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810B1 -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 Google Patents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810B1
KR101262810B1 KR1020110132640A KR20110132640A KR101262810B1 KR 101262810 B1 KR101262810 B1 KR 101262810B1 KR 1020110132640 A KR1020110132640 A KR 1020110132640A KR 20110132640 A KR20110132640 A KR 20110132640A KR 101262810 B1 KR101262810 B1 KR 10126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source module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범영
Original Assignee
명범영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범영,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filed Critical 명범영
Priority to KR102011013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810B1/ko
Priority to PCT/KR2012/004356 priority patent/WO2012165907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85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29/89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이 LED 면조명기구는, 임의의 모양을 가지며 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 측면인 도광판과, 회로기판에 장착된 복수 개의 LED가 도광판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따라 밀착 배치된 광원모듈과, 광원모듈 및 도광판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이 샌드위치 되도록 그 위와 아래를 감싸면서 광원모듈이 은폐되도록 측면을 폐쇄하여 광원모듈과 도광판 간의 밀착결합 상태를 유지해주며, 적어도 일부가 광원모듈에 접촉되면서 바깥 공기에도 노출된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져 광원모듈의 열이 열전도에 의해 바깥 공기로 신속히 발산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설치판과, 이 설치판에 임의의 레이아웃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와, 설치판에 복수 개의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세트도 제공된다.

Description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Light guiding panel based thin and light flat-surface type 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면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와 도광판을 사용하여 박형이면서 무게가 매우 가벼운 면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발광면이 평편한 표면인 면조명기구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도광판을 발광면으로 사용하는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도 그 면조명기구들 중 한 가지 예이다.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는 원래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로부터 유래되었다. 그 도광판 백라이트 장치는 초기에는 컴퓨터나 TV의 LCD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응용분야가 점점 확대되어 옥내, 외 광고패널의 백라이트는 물론, 최근에는 면조명기구로도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광원으로 사용된 것이 초기에는 냉음극형 형광등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LED가 많이 사용된다. 이는 LED의 낮은 소비전력, 긴 수명, 온/오프 제어의 용이성, 그리고 친환경성 등과 같은 특성 때문이다.
LED의 이러한 특장점들 때문에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는 기존의 실내 조명기구를 대체할 수 있다. 특히 실내 조명기구가 주로 사용되는 형태는 실내 공간의 천장에 부설하는 천장 부착형이다. 천장 부착형 면조명기구로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여 몇 가지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높은 광효율성의 제공은 조명기구라면 본질적으로 가져야 할 특성이다. 그 밖에도, 조명기구의 장식성이다. 조명기구 모양의 다양화를 통해 그것이 설치된 실내 환경의 분위기를 보다 고급스럽고 아름답게 꾸밀 수 있는 장식미를 가지면 좋다. 또한, 조명기구의 설치 및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조명기구 설치 공사의 간편성과 공사단가의 저렴성 등과 같은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그런데 기존에 알려진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는 광고패널용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채용한 구성이었다. 광고패널용 도광판 백라이트 모듈의 구조적 특징은 도광판 위에 광고 필름을 세팅하여 잡아주고, 필요 시 그 광고 필름을 다른 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프레임을 개폐가능한 구조라는 점이다. 즉, 측면에 광원모듈이 배치된 도광판의 테두리부분을 감싸면서 잡아주는 사진틀 형태의 사각형 프레임 베이스와 그 사각형 프레임 베이스 위에 개폐형으로 결합되어 도광판 위에 얹히는 광고 필름을 눌러주는 덮개를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로 프레임 베이스와 덮개는 알루미늄 사출로 만들어진 직선형 바를 적절한 길이의 다수 개의 바로 잘라서 그것들을 연결하여 만든다. 예컨대 한국 등록특허 제10-0950957호(엘이디 조명등 및 그 제조방법)나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86173호(일체의 모듈구조로 된 광원장치와 이와 도광판을 이용한 면발광 장치) 등이 대표적인 종래기술의 예이다. 프레임이 프레임 베이스 위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갖추어야 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므로 프레임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투박해지며 두께나 무게도 늘어나게 된다. 또한, 도광판이나 프레임의 형상도 사각형으로만 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들은 이런 제약으로 인해 조명기구가 발광수단으로서의 기본기능 외에 장식수단으로서의 기능 또한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점을 면조명기구의 디자인에 적극 반영하지 못한다.
