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699B1 - 차량용 edi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edi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699B1
KR101260699B1 KR1020120121190A KR20120121190A KR101260699B1 KR 101260699 B1 KR101260699 B1 KR 101260699B1 KR 1020120121190 A KR1020120121190 A KR 1020120121190A KR 20120121190 A KR20120121190 A KR 20120121190A KR 101260699 B1 KR101260699 B1 KR 101260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vehicle
electricity
voltag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102012012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48Arrangements for obtaining a constant output value at varying speed of the generator,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맥동 DC 전기가 생성되는 차량 발전기 및,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차량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코일과,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코일이 만나는 지점에 일단이 연결된 휴즈 및, 상기 휴즈 타단에 연결된 슈퍼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발전기에서 생성된 맥동 DC 전기를 정류하여 전원 노이즈를 차단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정화된 전기를 차량의 휴즈박스 내 "점화코일"과 "인젝터" 및 "연료펌프"에 직접 인가하여 시간이 흘러도 항시 출력을 잃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EDI 장치{Electronic Direct Insert Apparatus used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발전기에서 발생시킨 전기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2차 평활 전기를 만들어 차량의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과 "인젝터" 및, "연료펌프"에 고순도의 DC 전원이 직접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EDI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차량의 휴즈 박스 내에서의 전기 흐름은 필요한 부위로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여러 단계의 릴레이를 거치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릴레이의 접점 손상에 의해 고른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는 원인이 되며, 이는 곧 차량의 출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관련 기술은 다음과 같다.
즉, 관련 기술(국내출원번호 제20-1996-0046094호, 발명의 명칭: 휴즈 및 릴레이 박스)은 휴즈 및 릴레이 박스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휴즈 및 릴레이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다수개의 접속단자와, 내부의 패턴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탭단자가 설치된 다층 회로기판과, 상기 다층 회로기판의 일측에 이와 나란하게 위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며, 다수개의 탭단자가 형성된 버스바와; 상기 버스바가 안착 및 고정되며 다수개의 탭단자가 설치된 버텀커버와,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다수개의 탭단자와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된 탭단자 및 상기 버텀커버에 설치된 탭단자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휴즈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전선이 필요 없으므로, 조립 및 A/S 시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오배선으로 인한 작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박스의 경박단소화가 가능하여 자동차의 엔진룸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 기술을 포함하여 종래 기술은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 차량의 휴즈 박스 내에서의 전기 흐름은 필요한 부위로 전기를 공급함에 있어 여러 단계의 릴레이를 거치게 된다.
그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릴레이의 접점 손상에 의해 고른 전기가 흐르지 않게 되며, 이는 곧 차량의 출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차량의 휴즈 박스에서의 전기 흐름을 능동적이며 최소한의 릴레이로 제어하여 필요한 부위에 직접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시간이 흘러도 항시 차량의 출력을 잃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는
차량 배터리, 맥동 DC 전기가 생성되는 차량 발전기 및,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차량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코일과,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코일이 만나는 지점에 일단이 연결된 휴즈 및, 상기 휴즈 타단에 연결된 슈퍼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발전기에서 생성된 맥동 DC 전기를 정류하여 전원 노이즈를 차단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키 온(Key On)시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 휴즈에 인가되는 전압 아웃(OUT) 라인에서 유도되는 전기의 일부를 입력받고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의 상기 소정 전압의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안정된 불꽃방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인 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안전 휴즈 및, 상기 제1 안전 휴즈의 타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는 마주보도록 대립형 배치로 구성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한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키 온시, 상기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인젝터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인젝터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인젝터와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와,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2 안전 휴즈 및, 상기 제2 안전 