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22B1 -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 - Google Patents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22B1
KR101263222B1 KR1020097008492A KR20097008492A KR101263222B1 KR 101263222 B1 KR101263222 B1 KR 101263222B1 KR 1020097008492 A KR1020097008492 A KR 1020097008492A KR 20097008492 A KR20097008492 A KR 20097008492A KR 101263222 B1 KR101263222 B1 KR 101263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ductive material
filter
resonat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052A (ko
Inventor
알렉산더 로고진
Original Assignee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시티에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6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comb or interdigital filters; using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3Printed circuits associated with mounted high frequenc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68Non-printed resona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66Plated through-hole for surface mounting on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31Leadless components
    • H05K3/3442Leadless components having edge contacts, e.g. leadless chip capacitors, chip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직접 표면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 공진기/필터(100)가 제공된다. 상기 공진기/필터는 상기 공진기/필터가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관통 구멍(101 내지 104)과, 각각 상부(112), 저부(113), 및 전도성 물질로 커버된 절연성 재료의 영역들을 규정하는 측부면(114 내지 117)들을 포함한다. 상부 블록면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도성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블록의 저부면상의 제 2 전도성 영역은 필터가 저부 필터면을 갖는 기판상에 장착되도록 하는 입력/출력 접점을 규정하며, 따라서 특히 높은 주파수하에 개선된 감쇠 성능을 위해 공진기 관통 구멍과 기판 사이에 직접 접지 접점을 제공한다. 복수의 송 신라인 실시예들(131, 156)이 상기 제 1 및 제 2 전도성 영역을 전지 접속한다.
Figure R1020097008492
인쇄 회로 기판, 공진기, 필터, 관통 구멍, 전도성 물질, 절연성 재료, 블록, 입력/출력 접점

Description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MONOBLOCK RF RESONATOR/FIL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RF resonator) 및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기 공진기 또는 필터의 저면상에 한정된 입력/출력 접점 및 일반적으로 장착 보드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공진기 관통 구멍들을 갖는 개량된 절연성 세라믹 모노블록 RF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세라믹 절연성 블록 필터들과 같은, 세라믹 절연성 블록 공진기 디바이스들은 전기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그와 같은 세라믹 필터의 적어도 하나는 "절연된 입력/출력 접점들을 구비한 절연성 블록 필터"라는 제목의 미국특허 제5,162,760호에 공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블록들은 상대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울퉁불퉁하며, 또한 상대적으로 소형이다. 미국특허 제5,162,760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 세라믹 블록 필터 설계에서, 공진기들은 상기 블록의 저면과 대향 상부 사이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으로 지칭되는 원통형 통로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블록은 6개의 (외부) 측면 중 하나 이외의 모두와 상기 공진기 관통 구멍들의 내부 벽들상에서 전도성 물질로 충분히 피복된다(즉, 금속화된다).
상부면은 완전히 금속화되지 않고, 대신에 일련의 공진기들을 통해 입력 및 출력 신호들을 결속하도록 설계된 금속화 패턴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162,760호 및 뱅갈라(Vangala)에 의한 미국특허 제5,745,018호의 설계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일련의 블록으로 연장하며, 여기서 입력/출력 전극들 또는 접점들이 형성된다.
인접한 공진기들 사이의 반응 커플링 및 그에 따른 디바이스의 성능은, 상기 공진기들의 수와 물리적 치수에 의해, 상기 공진기들의 서로에 대한 배향 및 상기 필터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PC 보드에 의해, 그리고 상부면 금속화 패턴의 양태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시된다. 이와 같은 필터들에는 또한 예를 들어 뱅갈라에 의한 미국특허 제5,745,018호에 공개된 타입의 외부 금속 실드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외부 금속 실드는 비인접 공진기들 사이의 기생 커플링(parasitic coupling)을 최소화하고 수용 가능한 저지 대역(stopband)을 성취하기 위해 상기 블록의 개방 회로 단부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단부를 가로질러 위치한다.
비록 그와 같은 RF 신호 필터가 상업적으로 널리 취득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질지라도, 이와 같은 기본 설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특히 대역폭 이외의 필터의 주파수 반응을 개선하기 위한, 즉 저지 대역에서의 감쇠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162,760호 및 미국특허 제5,745,018호에 있어서, 상기 입력/출력 접점/패드는, 공진기가 필터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면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관계로, 상기 필터가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 면을 향하도록 허용하는 상부면에 인접한 측면들 중 하나에 위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설계와 관련된 단점은 주로 비대칭 여자로 인해 상기 필터의 저지 대역에서 한정된 감쇠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 있다.
다른 예로서, 미국특허 제5,130,682호는 특별 장착된 브래킷이 원하지 않은 신호들을 억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에 대해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브래킷은 필터의 상부면상의 패턴이 상기 브래킷을 통해 접근할 수 없게 됨에 따라 필터의 조정이 허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은 개선된 공진기/필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 기판 또는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공진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는 상부, 저부, 및 전도성 물질로 커버된 선택 영역을 포함하는 측부면들로 규정된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를 상기 회로 기판 또는 기판에 용량성 전기 접속하기 위한 수단이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의 저부면상에 한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가 상기 블록의 저부면들과 상부면들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블록의 저부면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면 바닥에 직접 결속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가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될 때, 장착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배향되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관통 구멍 공진기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직접 바닥 결속 관계를 제공한다.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는 적합하게도 적어도 상기 블록의 상부면상에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를 상기 회로 기판 또는 기판에 용량성 전기 접속하기 위한 수단은 적어도 상기 저부면상에 위치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표면상의 대응하는 입력/출력 접점/패드로 직접 면을 결속하도록 구성된, 입력/출력 접점/패드를 규정한다.
