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196B1 -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196B1
KR101262196B1 KR1020110059522A KR20110059522A KR101262196B1 KR 101262196 B1 KR101262196 B1 KR 101262196B1 KR 1020110059522 A KR1020110059522 A KR 1020110059522A KR 20110059522 A KR20110059522 A KR 20110059522A KR 101262196 B1 KR101262196 B1 KR 101262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tandby power
cut
mai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120A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김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호 filed Critical 김창호
Publication of KR2011013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2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26
    • G06F2200/261PC controlled powerstr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피제어기인 다수의 전자제품과; 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며; 다수의 전자제품은 각각, 메인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전자제품의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를 구비하며; 메인 시스템은 다수의 전자제품 각각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전자제품 각각의 대기전력 차단부를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STANDBY POWER CUT-OFF SYSTEM}
본 발명은 가정, 사무실, 공장 등에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전력 스마트그리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전기/전자제품, 기기, 공장의 설비 등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고 수동 및 원격으로 전원을 투입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전력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등에서는 외부에서 해당 시스템에 접속된 전자제품의 온/오프 또는 동작 제어를 할 수 있게 구성 되어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제품을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 놓은 상태로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제품에서 대기전력으로 전력이 낭비되고 해당 시스템은 이러한 제어를 위해 항상 전원이 공급되어 있어 전력이 낭비되고 있다.
향후에는 IT 기술의 발달로 전자기기의 수량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더 에너지 낭비가 증가되는 것이 예상되며, 그에 따른 전력 생산으로 인한 CO2 발생으로 환경 오염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따른 대기전력 차단장치를 적용한 전자제품/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면 대기전력을 완전히 차단되고 수동으로 전원을 '온' 하거나 외부에서 원격(휴대폰 등)으로 제품에 전원 공급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대기전력차단 시스템(홈 네트워크, 또는 전력 스마트그리드 시스템 등)을 구비하여 가정, 사무실, 공장 등의 전자제품, 기기가 전원 '오프'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된) 상태에서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하기 위해 전자제품에는 대기전력 차단수단으로 대기전력 차단장치(200, 300, 400)를 구비하여, 제품의 전원을 수동으로 '온'이 가능하고, '오프' 하면 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아놓아도 대기전력이 완전히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원격으로 휴대폰이나 인터넷으로 제품의 전원을 '온'하고 제어하게 할 수 있도록 메인 시스템(10)에는 원격제어수단으로 무선통신부(12), 통신부(15), 디바이스(device) 선택 및 구동부(13)를 구비하여 해당 전자제품의 전원'온' 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전자제품이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의 전원이 '오프'시 전원이 완전하게 차단된 상태에서 웨이크 업 랜을 하기 위하여, 휴대폰이나 전화로 해당 컴퓨터의 전원을 '온'하고 인터넷으로 웨이크 업 랜(WUL)(415)을 통해 통신을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이용가능 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이 가능하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홈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스마트그리트 시스템)을 구성하여 가전/전자제품(예를 들어, 조명제어 콘트롤러, 온도조절 시스템, 컴퓨터, 전자기기, 스마트그리드 콘트롤러, 분전반 콘트롤러 등)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모든 대기전력을 차단하고, 사용시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절약하도록 한다.
또한 메인 시스템(10)도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즉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제품이 '오프' 상태 일 때 메인 시스템(10)의 전력 낭비를 완전히 없애기 위해 입력전원을 차단/공급하기 위하여, 제어부(11), 구동부(18)와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를 구성하고, 메인 시스템(10)의 전원이 차단된 후 최소한의 슬립모드시 필요한 전원 수단으로 슬립모드전원부(14)(슈퍼캐패시터나 이차전지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자제품에서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하고 완전히 대기전력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도 제품의 콘트롤이 가능하게 하여 생활에 불편함이 없고 생활 패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절약이 가능하고 에너지절약으로 CO2 발생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 중 제3 전자제품 및 관련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 중 제1 전자제품 및 관련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1 중 제2 전자제품 및 관련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1 중 메인 시스템의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 및 관련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제어부, 메모리부,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 통신부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이다. 이러한 특정 사항들에 대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은 피제어기인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들과, 해당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시스템(10)(예를들어 홈 네트워크 콘트롤러 또는 스마트그리드 콘트롤러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메인 시스템(1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메인 시스템(10)은 메인 시스템(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와, 메인 시스템(10)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고 데이터를 기억, 저장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메모리로 구성된 제어부(11)를 구비하고, 외부 사용자의 휴대전화 등과 통신하여 해당 휴대전화로부터 원격제어를 받기 위한 무선통신부(12)를 구비한다. 또한 각종 동작 및 데이터 상태의 표시와 디바이스의 주소 등 기능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해 LCD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키를 구비한 표시 및 키입력부(17)를 구비한다.