이렇게 프레임을 다각형으로만 만들게 된 이유는 프레임 베이스 위에 개폐형 덮개를 결합한 구조로 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이다. 프페임 베이스가 직선형이 아닌 곡선형이면 그 위에 개폐형 덮개를 결합할 수 없다. 보다 정확하게는 덮개는 결합할 수 있으되, 그 덮개가 개폐형은 될 수 없다. 그렇기에 덮개 구비형 프레임은 그 다각형으로만 만들 수 있을 뿐이고, 예컨대 원형, 타원형, 원호띠형 등과 같이 프레임의 테두리가 직선이 아닌 곡선형으로는 만들 수가 없다. 이 점 때문에 면조명기구를 다양하고 미려한 모양으로 설계하는 것에 큰 지장이 있다. 프레임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
한편, 면조명기구의 주된 설치 위치 중의 하나는 천장이다. 천장에 면조명기구를 설치할 때, 면조명기구를 천장마감재(대표적으로 석고보드가 마감재로 사용됨)를 따내어 그 따낸 부분에 박아 넣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기존에 알려진 설치방법이다. 이런 설치방법은 천장에 고정된 채 면조명기구를 붙잡아 매달아주는 별도의 보강재 설치(엠바(M-bar)나 티바(T-bar)와 같은 천정마감재 지지부재를 설치한 다음 그 지지부재에 조명기구를 고정시키는 채널을 설치함)가 필요하고, 천장마감재 따내기 작업도 필요로 하여 설치공사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축폐자재도 많이 발생한다. 면조명기구를 따내지 않은 천장마감재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 그 천장마감재가 그 면조명기구를 붙잡아 매달고 있는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면, 위와 같은 문제들이 한꺼번에 해결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LED를 사용하므로 구동전원은 직류 저전압이어서 전선의 배선작업도 훨씬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면조명기구를 천장마감재 표면에 직접 부착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면, 면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실내 공간의 용도, 레이아웃 등의 변화에 맞춰 면조명기구의 레이아웃을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과잉 조명 또는 부족 조명을 최소화 하여 조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천장마감재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가벼운 구조의 LED 면조명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면조명기구들은 이런 요구를 받아낼 수 없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면조명기구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광판과 LED 모듈을 붙잡아 지지해주는 수단을 개폐형 덮개 없이 도광판 모양에 맞춤식을 만들어 접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면조명기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원하는 바대로 자유롭고 다양하게(비다각형으로도) 만들 수 있는 구조로 된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면조명기구에 비해 두께가 현저하게 얇고 무게 또한 가벼워 별도의 다른 지지수단의 힘을 빌리지 않고 천장마감재 표면에 직접 부착하여 설치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된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모양의 LED 면조명기구들을 설치판재 위에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미리 설치하여 장식미와 조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면조명기구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투명 아크릴판으로 만들고, 임의의 모양을 가지며, 하면에는 광산란요소들이 형성되고, 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 측면인 도광판; LED 구동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그 위에 장착되어 상기 LED 구동회로에 연결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LED가 상기 도광판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을 따라 밀착 배치된 광원모듈; 및 적어도 상기 광원모듈 및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이 샌드위치 되도록 그 위와 아래를 감싸고 상기 광원모듈이 은폐되도록 측면을 폐쇄하여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도광판 간의 밀착결합 상태를 유지해주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원모듈에 접촉되면서 바깥 공기에도 노출된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져 상기 광원모듈의 열이 열전도에 의해 바깥 공기로 신속히 발산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모듈이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의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에 밀착 배치되어 그 뒤를 받쳐주는 측면지지부와,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 상기 광원모듈,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자신들 사이에 샌드위치 되게 위와 아래에서 덮어주면서 적어도 상기 측면지지부와 접합되는 상면커버부 및 하면커버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가 상기 도광판을 덮는 범위는 상기 도광판의 i) 상면은 가장자리 부분만, 하면은 전체, ii) 상면과 하면 모두 가장자리 부분만, iii) 상면과 하면 모두 전체인 것 중 어느 한 가지이다. 상기 상면커버부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부분만을 덮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전면의 나머지 부분을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및 상기 측면지지부는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져 상기 광원모듈의 열을 전도(conduction)에 의해 바깥 공기로 발생되도록 하는 히트 싱크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는 판형이며, 상기 LED 면조명기구의 전체 두께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의 2배 이하로 얇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는 플라스틱 수지판재와 알루미늄판재로 각각 만든 것이며, 상기 측면지지부는 적어도 상기 광원모듈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동 또는 벌어진 틈이 형성된 알루미늄 바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 전체를 휘감도록 설치되며 양끝은 상기 공동 또는 상기 틈에 연결핀을 박아 연결된다.
상기 LED 면조명기구는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빈 공간에 충전된 열전도성 그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면지지부의 뒤쪽에 위치하면서 그 일부가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의 두 연장부 사이에 샌드위치된 채 나머지 일부가 바깥으로 돌출된 측면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장식부재는 상기 상면커버부 및 상기 하면커버부 각각과 접착제와 양면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접합된다.
