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79B1 - 이륜차 접이 구조 - Google Patents

이륜차 접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79B1
KR101263279B1 KR1020120107887A KR20120107887A KR101263279B1 KR 101263279 B1 KR101263279 B1 KR 101263279B1 KR 1020120107887 A KR1020120107887 A KR 1020120107887A KR 20120107887 A KR20120107887 A KR 20120107887A KR 101263279 B1 KR101263279 B1 KR 101263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connecting rod
front wheel
folding structur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영봉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2015/003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having a foldable crank 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이륜차 접이 구조에 있어서, 전륜을 포함하는 전륜부; 후륜과 후륜 지지부를 포함하는 후륜부; 전륜부와 후륜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연결 로드에 대해 후륜부를 회동시키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1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해 전륜부를 회동시키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2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한 후륜부의 회동시 전륜과 후륜의 형상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수평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륜차 접이 구조{FOLDABLE TWO WHEEL STRUCTUR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이륜차 접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게 접히고 접었을 때 쉽게 끌고 다닐 수 있는 이륜차 접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기, 이륜차라 함은 스쿠터, 자전거와 같은 바이크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륜차는 단순히 시트부(100)와 핸들부(200)를 접어서, 운반가능한 형태로 된다. 이러한 이륜차 접이 구조는 접은 후, 체적이 매우 커서, 운반에 어려움이 따른다.
도 2는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륜차는 시트부(100)를 중심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핸들부(200)를 회전 이동시킨 다음, 후륜(300)을 접어서, 운반가능한 형태로 된다.
도 3은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륜차는 시트부(100), 핸들부(200), 후륜(300), 전륜(400), 후륜 수용부(310), 그리고 전륜 수용부(410)를 가진다. 후륜(300)을 후륜 수용부(310)에 넣고, 전륜(400)을 전륜 수용부(410)에 넣고, 시트부(100)와 핸들부(200)를 접이한다. 컴팩트한 접이가 가능하지만, 이동시 후륜(300)과 전륜(400)을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륜차 접이 구조에 있어서, 전륜을 포함하는 전륜부; 후륜과 후륜 지지부를 포함하는 후륜부; 전륜부와 후륜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연결 로드에 대해 후륜부를 회동시키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1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해 전륜부를 회동시키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2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한 후륜부의 회동시 전륜과 후륜의 형상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수평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이륜차 접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시트부의 접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 내지 도 17은 핸들부, 발받침부 그리고 시트부의 접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전륜을 포함하는 전륜부(1), 후륜을 포함하는 후륜부(2), 전륜부(1)와 후륜부(2)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3,4)가 구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로드(3,4)의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한 xyz 직교좌표계를 사용한다. 연결 로드(3,4)는 z축 방향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회동축(5)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다. 