휴즈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인젝터 구동부 및, 상기 키 온시, 상기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연료펌프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하여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연료펌프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와,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3 안전 휴즈 및, 상기 제3 안전 휴즈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연료펌프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의 전압 인입 라인에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키 온시 통전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3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콘덴서와 제4 안전 휴즈로 구성되어 상기 통전시킨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로 인입시키는 제1 전압 인입부 및,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전기를 차량 자체 전기와 합류시켜 병렬 승압된 최종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 전압 인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마일러 적층 콘덴서를 통해 전기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는 10배수 회로 라인과,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기기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 작동하는 써모 스위치를 구비한 전기노이즈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화된 전기를 차량의 휴즈박스 내 "점화코일"과 "인젝터" 및 "연료펌프"에 직접 인가하는 전압안정 유도장치로, 능동적이며 최소한의 릴레이로 전기를 제어하여 필요한 부위에 직접 전기를 공급함으로 시간이 흘러도 항시 출력을 잃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외부 전기 승압 제품을 본체에 간단히 접목시켜 점화코일의 1차 전기를 15V ~ 19V로 승압, 인가하여 점화코일의 2차 전기를 24,000V ~ 3만V로 승압해 점화를 시키게 할 수 있는 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차량 발전기에서 발생시킨 전기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2차 평활 전기를 만들어 차량의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과 "인젝터" 및, "연료펌프"에 고순도의 DC 전원을 직접 인가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는 크게, 차량 발전기에 연결된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102), 인젝터 구동부(103), 연료펌프 구동부(104), 점화코일 구동부(105) 및 전기노이즈 처리부(10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는 차량 배터리와 차량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코일(예: 100A 용량의 코일)(L1)과,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코일(L1)이 만나는 지점에 일단이 연결된 휴즈(휴즈 6) 및, 상기 휴즈(휴즈 6) 타단에 연결된 슈퍼콘덴서(ELDC)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 상기 차량 발전기에서 생성된 완벽하지 못한 맥동 DC 전기를 100A 용량의 코일(L1)과 슈퍼콘덴서(ELDC)를 통해 정류하여 전원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102)는 키 온(Key On) 시,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 휴즈에 인가되는 전압 아웃(OUT) 라인에서 유도되는 전기의 일부를 입력받고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안정된 불꽃방전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와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인 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안전 휴즈(휴즈 2) 및, 상기 제1 안전 휴즈(휴즈 2)의 타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되 상기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와는 마주보도록 대립형 배치로 구성된 제2 다이오드(D2)를 구비한 구조이다. 즉,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 휴즈(또는, 점화코일 본체 플러스 인입선)에 키 온 했을 경우 인가되는 12V 아웃 라인을 취하여 유도함과 동시에 그 전기의 일부를 취하여 릴레이(도 1의 "릴레이 1")를 작동시켜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가 제2 다이오드(D2)를 거쳐 제1 안전 휴즈(휴즈 2)를 통해 점화코일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안정된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하는 회로 구성이다. 특히, 제1 다이오드(D1)는 키 오프(Key Off) 시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기가 D1라인을 통해 다시 릴레이 1로 유입되어 릴레이 1이 항상 붙어있는 요인을 제거함에 있으며, 또한 제1 다이오드(D1)는 릴레이 1의 고장에 의해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하는 전기가 없을 시에도 항상 시동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안전 설계이다. 아울러,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의 대립형 배치는 콘넥터5(con5)로 유입되는 승압된 15V ~ 19V의 외부 전기가 12V 전용으로 작동되는 내부의 다른 장치에 피해를 주지 않게 하는 역전류 방지의 안전 설계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인젝터 구동부(103)는 키 온시,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인젝터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인젝터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인젝터와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D3, D4)와,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2 안전 휴즈(휴즈 3) 및, 상기 제2 안전 휴즈(휴즈 3)와 상기 정류부(D3, D4)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L3, C3)를 구비한 구조이다. 즉, 차량 휴즈박스 내의 인젝터 휴즈에 키 온 했을 때 인가되는 12V 라인을 취하여 콘넥터6(con6)으로 유도하여 D3을 통해 정류해 L3, C3를 통해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고, 거기에 더하여 D4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합류하여 제2 안전 휴즈(휴즈 3)를 거쳐 인젝터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인젝터를 구동시키는 회로 구성이다.