또한, 외부 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제공받아 메인 시스템(10)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9)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한 구동부(18)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19)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수동 조작 스위치(후술될 노브에 해당함)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시 해당 조작 신호를 제어부(11)로 제공하는 대기전력 차단부(100)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100)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18)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대상 전자제품(20, 30, 40)이 선정될 경우에, 이에 따른 제어부(11)의 제어하에, 해당 제품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해당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를 동작시켜 제품에 전원 공급을 하는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를 구비하고, 전자제품(20, 30, 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제품들과 통신 제어를 하기 위해 통신부(15)를 구비한다.
또한, 해당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제어하는 모든 전자제품(20, 30, 40)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라면 제어를 중단하고 슬립모드로 진행하여 메인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이때 최소한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전원부(14)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1)와 무선통신부(12), 통신부(15) 등에만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깨어나 실행하거나 인터럽트 시에 깨어나 전원을 공급하고 정상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시 등에 전체적인 대기전력 차단을 조작받기 위해 가정의 현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일괄차단스위치(102)가 구비되며, 해당 일괄차단스위치(102)의 조작 신호는 메인 시스템(10)의 제어부(11)로 제공되도로 구성된다. 이에 메인 시스템(10)의 제어부(11)는 일괄차단스위치(102)가 누른 것이 감지되거나 관리하는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전체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이러한 일괄차단스위치(102)는 단순히 온/오프 스위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은 해당 전원 플러그를 각각 다수의 콘센트(13-1, 13-2, 13-3)에 꽂아 외부 전원을 제공받는데, 이러한 다수의 전자 제품에는 제공되는 외부 전원은 각각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를 거쳐 전원부(202, 302, 404)에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이러한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의 상세 구성이 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에서는 제1 전자제품(20), 도 3에서는 제2 전자제품(30), 도 4에서는 제4 전자제품(4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은 각각 외부 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제공받아 해당 전자제품(20, 30, 40)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04, 304, 404)와, 해당 제품의 제어부(202, 302, 402)의 제어에 의한 구동부(206, 306, 406)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204, 304, 404)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수동 조작 스위치(후술될 노브에 해당함)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시 해당 조작 신호를 제어부(202, 302, 402)로 제공하는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와, 상기 제어부(202, 302, 402)의 제어하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206, 306, 406)를 구비한다.
이때 각각의 전자제품(20, 30, 40)에서 각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는 상기 메인 시스템(10)의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로부터 제어에 의해서도 상기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시스템(10)은 해당 선택된 제품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전자제품(20, 3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각자의 기능에 맞게 기능을 설정을 입력받으며, 동작 상태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입력부(207,307)를 구비하며, 제어조건에 따라서 해당 연결된 부하(미도시)를 구동하기 부하구동부(209)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전자제품(20, 30)은 메인 시스템(10)의 통신부(15)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215, 315)를 각각 구비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제3 전자제품(40)은 예를 들어 컴퓨터일 수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인터넷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데이터를 읽고, 쓰고 관리할 수 있도록 웨이크 업랜(WUL)(415)을 구비한다.
