11') 아래에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된 찢김방지판(도 4의(나) 50 참조)을 추가 부착하여, 부착구멍(11,11') 주변의 재질을 단단한 재질로 바꾸어 인장력으로 인하여 부착구멍(11,11')에 삽입된 연결장식(43) 하부(43b)의 이탈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판(10)의 두께와 재질에 상관없이 유지력 있으면서 전체 두께가 얇은 휴대기기용 손잡이 제공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연결장식(43) 하부(43b)의 이탈은 부착구멍(11,11')이 찢어지거나 늘어날 때 발생하기 때문에 받침판(10)이 단단할수록 상기 하부(43b)의 이탈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에서 받침판(1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대신 찢김방지판(50)을 부착하는 이유는 양면테이프(20)의 특성과 연관이 있다.
접착테이프의 특성이 전체에 수직으로 가하는 힘에 대해서는 대항력이 강하여 안쪽이 떨어져도 유지되거나 전체로 전이되는데 시간이 서서히 걸리지만, 수평으로 가하는 힘에 대해선 약하여 받침판(10) 모서리의 한 부분이 뜯어지면 빠른 속도로 전체로 전이되어 순식간에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받침판(10)이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받침판(10)의 둘레부분를 얇게 하고, 모서리를 둥글게 하여 외부와의 마찰력을 줄이면서, 상기 받침판(10)의 둘레부와 중심부는 반드시 휴대기기 케이스(1)의 배면에 직접 접착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10) 후면에 부착되는 부자재들의 두께 또한 얇게 하여 상기 받침판(10) 후면이 평평하게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1)의 배면에 밀착 접착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에 상기 부자재의 두께가 두껍다면 상기 받침판(10)을 크게 형성하여 접착면적을 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양면테이프(20)를 부직포와 같이 탄성있는 접착테이프로 하면 부착 부위에 턱이 있어도 골고루 밀착 접착이 가능하고, 인장력에 의해 분리될 때 힘을 받는 부위별로 뜯어지면서 나머지 부위의 접착력은 유지하고 있어, 한꺼번에 통째로 상기 휴대기기용 손잡이가 휴대기기로부터 분리되는 걸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접착력이 높고 내열성 있는 접착테이프일수록 접착 유지력이 높아진다.
도 3의 (나)는 상기 도 3의 (가)의 방법으로 제조된 휴대기기용 손잡이 후면의 상태도로써, 양면테이프(20)의 박리지(21)를 벗기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찢김방지판(50)의 부착여부에 따른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로써, (가)는 상기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일렛 등의 고정장식(32)를 사용하여 끈(30)을 회전결합수단(40,40')의 연결링(42)에 고정한 다음, 받침판(10)의 후면 전체에 양면테이프(20)를 접착시키고, 받침판(10)의 전면에서 부착구멍(11,11')과 회전결합수단(40,40')의 관통홀(41)을 맞추어 리벳 등의 연결장식(43)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순서로 진행되며, 상기 부착구멍(11,11')의 천공은 받침판(10) 후면에 양면테이프를 접착 한 후 한꺼번에 천공하던지, 접착 전 각각 천공하던지 무방하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순서를 바꿔 양면테이프(20)를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접착시켜도 무방하다. 그 이유는 도 3과 같이 상기 부착구멍(11,11')에 삽입된 금속으로 된 연결장식(43) 하부(43b)는 상기 받침판(10) 후면에 완전 밀착되어, 두께가 얇고 부착면적이 적어 상기 공정순서가 바뀌어도 유지력에 차이가 적기 때문이다.