연료펌프 구동부(104)는 키 온시, 상기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연료펌프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하여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연료펌프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D5, D6)와,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3 안전 휴즈(휴즈 4) 및, 상기 제3 안전 휴즈(휴즈 4)와 상기 정류부(D5, D6)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L2, C2)를 구비한 구조이다. 즉, 차량 휴즈박스 내의 연료펌프 휴즈에 키 온 했을 때 인가되는 12V 라인을 취하여 콘넥터8(con8)로 유도, D5을 통해 정류해 L2, C2를 통해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고, 거기에 더하여 D6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합류하여 제3 안전 휴즈(휴즈 4)를 거쳐 연료펌프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회로 구성이다.
점화코일 구동부(105)는 인입 전기 12V ~ 14V에 구동하여 15V ~ 19V의 출력 전기를 출력하는 ig 부스트와 DC-DC 컨버터 및 차량용 노트북 아답터로 구성된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의 전압 인입 라인에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키 온시 통전시키는 릴레이(도1의 "릴레이 1"), 상기 릴레이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3 다이오드(D7) 및 상기 제3 다이오드(D7)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콘덴서(C1)와 제4 안전 휴즈(휴즈 5)로 구성되어 상기 통전시킨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로 인입시키는 제1 전압 인입부 및,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전기를 차량 자체 전기와 합류시켜 병렬 승압된 최종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 전압 인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의 12V 인입라인에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키 온 했을 때 릴레이를 통해 통전시켜 D7과 C1을 거쳐 콘넥터10(con10)을 통해 제4 안전 휴즈(휴즈 5)를 거쳐 인입시키고, DC-DC 컨버터에 의해 승압된 15V ~ 19V의 전기를 D8을 거쳐 콘넥터5(con5)를 통해 차량 자체 전기 12V와 합류하게 하여 병렬 승압된 최종 15V ~ 19V의 전기가 콘넥터4(con4)를 통해 점화코일로 인입되게 하는 회로 구성이다. 아울러 D7과 D8은 외부장치의 입, 출력선을 반대로 결선하여 콘넥터4(con4)와 콘넥터5(con5)에 의해 흐르는 자체 12V를 취하여 15V ~ 19V로 승압해 콘넥터10(con10)으로 역결선하여 회로를 망가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전류 방지용 회로이다. 아울러 C1은 외부 승압장치에 의해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릴레이의 오프(OFF)의 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회로 구성이다.
전기노이즈 처리부(106)는 릴레이(릴레이 1)에 연결되어 마일러 적층 콘덴서(C4~C15)를 통해 전기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는 10배수 회로 라인과, 상기 릴레이(릴레이 1)에 연결되어 기기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 작동하는 써모 R 스위치를 구비한 것이다. 즉, 회전하는 모든 물체는 저역대에서 고역대까지 고유의 전기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는데, C4~C11까지의 10배수로 증가하는 용량의 전해콘덴서를 C12~C15까지의 10배수로 증가하는 마일러 적층 콘덴서를 통해 전기 노이즈를 바이패스하는 회로 구성이며, 기기 내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에 이를 때 써모 R(R타입) 스위치는 작동되어 휀을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필히 키 온하여 릴레이를 통과한 전기에 의해 휀이 구동하여야 한다. 키 오프 후 주차중일 때 외부 온도에 의해 휀이 계속 구동된다면 배터리의 방전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와 차량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코일(L1)(예: 100A 용량의 코일)과,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코일(L1)이 만나는 지점에 일단이 연결된 휴즈(휴즈 6) 및, 상기 휴즈(휴즈 6) 타단에 연결된 슈퍼콘덴서(ELDC)로 된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사용해, 상기 차량 발전기에서 생성된 완벽하지 못한 맥동 DC 전기를 정류하여 전원 노이즈를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다음,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102)는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 휴즈(또는, 점화코일 본체 플러스 인입선)에 키 온 했을 경우 인가되는 12V 아웃 라인을 취하여 유도함과 동시에 그 전기의 일부를 취해 릴레이를 작동시켜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가 제2 다이오드(D2)를 거쳐 제1 안전 휴즈(휴즈 2)를 통해 점화코일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안정된 불꽃방전을 일으키게 한다.