도 5는 도 1 중 메인 시스템(10)의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 및 관련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에는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 별로 하나씩 구동 스위치(S)가 별도로 마련되어 각각의 전자제품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5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구동 스위치(S)만 대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동 스위치(S)는 제어부(11)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제1 내지 제4트랜지스터(예를 들어 npn형 스위칭 트랜지스터 Q1, Q2, Q3, Q4)들의 연결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2트랜지스터 Q1, Q2는 각각 공통적으로 상기 전원부(19)로부터 제공되는 동작 전원을 입력(예를 들어 콜렉터단)으로 제공받고, 제1트랜지스터 Q1의 출력(예를 들어 에미터단)은 해당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내부에 후술될 솔레노이드의 제1단과 연결되며, 제2트랜지스터 Q2의 출력(에미터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제2단(점 U)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트랜지스터 Q3의 입력(콜렉터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제2단과 연결되며, 출력(에미터단)은 접지단과 연결되며, 제4트랜지스터 Q4의 입력(콜렉터단)은 상기 솔레노이드의 제1단(점 P)과 연결되며, 출력(에미터단)은 접지단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1, 제3트랜지스터 Q1, Q3은 제어부(11)의 제1출력 O1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베이스단을 통해) 공통적으로 제공받으며, 제2, 제4트랜지스터(Q2, Q4)는 제어부(11)의 제2출력 O2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베이스단을 통해) 공통적으로 제공받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11)는 온/오프 제어시 상기 제1 출력 O1 또는 제2출력 0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선(33)의 극성을 바꾸게 되며, 결과적으로 각 전자제품(20, 30, 40)의 각각의 대기전력차단장치(200, 300, 400)내의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선(33)에 극성을 바꾸어 해당 전원 경로를 도통하거나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각 전자제품(20, 30, 40) 내의 각각의 구동부(206, 306, 406)의 상세 구성도 상기 구동 스위치(S)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하게 해당 제어부(202, 302, 402)로부터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의 구동 스위치(S)에서 제1, 제2트랜지스터 Q1, Q2의 콜렉터를 공통으로 전원부(19)의 전원에 연결하고 제3, 제4트랜지스터 Q3, Q4의 에미터를 공통으로 그라운드에 연결하고, 제1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와 제4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를 연결한 점 P와, 제2트랜지스터 Q2의 에미터와 제3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를 연결한 점 U를 각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 선(3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특정 제품의 전원을 '온'하기 위해 제어부(11)의 제1출력 O1을 '하이'로 펄스 출력을 내보내면, 이는 제1출력 O1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1, 제3트랜지스터 Q1, Q3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ㅇ에 제1, 제3트랜지스터 Q1,Q3이 턴'온'되어 해당 전자제품(20, 30, 40)으로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점 P에서 점 U로 흘러가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접점 C1, C2가 접속되어 해당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품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반대로, 특정 제품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제어부(11)의 제2출력 O2를 '하이'로 펄스 출력을 내보내면, 이는 제2출력 O2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2, 제4트랜지스터 Q2,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2, 제4트랜지스터 Q2,Q4가 턴'온'되므로 해당 전자제품(20, 30, 40)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점 U에서 점 P로 흘러 해당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접점 C1,C2가 오픈 되어 제품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제품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한다.
전자제품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수동으로 각 제품의 전원을 '온'하였을 때 동작을 설명하면, 각 전자제품(20, 30, 40)의 전원을 '온'하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에 구비되는 노브(201, 301, 401)를 누르면, 이와 연결된 접점 C1, C2가 접속되어 콘센트(13)의 플러그(11)를 통해 전원이 제품에 공급되면 제품의 전원부(204, 304, 404)는 제품에 필요한 전원을 만들어 공급하여 전자제품(20, 30, 40)이 정상동작 한다.
수동으로, 전자제품이 정상 동작을 하다 동작이 완료되거나 전원을 끄기 위해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노브(201, 301, 401)를 누르면, 이와 연동된 택스위치의 접점 C3,C4가 접속되어 제품의 제어부(202, 302, 402)에 신호를 전달되어 제어부(202, 302, 402)는 이 신호가 감지되면 구동부(206, 306, 406)에 제어신호를 보내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접점 C1, C2가 오픈 되어 전원공급을 차단되어 해당 제품의 대기전력은 완전히 차단된다.