전도성 송신 라인은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로 연장하며, 그들을 전기 접속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라인은 상기 블록의 측부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전도성 물질의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로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블록의 저부면에 있는 구멍을 한정하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구멍을 둘러싸고,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송신 라인은 상기 관통 구멍의 내부면을 커버하는 전도성 물질에 의해 한정된다.
다른 장점 및 특징들은 다음에 기재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첨부된 청구항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들을 합체시킨 필터 형태의 공진기 디바이스의 단순 확대 사시도.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순 확대 사시도.
도 1b는 도 1에 도시된 필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순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특징들을 합체시킨 필터 형태의 공진기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순 확대 사시도.
도 3은 커스텀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된 도 2의 필터를 나타내는 단순 확대 사시도.
도 3a는 커스텀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장착된 도 1a의 필터를 나타내는 단순 확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필터와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필터 디바이스 모두의 실제 측정된 저 대역 및 고 대역 성능 특징들을 나타내는 주파수 반응 그래프.
본 발명은 많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하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로서의 공진기/필터 디바이스에 대한 4가지 형태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동일시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징들이 합체된 모노블록 필터(100) 형태의 공진기/필터 디바이스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필터(100)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블록(110)을 포함하며,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된다. 블록(110)은 상부면(112), 저부면(113), 끝면 표면(114), 배면(115), 대향 끝면 표면(116), 및 정면(117)을 갖는다. 필터(100)는 낮은 손실, 높은 절연 상수, 및 낮은 온도 계수를 갖는 어떠한 적합한 절연성 재료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110)상의 피복은 적합하게는 전기 전도성 구리, 은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수행된다. 그와 같은 피복은 적합하게도 상기 상부면(112), 저부면(113), 및 정면(117)의 부위들을 제외하는 상기 블록(110)의 모든 면들을 커버하며, 이와 같은 피복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물론, 다른 전도성 피복 장비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원에 일관된 정도로 합체되고, 본 양수인에게 양도된 소콜라(Sokola) 등에 의한 "세라믹 대역 필터"라는 제목의 미국특허 제4,431,977호에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록(110)은, 공간적으로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각각 상부 및 저부 블록면들(112, 113)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블록 몸체를 통해 상기 상부면(112)으로부터 상기 저면(113)으로 연장하는, 4개의 관통 구멍들(101, 102, 103, 104)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은 각각 소망의 필터 응답 특성을 위해 선택된 길이들을 갖는 단락된 동축 송신 라인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전송 라인 공진기들을 한정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 물질로 피복된 각각의 내부벽들을 규정한다.
상기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의 설계, 기능, 및 목적에 대한 추가의 설명을 위해, 상술된 소콜라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431,977호를 참고하였다. 비록 블록(110)이 4개의 피복된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아니하며, 특별한 용도에 기초하여 오직 한개의 관통 구멍을 갖거나 및/또는 4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갖는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상기 블록(110)의 상부면(112)은 예를 들면 상기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을 각각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의 영역들 또는 플레이트들(121 내지 124)을 한정하기 위해 블록(110)상의 피복과 유사한 전기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선택적 피복부는 적어도 한쌍의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상기 저부면(113)상에 형성된 입력-출력(I/O) 접점/패드(130, 13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I/O 접점/패드(130, 132) 각각은, 각각 세라믹 절연성 재료의 일반적으로 장방형 영역들(140, 142), 즉 전도성 재료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전기 전도성 물질(131)의 메사(mesa)에 의해 한정된다. I/O 패드들(130, 132)은 저부면(113)과 정면(117)을 중개하는 블록(110)의 저부 에지(147)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내부로 연장한다. I/O 패드(130)는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101)의 저부 구멍을 갖는 동일 선형이고, 일반적으로 각각 상기 정면과 저부 블록면들(117, 113)을 중개하는 블록(110)의 에지와 상기 관통 구멍(101) 사이의 저부면(113)상에 위치된다. I/O 패드(132)는 I/O 패드(130)의 정반대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들(103, 104)의 저부 구멍들 사이의 저부면(113)상에 위치된다.
상부 블록면(112)상의 전도성 물질의 플레이트/영역(121 내지 124)은, 한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들(121 내지 124) 사이로 연장하고 다른 단부에서 입력/출 력(I/O) 패드/접점(130, 132) 사이로 연장하는 각각의 연장 이격된 평행한 필터 송신 라인들(144, 146)을 통해,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의 관련 공진기들을 저부 블록면(113)상의 입력/출력(I/O) 패드/접점(130, 132)에 용량적으로 결속한다.
본 발명에 따라, 송신 라인(144)은 상기 플레이트/영역(121)에 대해 일반적으로 동일 선형 관계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 불록면(112)상에 위치되는 상단부 스트립(149)을 갖는 전도성 물질의 연장 연속 단일 스트립에 의해 한정되며, 각각 상부면 및 정면(112, 117)을 중개하는 블록(110)의 상부 에지(145) 둘레를 에워싼다; 또한, 관통 구멍(101)을 갖는 일반적으로 동일 선형인 연장 몸체 스트립(151)이 정면(117)의 폭을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면 및 저부 블록면(112, 113)과 수직으로 저부면(113)의 방향으로 연장시킨다; 하단부 스트립(153)이 블록(110)의 저부 에지(147)를 중개하고, 저부 블록면(113)상의 I/O 패드/접점(130)의 메사(131) 안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송신 라인 또는 스트립(144)은 세라믹 절연성 재료의 영역(150), 즉 전도성 물질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영역에 의해 모든 면들상에 완전히 둘러싸인다.