전륜부(1)는 연결 로드(3)의 전단부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xy평면과 평행한 상하방향의 회동축(6)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3)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후륜부(2)는 연결 로드(4)의 후단부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xy평면과 평행한 상하방향의 회동축(7)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4)에 대해 역시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전륜부(1)가 회동축(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후륜부(2)가 회동축(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전륜 측의 전륜부(1)와 연결 로드(3)가 후륜 측의 후륜부(2)와 연결 로드(4)에 대해 회동축(5)을 기준으로 접힘으로써, 접은 상태의 이륜차를 운반할 때 전륜과 후륜을 운반용 바퀴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회동축(6)은 회동축(7)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예를 들어, 회동축(7)이 xy평면 상의 y축과 평행한 상하방향인 경우, 회동축(6)은 xy평면 상에서 z축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축, 즉 y축에 대해 (-) 기울기를 갖는 축에 대해 평행한 상하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접힘 시 전륜과 후륜의 회전축이 z축과 평행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전륜과 후륜이 운반시 바퀴로 기능할 수 있게 되며, 연결 로드(3, 4)가 부피를 구비함에 따라 전륜과 후륜 사이에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이륜차 운반시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회동축(7)이 y축에 대한 기울기를 갖는다면, 이에 대응하여 회동축(6)의 y축에 대한 기울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더불어, 회동축(6,7)의 기울기는, 전륜과 후륜의 직경, 연결 로드(3, 4)의 길이 등을 포함하는 주어지는 조건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우측 도면을 보면, 전륜부(1)와 후륜부(2) 사이에 공간(8)이 생성되어 있다. 가운데 도면을 보면, 공간(8) 내에서 회동축(5)에 대해 접힌 연결 로드(3,4)의 옆도 비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후륜부(2)의 후륜 지지부(9)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공간(8)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설계에 따라서, 모터 등의 부품이 후륜 지지부(9)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전륜(101)과 핸들부(110)를 포함하는 전륜부, 후륜(102)과 후륜 지지부(104)를 포함하는 후륜부, 전륜부와 후륜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103)가 구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로드(103)의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한 xyz 직교좌표계를 사용한다. 전륜부는 연결 로드(103)의 전단부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xy평면과 평행한 상하방향의 회동축(106)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103)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후륜부는 연결 로드(103)의 후단부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xy평면과 평행한 상하방향의 회동축(105)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103)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후륜부가 회동축(105)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전륜부가 연결 로드(103)에 대해 회동축(106)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접힘으로써, 접은 상태의 이륜차를 운반할 때 전륜(101)과 후륜(102)을 운반용 바퀴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회동축(106)은 회동축(105)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예를 들어, 회동축(105)이 xy평면 상의 y축과 평행한 상하방향인 경우, 회동축(106)은 xy평면 상에서 z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진 축, 즉 y축에 대해 (+) 기울기를 갖는 축에 대해 평행한 상하방향이 된다. 이에 따라, 접힘 시 전륜(101)과 후륜(102)의 회전축이 z축과 평행한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중심이 일치하게 되는 전륜(101)과 후륜(102)이 운반시 바퀴로 기능할 수 있게 되며, 연결 로드(103)가 부피를 구비함에 따라 전륜(101)과 후륜(102) 사이에 공간이 확보됨으로써, 이륜차 운반시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회동축(105)이 y축에 대한 기울기를 갖는다면, 이에 대응하여 회동축(106)의 y축에 대한 기울기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더불어, 회동축(105,106)의 기울기는, 전륜(101)과 후륜(102)의 직경, 연결 로드(103)의 길이, 후륜 지지부(104)의 길이 등을 포함하는 주어지는 조건에 맞추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동축(105)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103)에 대해 후륜(102)과 후륜 지지부(104)를 포함하는 후륜부가 회동되고, 회동축(106)을 기준으로 연결 로드(103)에 대해 전륜(101)과 핸들부(110)를 포함하는 전륜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어, 공간(108)이 만들어지고, 핸들부(110)는 운반시에도 핸들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전륜(201)과 핸들부(210)를 포함하는 전륜부, 후륜(202)과 후륜 지지부(204)를 포함하는 후륜부, 전륜부와 후륜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203)가 구비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결 로드(203)의 길이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한 xyz 직교좌표계를 사용한다. 전륜(201)의 회전축(211) 및 후륜(202)의 회전축(212)과 동일한 방향, 즉, z축 방향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회동축(205,206)이 구비된다.
