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492B1 -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492B1
KR101262492B1 KR1020110050120A KR20110050120A KR101262492B1 KR 101262492 B1 KR101262492 B1 KR 101262492B1 KR 1020110050120 A KR1020110050120 A KR 1020110050120A KR 20110050120 A KR20110050120 A KR 20110050120A KR 101262492 B1 KR101262492 B1 KR 101262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ginal text
text
user
key word
impor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736A (ko
Inventor
박원
Original Assignee
두산동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동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동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492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구(핵심어)를 미리 지정해 두고, 사용자가 원문 텍스트를 읽고 단어 또는 구를 입력하면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 여부에 따라 원문 텍스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학습 방식을 제공하는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LEARNING TERMINAL AND METHOD FOR CLASSIFYING WORD LEVEL OF DEFFICULTY}
본 발명은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구(핵심어)를 미리 지정해 두고, 사용자가 원문 텍스트를 읽고 단어 또는 구를 입력하면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 여부에 따라 원문 텍스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학습 방식을 제공하는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독해 학습 방법으로는 원문 텍스트를 보여주고 이에 대한 내용을 맞히는 문제풀이 방식으로 제공하는 학습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 독해 학습 방법은 단편 일률적인 학습 방식으로 원문 텍스트에서 문제에 기재된 내용 일부만 찾아 독해하면 문제 풀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정한 독해 학습을 위한 방식이 아니다.
또한, 종래 독해 학습 방법으로 오프라인 책이나 사전, 신문을 스크랩하고 스크랩한 문서에서 중요 내용을 학습자가 직접 찾아 표시하는 학습 방식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학습 방법은 평가 방식이 아니라서 학습자의 독해가 정확한지 판단할 수 없고 학습이 지루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문 텍스트를 읽고서 주요 내용에 해당하는 단어 또는 구를 입력하면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 적중률을 평가하여 그 이력을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원문 텍스트를 제대로 이해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학습 방식을 제공하는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에 중요도를 부여하여 학습자가 핵심어의 중요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능력을 터득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는, 학습할 원문 텍스트와 상기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핵심어, 상기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저장한 텍스트 정보 저장부;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어 또는 구가 상기 텍스트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텍스트 분석부; 상기 텍스트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하는 텍스트 평가부; 상기 텍스트 평가부를 통해 평가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에 대하여 중요도 정보를 상기 텍스트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중요도 추출부; 및 상기 텍스트 분석부와 상기 텍스트 평가부 및 상기 중요도 추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원문 텍스트에 대한 적중률, 핵심어 및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기 설정한 표시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독해 학습 방법은, (a)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서 사용자가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여 입력 받는 단계; (b) 입력 받은 단어 또는 구가 상기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중률을 상기 원문 텍스트에 표시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핵심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핵심어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여 일치하는 핵심어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중요 내용이 무엇인지 맞혀보고 적중률을 표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독해 학습하는 능력을 터득할 수 있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다양한 학습 분야(chapter)에 대하여 사용자가 학습한 분야의 적중률 이력을 보여주어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핵심어에 중요도를 부여하여 중요도를 근거로 독해 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중요도별 학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독해 학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독해 학습 방법에서 사용자가 핵심어의 중요도를 직접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에서 독해 학습을 위한 초기 화면을 표시한 화면의 예이다.
도 5는 도 4의 초기 화면에서 원문 텍스트에 대한 핵심어 정보를 중요도에 따라 정렬한 화면의 예이다.
도 6은 도 4의 초기 화면에서 원문 텍스트에 대한 핵심어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의 다른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 텍스트 분석부(120), 텍스트 평가부(130), 중요도 추출부(140), 사용자 설정부(150), 제어부(160), 표시부(170),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학습 단말 장치(100)는 독해 학습 기능을 위해 별도 구비한 학습 단말기일 수 있고, 또는 기존 단말에 학습 기능을 포함시킨 이동 단말기, PC, PDA, 노트북, 네비게이션, PMP, 스마트 폰, 전자사전 및 MP3 등이 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한 요청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구를 사용자의 터치(touch), 클릭(click), 드래그(drag) 등의 조작을 통해 입력 받는다.
