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051B1 -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51B1
KR101264051B1 KR1020120040342A KR20120040342A KR101264051B1 KR 101264051 B1 KR101264051 B1 KR 101264051B1 KR 1020120040342 A KR1020120040342 A KR 1020120040342A KR 20120040342 A KR20120040342 A KR 20120040342A KR 101264051 B1 KR101264051 B1 KR 10126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ust
side wall
wat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최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민 filed Critical 최종민
Priority to KR102012004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1)은, 폐기된 케이블(200)의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로부터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받아서 분쇄품으로 가공하는 분쇄기(20)와, 상기 분쇄기(2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에 장착되어 분쇄기(20)에서 가공된 분쇄품을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흡입하여 상부로 불어내는 공기펌프(40)와, 상기 공급관(30)의 상부 종단부에 연결되어 분진과 분쇄품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51)에 장착되어 지상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구성된 분진분리기(50)와, 상기 분진분리기(50)에 연결되어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60)과,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배출하는 집진기(70)와, 상기 분진분리기(50)의 프레임(51) 안쪽에 수용되어 분진이 분리된 분쇄품을 공급받아 비중 차이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피이(PE), 피피(PP) 등의 내측 피복재(213)와, 분진, 기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순수한 피브이시(PVC) 만의 분쇄품(C)을 분류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분쇄품(C)을 세척하여 순수한 원재료의 상태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Recycling system of cable clothing}
본 발명은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폐케이블의 피복인 피브이시(PVC; PolyVinyle Chloride)를 이물질로부터 분리하여 순도 높은 피브이시의 원료로 재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20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구리선(211)을 수용하는 피복재(210)가 구성되는데, 상기 피복재(210)는 상기 구리선(211)을 바로 수용하는 내측 피복재(213)와 상기 내측 피복재(213)를 수용하는 외측 피복재(215)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피복재(213)는 주로 피이(PE; 폴리에틸렌) 또는 피피(PP; 폴리프로필렌)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피복재(215)는 피브이시(PVC;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200)이 노후되면, 폐기물로서 버려지게 되는데, 상기 케이블(200)에서 구리선(211) 뿐만 아니라, 외측 피복재(215)인 피브이시(PVC)를 분리하여 분쇄품으로 분쇄하여 피브이시(PVC)의 원료로 재활용하게 된다.
이처럼, 폐기된 케이블(200)에서 피브이시(PVC)를 분리하여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나이프로 상기 내측 피복재(213)와 외측 피복재(215)를 잘라서 분리해낸다. 그리고, 육안으로 내측 피복재(213)와 외측 피복재(215)를 구분하여 분리한다. 일반적으로 내측 피복재(213)는 백색으로 구성되고 외측 피복재(215)는 흑색으로 구성되므로 육안 구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외측 피복재(215) 즉, 피브이시(PVC)를 분쇄기에 넣어서 분쇄품으로 만든 후, 다시 피브이시(PVC)의 원료로 재활용하게 된다.
배경기술에 의하면, 피브이시를 분쇄할 때, 상기 내측 피복재인 피이(PE; 폴리에틸렌) 또는 피피(PP; 폴리프로필렌)가 혼입되어, 상기 피브이시(PVC)를 용융시켜서 제품을 성형할 때,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가 나이프로 상기 내측 피복재와 상기 외측 피복재를 절개하여 분리하는 도중에 자연히 상기 내측 피복재인 피이(PE) 또는 피피(PP)가 혼입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피복재에 비해서 상기 외측 피복재는 용융점이 낮다.