이 경우에,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연결 로드(203)에 대해 후륜 지지부(204)를 접으면, 전륜(201)과 후륜(202)이 형상적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연결 로드(203)에 대해 후륜 지지부(204)를 접기에 앞서, 전륜(201)에 대한 후륜(202)의 상대적인 z축 방향 수평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한다. 회동축(206)을 구비함으로써, 접힌 후 연결 로드(203)와 전륜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동축(205)과 회동축(206)에 대해 전륜부와 후륜부가 접혀 있다. 회동축(206)에는, 전륜(201)과 후륜(202)의 상대적인 z축 방향 수평위치의 이동을 위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으로서, 슬라이드 돌기(13a)와 슬라이드 홈(13b)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연결 로드(203)에 대해 후륜 지지부(204)를 접기에 앞서, 슬라이드 돌기(13a)와 슬라이드 홈(13b)를 통해 전륜(201)을 후륜(2)에 대해 z축 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접힌 후 전륜(1)과 후륜(2) 사이의 공간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이륜차 접이 구조가 접힌 상태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동축(205)과 회동축(206)에 대해 연결 로드(203)와 후륜 지지부(204)가 접혀 있다. 도 9의 이륜차 접이 구조와 달리, 회동축(205) 측에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13a,13b)이 구비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 전륜(201)과 후륜(202)의 상대적인 수평위치 이동(relative horizontal translation between the front wheel 201 and the rear wheel 202)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 회동축(205,206) 인근에 위치하였지만, 연결 로드(203)나 후륜 지지부(204)의 다른 부분에 위치하여도 좋다. 다만 회동축(205,206)과 합체된 구조의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부품들을 간략화 내지는 일체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및 도 12는 시트부의 접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시트부는 시트(14), 높이 조절부(15), 지지대(16) 그리고 링크(17)를 구비한다. 링크(17)가 시트(14)를 연결 로드(4) 위에 위치시키며, 접힘시 시트(14)가 전륜과 후륜 사이의 공간(8)에 위치된다.
도 13 내지 도 17은 핸들부, 발받침부 그리고 시트부의 접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은 핸들부(10)와 발받침부(18)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핸들부(10)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핸들부(10)를 연결 로드(3)로 한번 더 접을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 슬라이드 기구를 도입하여 핸들부(10)를 연결 로드(3) 상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켜 접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시트부(14; 시트부는 부재번호 15,16,17을 포함하지만 설명을 위해 14로 표시한다.)가 연결 로드(4)에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발받침부(18)가 연결 로드(3)에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전륜을 생략하고 본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후륜의 영역 내에 연결 로드(3)와 연결 로드(4)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연결 로드(3) 위에 핸들부(10)가 접혀 있고, 연결 로드(4) 위에 시트부(14)가 접혀 있으며, 연결 로드(3)와 연결 로드(4) 사이에 발받침부(18)가 위치한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2 연결 로드에 대해 후륜을 회동시키는 제3 회동축;을 더 포함하며, 공간은 제1 회동축에 대한 제1 연결 로드의 회동, 제2 회동축에 대한 전륜의 회동 그리고, 제3 회동축에 대한 후륜의 회동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2) 제2 회동축에 대한 전륜의 회동과 제3 회동축에 대한 후륜의 회동은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3) 제2 회동축은 접힘 후 전륜과 후륜이 운반시 바퀴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제1 연결 로드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4) 제3 회동축에 대한 후륜의 회동시에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후륜 측에 후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5) 제1 회동축은 제1 연결 로드 및 제2 연결 로드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며, 제2 회동축은 접힘 후 전륜과 후륜이 운반시 바퀴로 기능할 수 있도록 제1 연결 로드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제1 회동축에 대한 회동과 제2 회동축에 대한 회동은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여기서 수직한 방향이 반드시 90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6) 제1 회동축과 제2 회동축은 전륜과 후륜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이며, 제1 연결 로드 및 제2 연결 로드 중의 적어도 하나에, 공간을 생성하기 위한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여기서 동일한 방향이 완전히 일치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7)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2 회동축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8)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1 회동축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9) 이륜차 접이 구조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며, 접힘 시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가 공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바람직하게는 시트의 적어도 일부가 공간 내에 놓인다.
