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237B1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27237B1 KR101227237B1 KR1020100023703A KR20100023703A KR101227237B1 KR 101227237 B1 KR101227237 B1 KR 101227237B1 KR 1020100023703 A KR1020100023703 A KR 1020100023703A KR 20100023703 A KR20100023703 A KR 20100023703A KR 101227237 B1 KR101227237 B1 KR 101227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rkers
- marker
- augmented reality
- virtual object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마커의 종류와 각 마커와 대응되는 가상 객체 정보를 매핑시킨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 상태에 따라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간 기울기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간 거리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간 방향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복수의 마커의 종류에 따라 가상 객체의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10: 마커 검출부 220: 마커 종류 인식부
230: 트래킹부 240: 제어부
250: 렌더링부 260: 저장부
262: 마커 DB 264: 가상객체 DB
266: 인터렉션 DB 300: 표시 장치
Claims (15)
- 복수의 마커를 포함한 현실 세계에 기반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실 세계를 촬영하여 실제 영상을 인식하는 영상 인식 장치;
상기 영상 인식 장치로부터 인식한 실제 영상에서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를 인식한 다음,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각 마커와 대응되는 가상 객체에 반영하여 상기 실제 영상에 합성하는 증강현실 처리 장치; 및
상기 증강현실 처리 장치에서 합성된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처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마커간 기울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여러 기울기에서의 마커 모양을 미리 저장하고, 마커 인식시 상기 저장된 마커 모양에 따라 기울기 정도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 복수의 마커를 포함한 현실 세계에 기반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에 따라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현실 세계를 촬영하여 인식한 실제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를 트래킹하는 트랙킹부;
상기 트랙킹부를 통해 인식된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검출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각 마커와 대응되는 가상 객체를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가상 객체를 상기 실제 영상에 합성시키는 렌더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는,
둘 이상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 각각의 마커의 기울기, 방향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는,
상기 복수 마커의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는,
미리 정의되어 해당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이거나, 실제 객체의 특징점을 이용한 자연 특징점(Nature Feature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킹부는,
상기 복수의 마커간 기울기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여러 기울기에서의 마커 모양을 미리 저장해 두어, 마커 트래킹시 상기 저장된 마커 모양에 따라 기울기 정도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마커에 대한 종류(ID), 상기 복수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에 따라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고,
상기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는 상기 복수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 정보가 동일해도 상기 복수의 마커간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처리 장치.
- 복수의 마커를 포함한 현실 세계에 기반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에 따라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저장부에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현실 세계를 촬영하여 인식한 실제 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마커를 검출하고 검출된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를 트래킹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에 따라 미리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고, 검출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기반으로 각 마커에 대응되는 가상 객체를 렌더링하여 상기 실제 영상에 합성하는 단계; 및
합성된 증강현실 영상을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는,
둘 이상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 각각의 마커의 기울기, 방향 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 상호간의 상태는,
상기 복수 마커의 종류에 따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커는,
미리 정의되어 해당 가상 객체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마커이거나, 실제 객체의 특징점을 이용한 자연 특징점(Nature Feature Poi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는 각 마커의 기울기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각 기울기에서의 마커 모양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트래킹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마커를 트래킹할 때 상기 저장된 마커 모양에 따라 기울기 정도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마커에 대한 종류(ID), 상기 복수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에 따라 정의된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가상 객체의 동작 정보는 상기 복수의 마커간 거리, 기울기, 방향 정보가 동일해도 상기 복수의 마커간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방법.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3703A KR101227237B1 (ko) | 2010-03-17 | 2010-03-17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3703A KR101227237B1 (ko) | 2010-03-17 | 2010-03-17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4676A KR20110104676A (ko) | 2011-09-23 |
KR101227237B1 true KR101227237B1 (ko) | 2013-01-28 |