같은 방식으로, 송신 라인(146)은 상부 블록면(112)상에 위치된 상단부 스트립(155)을 가지며 또한 일반적으로 각각의 플레이트들(123, 124) 사이의 공간으로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연장 연속 및 단일 스트립에 의해 한정된다. 플레이트들(123, 124)과 스트립(155)은 절연성 재료의 영역에 의해 분리된다. 다음에, 스트립(155)은 블록(110)의 상부 에지(145) 둘레를 에워싸며, 추가로 정면 블록면(114)의 폭을 각각의 상부 및 저부 블록 에지들(145, 147) 사이로 연장시키는 연 장 몸체 스트립(156)을 한정한다. 하단부 스트립(159)는 상기 저부 블록 에지(147)를 중개하고, 블록(110)의 저부면(113)상에 한정된 I/O 패드/접점(132)의 메사(131)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송신 라인(146)은 마찬가지로 세라믹 절연성 재료(150)의 영역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인다.
송신 라인들(144, 146)은 서로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하며 서로에 대해 정반대 관계로 배치 및 배향된다. 각각의 송신 라인들(144, 146), 및 그들의 구성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블록 에지들(145, 147)과 수직 관계 및 배향으로 각각의 블록 면들을 따라 연장한다.
도 1에 있어서, 필터(100)는 추가로 다음과 같은 관계로 블록(110)의 상부면(112) 위에 장착 및 위치되는 금속 실드(400)를 포함한다: 실드(400)의 루프(402)는 상기 상부 블록면(112)와 평행하며, 그로부터 이격된다; 실드(400)의 연장 전방 숄더의 주변 외부면 또는 플랜지(404)는 상기 루프(402)의 전방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으로 매달리고, 상부 블록면의 길이에 대항하여 위치하며, 상기 상부 블록면(112)의 길이를 상기 관통 구멍들과 상기 전방 에지(145) 사이의 블록 상부면(112) 영역에서 상기 전방 블록 에지(145)와 일반적으로 평행한 관계로 연장시킨다; 실드(400)의 연장 후방 숄더 또는 플랜지(406)의 주변 외부면은 블록(110)의 길이를 연장시키고, 각각 상부 블록면과 배면 블록면(112, 115)을 중개하는 상부 블록면(112)의 배면 에지에 대항하여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그와 동일 선형을 갖는다.
실드(400)의 전방 연장 플랜지(404)는 각각의 전송 라인들(144, 146)의 상단 부 스트립들(149, 155) 위에 놓이는 관계로 그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는 한쌍의 리세스(408, 410)를 추가로 한정한다.
실드의 루프(402)는 일반적으로 장방형상을 갖는 한쌍의 개구부들(412, 414)을 추가로 한정한다. 루프 개구부(412)는 각각의 공진기 구멍들(101, 102)의 상부 개구부들 또는 구멍들 위에 놓인다. 루프 개구부(414)는 각각의 공진기 구멍들(103, 104)의 상부 개구부들 또는 구멍들 위에 놓인다. 루프 개구부들(412, 414)은 상기 블록(110)의 상부면, 특히 필터의 조정 또는 정돈을 위한 전도성 물질(121 내지 124)의 영역으로의 접근을 허용하는 장점을 갖는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필터(100)의 약간 다른 실시예(100A)를 도시한다.
필터(100A)는 필터(100)와 동일 타입의 재료로 구성된다; 블록(100)과 동일 타입의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110A)을 포함한다; 그리고 블록(100)과 동일 타입의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된다. 블록(110A)은 상부면(112A), 저부면(113A), 끝면 표면(114A), 배면(115A), 대향하는 끝면 표면(116A), 및 정면(117A)을 갖는다.
상기 필터(100)의 피복과 같이, 필터(110A)의 피복은 적합하게도 상기 상부면(112A), 저부면(113A), 및 정면(117A)의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블록(110A)의 모든 면들을 커버한다.
블록(110A)은, 참고로 설명이 본원에 합체된, 필터(100)의 각각의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과 형태와 작동면에서 동일한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4개의 관통 구멍들(101A, 102A, 103A, 104A)을 한정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참고로 본원에 합체되었다.
블록(110A)의 상기 상부면(112A)은 각각의 관통 구멍들(101A 내지 104A)을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 플레이트들(121A 내지 124A)을 한정하도록 선택적으로 전기 전도성 물질로 피복된다.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입력-출력 I/O 접점/패드(130A, 130B)는 상기 저부면(113A)상에 형성되고, 세라믹 절연성 재료의 각각 일반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영역들(140A, 142A), 즉 전도성 물질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영역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전기 전도성 물질(131A)의 메사에 의해 각각 한정된다.
I/O 패드(130A)는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101A)과 측면 블록면(114A) 사이의 저부 블록면(113A)상에 위치된다. I/O 패드(132A)는 일반적으로 관통 구멍(104A)과 동일 선형의 저부 블록면(113A)상에 위치된다. 양쪽 I/O 패드(130A, 132A)는 일반적으로 각각 정면 및 저부 블록 면들(117A, 113A)을 중개하는 에지(147A)로부터 정반대 관계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내향 연장한다.
상부 블록면(112A)상의 전도성 물질의 플레이트/영역들(121A 내지 124A)은, 상기 블록면들(112A, 117A)의 면상에 피복 및 한정되고, 한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들(121A 내지 124A) 사이로 연장하고 다른 단부에서 입력/출력(I/O) 패드/접점(130A, 132A) 사이로 연장하는, 각각의 서로 연장, 이격되고 평행한 필터 송신 라인들(144A, 146A)을 통해 저부 블록면(113A)상의 입력/출력 I/O 패드/접점들(130A, 132A)에 관련된 공진기들을 용량적으로 접속한다.