따라서, 상기 외측 피복재인 피브이시(PVC)를 녹여서 제품으로 성형할 경우, 내측 피복재인 피이(PE) 또는 피피(PP)는 녹지 않고 알맹이 형상으로 제품에 혼입되어 성형되므로,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외관상 상기 피이(PE) 또는 피피(PP)가 보이므로 아름답지 못하고,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피브이시(PVC)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게 되어 주위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피브이시(PVC)에 기름이나 먼지가 혼입되어, 제품 성형 시, 상기 피이(PE) 또는 피피(PP)가 혼입되므로 가지는 문제점을 역시 가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폐케이블에서 순수한 피브이시(PVC)만을 분리해낼 수 있으며, 분진이 포함된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서 배출시킬 수 있는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은, 폐기된 케이블의 외측 피복재를 공급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외측 피복재를 공급받아서 분쇄품으로 가공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에 장착되어 분쇄기에서 가공된 분쇄품을 상기 공급관을 통해 흡입하여 상부로 불어내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급관의 상부 종단부에 연결되어 분진과 분쇄품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에 장착되어 지상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구성된 분진분리기와, 상기 분진분리기에 연결되어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배출하는 집진기와, 상기 분진분리기의 프레임 안쪽에 수용되어 분진이 분리된 분쇄품을 공급받아 비중 차이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진분리기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급관의 종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수거통과, 상기 수거통의 하부에 연결되는 호퍼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와 상기 호퍼에 연결되는 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중분리기는 물을 수용하도록 바닥면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측벽이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이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탱크와, 상기 바닥면이 높은 쪽에 형성된 측벽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을 따라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종단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인출관과, 상기 인출관 내부에 일측 종단부가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이 낮은 쪽에 형성된 측벽을 관통하여 상대측 종단부가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인출관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에서 상기 측벽을 통하여 연장된 상기 상대측 종단부에 장착된 풀리와, 상기 인출관의 배출구를 통해 떨어지는 분쇄품을 공급받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기와, 상기 탈수기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품을 흡입하여 불어내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기펌프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서 분쇄품이 배출되는 종단부 하방에 구성되어 분쇄품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탈수기에 연결되어 물을 흡수하여 내보내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의 상부로 연장되어 물을 회수하는 회수관과, 상기 측벽에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된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상대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에서 배출된 물이 유입되는 입수공과, 상기 순환관에 장착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와, 상기 순환관에 장착되어 물을 걸러내는 필터와, 상기 측벽에서 대향하는 양쪽 측벽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종단부가 일측 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는 수차와, 상기 일측 측벽을 관통한 상기 샤프트의 일측 종단부에 장착된 풀리와, 상기 측벽의 상단에 고정된 바(bar)와, 상기 바(bar)에 장착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흡입구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이물질이 모이는 곳에 상대측 종단부가 수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bar)에 고정되는 흡입관과, 상기 펌프의 배출구 아래에 위치하는 링과, 상기 링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에 고정되는 바(bar)와, 상기 링에 끼워지는 용기 형상이고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링에 걸리는 플랜지가 형성된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은,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피이(PE), 피피(PP) 등의 내측 피복재와, 분진, 기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순수한 피브이시(PVC) 만의 분쇄품(C)을 분류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분쇄품을 세척하여 순수한 원재료의 상태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구성되는 비중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장착되는 스크린이 지지대에 고정된 링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케이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구성되는 비중분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4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한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에 장착되는 스크린이 지지대에 고정된 링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케이블(200)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구리선(211)을 수용하는 내측 피복재(213)와 상기 내측 피복재(213)를 수용하는 외측 피복재(215)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피복재(213)는 주로 피이(PE; 폴리에틸렌) 또는 피피(PP; 폴리프로필렌)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 피복재(215)는 피브이시(PVC;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200)이 노후되면, 폐기물로서 버려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폐기된 케이블(200)에서 분리된 외측 피복재(215)를 칩 형상의 분쇄품(C)으로 가공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수한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폐기된 케이블(200)에서 분리된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하는 컨베이어(10)가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10)로부터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받아서 분쇄품(C)으로 가공하는 분쇄기(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쇄기(2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관(30)이 구성되며, 상기 공급관(30)에 장착되어 분쇄기(20)에서 가공된 분쇄품(C)을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흡입하여 상부로 불어내는 공기펌프(4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관(30)의 상부 종단부에 연결되어 분진과 