여기서, 학습할 원문 텍스트는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에 기 저장된 텍스트 파일로,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입력해 둔 텍스트일 수 있고 온라인 매체를 통해 원하는 텍스트의 일부를 캡쳐한 텍스트 이미지일 수 있다.
텍스트 분석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요청 받은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에 기저장된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분석한다.
텍스트 평가부(130)는 텍스트 분석부(120)를 통해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한다. 이때, 텍스트 평가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또는 구와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에 기저장된 핵심어가 일치하면 오버랩하여 적중률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핵심어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핵심어와 구분하여 추가 표시하도록 제어부(160)를 통해 표시부(170)로 전달한다.
중요도 추출부(140)는 텍스트 평가부(130)를 통해 평가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에 대하여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로부터 중요도 정보를 추출한다. 중요도 정보는 상, 중, 하 등의 단계별로 구분 가능하며, 구분은 색상으로 표출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한다.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는 학습할 대상인 다수의 원문 텍스트(182)와, 다수의 원문 텍스트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핵심어(184),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186)를 원문 텍스트별로 포함한다. 핵심어는 원문 텍스트에 포함되는 단어, 구 또는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는 다수의 원문 텍스트(182)에 대한 핵심어를 맞힐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힌트 정보로서 원문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별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설정부(150)는 임의로 지정된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 및 레벨에 따른 색상을 사용자의 기호, 취향에 맞게 설정 변경하고 변경한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이 하(下)인 것을 중(中)으로 변경하고, 기존 빨강색, 초록색, 파랑색으로 각각 구분하였던 상, 중, 하의 중요도 레벨을 빨강색, 파랑색, 검정색으로 색상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은 사용자의 개인 기호에 따라 임의 변경이 가능하며, 또는 다른 사용자가 평가한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도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원문 텍스트를 표시하고, 표시한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적중률,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 등을 제어부(16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근거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0)를 통해 요청받은 원문 텍스트를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로부터 불러 와 표시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텍스트 분석부(120) 및 텍스트 평가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원문 텍스트에 대한 적중률, 핵심어, 및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기 설정한 표시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출력 제어한다. 이때, 표시 설정 정보는 사용자 설정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설정 정보는 원문 텍스트와 원문 텍스트에 포함되는 핵심어, 및 적중률을 함께 표시하기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포함하며,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한 원문 텍스트에서 입력부(110)로부터 힌트 기능이 입력되면,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기 설정한 표시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출력한다. 이후, 제어부(160)는 원문텍스트에 표시된 키워드의 선택이 입력되면 텍스트 분석부(120) 및 텍스트 평가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원문 텍스트에 대한 적중률, 핵심어, 및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기 설정한 표시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170)에 표시하도록 출력 제어한다.
이하, 이상에서 설명한 학습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독해 학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2를 도 1의 구성과 연계하여 설명한다.
먼저, 학습 단말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원문 텍스트를 표시부(170)를 표시한다. 이렇게 표시된 화면은 도 4와 같다.
이후, 표시부(170)에 표시한 원문 텍스트에서 사용자로부터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입력 받는다(S110).
이때, 학습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해당 단어 또는 구가 표시된 위치를 화면 터치(touch)하거나 클릭(click), 드래그(drag)하여 밑줄을 치는 등의 조작 방법을 통해 입력 받는다.
상기 입력은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모두 입력하는 방식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입력받는 과정(S110)에서, 사용자가 표시부(170)에 표시한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기가 어려울 경우 사용자로부터 힌트 기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학습 단말 장치(100)는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표시부(17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표시된 키워드들 중에서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후, 학습 단말 장치(100)는 텍스트 분석부(12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단어 또는 구가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한다(S120).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핵심어는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에 원문 텍스트별로 기 저장되어 있으므로, 텍스트 정보 저장부(180)를 통해 비교 분석한다.
이후, 학습 단말 장치(100)의 텍스트 평가부(130)에서 텍스트 분석부(120)를 통해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한다(S130).
평가 결과, 학습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면 원문 텍스트에 오버랩하여 적중률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핵심어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핵심어와 구별하여 표시하게 한다.