도 4의 (나)는 찢김방지판(50)을 추가 부착한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분해사시도로써, 상기 받침판(10)의 부착구멍(11,11') 아래에 찢김방지판(50)을 각각 부착한 다음, 끈(30)이 연결된 회전결합수단(40,40')의 관통홀(41)과 부착구멍(11,11')과 찢김방지판(50)의 구멍을 맞추어 연결장식(43)으로 고정한 후 양면테이프(20)를 접착하는 공정순서로, 상기에서는 양면테이프(20)의 접착공정순서를 바꾸지 않는다. 이는 찢김방지판(50)의 면적이 넓어서 받침판(10)이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밀착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찢김방지판(50)은 중앙에 부착구멍(11,11')과 같은 크기의 구멍을 포함하며, 받침판(10)의 재질이 가죽 등의 물렁한 재질이면 접착고정하고, 합성수지등의 딱딱한 재질이면 받침판(10)과 동시에 연결장식(43)으로 고정하는 것이 적정하다. 이는 물렁한 재질이면 부착구멍(11,11')의 찢김과 늘어짐을 같이 예방하기 위함이고, 딱딱한 재질일 땐 찢김만 방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착구멍(11,11')의 찢김과 늘어짐을 같이 예방할 때의 찢김방지판(50)의 크기는 크고, 모양은 원이든 사각형이든 무방하며, 찢김만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일렛이나 와셔등과 같은 부자재를 사용하여 부착구멍(11,11')만을 감싸줄 수도 있다.
도 5는 회전결합수단(40)을 도시한 것으로, 관통홀(41)이 형성된 바디(40a)와, 바디(40a)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부(40b)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41)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을 받침판(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장식(43)을 포함한다.
바디(40a)는 하나의 금속판을 접어서 상하로 포갠 형상이며, 상부금속판과 하부금속판이 접하는 부분에 일정 공간의 고리부(40b)가 형성된다. 고리부(40b)에는 연결링(42)이 연결되고, 연결링(42)에는 끈(30)이 연결된다.
도 5의 (가)를 참조하면, 측면커버(40c)가 달린 회전결합수단(40)은 바디(40a)의 상부금속판 가장자리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면커버(40c) 내부로 하부금속판이 접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측면커버(40c)의 높이만큼 두꺼워지지만, 연결링(42)을 삽입하는 공간인 고리부(40b)가 넓게 형성되어 연결링(42)을 앞뒤로 움직여도 금속판이 움직이지 않고, 수직으로 가하는 인장력에도 측면커버(40c)의 힘으로 버텨 휘어지지 않으며, 연결장식(43)에 힘을 전가하지 않아, 마치 제2의 받침판을 부착한 효능을 보인다.
도 5의 (나)를 참조하면,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은 고리부(40b)의 넓이가 좁아 연결링(42)을 앞뒤로 움직일 때마다 바디(40a)가 들썩이며 연결장식(43)으로 힘을 전가시키고, 수직의 인장력에는 따라올라 오면서 휘어져 연결장식(43)과 받침판(10)과 양면테이프(20)의 힘으로 버티게 된다. 따라서, 단단한 받침판(10)과 강한 접착력이 있는 양면테이프(20)를 사용하던지, 좀 더 두꺼운 금속판으로 된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을 사용해야 측면커버(40c)가 달린 회전결합수단(40)을 사용할 때와 비슷한 유지력을 보인다.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용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 중 손을 내경 안에 넣거나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었을 때의 외부와의 마찰력을 비교하면,
상기 (가)의 측면커버(40c)가 달린 회전결합수단(40)은 상부금속판이 연장되어 감싸 안으며 아래로 내려와 측면커버(40c)로 변형되어 모서리가 둥글고, 매끈하여 두께가 두툼해도 손과의 마찰력을 바디(40a)가 흘려보낸다. 또한, 상기 바디(40a)가 휘어지지 않고 받침판(10)에 평행하여 유지되므로 가방이나 주머니와의 마찰력은 고리부(40b)가 흘려보낸다.
(나)의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은 바디(40a)의 상부금속판과 하부금속판이 받침판(10)과 밀착되어 초기에는 손과의 마찰력을 느낄 수 없지만, 인장력에 의해 상기 바디(40a)가 휘어지면 금속판 테두리의 날카로움을 손에 느낄 수 있고, 가방이나 주머니와의 마찰력에 의해 고리부(40b)가 걸려 바디(40a)가 더 휘어져 연결장식(43) 하부(43b)의 이탈이 가속화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회전결합수단(40)을 같은 크기에 높은 유지력을 보이는 측면커버(40c)가 달린 회전결합수단(40)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6은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을 장착한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활용도(효능)을 부분별로 나누어 도시한 것이다.