특히, 제1 다이오드(D1)는 키 오프(Key Off) 시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한 전기가 D1라인을 통해 다시 릴레이로 유입되어 릴레이가 항상 붙어있는 요인을 제거함에 있으며, 또한 제1 다이오드(D1)는 릴레이의 고장에 의해 제2 다이오드(D2)를 통과하는 전기가 없을 시에도 항상 시동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아울러, 제1 다이오드(D1)와 제2 다이오드(D2)의 대립형 배치는 콘넥터5(con5)로 유입되는 승압된 15V ~ 19V의 외부 전기가 12V 전용으로 작동되는 내부의 다른 장치에 피해를 주지 않게 하는 역전류 방지의 안전 설계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인젝터 구동부(103)는 차량 휴즈박스 내의 인젝터 휴즈에 키 온 했을 때 인가되는 12V 라인을 취하여 콘넥터6(con6)으로 유도하여 D3을 통해 정류해 L3, C3를 통해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고, 거기에 더하여 D4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합류하여 제2 안전 휴즈(휴즈 3)를 거쳐 인젝터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인젝터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연료펌프 구동부(104)는 차량 휴즈박스 내의 연료펌프 휴즈에 키 온 했을 때 인가되는 12V 라인을 취하여 콘넥터8(con8)로 유도, D5을 통해 정류해 L2, C2를 통해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고, 거기에 더하여 D6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101)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합류하여 제3 안전 휴즈(휴즈 4)를 거쳐 연료펌프의 12V 인 라인으로 유입,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연료펌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점화코일 구동부(105)는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의 12V 인입라인에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키 온 했을 때 릴레이를 통해 통전시켜 D7과 C1을 거쳐 콘넥터10(con10)을 통해 제4 안전 휴즈(휴즈 5)를 거쳐 인입시키고, DC-DC 컨버터에 의해 승압된 15V ~ 19V의 전기를 D8을 거쳐 콘넥터5(con5)를 통해 차량 자체 전기 12V와 합류하게 하여 병렬 승압된 최종 15V ~ 19V의 전기가 콘넥터4(con4)를 통해 점화코일로 인입되게 한다.
아울러 D7과 D8은 외부장치의 입, 출력선을 반대로 결선하여 콘넥터4(con4)와 콘넥터5(con5)에 의해 흐르는 자체 12V를 취하여 15V ~ 19V로 승압해 콘넥터10(con10)으로 역결선하여 회로를 망가뜨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C1은 외부 승압장치에 의해 역기전력이 발생하여 릴레이의 오프(OFF)의 지연을 방지한다.
한편, 회전하는 모든 물체는 저역대에서 고역대까지 고유의 전기노이즈를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기노이즈 처리부(106)는 C4~C11까지의 10배수로 증가하는 용량의 전해콘덴서를 C12~C15까지의 10배수로 증가하는 마일러 적층 콘덴서를 통해 전기 노이즈를 바이패스한다.