상기 송신 라인(144A)은, 상기 송신 라인(144A)이 관통 구멍(101A)의 외부에 위치하고, 연장 몸체 스트립(151A)에 대해 관통 구멍(101A)의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 상부 블록면(112A)상에 위치된 상단부 스트립(149A)을 포함하며, 관통 구멍(101A)을 둘러싸는 피복 영역(121A)의 단락을 종결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필터(100)의 송신 라인(144)에 대한 모든 것과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 연장 연속 단일 스트립에 의해 규정된다. 몸체 스트립(151A)은 정면(117A)의 폭을 상단부 스트립(149A) 사이로 연장시키며, I/O 패드/접점(130A)의 메사(131A)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상기 몸체 스트립(151A)은 블록 상부 에지(145A)와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에 있는 전방 블록면(117A)을 따라 연장한다. 송신 라인(144A)은 세라믹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진 영역(150A)에 의해 모든 면들상에 둘러싸인다.
상기 송신 라인(146A)은, 상기 송신 라인(146A)이 상기 상부 블록면(112A)상에 위치된 상단부 스트립(155A)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몸체 스트립(156A)에 대해 관통 구멍(103A)의 방향으로 내향 절곡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필터(100)의 송신 라인(146)에 대한 모든 것과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 연장 연속 단일 스트립에 의해 규정된다. 송신 라인(146A)의 연장 몸체 스트립(156A)은 정면(117A)의 폭을 상단부 스트립(155A) 사이로 연장시키며, I/O 패드/접점(132A)의 저부 메사(131A)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156A)는 블록 에지(145A)와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에 있으며 또한 송신 라인(144A)의 몸체(151A)와 완전 반대이고 일반적으로 서로 이격되고 평행한 관계에 있는 전방 블록면(117A)을 따라 연장한다.
필터(100A)는 추가로 실드(400)와 유사한 방식 및 관계로 블록(110A)의 상부 면(112A) 위에 장착 및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실드(400A)를 포함하며, 따라서 실드(400)와 관련된 상기 설명은 여기서도 합체되고, 설명을 통해 실드(400A)에도 적용된다.
실드(400A)는, 실드(400A)의 루프(402A)가 각각의 관통 구멍들(101A, 102A, 103A) 위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루프(402A)에 한정된 5개의 분리된 일반적으로 정방형의 개구부들(412A, 414A, 416A, 418A)과; 송신 라인(146A)의 상단부(155A)와; 관통 구멍(104A)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실드(400)와는 다르다. 상기 각각의 개구부들은 각각의 전도성 패턴들 및 그에 따른 필터가 정돈 및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실드(400A)는 상기 루프(402A)의 전방 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하향으로 수직으로 매달리는 연장 전방 플랜지 또는 숄더(404A)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블록면(112A)에 대해 위치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면을 포함한다. 한쌍의 리세스들(408A, 410A)이 각각의 전도성 송신 라인들(144A, 146A)의 상단부들(149A, 155A) 위에 위치하는 숄더(404A)의 영역에 한정된다.
실드(400)와는 달리, 실드(400A)는 상기 루프(402A)의 배면 연장 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하향으로 매달리는 일반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배면 벽(406A)을 포함하며, 상기 실드(400A)가 상기 블록(110A)에 적절히 위치 및 장착될 때 블록(110A)의 배면(115A)에 대해 접하도록 구성된 내부면을 포함한다.
도 1b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특징들을 합체시킨 도 1의 공진기/필터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100B)를 도시한다.
필터(100B)는 상기 필터들(100, 100A)을 한정하는 블록들과 같이, 상술된 필터들(100, 100A)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고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되는 블록(110B)을 포함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필터(100B)에 대하여도 합체된다. 블록(110B)은 상부면(112B), 저부면(113B), 끝면 표면(114B), 배면(115B), 대향하는 끝면 표면(116B), 및 정면(117B)을 갖는다.
상기 블록(110B)상의 피복은 적합하게도 상기 상부면(112B), 저부면(113B), 및 대향하는 측면들(114B, 116B)을 제외하고는 상기 블록(110)의 모든 면들을 커버하며, 상기 피복에 대하여는 이하에 좀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b의 실시예에서, 블록(110B)은 서로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행한 4개의 관통 구멍들(101B, 102B, 103B, 104B)을 한정하며, 각각은 블록 몸체를 통해 상부면(112B)으로부터 저부면(113B)으로 각각 상부 및 저부 블록면들(112B, 113B)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연장한다. 관통 구멍들(101B 내지 104B)은 소정의 필터 반응 특성을 위해 선택된 길이를 갖는 단락된 동축 전송 라인으로 구성된 각각의 송신 라인 공진기들을 한정하는 각각의 내벽들을 한정한다.
블록(110B)의 상기 상부면(112B)은 각각의 관통 구멍들(101B 내지 104B)을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로 제조된 각각의 영역 또는 플레이트들(121B 내지 124B)을 한정한다.
입력/출력(I/O) 접점/패드들(130B, 132B)은 저부면(113B)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I/O 접점/패드들(130B, 132B)은 각각 세라믹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각각 일반적으로 장방형 형상의 영역들(140B, 142B), 즉 전도성 물질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영역들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전기 전도성 물질(131B)의 메사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블록의 저부면과 정면을 중계하는 상기 블록의 에지로부터 내향으로 연장하는 필터들(100, 100A)의 I/O 패드들과는 달리, I/O 패드(130B)는 각각 저부면과 측면들(113B, 114B)을 중계하는 블록(110B)의 저부 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 내향 연장되며, 반면, I/O 패드(132B)는 각각 저부면과 측면들(113B, 116B)을 중계하는 블록(110B)의 저부 에지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 내향 연장된다.
