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686B1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3686B1 KR101263686B1 KR1020110003245A KR20110003245A KR101263686B1 KR 101263686 B1 KR101263686 B1 KR 101263686B1 KR 1020110003245 A KR1020110003245 A KR 1020110003245A KR 20110003245 A KR20110003245 A KR 20110003245A KR 101263686 B1 KR101263686 B1 KR 1012636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ker
- virtual object
- augmented reality
- song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441—Image sensing, i.e. capturing images or optical patterns for musical purposes or musical control purposes
- G10H2220/455—Camera input, e.g. analyzing pictures from a video camera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as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의 데이터 저장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컨텍스트 정보에 따라 가상 객체의 속성을 매핑시킨 저장부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300: 노래방 장치 400: 표시 장치
310: 마커 검출부 320: 검색부
330: 합성부 340: 저장부
342: 가상객체 DB 344: 인터랙션 DB
350: 움직임 검출부 360: 음향 센서부
370: 인터랙션부
Claims (14)
- 마커 기반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에 있어서,
마커를 포함한 현실 환경을 촬영하여 실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장치;
상기 영상 획득 장치에서 얻은 실제 영상으로부터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한 마커에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를 마커의 위치 및 방향에 고려하여 삽입함으로써 상기 실제 영상에 합성하며, 상기 사용자의 노래 형태를 인식하여 노래 형태에 따른 인터랙션 반응을 상기 가상 객체에 반영하는 노래방 장치; 및
상기 노래방 장치에서 실제 영상과 가상 객체가 합성된 증강 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는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 마커 기반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에 있어서,
마커를 포함한 현실 환경을 촬영한 실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검출부;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가상 객체를 상기 마커 검출부에서 검출한 마커와 매칭시키는 검색부;
상기 사용자의 노래 형태에 따른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인터랙션 반응을 정의한 가상 객체의 속성을 검출하여 속성 변경하도록 지령하는 인터랙션부; 및
상기 실제 영상에 상기 검출한 마커의 위치 및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가상 객체를 합성하고, 상기 인터랙션부로부터 가상 객체에 대한 속성 변경이 지령되면 상기 합성된 가상 객체에 반영하는 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커는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는 상기 노래의 가수 캐릭터 이미지, 가수의 동영상, 상기 노래의 장르 또는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캐릭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노래를 부르는 음향 정보, 사용자 동작 정보, 노래 최종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음향 크기, 음 이탈, 박자 이탈을 포함한 음향 상황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음향을 센싱하는 음향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상기 촬영된 실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및 방향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된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 정보와, 상기 노래방 상황 정보에 따라 인터랙션할 가상 객체의 속성 정보를 미리 정의해 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해당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이거나, 실제 객체의 특징점을 이용한 자연 특징점(Nature Feature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장치. - 마커 기반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으로서,
마커를 포함한 현실 환경을 촬영하여 실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실제 영상으로부터 상기 마커를 검출하는 마커 검출 단계;
사용자가 선곡한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된 가상 객체를 상기 마커 검출 단계를 통해 검출한 마커와 매칭시키는 매칭 단계;
상기 실제 영상에 상기 검색된 가상 객체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증강 현실 영상 제공 단계;
상기 사용자가 노래하는 상황에 따른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컨텍스트 정보에 따른 인터랙션 반응을 정의한 가상 객체의 속성을 검출하는 인터랙션 검출 단계; 및
상기 인터랙션 검출 단계에서 검출한 가상 객체의 속성을 상기 증강 현실 영상을 통해 제공하는 가상 객체에 반영하는 인터랙션 반영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단계는
상기 노래와 매핑되는 가상 객체를 상기 노래의 가수 캐릭터 이미지, 가수의 동영상, 상기 노래의 장르 또는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캐릭터 중 어느 하나로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검출 단계에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는 상기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음향 크기, 음 이탈, 박자 이탈을 포함한 음향 상황 정보, 사용자 동작 정보, 노래 최종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해당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이거나, 실제 객체의 특징점을 이용한 자연 특징점(Nature Feature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랙션 반영 단계는 상기 검출한 가상 객체의 속성을 상기 가상 객체 반영하는 횟수를 설정하여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서비스 방법. -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과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245A KR101263686B1 (ko) | 2011-01-12 | 2011-01-12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3245A KR101263686B1 (ko) | 2011-01-12 | 2011-01-12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874A KR20120081874A (ko) | 2012-07-20 |
KR101263686B1 true KR101263686B1 (ko) | 2013-05-22 |
Family