상기 프레임 중 상기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부분은 예컨대 몰딜에 의해 한 몸체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상면커버부는 투명 플라스틱수지 판재로 만들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면커버부의 내면에 접합되어 상기 광원모듈과 이에 접해있는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시켜주는 은폐필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원모듈과 관련하여,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복수 개의 LED가 상기 도광판의 상기 곡선형 측면에 밀착 배치될 수 있는 가요성 회로기판 또는 필름형 회로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LED의 구동에 필요한 외부의 구동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의 말단은 끼움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단자로 마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광판과 관련해서, 상기 도광판의 모양은 원형, 부채꼴형, 타원형 또는 유사 타원형, 원호띠형, 절반의 태극모양 중 어느 한 가지일 수 있다. 상기 LED 면조명기구의 모양은 상기 도광판의 모양과 닮은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도광판의 바닥면에 부착된 광반사시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산란요소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정도로 작은 크기의 무수히 많은 미세 음각들로 구성되며, 상기 미세 음각들은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 면조명기구는,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부분의 양면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상기 프레임이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좀 더 단단히 붙잡게 해주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판; 상기 설치판에 임의의 레이아웃으로 고정된 복수 개의 상기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및 상기 설치판에 상기 복수 개의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발광체로 기능하는 도광판을 원하는 임의의 모양대로 절단하여 만들 수 있으므로 면조명기구의 모양을 원하는 모양대로 디자인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곡선미를 살릴 수 있는 모양으로 디자인된 유려한 모양의 도광판 LED 면조명기구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조명기구는 개폐형 덮개를 채용하지 않고 프레임을 도광판에 접합된 형태로 만들어 아주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는 석고보드와 같은 천장마감재에도 다른 별도의 지지수단의 도움 없이 그 천장마감재를 따내지 않고 직접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천장마감재 공사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면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면조명기구들을 조합하여 장식미를 느낄 수 있는 배치를 할 수 있다. 게다가, 기 설치된 것을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설치하는 것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일한 실내 공간이라도 영역별로 요구되는 조도 수준이 다른 경우에 그에 맞게 면조명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LED는 직류 저전압으로 구동되므로, 전선 또한 얇은 직류용 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천장마감재에 단순히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작업이 쉽고 간단하며 설치에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치 않다. 또한, 설치에 따른 별도의 다른 부재들을 필요로 하지 않다. 설치비용이 아주 저렴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기구 세트는 설치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여준다. 원하는 모양의 레이아웃대로 다수의 면조명기구들을 천장마감재에 일일이 설치하는 작업에 비해, 바닥에 놓인 설치판재 위에 그 면조명기구들을 원하는 레이아웃대로 설치하는 작업이 훨씬 더 효율적이고 그 레이아웃의 모양대로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의 여러 가지 모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LED 면조명기구들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LED 면조명기구들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1의 LED 면조명기구들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의 LED 면조명기구들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도 1의 LED 면조명기구들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호띠형 LED 면조명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모양의 LED 면조명기구를 조합하여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면조명기구 레이아웃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LED 면조명기구를 설치판재에 미리 특정 레이아웃으로 설치한 면조명기구 세트를 천장 석고보드에 장착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면조명기구는 도광판(110)과 이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밀착된 광원모듈(120), 그리고 도광판(110)의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과 광원모듈(120)을 감싸면서 붙잡아서 도광판(110)의 측면에 대한 광원모듈(120)의 이러한 밀착 배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주면서 면조명기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유지해주는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프레임(130)의 일부 또는 전체를 열전도성이 좋으면서 가벼운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열전도성 물질은 일부가 바깥 공기에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광원모듈(120)에 직접 접촉되어 광원모듈(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바깥 공기로 발산하는 히트싱크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 면조명기구는 모양에 어떤 제한을 갖지 않는 임의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LED 면조명기구(100)는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원호띠형(100a), 원형(100b), 타원형 또는 눌린 타원형(100c), 부채꼴형(100d)과 같이 모서리(측면)의 일부 구간이 전부 곡선형이거나 적어도 일부 구간이 곡선형인 것은 물론, 종래의 면조명기구처럼 정사각형(100e)이나 직사각형(100g)과 같은 다각형 모양, 그 밖에 별 모양, 도넛 모양 등으로도 만들 수 있다.