메인 시스템(10)과 통신을 하는 제1, 제2 전자제품(20, 30)의 경우는 통신부(215, 315)를 통해 인터럽트를 메인 시스템(10)에 요구하면, 메인 시스템(10)은 통신부(15)를 통해 인터럽트 요구를 처리하여 해당 전자제품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발생시 서로 통신을 하며 정상 제어한다. 여기서 통신방식은 RA-422, RA-485 등 어떠한 방식으로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제3 전자제품(40)(예를 들어, 컴퓨터)과 같이 메인 시스템(10)과 통신할 필요가 없는 제품은 해당제품만 선택하여 전원을 공급한 후에 외부에서 해당 제품을 선택 전원을 공급하고 인터넷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읽고, 수정하고 ,저장하는 등 제어할 수 있다(웨이크 업 랜기능).
상기와 같이 정상 동작 중 메인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 인 경우) 외부에서 휴대폰으로 해당 전자제품을 끄거나, 메인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스마트그리드 콘트롤러인 경우) 사용 전력량을 분석 우선 순위에 따라 강제로 해당 전자제품의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제어부(11)는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 내의 해당 제품의 구동 스위치(S)를 선택하여 해당 제품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제어부(11)의 제2출력 O2를 '하이'로 펄스 출력을 내보낸다. 이에 따라, 제2출력 O2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2, 제4트랜지스터 Q2,Q4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2, 제4트랜지스터 Q2,Q4가 턴'온'되어, 해당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점 U에서 점 P로 흘러 해당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접점 C1,C2가 오픈 되어 제품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하여 제품의 대기전력을 완전하게 차단한다.
반대로, 제품이 전원 차단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할 때는 메인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홈 시스템 인 경우) 외부에서 휴대폰으로 해당 전자제품을 켜거나, 메인 시스템(10)이 (예를 들어, 스마트그리드 콘트롤러인 경우) 사용 전력량을 분석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전자제품의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제어부(11)는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13)의 해당 제품의 구동 스위치(S)를 선택하여 제어부(11)의 제1출력 O1을 '하이'로 펄스 출력을 내보낸다. 이에 따라 제1출력 O1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1, 제3트랜지스터 Q1,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제1, 제3트랜지스터Q1, Q3이 턴'온'되어 해당 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솔레노이드에 전류가 점 P에서 점 U로 흘러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의 접점 C1,C2가 접속되어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품이 정상 동작하게 된다.
외출시나 대기전력 차단을 위해 가정의 현관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일괄차단스위치(102)를 누르거나, 모든 전자제품이 전원'오프'가 된 경우와 같이, 메인 시스템(10)이 제어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메인 시스템(10)에서 낭비되는 전력을 전체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즉, 메인 시스템(10)의 제어부(11)에서는 일괄차단스위치(102)가 눌려진 것이 감지되거나, 관리하는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1)는 상기와 같이 모든 전자제품의 대기전력 차단부(200, 300, 400)를 제어하여 대기전력을 차단한다. 또한 구동부(18)를 통해 메인 시스템(10)의 대기전력 차단부(100)를 상기와 같이 제어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메인 시스템(10)의 전력 소비를 완전히 차단한다.
이때 메인 시스템(10)은 자체적으로 소모되는 전력 소모를 최소로 하기위해 슬립모드로 로 들어가 주기적으로 깨어나 기본 기능만 수행하고 다시 슬립모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통신부(15)와 무선통신부(12), 제어부(11)에만 슬립모드전원부(14)에서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에서 인터럽트가 걸리거나, 슬립모드전원부(14)가 충전된 전원이 기준 전압 이하가 되기 전에 다시 충전을 하기 위해 제어부(11)는 구동부(18)를 제어하여 메인 시스템(10)의 대기전력 차단장치(100)를 제어하여 전원이 전원부(19)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스템이 깨어나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정상동작을 한다.