도시된 상기 실시예에서, I/O 패드들(130B, 132B)은 서로 정반대로 동일 선형 배치된다.
상부 블록면(112B)상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플레이트/영역들(121B 내지 124B)은, 한 단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들(121B 내지 124B) 사이로 이격 연장하고 다른 단부에서 입력/출력(I/O) 패드/접점들(130B, 132B) 사이로 연장하는 각각의 연장 연속 단일 필터 송신 라인들(144B, 146B)을 통해, 관통 구멍들(101B 내지 104B)의 관련 공진기들을 저부 블록면(113B)상의 입력/출력(I/O) 패드/접점들(130B, 132B)에 용량적으로 결속한다.
상기 전방 블록면(117)의 폭을 연장시키는 필터들(100, 100A)과 관련된 송신 라인들과는 달리, 각각의 전송 라인들(144B, 146B)은 각각 대향하는 측부 블록면들(114B, 116B)의 폭을 연장시키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히, 송신 라인(144B)은, 플레이트/영역(121B)에 대해 이격되는 관계 및 일 반적으로 각각의 상부면과 정면(112B, 117B)을 중계하는 블록(110B)의 전방 에지(145B)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는 관계로 연장하는, 상기 상부 블록면(112B)상에 위치된 상단부 스트립(149B)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연장 연속 스트립에 의해 한정된다. 상부 블록면(112A)으로부터, 송신 라인(144B), 및 특히 그의 상단부 스트립(149B)은 상기 상부 및 저부 블록면(112B, 113B)과 일반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저부면(113B) 방향으로 측면(114B)의 폭을 연장시키는 연장 몸체 스트립(151B) 안에 상기 상부면과 정면(112B, 117)을 단일체로 중계하는 블록(110)의 상부 에지(180B) 주위를 감싸고, 하단 스트립은 측면(114B)과 저부면(113B)을 중계하는 블록(110)의 저부 에지 주위를 감싸며, 하부 블록면(113B)상의 I/O 패드/접점(130B)의 메사(131B) 안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상기 송신 라인 또는 스트립(144B)은 각각 세라믹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영역(150B), 즉 전도성 물질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물질을 포함하는 영역에 의해 모든 면들상에 둘러싸인다.
유사한 방법으로, 대향 송신 라인(146B)은 각각 상부 블록면과 전방 블록면(112B, 117B)을 중계하는 블록(110B)의 상부 에지(145B)로부터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배향으로 상기 전도성 패드(123B)로부터 이격된 지점 사이로 연장하는, 상기 상부 블록면(112)상에 위치된 상단부 스트립(155B)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연장 연속 스트립에 의해 한정되며, 다음에 블록(110B)의 상부 에지(174B) 주위를 감싸고, 각각 수직 관계의 상부 블록 에지와 하부 블록 에지(174B, 178B) 사이로 측면 블록면(116B)의 폭을 연장시키는 연장 몸체 스트립(156B)을 추가적으로 한정한다. 다음에, 몸체 스트립(156B)의 하부 단부는 저부 블록 에지(178B) 주위를 감싸며, 블록(110B)의 저부면(113B)상에 한정된 I/O 패드/접점(132B)의 메사(131B) 안에서 단독으로 종결된다. 상기 송신 라인 또는 스트립(146B)은 마찬가지로 세라믹 절연성 재료로 구성된 영역(150B)에 의해 모든 면들상에 둘러싸인다.
필터(100B)는, 그의 전방 플랜지(404B)에 한정된 어떠한 리세스들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필터(100A)의 실드(400A)와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실드(400B)를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실드(400A)에 관한 논의는 완전히 설명됨에 따라 실드(400B)에 합체 및 제공된다.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하도록 도 1b에 사용되었다. 간략하게, 도 1b에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400B)는 로프(402B); 플랜지(404B) 및 벽(406B)에 하향으로 매달린 정면 및 배면 및 루프(402B)에 한정된 각각의 개구부들(412B, 414B, 416B, 418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162,760호 및 제5,745,018호에서 본 발명의 배경 기술로서 설명 및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필터는, 필터 공진기 관통 구멍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해 평행한 관계로 배향될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배향되는 관계로, 필터가 고객의 기판에 반드시 장착될 필요가 있는 블록의 슬라이드면들 중 하나상에 위치되는 입력/출력 접점/패드를 합체한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드면을 통해 인쇄 회로 기판의 지면에 필터 공진기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간접 및 긴 연결 및 결속이 발생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간접 및 긴 연결 및 결속은 차례로 특히 통과 대역 이상의 높은 주 파수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필터 응답 및 성능을 발생하는 필터를 통해 바람직하지 않은 도파관 증식을 야기하는 전기 필터 충전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손실과 불균형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실시예(100A)에 대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A)의 저부면(113A)상의 각각의 I/O 패드들(130A, 132A)의 배치는 상기 필터(100A)가, 상기 저부면(113A)이 기판(300)의 상부면(302)상에 형성된 각각의 I/O 송신 라인들(303, 304)과 대응 접촉하는 I/O 패드들(130A, 132A)과 상기 기판(300)의 상부면(302)상에서 밀봉되는 관계로, 고객 기판(300)에 장착될 면이 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욱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은, 관통 구멍들(101A 내지 104A)이 상기 기판(300)의 상부면(302)과 일반적으로 수직 또는 연직 관계로 배향되는 관계로, 특히 상기 필터(100A)의 저부면에서 종결하는 공진기 구멍들의 단부들이 상기 기판(300)의 상부면(302)과 직접 면-대-면 접촉으로 배치되는 관계로, 필터가 상기 기판(300)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술된 바와 같은 필터의 측면보다는, 저부면상의 입력/출력 패드들의 사용을 합체시킨 본 발명은 (공진기 관통 구멍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상기 필터의 저부면이 상기 기판(300)의 상부 접지면(302)에 직접 접지되도록 하며, 이어서, 모든 필터 공진기 관통 구멍들은 반드시 상기 기판(300)의 접지에 직접 연결된다. 이와 같은 장점은 공진기들의 접지를 균형되고, 덜 저항적이고 감응적으로 하며,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대역과 제 3 고조파 사이의 주파수에서 필터의 반응에 대한 더욱 크고 개량된 감쇄를 제공한다.