도광판(110)은 투명한 고순도 아크릴수지(PMMA: Poly Methylmethacrylate) 판재를 이용하여 만든다. 아크릴수지 판재를 원판으로 하여 만들고자 하는 모양의 면조명기구에 맞게(위에 언급한 모양을 비롯하여 원하는 임의이 모양으로) 절단하여 도광판(110)을 만든다. 아크릴수지 판재를 칼날이나 톱으로 곡선형으로 절단하는 것은 쉽지 않고 생산성도 좋지 않다. 절단의 정교성과 생산성이 좋은 레이저 절단법이나 컴퓨터 수치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가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물론 다른 절단법도 가능하다. 그 도광판의 하면에는 도광판 내부로 입사된 광을 산란시켜 상면으로 출광되도록 반사하는 광산란요소들(비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기존에 알려진 광산란요소들 예컨대 실크스크린 방법으로 인쇄된 도트 잉크, V-컷 홈, 음각 홈 등을 본 발명의 광산란요소로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한 것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는 정도로 작은 크기의 무수히 많은 미세 음각들이다. 도광판(110) 전체 표면의 휘도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미세 음각들은 도광판(110)의 광원모듈(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트 잉크나 V-컷 홈 또는 대형 홈으로 된 광산란요소는 그 부분의 밝기를 희석하기 위해 광확산시트를 필요로 하나, 미세 홈의 경우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서 그럴 필요가 없고 따라서 광확산시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면조명기구(100)는 양방향 발광형 또는 단방향 발광형으로 만들 수 있다. 단방향 발광형 면조명기구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광산란요소들이 형성된 도광판(110)의 저면에 광반사시트(112)를 부착한다(도 2, 3, 5, 6 참조). 그러면 도광판의 측면으로 입사한 광은 상면으로만 출광된다. 하지만 광반사시트(112)를 부착하지 않고 도광판(110)의 양면에 출광에 지장을 주는 어떤 장애물도 배치하지 않으면 그 도광판(110)의 양방향으로 발광하게 된다(도 4 참조).
도광판에 대한 광 입사 방식은 광원을 도광판 아래에 배치하는 직하방식과 측면에 배치하는 엣지방식 어느 것이나 채용할 수 있으나, 면조명기구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엣지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은 엣지방식을 예로 한 것이다.
광원모듈(120)은 요구되는 휘도 수준에 따라 도광판(110)의 측면의 전구간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일부 구간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의 (b)와 (c) 는 도광판의 측면 전구간에 광원모듈(120)이 배치된 경우이고, 도 1의 (a), (d) 내지 (g)는 도광판의 측면 일부 구간에만 광원모듈(120)이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광판의 측면 일부 구간에만 배치된 경우, 광원모듈(120)이 배치되지 않은 나머지 측면 구간에는 광이 바깥으로 새나가지 않도록 하는 광반사테이프(비도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광판(110) 내부로 유입된 광은 대부분 전방으로 출광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여러 가지 모양의 면조명기구들(100a, 100b, 100c, 100d, 100e, 100f, 100g: 이들을 대표하여 식별번호'100'을 부여함)에 있어서 광원모듈(120)이 배치된 측면 구간에 대한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 구조의 여러 가지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첫 번째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도광판(110)과 이의 측면에 밀착 배치된 광원모듈(120)이 프레임(130)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광원모듈(120)은 LED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회로(비도시)가 실장된 회로기판(122)과 그 위에 일렬로 장착되고 구동회로와 연결된 복수 개의 LED(124)를 포함한다. 또한, 회로기판(122)에 연결되어 외부의 구동전원(비도시)으로부터 LED 구동에 필요한 외부의 구동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도 7의 148 참조)도 포함한다. 이 전선(148)의 말단은 끼움결합으로 상기 외부의 구동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단자(149)로 마감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조명기구(100)를 아주 얇고 아주 가볍게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122)의 폭은 도광판(11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큰 정도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기판(122)의 길이는 광 입사구간 만큼 길게 연장된다. 이 광원모듈(120)은 LED(124)가 원호띠 모양의 도광판(110)의 바깥 원호형 측면 구간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광원모듈(120)이 배치되는 도광판(110)의 측면은 곡선형일 수 있는데, 그 경우에도 그 복수 개의 LED(124) 각각은 그 곡선형 측면에 밀착될 필요가 있으므로, 회로기판(122)은 휘임성이 좋은 가요성 회로기판(예컨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필름형 회로기판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30)은 도광판(110)과 닮은꼴로 만든 상부커버부(132)와 하부커버부(134)를 포함한다. 상부커버부(132)와 하부커버부(134)는 광원모듈(120) 및 이와 밀착된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샌드위치 되도록 위와 아래에서 감싸준다. 면조명기구(100)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상부커버부(132)와 하부커버부(134)는 얇은 판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모듈(120)은 구동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을 신속하게 공기 중으로 방열시키지 않으면 LED(124)들의 동작특성이 나빠지고 열화되어 수명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프레임(130)은 면조명기기(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기본적인 역할 외에, 광원모듈(12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외기로 신속하게 방출하는 히트싱크 역할도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프레임(130)은 또한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만든 측면지지부(136)를 더 포함한다. 이 측면지지부(136)는 광원모듈(120)의 회로기판(122)의 배면에 밀착되어 그것을 받쳐주면서 상면커버부(132) 및 하면커버부(134)와도 접합된다. 이에 의해, 측면지지부(136)는 광원모듈(120)에서 발생한 열을 빼앗아 직접 바깥 공기로 발산하거나 또는 상부커버부(132)와 하부커버부(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열전도 방식으로 전달하여 그를 통해 바깥 공기로 발산되도록 한다. 측면지지부(136)는 회로기판(122)의 배면에 밀착되기 위해서는 도광판(110)의 다양한 곡선형 측면과 같은 모양으로 휘어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휘임성과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이를 주 원료로 하는 합금, 구리나 이를 주 원료로 하는 합금 등의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지지부(136)는 광원모듈(120)이 도광판(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뒤로 밀려나지 않도록 버텨주어야 하므로 상면커버부(132) 및 하면커버부(134)와 단단히 접합될 필요가 있다. 양면테이프(135)나 접착체 등을 이용하여 접합한다. 그 접합면에서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전도성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면 더 좋다.