도6의 (가)를 참조하면, 회전결합수단(40)이 연결장식(43)으로 받침판(10)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연결장식(43)을 축으로 삼아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이 360도 회전한다.
이는 받침판(10)에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을 아무리 밀착 고정시켜도 회전결합수단(40)의 측면커버(40c)의 높이 때문에 측면커버(40c) 내부의 하부금속판이 떠있게 되어 회전이 자유롭다. 그러나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은 상부금속판, 하부금속판, 받침판(10)이 밀착 고정 되어 있어 회전이 뻑뻑하다. 이를 해결하고자 연결장식(43)을 덜 밀착되게 고정하면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의 회전은 자유롭지만, 연결장식(43)의 고정이 불안하여 외부와의 마찰력과 인장력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도 6의 (나)를 참조하면, 회전결합수단(40)의 연결링(42)이 반원의 모양이라 끈(30)을 좌우로 움직여도 회전결합수단(40)은 힘을 받지 않고 끈(30)만 자유롭게 움직이며, (다)를 참조하면, 연결링(42)은 회전결합수단(40)의 고리부(40b)의 여유로 앞뒤로의 움직임도 자유롭다.
상기 (나)와 (다)에서 끈(30)을 더 큰 각도로 움직이면, 상기 (가)처럼 회전결합수단(40) 전체가 연결장식(43)을 축으로 삼아 같이 회전하여 수직의 인장력을 제외한 대부분의 인장력을 해소시켜, 끈(30)과 받침판(10)과 양면테이프(20)로 힘을 덜 전가하여, 밋밋한 회전결합수단(40)을 사용할 때보다 높은 유지력을 보인다.
또한, 상기 끈(30)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이 같이 움직여 상기 끈(30)이 받는 외부와의 마찰력도 상기 회전결합수단(40)이 대부분 해소시키기 때문에, 상기 끈(30)의 절단 또는 마모의 가능성이 낮아져 상기 연결링(42)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자유롭다.
따라서, 끈(30)과 받침판(10)의 재질, 두께, 크기, 모양 등을 휴대기기의 크기와 사용자의 취향, 사용자의 손등의 둘레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도 7은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직접 손잡이용 끈(30)을 부착한 휴대기기 케이스(1)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상기 도 1에서 끈(30)을 받침판(10) 대신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천공된 부착구멍(11,11') 위에 회전결합수단(40)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휴대기기 케이스(1)의 상태도이고, 도 7의 (나)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앞서 전술한 받침판(10)의 후면은 도 3의 (나)와 같이 금속으로 된 연결장식(43)의 하부(43b)만 밀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판(10) 후면은 넓은 부위로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밀착접착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부(43b)의 두께가 얇고, 면적이 작기 때문이다.
같은 원리로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금속으로 된 연결장식(43)으로 고정하면, 부착에 따른 내부와의 이격간격을 느낄 수 없어 유지력 있는 손잡이가 달린 휴대기기 케이스(1)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은 양면테이프(20)가 필요 없는 유지력이 아주 높은 받침판(10)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끈(30)의 부착고정방법은 앞서 전술한 바와 같고 손잡이의 효능 또한 동일하지만, 손잡이용 끈(30)의 유지력은 훨씬 높아 전술한 받침판(10)에 부착하는 끈(30)보다 응용범위가 더 넓어, 가방끈과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끈(30)의 부착고정방법과 상기의 회전결합수단(40)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의 손잡이용 끈(30)은 시중에 유통되는 휴대기기용 케이스의 크기와 재질에 영향을 받지 않고, 대부분의 케이스에 부착고정이 가능하여, 별도의 전용케이스를 제조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천공불가 케이스는 없기 때문이며, 고정에 사용되는 금속장식 부자재는 종류별 크기가 다양하여 휴대기기에 맞는 부자재를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끈(30)의 재질과 형태, 부착구멍(11,11')간의 간격 등을 조절하여 형성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의 손잡이용 끈(30)을 휴대기기 케이스(1) 배면에 영구고정하는 방법은 상기 끈(30)을 고정형 고정장식(32)을 사용하여 고정형 연결링(42)에 고정하고, 회전결합수단(40)을 고정형 연결장식(43)을 사용하여 휴대기기 케이스(1)에 직접 고정시키면 된다.