예를 들어, 블록 지정 메뉴를 사용하여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여 선택한 단어 또는 구가 미리 저장된 핵심어와 일치한 경우 블록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식별 마커에 불이 들어오거나 또는 식별 마커의 색을 변경하거나 또는 식별 마커 또는 해당 핵심어를 깜빡깜빡 동작시킴으로써 적중률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핵심어는 밑줄을 치거나 기울임 글꼴을 활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이후, 미리 지정된 핵심어에 대한 중요도 정보를 원문 텍스트와 함께 표시한다(S140). 중요도 정보는 상, 중, 하 등의 레벨에 따라 구분하며 그 레벨 구분은 색상을 통해 표현 가능하다.
이렇게 표시한 기본 화면의 예를 살펴보면, 도 4는 원문 텍스트를 표시한 초기 화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초기 화면에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 정보를 중요도에 따라 정렬한 화면의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화면(500)은 학습할 원문 텍스트를 표시하는 원문 텍스트 표시 영역(510)과, 원문 텍스트에 대한 핵심어 정보를 표시하는 핵심어 표시 영역(520)을 포함한다.
원문 텍스트 표시 영역(510)은 원문 텍스트와 함께 적중률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또는 구와 일치하는 핵심어, 및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핵심어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핵심어 표시 영역(520)은 원문 텍스트에서 미리 지정된 핵심어를 추출하여 핵심어의 중요도에 따라 그룹화한 후 그룹별로 정렬할 수 있다. 또한, 그 그룹별로 색상을 다르게 표출하여 사용자가 각 핵심어의 중요도를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중요도는 문제를 풀고 정답을 확인할 후 표시된다.
도 6은 핵심어 표시 영역(620)에 핵심어(622)별로 중요도 정보(626)뿐만 아니라, 핵심어(622)가 원문 텍스트에 출현한 빈도수 정보(624)를 추가로 표시한 화면(600)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원문 텍스트에 중요 내용으로 파악하는 핵심어를 파악할 수 있고 적중률에 따라 원문 텍스트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핵심어의 중요도에 따라 독해의 효율적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테면, 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된 핵심어가 원문 텍스트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중요도를 확인하고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610은 학습할 원문 텍스트를 표시한 원문 텍스트 표시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설정 메뉴가 입력되면 설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210).
여기서, 설정 모드는 사용자가 개인 기호에 맞게 설정 가능한 직접 모드, 다른 사용자가 평가한 중요도 정보를 반영하는 사용자 평균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예로, 직접 모드의 선택이 있으면(S220), 사용자가 직접 개인 기호에 맞게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이 상(下)인 것을 사용자가 이미 인지하고 있는 내용이라서 중(中) 또는 하(下)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평균 모드의 선택이 있으면(S240), 학습 단말 장치는 다른 사용자가 평가한 중요도 평균치를 이용하여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을 재설정한다(S250).
이후, 학습 단말 장치가 각 중요도 레벨에 대한 색상 정보를 변경할 것인지를 확인한다(S260).
변경의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색상으로 변경하고, 변경의 요청이 없으면 설정 동작을 종료한다(S27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영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언어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학습 단말 장치 110: 입력부
120: 텍스트 분석부 130: 텍스트 평가부
140: 중요도 추출부 150: 사용자 설정부
160: 제어부 170: 표시부
180: 텍스트 정보 저장부 182: 원문 텍스트
184: 핵심어 186: 중요도

Claims (15)

  1. 학습할 원문 텍스트와, 상기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핵심어, 상기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저장한 텍스트 정보 저장부;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가 입력되면 입력된 단어 또는 구가 상기 텍스트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텍스트 분석부;
    상기 텍스트 분석부를 통해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하는 텍스트 평가부;
    상기 텍스트 평가부를 통해 평가한 원문 텍스트의 핵심어에 대하여 중요도 정보를 상기 텍스트 정보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중요도 추출부; 및
    상기 텍스트 분석부와 상기 텍스트 평가부 및 상기 중요도 추출부를 통해 출력되는 원문 텍스트에 대한 적중률, 핵심어 및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를 기 설정한 표시 설정 정보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출력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어는 상기 원문 텍스트에서 주요 내용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평가부는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또는 구가 기 저장된 핵심어와 일치하면 오버랩하여 적중률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핵심어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핵심어와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어의 중요도 정보는 핵심어에 대한 중요도 레벨 및 레벨에 따른 색상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중요도 정보를 사용자가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사용자 설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부는 상기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을 사용자의 개인 기호에 맞게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가 평가한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설정 정보는
    상기 원문 텍스트와 상기 원문 텍스트에 포함되는 핵심어, 적중률을 상기 표시부에 함께 표시하기 위한 화면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중요도별로 원문 텍스트를 요청할 때 상기 원문 텍스트의 중요도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원문 텍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힌트 기능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기 저장된 키워드를 추출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가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키워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단말 장치.
