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325B1 -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325B1
KR101125325B1 KR1020110097425A KR20110097425A KR101125325B1 KR 101125325 B1 KR101125325 B1 KR 101125325B1 KR 1020110097425 A KR1020110097425 A KR 1020110097425A KR 20110097425 A KR20110097425 A KR 20110097425A KR 101125325 B1 KR101125325 B1 KR 10112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case
strap
fixing mea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엽
Original Assignee
정준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엽 filed Critical 정준엽
Priority to KR102011009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325B1/ko
Priority to US14/346,871 priority patent/US20140231276A1/en
Priority to PCT/KR2012/007408 priority patent/WO201304804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8Hand articles fastened to the wrist or to the arm or to the le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배면에 스트랩을 일정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도록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바일기기(1)의 적어도 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며 결합되는 케이스(100); 및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2)을 지지하는 스트랩(5)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Cas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배면에 스트랩을 일정 모양으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도록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는 휴대폰, PDA, PMP,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폰(또는 태블릿 피씨)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로서 무선통신망을 사용하거나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면서도 인터넷 사용, 전화통화, 영화감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바일기기 중 최근에 출시된 터치가 가능한 스마트기기 등은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의 수신 또는 발신 기능 뿐만 아니라 문서작업, 인터넷 사용, 이메일 수신 및 발신 등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를 장소나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함으로써 모바일기기를 떨어뜨릴 위험이 항상 내재하며, 또한 손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는 사용자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모바일기기의 떨어뜨림 및 손목등의 통증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두 손으로 잡고 이용하는 데서 비롯된다.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3437(발명의 명칭 :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를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기술문헌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의 배면에 중첩되는 면에 결합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중지 및 약지가 삽입되는 회전 가능한 고리를 사용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모바일기기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떨어뜨림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기기(1)의 적어도 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며 결합되는 케이스(100); 및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2)을 지지하는 스트랩(5)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2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1)에 부착되어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수단(200)에 의해 연속적인 지지라인(10)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트랩(5)은, 케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고정됨으로써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1)의 제1,2 사선방향 및 모바일기기(1)의 길이방향으로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삼각형 형상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선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수단(200)은 복수로 구비되어 모바일기기(1)에 탈부착 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스트랩(5)은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부착된 복수의 고정수단(100)에 의해 서로 크로스 고정됨으로써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수단(200)은, 모바일기기(1)의 전면과 배면을 'ㄷ'자 형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크로스 고정은, 복수의 스트랩(5)이 모바일기기(1)의 가로 방향으로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되고, 복수의 스트랩(5)이 모바일기기(1)의 사선 방향으로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트랩(5)은 케이스(100)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서, 스트랩(5)은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크로스 고정됨으로써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크로스 고정은, 복수의 스트랩(5)이 모바일기기(1)의 가로 방향으로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되고, 복수의 스트랩(5)이 모바일기기(1)의 사선 방향으로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손목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모바일기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기능성 스트랩을 사용하여 손목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랩을 지지하는 고정수단을 필요에 따라 탈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제작시 일체로 스트랩을 고정 결합함으로써 보다 결합력이 큰 스트랩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장치의 구성>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2,3 실시예에 따라 스트랩(5)을 다양한 방식으로 케이스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모바일기기 사용을 돕도록 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장치는 모바일기기에 탈/부착되는 케이스에 스트립을 결합함으로써 모바일기기 사용시 단말기를 떨어뜨릴 위험을 감소시키고 사용으로 인한 손가락 및 손목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발명이다. 