측면지지부(136)는 적어도 광원모듈(120)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동(137)이 형성된 휘임성과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든 막대(bar)를 벤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 금속 막대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동(137)을 형성한 이유는, 직선형 금속 막대를 곡선형 측면 구간의 곡률에 맞게 벤딩하여 측면지지부(136)로 만드는 경우, 공동(137)이 없으면 금속 막대의 표면이 바깥쪽으로 밀려올라와서 표면의 평탄도가 나빠지기 때문이다. 평탄도가 나쁜 표면은 측면지지부(136)의 하면커버부(134)로의 열전달효율을 나쁘게 하여 광원모듈(120)의 과열을 초래할 수 있다. 측면지지부(136)는 광원모듈(120)이 배치된 측면구간 뿐만 아니라 도광판(110)의 측면 전구간을 휘감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 측면지지부(136)의 금속바의 양끝은 상기 공동(137) 또는 상기 틈에 연결핀을 박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면커버부(132)와 하면커버부(1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원모듈(120)에서 발생한 열을 바깥 공기로 신속히 발산시켜주는 히트싱크로서 작용하도록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성이 좋은 재료로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구리 또는 구리 합금 등을 들 수 있으며, 가격이나 가벼운 무게 등에서 장점이 있는 알루미늄이 가장 적합한 재료이다. 도 2의 경우, 상면커버부(132)와 하면커버부(134)는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재와 알루미늄판재를 각각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서, 모양은 도광판(110)과 닮은꼴이고 크기는 도광판(110) 전체를 덮고도 바깥으로 약간 더 돌출되는 정도의 크기이다. 하면커버부(134)가 충분한 크기이므로 두께를 충분히 얇게 하여도 충분한 열발산율을 가지면서 기구적으로도 면조명기구의 전체적인 형태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다.
상면커버부(132)가 투명하므로 그 아래에 있는 광원모듈(120)과 측면지지부(136) 등이 바깥에서 보이지 않게 가려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측면지지부(136), 광원모듈 그리고 이에 접해있는 도광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시켜주는 은폐필름(142)을 상면커버부(132)의 내면에 접합한다.
회로기판(122)의 폭이 도광판(110)의 두께에 비해 더 큰 경우에는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의 양면과 상면커버부(132) 및 하면커버부(134) 사이에 제1 및 제2 스페이서(139a, 139b)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스페이서(139a, 139b)는 그들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프레임(130)이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좀 더 단단히 붙잡을 수 있게 해준다. 즉, 제1 및 제2 스페이서 부재(137a, 137b)의 두께의 합은 도광판(110)과 광원모듈(120) 간의 높이 차이와 같거나 도광판(110)을 약간의 압력을 가하면서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차이보다 아주 약간 더 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이 크면 면조명기구(100)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는 데 불리하다. 제1 및 제2 스페이서(139a, 139b)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부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페이서(139b)를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고 그의 한쪽 끝 부분을 LED(124)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스페이서(139b)는 열을 가장 많이 발생시키는 LED(124)로부터 직접 열을 빼앗아 하면커버부(134)로 전달하므로 열발산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면조명기구(100)의 다른 단면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비해 면조명기기의 측면에 장식성을 부가하기 위한 측면장식부재(138)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한다. 이 측면장식부재(138)는 광원모듈(120)의 배면에 배치된 측면지지부(136)의 배면에 배치되면서 그 일부가 상면커버부(132)와 하면커버부(134)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그들과 접합되고(양면테이프(135) 또는 접착제로) 나머지 일부는 바깥으로 노출된다. 그 노출된 부분의 색상이나 모양, 질감 등에 의해 면조명기기가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 있을 것이다. 측면지지부(136a)는 내부에 공동 대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가운데 부분에 안쪽으로 틈(137a)이 마련된 U자형으로 만들어도 공동(137)이 마련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원모듈(120)에서 측면지지부(136) 및 하면커버부(134), 상면커버부(132)까지의 열전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광원모듈(120)과 프레임(130) 간의 빈틈, 특히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부재와 광원모듈(110) 간의 빈틈에는 열전도성 그리스(144)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3의 경우, LED(124)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므로 열전도성 그리스(144)를 LED(124)의 측면을 감싸도록 충전하여 히트싱크 역할을 하는 하면커버부(134)에 직접 전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면조명기구(100)의 또 다른 단면구조를 설명한다. 도 4의 면조명기구 단면구조는 도 3의 그것과 비교할 때 양방향 발광형이라는 점과 상면커버부(132a)와 하면커버부(134a) 모두 히트싱크 역할을 하도록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든 것이라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들의 표면은 열발산 표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한 표면구조(예컨대 주름잡힌 표면,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표면, 요철면 등)로 되어 있다. 상면커버부(132a)가 불투명인 금속으로 만들므로 은폐필름(142)은 필요 없는 대신,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까지만 덮고 그 안쪽은 노출되도록 해야 한다. 