분쇄품(C)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51)에 장착되어 지상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구성된 분진분리기(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진분리기(50)에 연결되어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60)이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배출하는 집진기(7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진분리기(50)의 프레임(51) 안쪽에 수용되어 분진이 분리된 분쇄품(C)을 공급받아 비중 차이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쇄기(20)는 상부에 투입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공급된 외측 피복재(215)가 분쇄품(C)으로 가공된 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구성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10)는 상기 분쇄기(20)의 투입공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관(30)은 상기 분쇄기(20)의 하부에 연결되어 낙하된 분쇄품(C)을 흡입할 수 있도록 장착되며, 상부로 연장되므로 상기 분진분리기(50)로 분쇄품(C)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펌프(40)는 상기 공급관(30)을 통해서 흡입한 분쇄품(C)을 상부로 불어낼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30)에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진분리기(50)는 파이프 또는 형강으로 격자형으로 연결되어 지지기능을 하는 상기 프레임(51)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5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급관(30)의 종단부(K)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수거통(5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거통(53)의 하부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분쇄품(C)을 배출하는 호퍼(5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1)에 장착되는 블로어(57)가 구성되고, 상기 블로어(57)와 상기 호퍼(55)에 연결되는 호스(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70)는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된 공기펌프(73)가 장착되어, 상기 수거통(53)의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집진기(70)를 통하여 여과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기(70)는 내부에 필터(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분진을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비중분리기(100)는 물(W)을 수용하도록 바닥면(111)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측벽(113)이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111)이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탱크(1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1)은 분쇄품(C)이 용이하게 하방으로 모아지도록 도 4에서처럼, 경사진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면(111)이 높은 쪽에 형성된 측벽(113)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111)을 따라 상기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종단부에 배출구(123)가 형성된 인출관(120)이 구성된다. 상기 인출관(120)은 탱크(110)의 내부와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관(120)은 수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자연상태에서 물(W)이 인출관(120)을 통해서 배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인출관(120) 내부에 일측 종단부(131)가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111)이 낮은 쪽에 형성된 측벽(113)을 관통하여 상대측 종단부(133)가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111)을 따라 상기 인출관(120)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스크류(130)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130)는 일례로 바닥면(111)에서 0.5mm~2mm 정도 이격되어, 바닥면(111)에 떨어진 분쇄품(C)을 용이하게 인출관(120) 쪽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130)는 도 4에서처럼, 오목한 바닥면(111)에 수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130)에서 상기 측벽(113)을 통하여 연장된 상기 상대측 종단부(133)에 장착된 풀리(135)가 구성된다. 상기 풀리(135)가 모터(M)에 연결되므로 상기 스크류(130)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130)에서 양쪽에서 지지되는 일측 종단부(131)와 상대측 종단부(133)는 나선이 형성되지 않은 축 형상의 것으로서, 상기 인출관(120)의 내부에서 스크류(130)의 일측 종단부(131)가 지지되는 부분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상기 일측 종단부(131)를 지지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113)에서 스크류(130)의 상대측 종단부(133)가 관통하는 부분에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상대측 종단부(133)가 지지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은 물(W)이 누수되지 않도록 수밀용 베어링을 사용하고, 상기 베어링과 상대측 종단부(133) 사이에 오일실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고, 상기 베어링과 측벽(113) 사이에 오일실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130)가 측벽(113)을 관통하므로 스크류(130)와 측벽(113) 사이에는 물(W)이 누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측벽(113)과 스크류(130) 사이에는 오일실링(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누수가 방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인출관(120)의 배출구(123)를 통해 떨어지는 분쇄품(C)을 공급받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기(140)가 구성된다. 상기 탈수기(140)는 일반적인 구성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탈수기(14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품(C)을 흡입하여 불어내는 공기펌프(141)가 구성되며, 상기 공기펌프(141)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출관(14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43)에서 분쇄품(C)이 배출되는 종단부 하방에 구성되어 분쇄품(C)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호퍼(15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탈수기(140)에 연결되어 물을 흡수하여 내보내는 펌프(160)가 구성되며, 상기 펌프(160)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110)의 상부로 연장되어 물(W)을 회수하는 회수관(170)이 구성된다. 상기 회수관(170)은 상기 탱크(110)에 고정된 바(65)에 지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벽(113)에 형성된 배수공(114)이 구성되고, 상기 배수공(114)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된 순환관(115)이 구성되며, 상기 순환관(115)의 상대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측벽(113)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114)에서 배출된 물(W)이 유입되는 입수공(116)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115)에 장착되어 물(W)을 순환시키는 펌프(117)와, 상기 순환관(115)에 장착되어 물(W)을 걸러내는 필터(118)가 구성된다.