이때 사용되는 모바일기기는 일예로서 PDA, 스마트 폰, 태블릿 및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케이스는 모바일기기(1)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이거나 또는, 기존 모바일기기(1)에 결합되는 외장형 보호 케이스 양쪽 모두를 일컫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3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에 대한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각 실시예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1실시예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0)는 바람직하게는 연성의 소재(일예로, PE, 우레탄, 실리콘, 가죽, 합성수지 등)로 제작되어 모바일기기(1)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케이스(100)는 모바일기기 등에 배면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테두리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거나 또는 모바일기기의 전면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1)에 부착 결합되는 일반적인 스트랩을 일컫는다.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1)에 형성된 결합수단(300)에 결합되어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손목에 감거나 또는 스트랩에 다양한 기능성 제품(일예로 USB메모리 또는 장식품)을 걸어 휴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스트랩(5)은 연성 소재로 사용되어 본래의 길이보다 더 늘어날 수 있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스트랩(5)이 늘어나는 성질을 이용한다. 평상시에는 기능성 제품으로 사용하다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케이스(100)에 형성된 고정수단(200)에 스트랩을 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트랩(5)에 의해 지지가 되어 모바일 단말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스트랩(5)은 연성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나, 스트랩이 삼각형 형상의 연속적인 지지라인(10)을 형성하도록 충분히 길다면 연성이 아닌 소재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20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서 케이스(100) 배면에 위치한다. 복수의 고정수단(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의 우측에 구비된 제1고정수단(210)과 모바일기기의 결합수단(300)이 위치한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22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수단(210)은 모바일기기의 우측 중간 부분에 위치하며, 제2고정수단(220)은 좌측 하단 부분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고정수단(210)은 스트랩(5)을 제1방향에서 제2방향으로 고정하며, 제2고정수단(220)은 스트랩(5)을 제2방향에서 제3방향으로 고정한다. 제1방향은 모바일기기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사선방향이며, 제2방향은 모바일기기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사선방향이며, 제3방향은 모바일기기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이다.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의 결합수단(300) 및 제1고정수단(210)에 의해 제1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지지라인(11)을 형성한다. 또한, 제1고정수단(210) 및 제2고정수단(220)에 의해 제2방향으로 고정되어 제2지지라인(13)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제2고정수단(220) 및 모바일기기의 결합수단(300)에 의해 제3방향으로 다시 결합되어 제3지지라인(15)을 형성함으로써 삼각형 형상의 연속적인 지지라인(10)을 형성한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2)은 제1지지라인(11) 및 제2지지라인(13)에 의해 지지가 되거나, 제1지지라인(11) 또는 제2지지라인(1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이때 지지가 되는 손가락은 검지 및 중지인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약지가 추가되거나, 검지 또는 중지 중 어느 하나 만에 의해 지지가 될 수도 있다.
상술한 고정수단(200)의 위치는 모바일기기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제1고정수단(21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중단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우측 상단과 중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수단(220)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보다 좀 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200)은 스트랩(5)이 삼각형 형상으로 연속적인 지지라인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이면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관계없이 다르게 위치할 수 있다.
고정수단(200)은 케이스(100) 제작시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고정수단(200)은 케이스의 배면에 추가로 형성된다. 한편, 고정수단(200)은 필요에 따라 요철 끼움방식, 자석 방식, 스크류 방식 등 일반적 물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가능하며, 일예로서 고정수단(200)의 형상은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일 수 있다.
고정수단(200)이 케이스의 배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면에, 연성재질인 케이스 배면을 컷팅하여 스트랩(5)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나란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컷팅하여 케이스를 제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컷팅으로 형성된 홈을 스트랩이 관통하도록 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삼각형 형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모바일기기의 결합수단(300)이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만약 모바일기기의 결합수단(300)이 우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 제2실시예 )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는 제1실시예와 같이 모바일기기에 부착 결합되어 있는 스트랩(5)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100) 제작시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되도록 한 스트랩(5')을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은 스트랩이 케이스 제작시 일체로 결합되어 케이스에 부착되므로 케이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수단 등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랩(5')은 연성 소재로서, 케이스(100) 제작시 일체로 고정 결합된다. 이때 고정 결합되는 형상은 크로스 고정된다. 즉,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1)의 가로 방향(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고정되어 제2지지라인(13')을 형성한다. 또한, 스트랩(5')은 모바일기기의 사선 방향(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방향)으로 고정되어 제1지지라인(11')을 형성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트랩은 모바일기기의 사선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지지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 및 중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라인 및 제2지지라인에 의해 지지가 되어 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으로 케이스 후면을 지지한다. 