(10)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연결 로드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11) 이륜차 접이 구조는 발받침부;를 더 포함하며, 접힘 시 발받침부는 공간 내에서 제1 연결 로드와 제2 연결 로드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12) 이륜차 접이 구조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며, 접힘 시 핸들부는 공간 내에서 제1 연결 로드 위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13) 이륜차 접이 구조는 전륜 측에 위치하는 핸들부; 그리고,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하는 시트부;를 더 포함하고, 접힘 시 핸들부의 적어도 일부와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가 공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14) 핸들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 로드의 옆에 위치하며,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연결 로드의 옆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이륜차 접이 구조에 의하면, 쉽게 이륜차를 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이륜차 접이 구조에 의하면, 쉽게 접혀진 이륜차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이륜차 접이 구조에 의하면, 전륜과 후륜의 운반시 바퀴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이륜차 접이 구조에 의하면, 접힘시 전륜과 후륜 사이의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운반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이륜차 접이 구조에 의하면, 접힘시 전륜과 후륜 사이에, 핸들부, 시트부, 발받침부 쉽게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전거의 경우에, 페달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전륜 2: 후륜 3, 4: 연결 로드
5, 6, 7: 회동축 8: 공간 9: 지지부
10: 핸들부 11: 전륜 회전축 12: 후륜 회전축
13a: 슬라이드 돌기 13b: 슬라이드 홈 14: 시트
15: 높이 조절부 16: 지지대 17: 링크
18: 발받침부 100: 시트부 200: 핸들부
300,400: 후륜,전륜

Claims (3)

  1. 이륜차 접이 구조에 있어서,
    전륜을 포함하는 전륜부;
    후륜과 후륜 지지부를 포함하는 후륜부;
    전륜부와 후륜부를 연결하는 연결 로드;
    연결 로드에 대해 후륜부를 회동시키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1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해 전륜부를 회동시키며 제1 회동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z축과 평행한 좌우방향의 제2 회동축;
    연결 로드에 대한 후륜부의 회동시 전륜과 후륜의 형상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후륜에 대한 전륜의 상대적인 수평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으로서, 슬라이드 홈 및 슬라이드 홈 내에서 가이드 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은 제2 회동축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대적 수평위치 이동 수단은 제1 회동축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차 접이 구조.
KR1020120107887A 2012-09-27 2012-09-27 이륜차 접이 구조 KR101263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87A KR101263279B1 (ko) 2012-09-27 2012-09-27 이륜차 접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887A KR101263279B1 (ko) 2012-09-27 2012-09-27 이륜차 접이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009A Division KR101207922B1 (ko) 2012-04-06 2012-04-06 이륜차 접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279B1 true KR101263279B1 (ko) 2013-05-10

Family

ID=486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887A KR101263279B1 (ko) 2012-09-27 2012-09-27 이륜차 접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2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3339A (zh) * 2010-09-25 2011-02-16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折叠自行车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3339A (zh) * 2010-09-25 2011-02-16 大行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折叠自行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922B1 (ko) 이륜차 접이 구조
CN106358442B (zh) 折叠小型摩托车
US9517788B2 (en) Baby carriage
US10556611B2 (en) Double stroller
US8388005B2 (en) Foldable scooter
WO2010075715A1 (zh) 双向折叠车
US8579319B2 (en) Baby carriage
KR101263279B1 (ko) 이륜차 접이 구조
CN203876905U (zh) 骑行、滑行二合一的可折叠滑板车
EP2835307A1 (en) Revolvable and foldable bicycle frame
TW201600384A (zh) 車輛
CN104843123B (zh) 一种v形折叠自行车
WO2012120753A1 (ja)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自立構造
US10647376B2 (en) Collapsible flip-pivot bicycle
JP2015186975A (ja) 鞍乗型車両のステップ構造
JP6916052B2 (ja) 電動車両
KR102470609B1 (ko) 모빌리티, 캐리어 및 운반기구 손잡이
KR101531762B1 (ko) 회전식 보조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KR20180123897A (ko) 앞바퀴와 뒷바퀴가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접혀지는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캐리어 바이크
JP7335219B2 (ja) 折り畳み式移動体
JP2014091393A (ja) 変形自転車
CN211731698U (zh) 一种框架结构的折叠滑板车
JP7175012B2 (ja) 折りたたみ式自転車
JP3209918U (ja) 折り畳み式自転車
KR101466517B1 (ko) 회전가능한 페달프레임을 내장한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