상기 측벽(113)에서 대향하는 양쪽 측벽(113)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종단부가 일측 측벽(113)을 관통하여 돌출된 샤프트(181)가 구성된다. 즉, 상기 측벽(113)에 장착되어 구성된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고, 상기 베어링을 상기 샤프트(181)가 관통하여 지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81)에 고정되어 회전하므로 수면 위에 부상하는 이물질을 밀어내는 수차(18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측벽(113)을 관통한 상기 샤프트(181)의 일측 종단부에 장착된 풀리(P)가 구성되므로, 상기 풀리(P)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므로 상기 샤프트(181)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수차(183)는 일례로서 상기 샤프트(181)에 고정된 롤러의 둘레면에 날개가 다수 개 부착된 물레방아 형상의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113)의 상단에 고정된 다수의 바(191, bar)가 구성되고, 상기 바(191, bar)에 장착되는 펌프(192)가 구성되며, 상기 펌프(192)의 흡입구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이물질이 모이는 수면에 상대측 종단부가 수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바(191, bar)에 고정되는 흡입관(19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192)의 배출구(193) 아래에 위치하는 링(194)이 구성되고, 상기 링(194)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113)에 고정되는 바(195, bar)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링(194)에 끼워지는 용기 형상이고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링(194)에 걸리는 플랜지(197)가 형성된 스크린(19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비중분리기(100)의 탱크(110)에 물(W)이 충전되는데, 상기 수차(183)의 하부에 근접하도록 수면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블(200)에서 분리된 외측 피복재(215)를 상기 컨베이어(10)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컨베이어(1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분쇄기(20)로 투입되어 분쇄품(C)으로 가공되어 하방으로 떨어진다. 일례로 상기 외측 피복재(215)는 피브이시(PVC)가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펌프(4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공급관(30)을 통해서 상기 분쇄기(20)의 하방에 적재된 분쇄품(C)은 상기 분진분리기(50)의 수거통(53)에 투입된 후, 아래의 상기 호퍼(55)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57)를 통해서 상기 호스(59)에 의해 상기 호퍼(55)에 공기가 주입된다. 이때, 분쇄품(C)은 중량에 의해서 호퍼(55)를 지나서 하방에 위치하는 비중분리기(100)에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호퍼(55) 중에 섞여 있는 분진 및 상기 분쇄품(C)보다 가벼운 이물질은 상기 호스(59)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방으로 떠올라서 상기 수거통(53)에 충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기(70)에 장착된 공기펌프(73)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수거통(53)에 충전된 분진과 이물질은 배출관(60)을 통해서 집진기(70)의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여과되므로 깨끗하게 걸러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주위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품(C)이 비중분리기(100)에 떨어지면, 피브이시(PVC) 즉, 외측 피복재(215)는 비중이 물보다 크므로 상기 탱크(110)의 바닥면(111)으로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품(C)에 혼입되어 있는 피이(PR) 또는 피피(PP) 즉, 내측 피복재(213)는 비중이 물보다 작으므로 수면 위에 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130)의 풀리(135)에 모터(M)를 연결하여 스크류(130)를 회전시키면, 바닥면(111)에 가라앉은 분쇄품(C)은 상기 인출관(120)으로 이동되어 배출구(123)로 배출되어 하방에 위치하는 탈수기(140)로 낙하하여 공급된다. 이때, 분쇄품(C)은 물(W)을 포함한 상태로 공급되며, 이때 분쇄품(C)은 스크류(130)에 의해 이송되면서 물속에서 서로 마찰되어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 세척된 상태가 된다. 이때 분쇄품(C)은 상기 바닥면(111)이 오목한 형상이므로 하방으로 모아지게 되고, 스크류(130)의 회전에 의해 경사진 바닥면(111)을 따라 인출관(120) 쪽을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세척된 분쇄품(C)은 탈수기(140)를 통해서 탈수된 후, 상기 고기펌프(141)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배출관(143)을 통해, 상기 호퍼(150)로 공급된다. 물론, 이때 상기 호퍼(150)의 하부에 자루를 설치하여 떨어지는 분쇄품(C)을 수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기(140)에서 분리된 물(W)은 상기 펌프(160)의 구동에 의해서 회수관(170)으로 안내되어 상기 탱크(110)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물(W)이 소실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181)에 장착된 풀리(P)를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므로 상기 각각의 수차(183)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 방향은 수면에 부상한 이물질이 상기 흡입관(198) 쪽으로 밀려나가도록 정한다.