이 경우 도광판(110)의 앞면에 투명한 보호필름(140)을 덮어 상면커버부(132a)가 덮지 않는 도광판의 나머지 표면을 덮어서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보호필름(140)은 광투광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되, 어떤 색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하면커버부(132a) 역시 도광판(110)의 배면 전부를 덮지 않고 가장자리 부분만을 덮는다. 상면과 마찬가지로 보호필름(140)을 부가할 수도 있다. 도 4의 면조명기구의 측면의 마감은 도시된 것처럼 도 3과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도 2와 같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의 면조명기구를 단방향 발광형으로 만들려면 도광판(110)의 하면에 보호필름(140) 대신 광반사시트(112)를 부가하면 될 것이다.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드는 측면지지부(136)와 하면커버부(134)는 위의 설명처럼 별개의 부재로 만들어 면조명기구(100) 조립 시 접합할 수도 있지만, 몰딩으로 일체화된 단일 부재로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이러한 예의 단면 구성을 보여준다. 도 5에서, 상측면커버부(133)는 도 2의 상면커버부(132)와 측면지지부(136)를 하나의 몸체로 합친 것과 같은 형태로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상측면커버부(133)는 광원모듈(120)을 도광판(110)의 측면과 밀착되게 뒷받침해주면서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감싸면서 하면커버부(134)와 접합된다. 접합은 접착체 또는 양면테이프(135)로 하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커버부(133)와 하면커버부(134)를 관통하는 구멍을 마련하고 볼트-너트(146)로 조여주는 방법으로도 접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면커버부(133)는 광원모듈(120)과 직접 접촉하므로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커버부(134)는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수지 판재 또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만든다.
도 6은 면조명기구(100)의 또 다른 단면구조의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이런 단면구조를 갖는 원호띠형 면조명기구(100a)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광판(110)은 원호의 사잇각이 대략 90도 안팎인 모양이고, 하면커버부(134)는 도광판(110)과 닮은꼴이되 좀 더 큰 사이즈이고, 상면커버부(132)는 하면커버부(134)와 같은 모양과 크기이되 도광판(110)의 가장자리 부분과 광원모듈(120)만 덮고 빛이 나오는 도광판(110)의 상면의 안쪽 부분은 도려낸 모양이다. 도광판(110)의 그 상면 안쪽 부분은 보호필름(140)으로 덮는다. 상면커버부(132) 및 하면커버부(134)는 둘 다 또는 어느 하나는 히트싱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판재로 만든다. 광원모듈(120)은 도광판(110)의 예컨대 바깥쪽 원호 및/또는 안쪽 원호의 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측면지지부(136)가 상면커버부(132)와 닮은꼴로 재단되어 도광판(110)과 광원모듈(110)의 측면을 감싸면서 상면커버부(132)와 하면커버부(134) 사이에 샌드위치 된다. 광원모듈(120)의 회로기판(122)는 구동전원 공급용 전선(148)에 연결되며, 전기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면조명기구(110)를 전원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선(148)의 말단에는 커넥터(149)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면조명기구(100)는 천장이나 벽에 고정하거나 기둥에 매다는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기기(100)들은 얇고 가볍기 때문에 다른 지지부재의 도움을 빌지 않고 석고보드와 같은 천장마감재를 따낼 필요 없이 그 천장마감재에 직접 부착해서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면조명기구(110a)의 적당한 몇 군데에 나사못 삽입공(152)을 마련하거나 또는 하면커버부(134)의 가장자리 여러 군데에 나사못 삽입공이 마련된 고정돌기(비도시)를 마련하여 거기에 나사못(150)을 삽입하여 벽체나 천장마감재(비도시)에 고정할 수 있다. 천장마감재에만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천장마감재 설치공사를 다 마친 후에 면조명기구(10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조명기구들은 천장에 설치 시에 항상 다른 지지부재에 매달아서 설치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조명기구를 설치할 위치를 미리 정하여 거기까지 전선 작업을 해둔 다음 천장마감재 공사를 하고 나서 설치할 조명기구의 크기만큼 따내기 공사를 하고, 그 따낸 부위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공사를 하였다. 그러다보니 조명기구의 설치에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고 설치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일단 한 번 설치된 조명기구들를 다른 위치로 이동하려면 천장마감재를 최소한 부분적으로 뜯어내고 전선작업도 다시 해야 하는 등의 불편과 불리함 때문에, 위치 이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기구(100)는 천장마감재에 고정하여 커넥터(149) 연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되므로 설치가 매우 간단하고 쉬워 비전문가라도 할 수 있다. 설치비용도 작게 든다. 설치 후 사정변경이 생기면 설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것도 손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조명기구(100)들은 예컨대 도 1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고 그들을 설치함에 있어서 복수 개의 면조명기구(100)를 적절히 조합하여 다양한 패턴의 레이아웃을 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복수 개의 면조명기구(100)들을 여러 가지 형태의 레이아웃으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는 레이아웃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특히 기존의 다각형 면조명기구로는 연출할 수 없는 물결 모양, 바람개비 모양, 파문 모양 등도 구성할 수 있다.