다시,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형태의 공진기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200)가 되시되어 있다.
필터(200)는 필터(100)의 블록(110)과 관련하여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의 블록(210)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210)은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된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며,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블록(210)은 상부면(212), 저부면(213), 끝면 표면(214), 배면(215), 대향 끝면 표면(216), 및 정면(217)을 갖는다. 필터(100)와 같이, 필터(210)는 낮은 손실, 높은 절연 상수, 및 낮은 온도 계수를 갖는 예를 들면 세라믹 물질과 같은 어떠한 적합한 절연성 재료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110)상의 피복과 같이, 블록(210)상의 피복은 전기 전도성, 적합하게는 구리, 은 또는 그들의 합금으로 수행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그와 같은 피복은 적합하게도 상기 상부면(212), 저부면(213), 및 정면(217)의 부위들을 제외하는 상기 블록(210)의 모든 면들을 커버하며, 이와 같은 피복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블록(210)은, 공간적으로 이격되고, 평행하며, 각각 상부 및 저부 블록면들(212, 213)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블록(210)의 몸체를 통해 상기 상부면(212)으로부터 상기 저면(213)으로 연장하는, 5개의 관통 구멍들(201, 202, 203, 204, 205)을 포함한다. 상기 관통 구멍들(201 내지 205)의 내부벽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피복된다. 필터(100)의 관통 구멍들(101 내지 104) 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필터(200)의 관통 구멍들(201 내지 205) 각각은 반드시 필터(100)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소콜라 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431,977호에서와 같은 송신 라인 공진기이다.
관통 구멍들(201, 205)은 상기 관통 구멍(201)이 블록 측면(214)에 인접 위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205)이 대향하는 측면 블록면(216)에 인접 위치되는 관계로 일반적으로 정반대로 배향 및 위치된다.
상기 블록(210)의 상부면(212)은 블록(210)상의 피복과 유사한 전기 전도성 물질로 선택적으로 피복된다. 특히, 적어도 관통 구멍들(202, 203, 204)은 상술된 미국특허 제4,431,977호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공진기 관통 구멍들(202, 203, 204)을 용량적으로 결속하기 위해 각각의 상부 구멍들을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영역 또는 플레이트들(221, 222, 2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선택적 피복부는 상기 저부면(213)상에 한정 및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입력-출력(I/O) 접점/패드(230, 232)를 포함한다. I/O 접점/패드들(230, 232)은 서로에 대해 이격되고 일반적으로 평해한 관계로, 그리고 각각 정면과 저부 블록면(217, 213)을 중개하는 블록(210)의 저부 에지(247)에 대해 일반적으로 내부를 향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관계로 배향된다.
특히, I/O 패드/접점들(230, 232)은 각각 저부면(113)상에 한정되고 또한 각각 관통 구멍들(201, 205)에 의해 한정된 각각의 저부 관통 구멍들(255, 257)을 둘러싸는 제 1 단부 스트립(253)을 갖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연장 메사 또는 스트립(231)에 의해 한정되며; 몸체 스트립은 각각 저부면과 측면(213, 217)을 중개하 는 하부 블록 에지(247) 주위를 감싸며, 제 2 대향 단부 스트립(261)은 에지(247)에 인접한 측면(217)상에 한정된다.
연장 I/O 패드(230)는 저부면(213)상에 위치 및 배향되고, 또한, 각각 상기 측면(214)과 저부면(213)을 중개하는 하부 블록 에지(275)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는 관계로, 또한 관통 구멍(201)을 갖는 일반적으로 수직 동일 평면 및 동일 선형 관계로, 한 측면상의 측벽(214)과 상기 대향 측면상의 관통 구멍(202)의 저부 구멍으로부터 이격된다.
연장 I/O 패드(232)는 저부면(213)상에 위치 및 배향되고, 또한, 각각 상기 측면(216)과 저부면(213)을 중개하는 하부 블록 에지(277)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되는 관계로, 또한 관통 구멍(205)을 갖는 일반적으로 수직 동일 평면 및 동일 선형 관계로, 한 측면상의 측벽(216)과 상기 대향 측면상의 관통 구멍(204)의 저부 구멍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각각의 I/O 패드/접점들(230, 232)의 스트립들(231) 각각은 세라믹 절연성 재료의 영역들(240, 242), 즉 전도성 물질로 커버되지 않거나 또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영역에 의해 모든 면들상에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구멍 공진기들(201, 205), 특히 그의 저부 구멍들은 저부면(213)상의 각각의 I/O 접점/패드들(230, 232), 특히 I/O 접점 패드들(230, 232)의 각각의 스트립들(231) 사이의 각각의 전기 송신 라인을 한정시키기 위한 각각의 스트립들(231), 관통 구멍들(201, 205)의 내부를 커버하는 전도성 물질, 및 블록(210)의 상부면(212)상의 전도성 물질의 영역들에서 종결된 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I/O 패드/접점들(230, 232)을 상부면(213)상의 영역들(221 내지 223) 및 각각의 관통 구멍들(201 내지 205)과 결속시키는 각각의 송신 라인 관통 구멍들(201, 205)과 결합하는, 상기 저부면(213)상의 I/O 패드/접점들(230, 232)의 사용은, I/O 패드/접점들(230, 232)이 인쇄 회로 기판(300)상의 각각의 I/O 접점 라인들(303, 304)에 결속되고 또한 관통 구멍들(201 내지 205)이 상기 인쇄 회로 기판(300)의 상부면(302)과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향 및 연장되는 관계로, 고객 인쇄 회로 기판 또는 기판(300; 도 3)의 상부면(306)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필터를 한정한다.