그리고, 기기 내의 온도가 적정 온도 이상에 이를 때 써모 R(R타입) 스위치는 작동되어 휀을 구동하게 되는데, 이때 필히 키 온하여 릴레이를 통과한 전기에 의해 휀이 구동하게 하여야 한다. 이는 키 오프 후 주차중일 때 외부 온도에 의해 휀이 계속 구동된다면 배터리의 방전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전기 안정화 처리부 102 :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
103 : 인젝터 구동부 104 : 연료펌프 구동부
105 : 점화코일 구동부 106 : 전기노이즈 처리부

Claims (5)

  1. 차량 배터리;
    맥동 DC 전기가 생성되는 차량 발전기; 및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차량 발전기 사이에 설치된 코일과, 상기 차량 배터리와 상기 코일이 만나는 지점에 일단이 연결된 휴즈 및, 상기 휴즈 타단에 연결된 슈퍼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차량 발전기에서 생성된 맥동 DC 전기를 정류하여 전원 노이즈를 차단하는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키 온(Key On)시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점화코일 휴즈에 인가되는 전압 아웃(OUT) 라인에서 유도되는 전기의 일부를 입력받고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의 상기 소정 전압의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로 안정된 불꽃방전을 일으키도록,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점화코일 휴즈의 인 라인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안전 휴즈 및, 상기 제1 안전 휴즈의 타단에 캐소드 단자가 연결되되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는 마주보도록 대립형 배치로 구성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한 불꽃방전 안정화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온시, 상기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인젝터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인젝터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인젝터와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와, 상기 인젝터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2 안전 휴즈 및, 상기 제2 안전 휴즈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인젝터 구동부; 및
    상기 키 온시, 상기 차량 휴즈 박스 내의 연료펌프 휴즈에 인가되는 상기 소정 전압을 유도하여 정류하고 노이즈를 바이패스시켜 나온 전압에 대해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와 합류시켜 상기 연료펌프의 전압 인(IN) 라인으로 유입, 상기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아웃 라인에 연결된 정류부와, 상기 연료펌프 휴즈의 전압 인 라인에 연결된 제3 안전 휴즈 및, 상기 제3 안전 휴즈와 상기 정류부 사이에 설치된 노이즈 바이패스부를 구비한 연료펌프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의 전압 인입 라인에 상기 전기 안정화 처리부를 거친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키 온시 통전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에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 제3 다이오드 및 상기 제3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콘덴서와 제4 안전 휴즈로 구성되어 상기 통전시킨 고순도 고용량의 전기를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로 인입시키는 제1 전압 인입부; 및
    상기 외장형 정전압 승압부에 의해 승압된 전기를 차량 자체 전기와 합류시켜 병렬 승압된 최종 전기가 상기 점화코일로 인입되도록 하는 제2 전압 인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마일러 적층 콘덴서를 통해 전기 노이즈를 바이패스시키는 10배수 회로 라인과, 상기 릴레이에 연결되어 기기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된 경우 작동하는 써모 스위치를 구비한 전기노이즈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EDI(Electronic Direct Insert) 장치.
KR1020120121190A 2012-10-30 2012-10-30 차량용 edi 장치 KR10126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90A KR101260699B1 (ko) 2012-10-30 2012-10-30 차량용 edi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190A KR101260699B1 (ko) 2012-10-30 2012-10-30 차량용 edi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699B1 true KR101260699B1 (ko) 2013-05-06

Family

ID=4866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190A KR101260699B1 (ko) 2012-10-30 2012-10-30 차량용 edi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6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205A (ja) 2009-11-19 2011-06-02 Anden 車両用電源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205A (ja) 2009-11-19 2011-06-02 Anden 車両用電源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338B2 (en) Electric vehicle
JP5553677B2 (ja) ハイブリッド式発動発電機の出力制御装置
KR101189237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충전장치 및 방법
US7352154B2 (en) Electrical system control for a vehicle
US8975886B2 (en) Charging and distribution control
CN101712284B (zh) 用于将功率逆变器与变压器联接的汽车电气系统
US9774281B2 (en) Motor drive device
US20120193913A1 (en)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US8148934B2 (en) Voltage step-up/down converter
JP2011239523A (ja) 発動発電機の自動起動停止装置
KR20160038348A (ko) 저전압 dc-dc 컨버터 일체형 충전 장치
CN103650288A (zh) 具有电池充电设备和车载电源供电级的系统
EP2419989A1 (en) In-vehicle charger
JP2016132402A (ja) 車両
JP665160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7679219B2 (en) Power supply device
CN114649949A (zh) 大容量双向隔离式直流-直流转换器及其控制方法
KR101260699B1 (ko) 차량용 edi 장치
KR20160120611A (ko) 통합형 모터 구동회로
KR20220072037A (ko) 병렬 인터리빙 운전형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그 제어방법과 장치
JP2000102177A (ja) ハイブリッド車用充電装置
JP2008296797A (ja) 車両用電源装置
JP2007306778A (ja) Dc/dcコンバータ及びdc/dcコンバータの電源切替え方法
US11245349B2 (en) Electric drive system and operating method
US11394300B2 (en) Power supp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