각 레이아웃대로 설치함에 있어서, 각 면조명기구(100)를 한 개 씩 별도로 천장마감재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원하는 면조명기구(100)들을 선택하여 설치판재(200)에 원하는 레이아웃대로 먼저 설치하여 미리 면조명기구 세트를 구성한 다음, 그 설치판재(200)를 천장마감재(300)에 고정하여 면조명기구 세트를 한꺼번에 천장마감재(3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후자의 방식으로 설치하면, 면조명기구(100)를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설치판재(200)를 이용하여 면조명기구 세트 전체에 장식미를 부가할 수도 있는 장점도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상의 설명에 기초하여 면조명기구에 관한 여러 가지 다양한 설계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100f: 면조명기구 110: 도광판
112: 반사시트 120: 광원모듈
122: 회로기판 124: LED
130: 프레임 132: 상면커버부
133: 상측면커버부 134: 하면커버부
135: 양면테이프 136: 측면지지부
137: 공동 138: 측면장식부재
139a, 139b: 제1 및 제2 스페이서 140: 보호필름
142: 은폐필름 144: 열전도성 그리스
148: 전선 149: 커넥터
200: 설치판재 300: 천장마감재

Claims (22)

  1. 투명 아크릴판으로 만들어지고, 임의의 모양을 가지며, 하면에는 광산란요소들이 형성되고,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이 곡선형 측면인 도광판;
    LED 구동전원 배선회로가 형성된 띠형의 가요성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상기 LED 구동회로에 연결된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LED가 상기 도광판의 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을 따라 밀착 배치된 광원모듈; 및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동 또는 벌어진 틈이 형성된 열전도성 금속 바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적어도 상기 광원모듈의 상기 회로기판의 배면을 따라서 밀착 배치되어 상기 배면을 받쳐주어 상기 광원모듈이 자신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의 사이에 샌드위치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광원모듈의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측면지지부; 및 상기 도광판의 상면의 경계선에서 안쪽으로 소정 부분(이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이라 함)과 상기 도광판의 하면의 경계선에서 안쪽으로 소정부분(이하, '하면 가장자리 부분'이라 함), 상기 광원모듈,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합되어 자신들의 사이에 샌드위치 되도록 하는 각각 판형 부재로 된 상면커버부 및 하면커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광원모듈을 자신의 내부에 은폐시키면서 상기 도광판과의 밀착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주며,
    상기 상면 및 하면 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져, 상기 광원모듈에서 발생하는 열을 직접적으로 또는 상기 측면지지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받아 바깥 공기로 발산하는 히트싱크의 역할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가 상기 도광판을 덮는 범위는 i)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도광판의 하면 전체, ii)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과 하면 가장자리 부분, iii) 상기 도광판의 상면 전체와 하면 전체인 것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부가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만을 덮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서 보호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면조명기구의 전체 두께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의 2배 이하로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는 플라스틱 수지판재와 알루미늄판재로 각각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 전체를 휘감도록 설치되며 양끝은 상기 공동 또는 상기 틈에 연결핀을 박아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프레임 간의 빈 공간에 충전된 열전도성 그리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측면지지부의 뒤쪽에 위치하고, 상기 상면커버부와 상기 하면커버부의 두 연장부 사이에 샌드위치된 채 일부분이 바깥으로 돌출된 측면장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부와 상기 측면장식부재는 상기 상면커버부 및 상기 하면커버부 각각과 접착제와 양면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이용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커버부는 투명 플라스틱수지 판재로 만들어진 것이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상면커버부의 내면에 접합되어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광원모듈에 접해있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을 전방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시켜주는 은폐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 개의 LED의 구동에 필요한 외부의 구동전원을 상기 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의 말단은 끼움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단자로 마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모양은 원형, 부채꼴형, 타원형 또는 유사 타원형, 원호띠형, 절반의 태극모양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면조명기구의 모양은 상기 도광판의 모양과 닮은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부착된 광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요소는 다수의 미세 음각들로 구성되며, 상기 미세 음각들은 상기 광원모듈로부터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프레임 사이 그리고 상기 도광판의 하면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각각 샌드위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22. 설치판;
    상기 설치판에 원하는 레이아웃으로 고정된 제1항, 제3항, 제4항, 제6-11항, 제13항, 제16-2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수 개의 상기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및
    상기 설치판에 상기 복수 개의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 기반 LED 면조명기구 세트.