이때 슬립모드전원부(14)에는 다시 충전이 되어 슬립모드시 전원으로 사용되고 시스템은 기능을 수행하는데 아무런 제약 없이 정상동작을 하고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낭비와 환경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메인 시스템(10) 및 다수의 전자제품(20, 30, 40)의 대기전력 차단부(100, 200, 300, 400)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 출원번호 제2009-72016호(명칭: 대기전력 차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출원일: 2009년 8월 5일) 및 상기 제2009-72016호를 우선권 주장하여 국제특허 출원한 국제특허 출원번호 제PCT/KR2010/001388호(국제 공개번호 WO2010/101436호, 국제 공개일 2010년 9월 10일)에 개시된 대기전력 차단 장치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2009-72016호에 개시된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전자제품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측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스트라이커와; 상기 전자제품 내의 전원공급장치로 인입하는 전원 케이블의 일 접점과 타 접점을 탈착 또는 부착하도록 상기 스트라이커의 일 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콘텍트와; 상기 스트라이커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노브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 스트라이커를 자력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자석을 포함하는 코아; 및 상기 전자제품의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 상기 자석과 척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일 접점과 상기 타 접점을 탈착시키며, 또는 전원을 온하는 경우 상기 일 접점과 타 접점을 부착시키기 위한 솔레이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009-72016호에 개시된 대기 전력 차단 장치는, 전원 오프 조작을 받으며, 전원 오프 조작시에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노브 스위치와 연결되는 택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제어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프로그램을 수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자동으로 대기전력의 낭비를 줄이도록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되도록 구성한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Claims (7)

  1.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피제어기인 다수의 전자제품과;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은 각각, 상기 메인 시스템의 제어에 의해 해당 전자제품의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 각각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전자제품 각각의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를 동작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해당 메인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해당 메인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원격제어를 받기 위한 무선통신부와;
    외부 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제공받아 해당 메인 시스템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구동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상기 전원부의 전단에서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차단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 선택 및 구동부는 제어대상 전자제품이 선정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해당 전자제품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해당 전자제품의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의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은 각각,
    외부 전원을 입력전원으로 제공받아 해당 전자제품의 내부 각 기능부들의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
    해당 전자 제품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로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해당 전자제품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구동부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전원의 전원 공급 경로를 도통시키거나 차단시켜 대기전력을 차단하며, 수동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시 해당 조작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품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로부터 기능을 설정을 입력받으며, 동작 상태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입력부와;
    제어조건에 따라서 해당 연결된 부하를 구동하는 부하구동부와;
    상기 메인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품 중 적어도 하나는 컴퓨터이며, 인터넷과 연결되는 웨이크 업랜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의 상기 대기전력 차단부는,
    수동 조작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조작시 해당 조작 신호를 제어부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다수의 전자제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라면 제어를 중단하고 슬립모드로 진행하여 전력 공급을 중단하고, 최소한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슬립모드전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립모드 전원부는 상기 슬립모드시 상기 제어부와 무선통신부 및 통신부에 제한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 상기 메인 시스템은 주기적으로 깨어나 실행하거나 인터럽트 시에 깨어나 전원을 공급하고 정상동작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스템과 연결되며 전체적인 대기전력 차단을 조작받는 일괄차단스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인 시스템은 상기 일괄차단스위치가 누른 것이 감지되거나 관리하는 모든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전체 전자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20110059522A 2010-06-21 2011-06-20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101262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8387 2010-06-21
KR1020100058387 2010-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120A KR20110139120A (ko) 2011-12-28