반대로 상기의 고정장식(32), 연결링(42), 연결장식(43)중 하나라도 탈부착용으로 사용하면 상기 손잡이의 탈부착이 자유롭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고정장식(32) 또는 연결링(42)을 탈부착용으로 사용하거나 탈부착용 부자재를 추가 장착하면, 끈(30) 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끈(30)의 마모 또는 절단 시 새 끈(30)으로 교체하거나, 취향에 맞춰 끈(30)의 재질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장식(43)을 탈부착용으로 사용하면 상기 손잡이 전체가 휴대기기 케이스(1)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케이스(1)에는 천공구멍만 나있어 재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리벳이나 아일렛처럼 상부를 눌러 하부에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EZ볼트와 같이 나사처럼 돌려 결합시키는 금속장식을 사용하면 단단히 고정돼 있으면서 분리는 쉬운 탈부착용 손잡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도 젤리케이스와 같은 말랑말랑한 휴대기기용 케이스는 인장력에 따라 연결장식(43)의 하부(43b)가 부착구멍(11,11')을 빠져나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찢김방지판(50)을 상기 케이스의 안쪽 부착구멍(11,11') 밑에 부착하여, 와셔처럼 케이스(1)와 연결장식(43)의 하부(43b) 사이에 끼워 회전결합수단(40)과 한꺼번에 고정하는 것이 부자재들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적정하다.
참고로, 휴대기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에 상기 손잡이를 부착 고정할 경우, 안쪽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전기전도율이 적은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스를 끼우는 방식에 따라 인장력에 의해 손잡이 달린 상기 케이스가 통째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위로 당겨 잡아떼듯이 벗기는 케이스는 피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휴대기기용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손잡이용 끈을 부착한 휴대기기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휴대기기 본체 또는 케이스 10 : 받침판
11,11': 받침판의 부착구멍 20 : 양면테이프
21 : 양면테이프의 박리지 30 : 끈
31: 고정구멍 32 : 고정장식
32a: 고정장식의 상부 32b: 고정장식의 하부
33 : 탈부착용고리 40(40'): 회전결합수단
40a: 회전결합수단의 바디 40b: 회전결합수단의 고리부
40c: 회전결합수단의 측면커버 41 : 관통홀
42 : 연결링 43 : 연결장식
43a: 연결장식의 상부 43b: 연결장식의 하부
50 : 찢김방지판

Claims (5)

  1. 휴대기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회전결합수단 및 제2회전결합수단;
    일단은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된 끈;
    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 및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하나의 금속판이 구부러져 상부금속판과 하부금속판으로 포개지고,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고리부;
    상기 바디의 상부금속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과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 삽입되는 연결장식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끈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연결링을 통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
  3. 휴대기기 케이스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회전결합수단 및 제2회전결합수단과,
    일단은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에 연결된 손잡이용 끈
    을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 및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하나의 금속판이 구부러져 상부금속판과 하부금속판으로 포개지고,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금속판과 상기 하부금속판이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고리부;
    상기 바디의 상부금속판의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결합수단과 상기 제2회전결합수단은 각각 상기 관통홀과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에 형성된 부착구멍으로 삽입되는 연결장식에 의해 상기 휴대기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끈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연결링을 통해 상기 고리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5.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부착구멍;
    상기 부착구멍의 찢김 또는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서 상기 부착구멍의 주변에 부착되는 찢김방지판;
    상기 찢김방지판을 커버하면서 상기 받침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양면테이프;
    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용 손잡이