ID=4671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3245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3686B1 (ko) | 2011-01-12 | 2011-01-12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368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630A (ko) * | 2020-08-19 | 2022-02-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세계/가상세계 객체 대체-연동형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KR20220022631A (ko) * | 2020-08-19 | 2022-02-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Vr-ar-mr 기반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5904B1 (ko) * | 2013-01-15 | 2015-01-28 |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 라이브 공연과 연동되는 게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WO2015025305A1 (en) * | 2013-08-23 | 2015-02-26 | Pt Wirya Inovasi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karaoke applications with augmented reality |
WO2016006946A1 (ko) * | 2014-07-09 | 2016-01-14 | 정지연 | 증강현실 컨텐츠의 생성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
KR101518696B1 (ko) * | 2014-07-09 | 2015-05-08 | 정지연 | 증강현실 컨텐츠의 생성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
KR101478954B1 (ko) * | 2014-08-21 | 2015-02-04 | (주) 제이제이엠엔터테인먼트 | 동요집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장치 및 구현방법 |
KR102016350B1 (ko) * | 2017-12-04 | 2019-08-30 | (주)펀앤핏스튜디오 | 스크린 노래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KR102296434B1 (ko) * | 2017-12-27 | 2021-09-02 | 주식회사 포더비전 |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맞춤형 뮤직 스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사용한 서버 |
KR102011868B1 (ko) * | 2019-04-22 | 2019-08-26 | 주식회사 더미리 | 노래 대결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장치 |
CN110781337A (zh) * | 2019-09-25 | 2020-02-11 | 厦门巨嗨科技有限公司 | 演唱竞技方法、介质、设备及装置 |
CN115988154A (zh) * | 2022-12-29 | 2023-04-1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录像方法、装置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1056A (ja) * | 2005-10-11 | 2006-02-02 | Yamaha Corp | 自動演奏装置 |
-
2011
- 2011-01-12 KR KR1020110003245A patent/KR10126368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31056A (ja) * | 2005-10-11 | 2006-02-02 | Yamaha Corp | 自動演奏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2630A (ko) * | 2020-08-19 | 2022-02-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세계/가상세계 객체 대체-연동형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KR20220022631A (ko) * | 2020-08-19 | 2022-02-28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Vr-ar-mr 기반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KR102394981B1 (ko) | 2020-08-19 | 2022-05-04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Vr-ar-mr 기반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KR102394973B1 (ko) * | 2020-08-19 | 2022-05-04 |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실세계/가상세계 객체 대체-연동형 디지털액터 운용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874A (ko) | 201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3686B1 (ko)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
KR102210541B1 (ko) | 실제 장면의 재현에 가상 이미지 및 오디오 데이터를 오버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 | |
US9529566B2 (en) | Interactive content creation | |
JP6013363B2 (ja) | ビューの画像の少なくとも1つの特徴に注釈付け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方法及びデバイス | |
US10970932B2 (en) | Provision of virtual reality content | |
KR20140116740A (ko) | 안무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표시 방법 | |
JP7127659B2 (ja) | 情報処理装置、仮想・現実合成システム、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に実行させる方法、プログラム | |
US9700788B2 (en) | Video object detecting apparatus, video object deforming apparatus, and methods thereof | |
KR101227237B1 (ko)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
CN106464773B (zh) | 增强现实的装置及方法 | |
JP6431259B2 (ja) | カラオケ装置、ダンス採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90109410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프로그램 | |
KR101267247B1 (ko) | 증강 현실을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 및 장치, 이의 노래방 서비스 방법 | |
CN111652986B (zh) | 舞台效果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101295862B1 (ko) |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773891B1 (ko) | 실시간 환경객체 선택을 통한 합성동영상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구현 방법 | |
JP6313003B2 (ja) | カラオケ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7160707B2 (ja) | 仮想キャラクタを含む画像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 |
CN111651054A (zh) | 音效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KR20170075321A (ko) | 증강현실 노래방 시스템 | |
JP2016131342A (ja) | 鉄道模型観賞用装置、方法、プログラム、専用表示モニタ、合成用情景画像データ | |
KR20100124571A (ko) | 증강 현실을 이용한 정보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635477B1 (ko) |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 |
KR101478954B1 (ko) | 동요집을 기반으로 하는 증강현실 구현장치 및 구현방법 | |
JP7697581B2 (ja)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12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1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