필터 실시예(200)의 이와 같은 특징들은 상술된 필터/공진기 실시예(100)와 관련하여 설명된 경우와 동일한 장점을 산출 및 제공하며, 따라서 그의 설명은 참고로 여기서도 적용된다.
도 4 및 도 5는 모두 종래 기술의 필터에 대한 실제 측정된 저 대역 및 고 대역 성능 특징들을 나타내는 주파수 반응 그래프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입력/출력 패드들은 필터 블록(일반적으로 도면부호 500으로 나타낸 그래프 라인)과 본 발명에 따른 공진기/필터(일반적으로 도면부호 600으로 나타낸 점선 그래프 라인)의 측면들 중 하나상에 위치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필터의 성능을 필터 실시예(100)와 비교하였으며, 반면 도 5는 종래 기술의 필터의 성능을 필터 실시예(200)와 비교하였다. 양쪽 모두에 있어서, 그래프들은 상기 필터들의 각각의 통과 대역 밖의 본 발명의 필터들에 대한 개선된 감쇠를 나타낸다.
상술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특정 모듈과 관련된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거나 또는 추론되어서는 않된다.

Claims (18)

  1. 회로 기판 또는 기판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공진기 디바이스로서,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의 상부면 상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 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 저부면 및 측부면들로 규정된 상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상기 블록;
    공진기 디바이스를 회로 기판 또는 기판에 용량성 전기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출력 접점을 한정하는 상기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의 상기 저부면상에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 2 영역;
    상기 블록의 저부면들과 상부면들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에 의해 한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은 상기 공진기 디바이스가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될 때, 상기 회로 기판의 표면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한정 및 배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및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로 연장하여, 상기 제 1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도성 송신 라인;을 포함하는 공진기 디바이스로서,
    상기 송신 라인은 상기 블록의 측부면들 중 하나를 따라 상기 상부면상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저부면상의 상기 입력/출력 접점 사이로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스트립을 포함하는, 공진기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정면 표면을 규정하며, 상기 송신 라인은 상기 블록의 상기 정면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공진기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끝면 표면(end side surface)을 규정하며, 상기 송신 라인은 상기 끝면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공진기 디바이스.
  9.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dielectric monoblock filter)로서,
    적어도 상부 및 저부면과,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 및 저부면들과 수직 관계로 그들 사이를 연장하는 측면들을 갖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
    상기 블록의 상부면상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적어도 하나의 제 1 입력/출력 접점을 한정하는 상기 블록의 저부면상의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영역;
    상기 블록의 상부 및 저부면들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상기 블록의 상부 및 저부면들 사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 및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 사이에서 그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송신 라인(transmission line);을 포함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로서,
    상기 송신 라인은 상기 적어도 제 1 및 제 2 영역들 사이에서 상기 블록의 측면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스트립(strip)을 포함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정면 표면(front side surface)을 규정하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적어도 제 1 및 제 2 영역 사이에서 상기 정면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끝면 표면(end side surface)을 규정하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적어도 제 1 및 제 2 영역 사이의 상기 끝면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4.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로서,
    적어도 상부 및 저부면과,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 및 저부면들과 수직 관계로 그들 사이를 연장하는 측면들을 갖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부 및 저부면들과 일반적으로 수직 관계로 상기 블록을 통해 상기 상부 및 저부면들 사이로 연장하며, 또한 각각 상기 상부 및 저부면들에 위치한 각각의 구멍들에서 종결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들;
    상기 상부면에 한정된 상기 구멍들 중 선택된 것들을 둘러싸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각각의 입력/출력 접점들을 한정하는 상기 저부면상에 한정된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적어도 2번째 쌍의 제 2 영역들; 및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영역 및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두번째 쌍의 제 2 영역 사이에서 그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적어도 한쌍의 송신 라인들;을 포함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로서,
    상기 적어도 한쌍의 송신 라인들은 상기 측면들의 외부를 따라 상기 저부면상의 각각의 상기 입력/출력 접점들과 상기 상부면 사이로 연장하는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한쌍의 스트립들에 의해 규정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정면 표면을 규정하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한쌍의 스트립들은 이격 및 평행한 관계로 상기 정면 표면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한쌍의 대향하는 끝면 표면들을 규정하며,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 상기 한쌍의 스트립들은 각각 정반대로 대향하는 관계로 상기 대향하는 끝면 표면들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절연성 모노블록 필터.