그러면, 상기 이물질 즉, 내측 피복재(213)의 분쇄품과 상기 집진기(70)로 이송하지 않고 분쇄품(C)과 함께 유입된 분진, 기름 등은 상기 흡입관(198) 쪽을 이송하여 모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펌프(192)를 구동시키면, 상기 이물질과 함께 물(W)은 상기 흡입관(198)을 통해서 상기 스크린(196)의 상부에 공급되어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196)에 걸러지고 물(W)은 다시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상기 스크린(196)에 이물질이 가득 차게 되면 들어낸 후, 이물질을 버리고 다시 상기 링(194)에 걸쳐지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펌프(117)를 구동시켜서, 물(W)이 상기 순환관(115)을 통하여 순환하도록 한다. 이때, 필터(118)를 통해서 여과되어 탱크(110) 내부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196)을 통해서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은 상기 필터(118)를 통해서 여과되도록 하므로, 최대한 상기 분쇄품(C)이 청결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피이(PE), 피피(PP) 등의 내측 피복재(213)와, 분진, 기름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구분하여 순수한 피브이시(PVC) 만의 분쇄품(C)을 분류해 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분쇄품(C)을 세척하여 순수한 원재료의 상태로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컨베이어 재생 시스템 10: 컨베이어
20: 분쇄기 30: 공급관
40: 공기펌프 50: 분진분리기
51: 프레임 53: 수거통
55: 호퍼 57: 블로어
59: 호스 60: 배출관 65: 공기펌프 70: 집진기
73: 공기펌프 100: 비중 분리기
110: 탱크 111: 바닥면
113: 측벽 114: 배수공
115: 순환관 116: 입수공
117: 펌프 118: 필터
120: 인출관 123: 배출구 130: 스크류 131: 일측 종단부 133: 상대측 종단부 135: 풀리 140: 탈수기 141: 공기펌프 143: 배출관 150: 호퍼 160: 펌프 170: 회수관 181: 샤프트 183: 수차 191: 바 192: 펌프 193: 배출구 194: 링 195: 바 196: 스크린 197: 플랜지 198: 흡입관

Claims (1)

  1. 폐기된 케이블(200)의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하는 컨베이어(10)와,
    상기 컨베이어(10)로부터 외측 피복재(215)를 공급받아서 분쇄품으로 가공하는 분쇄기(20)와,
    상기 분쇄기(20)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공급관(30)과,
    상기 공급관(30)에 장착되어 분쇄기(20)에서 가공된 분쇄품을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흡입하여 상부로 불어내는 공기펌프(40)와,
    상기 공급관(30)의 상부 종단부에 연결되어 분진과 분쇄품을 분리하도록 구성되고 프레임(51)에 장착되어 지상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구성된 분진분리기(50)와,
    상기 분진분리기(50)에 연결되어 분진이 배출되는 배출관(60)과,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여 여과한 후, 배출하는 집진기(70)와,
    상기 분진분리기(50)의 프레임(51) 안쪽에 수용되어 분진이 분리된 분쇄품을 공급받아 비중 차이로 이물질을 분리하는 비중분리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진분리기(50)는 상기 프레임(51)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공급관(30)의 종단부(K)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60)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수거통(53)과,
    상기 수거통(53)의 하부에 연결되는 호퍼(55)와,
    상기 프레임(51)에 장착되는 블로어(57)와 상기 블로어(57)와 상기 호퍼(55)에 연결되는 호스(5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중분리기(100)는 물(W)을 수용하도록 바닥면(111)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측벽(113)이 돌출되고, 상기 바닥면(111)이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탱크(110)와,
    상기 바닥면(111)이 높은 쪽에 형성된 측벽(113)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111)을 따라 일측방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종단부에 배출구(123)가 형성된 인출관(120)과,
    상기 인출관(120) 내부에 일측 종단부(131)가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111)이 낮은 쪽에 형성된 측벽(113)을 관통하여 상대측 종단부(133)가 회전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바닥면(111)을 따라 상기 인출관(120)을 향하여 상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스크류(130)와,
    상기 스크류(130)에서 상기 측벽(113)을 통하여 연장된 상기 상대측 종단부(133)에 장착된 풀리(135)와,
    상기 인출관(120)의 배출구(123)를 통해 떨어지는 분쇄품을 공급받아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기(140)와,
    상기 탈수기(140)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품을 흡입하여 불어내는 공기펌프(141)와,
    상기 공기펌프(141)에 연결되어 상부로 연장되는 배출관(143)과,
    상기 배출관(143)에서 분쇄품이 배출되는 종단부 하방에 구성되어 분쇄품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호퍼(150)와,
    상기 탈수기(140)에 연결되어 물을 흡수하여 내보내는 펌프(160)와,
    상기 펌프(160)에 연결되어 상기 탱크(110)의 상부로 연장되어 물(W)을 회수하는 회수관(170)과,