또한, 도 3은 모바일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검지, 중지 및 약지가 제1지지라인에 의해 지지가 되어 모바일기기의 사선방향으로 케이스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2지지라인은 검지, 중지 및 약지에 의해 지지가 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지지라인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오른손으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할 때 바람직하며, 만약 왼손으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경우 이와 반대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라인이 제1지지라인과 크로스 되지 않게 도 2 보다 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 제3실시예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는 제2실시예와 같이 케이스와 일체로 고정 형성되는 스트랩(5')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고정수단(200)을 모바일기기의 전면과 후면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200)은 모바일기기 또는 모바일기기와 케이스에 일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결합하며, 필요에 따라 요철 끼움방식, 자석 방식, 스크류 방식 등 일반적 물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200)은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며, 제1,2,3,4고정수단(210,220,230,2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고정수단(210)은 모바일기기의 우측 상단에 위치하고, 제2고정수단(220)은 모바일기기의 좌측 하단에 위치한다. 또한, 제3고정수단(230)은 모바일기기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고, 제4고정수단(240)은 제3고정수단(240)과 동일 선상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다. 이때, 제1,2고정수단이 제1조(짝)이고, 제3,4고정수단이 제2조(짝)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라인(11'')은 제1조(210,220)와 연결된 스트랩(5'')이 사선 방향(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형성되고, 제2지지라인(13'')은 제2조(230,240)와 연결된 스트랩(5'')이 가로 방향(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렇게 제1지지라인 및 제2지지라인에 의해 스트랩(5'')은 크로스(교차) 고정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트랩은 사선 방향이 아닌 길이 방향으로 위치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중 검지 및 중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라인 및 제2지지라인에 의해 지지가 되어 모바일기기의 길이방향으로 케이스 후면을 지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를 지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검지, 중지 및 약지가 제1지지라인에 의해 지지가 되어 모바일기기의 사선방향으로 케이스 후면을 지지한다. 이때 제2지지라인은 검지, 중지 및 약지에 의해 지지가 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가 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4고정수단이 제2고정수단 보다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스트랩이 크로스 고정되나, 필요에 따라 제2고정수단이 제3,4고정수단 보다 상측 방향에 위치하여 크로스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1지지라인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오른손으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할 때 바람직하며, 만약 왼손으로 모바일기기를 지지하는 경우 이와 반대되게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200)은 'ㄷ'자 형상으로서 모바일기기 또는 모바일기기에 부착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전면과 후면에 서로 밀착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트랩(5'')은 연성 소재로서, 제1고정수단(210)과 제2고정수단(220)에 의해 고정되어 제1지지라인을 형성하고, 또한 제3고정수단(230)과 제4고정수단(240)에 의해 고정되어 제2지지라인을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바일기기
2 : 손가락
5,5',5'' : 스트랩
10 : 지지라인
11,11', 11'' : 제1지지라인
13,13',13'' : 제2지지라인
15 : 제3지지라인
100 : 케이스
200 : 고정수단
210 : 제1고정수단
220 : 제2고정수단
230 : 제3고정수단
240 : 제4고정수단
300 : 결합수단

Claims (12)

  1. 모바일기기(1)의 외형을 이루거나 또는, 모바일기기(1)의 적어도 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며 결합되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측에 결합되는 스트랩(5); 및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2)을 지지하는 스트랩(5)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스트랩(5)은 상기 모바일기기(1)에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구비된 복수의 고정수단(200)에 의해 연속적인 지지라인(1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5)은,
    상기 케이스(100)의 배면에 위치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5)은 상기 모바일기기(1)의 제1,2 사선방향 및 상기 모바일기기(1)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삼각형 형상으로 고정되고,
    적어도 하나의 사선방향으로 고정된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0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모바일기기(1)에 탈부착 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스트랩(5)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부착된 복수의 고정수단(100)에 의해 서로 크로스 고정됨으로써 상기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고정은,
    상기 복수의 스트랩(5)이 상기 모바일기기(1)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5)이 상기 모바일기기(1)의 사선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사선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5)은 상기 케이스(100)에 일체적으로 고정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트랩(5)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크로스 고정됨으로써 상기 손가락(2)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고정은,
    상기 복수의 스트랩(5)이 상기 모바일기기(1)의 가로 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랩(5)이 상기 모바일기기(1)의 사선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 및 상기 사선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및 중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스트랩(5)에 의해 적어도 검지, 중지, 및 약지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KR1020110097425A 2011-09-27 2011-09-27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KR10112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25A KR101125325B1 (ko) 2011-09-27 2011-09-27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US14/346,871 US20140231276A1 (en) 2011-09-27 2012-09-17 Apparatus for mobile device case
PCT/KR2012/007408 WO2013048041A2 (ko) 2011-09-27 2012-09-17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425A KR101125325B1 (ko) 2011-09-27 2011-09-27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325B1 true KR101125325B1 (ko) 2012-03-27

Family

ID=4614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425A KR101125325B1 (ko) 2011-09-27 2011-09-27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31276A1 (ko)
KR (1) KR101125325B1 (ko)