KR1020110132640A 2011-06-02 2011-12-12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KR101262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40A KR101262810B1 (ko) 2011-12-12 2011-12-12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PCT/KR2012/004356 WO2012165907A2 (ko) 2011-06-02 2012-06-01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 시스템과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40A KR101262810B1 (ko) 2011-12-12 2011-12-12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810B1 true KR101262810B1 (ko) 2013-05-09

Family

ID=4866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40A KR101262810B1 (ko) 2011-06-02 2011-12-12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8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737B1 (ko) * 2013-09-24 2014-08-01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도광판 기반 면발광장치
KR101733412B1 (ko) * 2015-06-10 2017-05-08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폴딩 면광원 라이트 장치
CN110939876A (zh) * 2018-09-21 2020-03-31 东莞市铭皓照明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面板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36B1 (ko) * 2009-03-06 2010-06-03 (주)렌즈 엘이디 시스템 조명등 및 이에 사용되는 유니트 조명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36B1 (ko) * 2009-03-06 2010-06-03 (주)렌즈 엘이디 시스템 조명등 및 이에 사용되는 유니트 조명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737B1 (ko) * 2013-09-24 2014-08-01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도광판 기반 면발광장치
WO2015046847A1 (ko) * 2013-09-24 2015-04-02 주식회사 에이치지엠 도광판 기반 면발광장치
KR101733412B1 (ko) * 2015-06-10 2017-05-08 주식회사코노바코리아 폴딩 면광원 라이트 장치
CN110939876A (zh) * 2018-09-21 2020-03-31 东莞市铭皓照明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面板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1358C (en) Edge-lit luminaire
JP6345749B2 (ja) 照明装置
CN104456189B (zh) 照明装置
US20140036503A1 (en) Drop ceiling lighting techniques
CA2787142A1 (en) Luminaire having floating luminous light source
US960583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n LED lighting module with a light transmissive cover
US20140098564A1 (en) Led-based light fixture
KR101262810B1 (ko) 박형 경량의 도광판 기반 엘이디 면조명기구
JP2011014316A (ja) 照明装置
US20160363836A1 (en) Glass composite with functional element
KR20110113063A (ko) 전방 및 후방 측면에서 발광되는 면발광 광고장치
JP2008256920A (ja) 看板用照明切文字
JP6764974B1 (ja) 内照式照明装置及びその照明装置の透光性表面材取り付け用構成体
KR101731586B1 (ko) 엣지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0578294B1 (ko) 평활성 빛을 제공할수 있는 조명기구
KR100557741B1 (ko) 방수 및 3차원 조형이 용이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1236909B1 (ko) 복수 개의 도광판 패널 셀들을 이어붙여 대형으로 구성한 도광판 기반 백라이트 장치
KR200401694Y1 (ko) 창틀용 발광유니트와 창틀 조립체
CN205504601U (zh) 一种柔性led灯具
CN211450510U (zh) 一种低衰耗双面发光led面板灯
KR102003743B1 (ko) Led램프에 의한 분할 발광 방식의 양면 또는 단면 조사 방수형 도광판의 제조방법
CN212873950U (zh) 一种电子站牌的装饰灯
KR20110125061A (ko) 모자이크로 이루어지는 광고 건물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광고판
KR101076464B1 (ko) 광고장치 제조방법
KR20080063736A (ko) 에지형 백라이트 유니트용 도광판 연장 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