KR101262196B1 true KR101262196B1 (ko) 2013-05-15

Family

ID=4537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522A KR101262196B1 (ko) 2010-06-21 2011-06-20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0199B2 (ko)
EP (1) EP2584669A4 (ko)
JP (1) JP6000244B2 (ko)
KR (1) KR101262196B1 (ko)
CN (1) CN103081291B (ko)
WO (1) WO201116251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178B2 (ja) * 2013-09-27 2016-04-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146284B2 (en) * 2014-05-20 2018-12-04 Entropic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ndby power to an integrated circuit
KR20170097091A (ko) * 2015-01-09 2017-08-25 김영범 에너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9314401A (zh) * 2016-03-14 2019-02-05 金昌镐 用于切断网络备用电源的物联网智能家庭/大楼自动化系统及其控制方法
KR102149878B1 (ko) * 2018-12-22 2020-08-31 삼아산전 (주) IoT 기반의 제어시스템이 적용된 SMPS 전원 공급 장치용 보조 연결 장치
CN111864904B (zh) * 2020-07-27 2022-04-01 湖南创业德力电气有限公司 一种配电监控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171A (ja) * 2003-05-28 2004-1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796A (ja) * 1999-01-20 2000-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コントロ―ル装置
JP2001275278A (ja) * 2000-03-28 2001-10-05 Sanyo Electric Co Ltd 待機電力節電装置
JP3990884B2 (ja) * 2000-09-11 2007-10-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冷蔵庫の遠隔点検方法
KR100393574B1 (ko) * 2000-12-28 2003-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대기전력 절감장치
JP4020039B2 (ja) * 2003-07-08 2007-12-12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avシステム
US8301914B2 (en) * 2004-05-19 2012-10-30 Giuseppe Antonio Gelonese Power supply control device
JP2006005473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電話機用スイッチ装置及び電話機の4端子モジュラーケーブルの接続パターン識別方法
CA2804060C (en) * 2004-09-03 2015-08-25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Power control system
KR100801042B1 (ko) * 2005-09-02 2008-02-11 김선영 자동전원차단콘센트
EP1929591A4 (en) * 2005-09-02 2013-04-03 Kim Sun Young AUTOMATIC CURRENT CURRENT SOCKET BASE
US8234701B2 (en) * 2005-10-28 2012-07-31 Andrew Cheu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remotely sending digital signal(s) to a computer
JP4757151B2 (ja) * 2006-09-06 2011-08-24 中国電力株式会社 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TWI329948B (en) * 2007-12-10 2010-09-01 Ind Tech Res Inst Smart client-server socket
JP5098620B2 (ja) * 2007-12-13 2012-12-12 横河電機株式会社 電源スイッチ回路
KR101013832B1 (ko) * 2008-07-07 2011-02-14 주식회사 잉카솔루션 대기전력 차단을 통한 에너지 절약 체험 시스템
KR20100030394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비츠로시스 대기전력 제어 시스템,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대기전력 제어방법
JP2010088192A (ja) * 2008-09-30 2010-04-15 Yamaha Corp 電源回路および電源システム
KR101088154B1 (ko) * 2008-12-02 2011-1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171A (ja) * 2003-05-28 2004-12-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81291B (zh) 2015-09-09
KR20110139120A (ko) 2011-12-28
EP2584669A4 (en) 2017-01-25
JP6000244B2 (ja) 2016-09-28
WO2011162517A2 (ko) 2011-12-29
CN103081291A (zh) 2013-05-01
JP2013534802A (ja) 2013-09-05
US20130088079A1 (en) 2013-04-11
WO2011162517A3 (ko) 2012-05-03
EP2584669A2 (en) 2013-04-24
US9160199B2 (en)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196B1 (ko)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US7023357B2 (en) Pluggable mechanism for wireless remote control
KR101697443B1 (ko) 저전력소모 대기 회로장치, 에어컨 및 에어컨의 제어방법
CN101630797B (zh) 一种无线遥控插座组件
JP2013168386A (ja) 待機電力遮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03745876U (zh) 一种智能家居控制装置
CN104685759A (zh) 用于使用电源适配器的电子产品的待机电源切断设备
CN103187782A (zh) 电源和具有该电源的显示装置
KR101425211B1 (ko) 무선 대기전력 차단 시스템
KR20170098467A (ko) 휴대 단말과 외부 기기 간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CN102280021A (zh) 一种红外遥控开关
KR101822538B1 (ko)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157231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2495558B (zh) 一种利用射频通讯实现遥控用电设备开/关的方法
CN101715042A (zh) 数字电视终端及控制其外接设备电源开关的方法、装置
CN100369409C (zh) 网络设备、网络设备的电源装置及其供电的方法
KR20120077424A (ko) 무선 전력 모니터링 콘센트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00129664A (ko)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2986724B (zh) 电力二次设备测试控制管理装置
CN101719964B (zh) 移动终端电源管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10304209A1 (en) Electric receptacle module
KR101127641B1 (ko)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에 대한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205081313U (zh) 一种手动自动一体化的多功能插座
CN107769384B (zh) 一种电源上下电控制装置与系统
CN216672981U (zh) 一种按键电路、电源控制系统以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