Family
ID=44955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3703A Active KR101227237B1 (ko) | 2010-03-17 | 2010-03-17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72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7041B1 (ko) | 2016-01-12 | 2017-01-16 | 오철환 | 가상 객체의 충돌 체크에 의한 반응형 증강현실 카드 게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반응형 증강현실 카드 게임 플레이 장치 |
TWI815782B (zh) * | 2022-11-27 | 2023-09-11 | 互動細胞股份有限公司 | 擴增實境影像識別的組合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48301B2 (en) | 2011-09-30 | 2017-05-09 | Moon Key Lee | Image processing system based on stereo image |
KR101314756B1 (ko) * | 2012-02-23 | 2013-10-08 |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컨트롤 마커를 이용한 증강 현실 제공 장치 및 방법 |
WO2014145193A1 (en) * | 2013-03-15 | 2014-09-18 | Nexref Technologies, Llc |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display with inventory management |
US10810797B2 (en) * | 2015-05-22 | 2020-10-20 | Otoy, Inc | Augmenting AR/VR displays with image projections |
KR101870276B1 (ko) * | 2016-12-30 | 2018-06-22 | 주식회사 픽스게임즈 | 마커를 이용한 증강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WO2018174499A2 (ko) * | 2017-03-20 | 2018-09-27 | 주식회사 라이커스게임 | 가상 마커 및 벡터를 이용한 증강 현실 영상 구현 방법 |
CN113112614B (zh) * | 2018-08-27 | 2024-03-19 |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 基于增强现实的互动方法及装置 |
KR102105155B1 (ko) * | 2018-08-31 | 2020-04-27 | 김규형 | 캐릭터 스템프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
KR102159721B1 (ko) * | 2019-12-05 | 2020-09-24 | 에스피테크놀러지 주식회사 | Amr 공간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ar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2621814B1 (ko) * | 2023-10-16 | 2024-01-09 | 주식회사 에이펀인터렉티브 | 영상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784B1 (ko) * | 2005-12-08 | 2007-04-02 | 신믿음 | 마커간 융합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장치 |
KR20090001667A (ko) * | 2007-05-09 | 2009-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
2010
- 2010-03-17 KR KR1020100023703A patent/KR10122723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784B1 (ko) * | 2005-12-08 | 2007-04-02 | 신믿음 | 마커간 융합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 및 그장치 |
KR20090001667A (ko) * | 2007-05-09 | 2009-01-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7041B1 (ko) | 2016-01-12 | 2017-01-16 | 오철환 | 가상 객체의 충돌 체크에 의한 반응형 증강현실 카드 게임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반응형 증강현실 카드 게임 플레이 장치 |
TWI815782B (zh) * | 2022-11-27 | 2023-09-11 | 互動細胞股份有限公司 | 擴增實境影像識別的組合方法 |
US12131535B2 (en) | 2022-11-27 | 2024-10-29 | Visual Fun Co., Ltd. |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assemblies in augmented reality imag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4676A (ko) | 2011-09-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7237B1 (ko) | 복수의 마커를 이용하여 가상 객체간 인터렉션을 구현하는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 |
AU2021203688B2 (en) | Volumetric depth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 |
KR101227255B1 (ko) | 마커 크기 기반 인터렉션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증강 현실 시스템 | |
KR101250619B1 (ko) | 가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1110071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a reproduction of a real scene with virtual image and audio data, and a mobile device | |
JP5888372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6932206B2 (ja) | 空間オーディオの提示のための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 |
EP3693925B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KR20140090159A (ko)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
JP2017129904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 |
US10853966B2 (en) | Virtual space moving apparatus and method | |
JP2020520576A5 (ko) | ||
JP2013050883A (ja) |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CN113228117B (zh) | 创作装置、创作方法和记录有创作程序的记录介质 | |
US20250118033A1 (en) |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image corresponding to digital item, and augmented reality device | |
KR20110136017A (ko) | 홀로그램 객체를 표시하는 증강현실 장치 | |
US10692286B2 (en) |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an augmented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ystem | |
TW202311815A (zh) | 在實體表面上顯示數位媒體內容 | |
US10482641B2 (en) | Virtual reality display | |
KR102739285B1 (ko) | 증강현실 기반의 공연 콘텐츠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 |
US12008771B2 (en) | Device and method of creating an augmented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ystem | |
CN117940963A (zh) | 显示装置、显示装置的控制方法以及程序 | |
JP2005234757A (ja) | 拡張現実感システムおよび画像合成表示方法とプログラム | |
EP3847621A1 (en) | Object track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4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110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