  10. (a)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서 사용자가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여 입력 받는 단계;
    (b) 입력 받은 단어 또는 구가 상기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핵심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분석한 일치 여부에 따라 적중률을 평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적중률을 상기 원문 텍스트에 표시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핵심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핵심어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여 일치하는 핵심어와 구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미리 지정된 핵심어에 대한 중요도 정보를 상기 원문 텍스트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문 텍스트에 대한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 및 레벨에 따른 색상 정보를 사용자가 임의 설정 변경 가능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어의 중요도 레벨은 사용자가 개인 기호에 맞게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가 평가한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학습할 원문 텍스트를 요청할 때 상기 미리 지정된 핵심어에 대한 중요도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도별 원문 텍스트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여 입력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한 힌트 기능이 입력되면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에 대하여 기 저장한 키워드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할 원문 텍스트와 함께 표시하고 표시한 키워드들 중에서 주요 내용으로 파악되는 단어 또는 구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해 학습 방법.
KR1020110050120A 2011-05-26 2011-05-26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262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20A KR101262492B1 (ko) 2011-05-26 2011-05-26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20A KR101262492B1 (ko) 2011-05-26 2011-05-26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36A KR20120131736A (ko) 2012-12-05
KR101262492B1 true KR101262492B1 (ko) 2013-05-08

Family

ID=4751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20A KR101262492B1 (ko) 2011-05-26 2011-05-26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4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889B1 (ko) * 2019-08-12 2021-06-09 주식회사 비엔알아이 시선 추적을 이용한 머신 러닝 기반의 읽기 능력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441A (ja) 2002-03-08 2003-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キーワード決定データベース作成方法、キーワード決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441A (ja) 2002-03-08 2003-09-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キーワード決定データベース作成方法、キーワード決定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36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1291A1 (en) Input Method Editor
CN109299399B (zh) 一种学习内容的推荐方法及终端设备
KR102004180B1 (ko) 시험지 인식을 통한 유사 문제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CN108920450B (zh) 一种基于电子设备的知识点复习方法及电子设备
CN103177204A (zh) 密码信息提示方法及装置
CN101382946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03365970A (zh) 自动获取学习资料信息的方法和装置
RU2674331C2 (ru) Система и процесс для анализа, квалифицирования и проглатывания источников не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х данных посредством эмпирической атрибуции
KR101476229B1 (ko)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CN111984589A (zh) 文档处理方法、文档处理装置和电子设备
KR20240059509A (ko)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사전펜, 전자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145278B1 (ko)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언어학습방법
CN110647504B (zh) 司法文书的检索方法及装置
KR20120118520A (ko) 난이도별 어휘 분류가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262492B1 (ko) 텍스트 독해 학습이 가능한 학습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137713B1 (ko) 외국어 학습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4387B1 (ko) 학습기능을 지원하는 어학 데이터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8155808A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710735B (zh) 基于多社交渠道的朗读内容推荐方法及电子设备
KR20100098277A (ko) 단어 실력 검지 방법
CN111507065A (zh) 阅读信息的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07183A (ko) 대표문자와 공백 입력을 통한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문장입력방법 및 장치
JP2016035688A (ja) テキスト分析装置、テキスト分析方法、テキスト分析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096667B (zh) 汉字学习辅助装置以及汉字学习辅助装置的显示方法
JP5162151B2 (ja) 入力情報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