  18. 삭제
KR1020097008492A 2006-10-27 2007-10-24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 KR101263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479806P 2006-10-27 2006-10-27
US60/854,798 200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052A KR20090080052A (ko) 2009-07-23
KR101263222B1 true KR101263222B1 (ko) 2013-05-10

Family

ID=3892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492A KR101263222B1 (ko) 2006-10-27 2007-10-24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19496B2 (ko)
EP (1) EP2084776A1 (ko)
JP (1) JP2010507984A (ko)
KR (1) KR101263222B1 (ko)
CN (1) CN201345400Y (ko)
WO (1) WO20080515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22B1 (ko) 2020-03-26 2021-05-25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모노블록 유전체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6570B2 (en) * 2007-12-07 2015-09-15 K & L Microwave, Inc. High Q surface mount technology cavity filter
WO2010073410A1 (en) * 2008-12-25 2010-07-01 Nec Corporation Filter based on a combined via structure
CN104466315B (zh) * 2014-12-08 2017-11-2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横电磁模介质滤波器、射频模块及基站
CN107690727B (zh) 2015-06-17 2020-03-17 Cts公司 多频带rf单块滤波器
WO2018057722A1 (en) * 2016-09-23 2018-03-29 Cts Corporation Ceramic rf filter with structure for blocking rf signal coupling
US10454149B2 (en) 2016-11-08 2019-10-22 LDS Innovations LLC Tuning and measurement fixtures for ceramic filters
GB2558376A (en) * 2016-11-09 2018-07-11 Isotek Microwave Ltd A ceramic dual mode microwave resonant filter and a multiplexer including such a filter
IT202000021256A1 (it) * 2020-09-08 2022-03-08 Commscope Italy Srl Filtri a radiofrequenza con scheda a circuito con teste risonatori multiple e teste risonatori con bracci multipli
US20230006323A1 (en) * 2019-12-04 2023-01-05 Commscope Italy S.R.L. Radio frequency filters having a circuit board with multiple resonator heads, and resonator heads having multiple arm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1977A (en) * 1982-02-16 1984-02-14 Motorola, Inc. Ceramic bandpass filter
JPS61191605U (ko) * 1985-05-23 1986-11-28
US5130682A (en) * 1991-04-15 1992-07-14 Motorola, Inc. Dielectric filter and mounting bracket assembly
FI88440C (fi) * 1991-06-25 1993-05-10 Lk Products Oy Keramiskt filter
US5162760A (en) * 1991-12-19 1992-11-10 Motorola, Inc. Dielectric block filter with isolated input/output contacts
JPH06164223A (ja) * 1992-11-26 1994-06-10 Tdk Corp フィルタ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タ
JP2885119B2 (ja) * 1994-06-16 1999-04-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及びアンテナ共用器
EP0688059B2 (en) * 1994-06-16 2013-07-0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Dielectric filter
US5602518A (en) * 1995-03-24 1997-02-11 Motorola, Inc. Ceramic filter with channeled features to control magnetic coupling
US5731746A (en) * 1995-06-30 1998-03-24 Motorola Inc. Multi-frequency ceramic block filter with resonators in different planes
US5745018A (en) * 1996-07-09 1998-04-28 Motorola Inc. Ceramic filter with a coplanar shield
JPH10150302A (ja) * 1996-11-19 1998-06-02 Murata Mfg Co Ltd 誘電体フィルタ
US5994978A (en) * 1998-02-17 1999-11-30 Cts Corporation Partially interdigitated combline ceramic filter
JP3399393B2 (ja) * 1998-04-17 2003-04-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それらの実装構造、並びに通信機装置
JP3534008B2 (ja) * 1998-10-29 2004-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フィルタ、誘電体デュプレクサ及び通信機装置
JP2003289007A (ja) * 1999-12-28 2003-10-10 Tdk Corp 電子部品
US6879222B2 (en) * 2002-02-14 2005-04-12 Cts Corporation Reduced length metallized ceramic duplexer
US6801106B2 (en) * 2002-03-29 2004-10-05 Ngk Spark Plug Co., Ltd. Dielectr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adjusting input/output coupling thereof
JP4103857B2 (ja) * 2004-06-29 2008-06-18 宇部興産株式会社 誘電体フィル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022B1 (ko) 2020-03-26 2021-05-25 모아컴코리아주식회사 모노블록 유전체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00402A1 (en) 2008-05-01
EP2084776A1 (en) 2009-08-05
WO2008051572A1 (en) 2008-05-02
US7619496B2 (en) 2009-11-17
JP2010507984A (ja) 2010-03-11
KR20090080052A (ko) 2009-07-23
CN201345400Y (zh)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222B1 (ko) 모노블록 고주파 공진기/필터
US10790245B2 (en) High-frequency ceramic board and high-frequency semiconductor element package
KR102276838B1 (ko) 직접 연결 및 대안적인 크로스-연결을 가진 유전체 도파관 필터
US4647878A (en) Coaxial shielded directional microwave coupler
US8174340B2 (en) Ceramic monoblock filter with inductive direct-coupling and quadruplet cross-coupling
KR100500006B1 (ko) 탄성 표면파 필터 장치
FI99216C (fi) Dielektrinen suodatin
EP0309942A2 (en) Multilayer ceramic package with high frequency connections
CA2029818C (en) Surface-mount filter
JPH0220158B2 (ko)
EP0809315A1 (en) Dielectric filter
EP0197653B1 (en) Microwave bandpass filter including dielectric resonators
US9030276B2 (en) RF monoblock filter with a dielectric core and with a second filter disposed in a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core
US20190229389A1 (en) Ceramic filter with differential conductivity
JP2000216603A (ja) ミリ波帯に好適なグランデッド・コプレナウェ―ブガイド
CA2733854C (en) Rf monoblock filter assembly with lid filter
RU2004107656A (ru) Направленный ответвитель для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монтажа
US8269579B2 (en) RF monoblock filter having an outwardly extending wall for mounting a lid filter thereon
EP1324419A2 (en) System for cross-coupling resonators
JP3152138B2 (ja) 弾性表面波装置
JP4105017B2 (ja) 導波管型誘電体フィルタ
WO2018038407A1 (ko) 유전체 필터
KR20210105427A (ko) 고주파 나선형 터미네이션
KR100656563B1 (ko) 쉴드 및 이것이 장착된 유전체필터
KR100286472B1 (ko) 어스단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