    상기 측벽(113)에 형성된 배수공(114)과,
    상기 배수공(114)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된 순환관(115)과,
    상기 순환관(115)의 상대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측벽(113)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114)에서 배출된 물(W)이 유입되는 입수공(116)과,
    상기 순환관(115)에 장착되어 물(W)을 순환시키는 펌프(117)와,
    상기 순환관(115)에 장착되어 물(W)을 걸러내는 필터(118)와,
    상기 측벽(113)에서 대향하는 양쪽 측벽(113)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수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종단부가 일측 측벽(113)을 관통하여 돌출된 샤프트(181)와,
    상기 샤프트(181)에 장착되는 수차(183)와,
    상기 일측 측벽(113)을 관통한 상기 샤프트(181)의 일측 종단부에 장착된 풀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측벽(113)의 상단에 고정된 바(191, bar)와,
    상기 바(191, bar)에 장착되는 펌프(192)와,
    상기 펌프(192)의 흡입구에 일측 종단부가 연결되고 이물질이 모이는 곳에 상대측 종단부가 수면에 접하도록 상기 바(191, bar)에 고정되는 흡입관(193)과,
    상기 펌프(192)의 배출구(193) 아래에 위치하는 링(194)과,
    상기 링(194)에 부착되어 상기 측벽(113)에 고정되는 바(195, bar)와,
    상기 링(194)에 끼워지는 용기 형상이고 바닥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링(194)에 걸리는 플랜지(197)가 형성된 스크린(19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KR1020120040342A 2012-04-18 2012-04-18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KR10126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42A KR101264051B1 (ko) 2012-04-18 2012-04-18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342A KR101264051B1 (ko) 2012-04-18 2012-04-18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051B1 true KR101264051B1 (ko) 2013-05-21

Family

ID=4866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342A KR101264051B1 (ko) 2012-04-18 2012-04-18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0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933B1 (ko) 1999-10-12 2001-11-02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JP2002260465A (ja) 2001-02-28 2002-09-13 Yamaguchi Sangyo:Kk 電線ケーブル外装材の合成樹脂材と金属材の剥離・分離方法及び装置
KR100704552B1 (ko) 2005-11-12 2007-04-06 안승학 변압기 동선 차핑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933B1 (ko) 1999-10-12 2001-11-02 김경두 폐전선 및 폐통신케이블의 분리가공방법
JP2002260465A (ja) 2001-02-28 2002-09-13 Yamaguchi Sangyo:Kk 電線ケーブル外装材の合成樹脂材と金属材の剥離・分離方法及び装置
KR100704552B1 (ko) 2005-11-12 2007-04-06 안승학 변압기 동선 차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633B1 (ko) 폐배터리 해체용 수력분리기 및 폐배터리 해체 시스템
KR101742163B1 (ko) 유기성 폐기물의 쓰레기 파쇄 및 선별장치
EP2065127B1 (en) Coolant cleaning device for machine tool
KR102182215B1 (ko)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2154643B1 (ko) 폐전선 재활용 장치
KR101595155B1 (ko) 합성수지 폐기물의 분쇄 및 재활용 처리장치
JP2016522099A5 (ko)
KR20110051408A (ko) 폐플라스틱 재생시스템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물의 재활용 방법
EP3046740B1 (en) Plant and method for the recovery of plastic materials of post-consumption materials, such as vehicle bumpers and tanks
JP2007276258A (ja) ペットボトル破片洗浄分別装置
KR100676729B1 (ko) 음식물 및 야채 쓰레기 처리 시스템
CN107096647A (zh) 一种油屑用离心分离机
EP0893220B1 (en) Apparatus for recycling polyethylene, particularly polyethylene foil
JP2003291144A (ja) 廃petボトルの再生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CN101195974B (zh) 一种使废纸造纸中的废料渣再生的生产处理方法及其装置
KR10178642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4634B1 (ko) 폐배터리 해체용 처리장치
KR101430227B1 (ko) 창문샤시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1264051B1 (ko) 케이블 피복 재생 시스템
KR101695225B1 (ko) 필름지 박리/분쇄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36234A (ko) 전선 피복 재활용 분리장치 및 방법
KR20130104081A (ko) 폐전선의 폴리염화비닐(pvc) 피복재 재활용 시스템
KR20090003015A (ko) 유리 파쇄시스템
US20200108399A1 (en) Method for Recycling Electronic Materials, Products and Components Thereof, and End Products Produced Thereby
KR200470873Y1 (ko) 야채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