KR1020130023124A 2013-03-05 2013-03-05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KR101264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24A KR101264064B1 (ko) 2013-03-05 2013-03-05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PCT/KR2014/001783 WO2014137146A1 (ko) 2013-03-05 2014-03-04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124A KR101264064B1 (ko) 2013-03-05 2013-03-05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064B1 true KR101264064B1 (ko) 2013-05-15

Family

ID=4866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124A KR101264064B1 (ko) 2013-03-05 2013-03-05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4064B1 (ko)
WO (1) WO201413714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71B1 (ko) * 2013-05-28 2015-08-21 홍진혁 부채가 부설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WO2016032499A1 (en) * 2014-08-28 2016-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jacket with a strap
KR101752649B1 (ko) * 2015-06-30 2017-07-11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CN107846490A (zh) * 2016-09-19 2018-03-27 安庆市科兴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便携式手机支撑架
KR200489984Y1 (ko)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6964A (en) * 2016-01-02 2017-08-09 Fleet Mark A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649B1 (ko) 2011-05-06 2011-12-22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67Y1 (ko) * 1999-12-06 2000-04-15 소훈섭 휴대용 전화기의 끈걸이
JP2006279907A (ja) * 2005-03-25 2006-10-12 Motoyoshi Fujimori ベルト保持具付携帯電話機
KR101125325B1 (ko) * 2011-09-27 2012-03-27 정준엽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KR200464283Y1 (ko) * 2012-09-19 2012-12-21 최민석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649B1 (ko) 2011-05-06 2011-12-22 김영선 휴대용 단말기의 손잡이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571B1 (ko) * 2013-05-28 2015-08-21 홍진혁 부채가 부설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WO2016032499A1 (en) * 2014-08-28 2016-03-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jacket with a strap
CN106537277A (zh) * 2014-08-28 2017-03-22 惠普发展公司, 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带的保护套
US9924783B2 (en) 2014-08-28 2018-03-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tective jacket with a strap
CN106537277B (zh) * 2014-08-28 2019-12-20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带的保护套
KR101752649B1 (ko) * 2015-06-30 2017-07-11 김명선 휴대폰 케이스용 액세서리
CN107846490A (zh) * 2016-09-19 2018-03-27 安庆市科兴生产力促进中心有限公司 一种便携式手机支撑架
KR200489984Y1 (ko) 2018-06-08 2019-09-04 강병석 주름자석 크립을 이용한 손목 거치형 스마트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37146A1 (ko)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064B1 (ko)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US10601458B2 (en)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US8827234B2 (en) One-handed, back-based support for a hand-held object
US11465808B2 (en) Ergonomic case/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US10411748B1 (en) Telecommunications cell and satellite phone case with stylus pen and storage compartment for the pen
KR200396216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CN109561757A (zh) 帮助使用者保持移动设备的装置
JP2017521023A (ja) スマート機器据置用ネックレス
WO2020075772A1 (ja)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CN203913514U (zh) 方便听语音资料的衣服
CN104344190A (zh) 可挂在颈上的电子产品支架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KR200455688Y1 (ko) 단말기 그립 밴드유닛
KR101256657B1 (ko) 휴대폰 지지 장치
WO2012016281A1 (en) A single-hand tablet computer manipulation device
CN206658236U (zh) 可自由旋转的指环形手机支架
CN210076808U (zh) 一种电子设备保护套系统
CN212752323U (zh) 一种具有卡扣结构的全保护手机壳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US11857062B2 (en) Hand ornament with detachable hand towel
WO2018041765A1 (en) Support for objects
JP3215922U (ja) 携帯用電子機器把持器具
KR20160014238A (ko) 다기능 휴대폰 홀더
KR200389893Y1 (ko) 손목 핸드폰줄
JP3114226U (ja) 腕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