WO (1) WO2013048041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5820A1 (en) * 2012-11-30 2014-06-05 William Gayler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WO2014137146A1 (ko) * 2013-03-05 2014-09-12 Yim Suhyun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US11405067B2 (en) 2018-10-18 2022-08-02 Po Ching SUNG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a strip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14345A (en) * 2013-05-20 2014-11-26 Disruptive Marketing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straining means and method thereof
CN104633403A (zh) * 2013-11-07 2015-05-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支撑装置
US20150249730A1 (en) * 2014-03-01 2015-09-03 Larsen Legacy Designs, LLC Elastic Adjustable Hand Held Device Holder
USD926181S1 (en) * 2014-08-14 2021-07-27 ReadyPERIOD LLC Case mount with finger strap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10447831B2 (en) * 2014-11-20 2019-10-15 Peter M RONCETTI Ergonomic accessory for smartphones and othe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6157229A1 (en) * 2015-04-03 2016-10-06 Spena Marco Eugenio Hold up cover with interchangeable or half fixed band for smartphone
US20180116381A1 (en) * 2015-05-05 2018-05-03 Inslip Holdings Llc Stability Structur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JP6941922B2 (ja) * 2016-04-12 2021-09-29 コクヨ株式会社 小物類収納具
USD937252S1 (en) 2019-08-08 2021-11-30 Johnny Rhymes With Connie, Llc Hinged connection apparatus
US11572977B2 (en) 2019-10-04 2023-02-07 Johnny Rhymes With Connie, Llc Hinged support apparatus with position stops
DE102021127956A1 (de) * 2021-10-27 2023-04-27 Zekeriya Konduoglu Halter für ein Mobilfunkgerät in Form eines Handys und/oder Smartpho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859A (ko) * 2009-08-21 2011-03-02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KR200453437Y1 (ko) * 2011-01-24 2011-05-03 이승훈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3649B2 (en) * 2004-05-21 2007-11-13 Acco Brands Usa Llc Computer bag with cross-brace support
US20050277452A1 (en) * 2004-05-28 2005-12-15 Pasamba Apple G Mobile phone carrying case
KR100761699B1 (ko) * 2005-11-03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 걸이용 핑거 스트랩
US8405981B2 (en) * 2008-02-15 2013-03-26 Panasonic Corporation Holding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5270930B2 (ja) * 2008-02-28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トラップ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US8561862B2 (en) * 2008-05-15 2013-10-22 Jai Foggiato Personal secur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US8374657B2 (en) * 2009-02-27 2013-02-12 Rich Interdonato Finger holder for handheld communication units
US8428664B1 (en) * 2010-02-27 2013-04-23 Philip W. Wyers Case assembly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use therefor
US20110266313A1 (en) * 2010-05-03 2011-11-03 Ghalib, Llc Handheld electronic device grip
US20120063066A1 (en) * 2010-09-14 2012-03-15 Curtis Floit Ergonomic accessory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62570B1 (ko)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US8567832B2 (en) * 2011-01-24 2013-10-29 Robert E. Kannaka Hand grip for electronic devices
US8579112B2 (en) * 2011-02-04 2013-11-12 Webelene Bethea Holding device for phone or other electronic device
US20130001107A1 (en) * 2011-07-01 2013-01-03 Fairhaven Group, Inc. Computer to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859A (ko) * 2009-08-21 2011-03-02 황성남 휴대폰 케이스
KR200453437Y1 (ko) * 2011-01-24 2011-05-03 이승훈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5820A1 (en) * 2012-11-30 2014-06-05 William Gayler Case for electronic tablet device
WO2014137146A1 (ko) * 2013-03-05 2014-09-12 Yim Suhyun 휴대기기용 손잡이와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US11405067B2 (en) 2018-10-18 2022-08-02 Po Ching SUNG Hol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a stri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31276A1 (en) 2014-08-21
WO2013048041A3 (ko) 2013-05-23
WO2013048041A2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325B1 (ko) 모바일기기의 케이스 장치
USD840997S1 (en) Combined support for supporting mobile phone and watch
CN204906449U (zh) 便携式电子设备用保护件
CN202565597U (zh) 移动通讯装置的保护装置
USD670703S1 (en) Tablet computer stand
US9408446B2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53437Y1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US20160377220A1 (en) Support plate
WO2016007343A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34071A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KR20130074446A (ko) 모바일 단말기용 케이스
KR20130007175U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101280783B1 (ko)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CN108540619B (zh) 一种手机指环
KR200461030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102464B1 (ko) 보호부와 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기기 케이스
CN205053131U (zh) 电子产品保护套
CN203404566U (zh) 用于电子产品的支架
CN103118512A (zh) 多功能手持套
CN205596167U (zh) 一种可换式手机保护壳
KR101459713B1 (ko) 휴대용 통신 단말의 보호 케이스
KR102135207B1 (ko)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스트립 타입 트랜스폼 핸들
CN204127580U (zh) 一种保护装置和电子设备组件
KR20150129978A (ko)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거치수단 및 이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태블릿 피씨 케이스
KR102200869B1 (ko) 스마트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