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587B1 -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587B1
KR101260587B1 KR1020100120972A KR20100120972A KR101260587B1 KR 101260587 B1 KR101260587 B1 KR 101260587B1 KR 1020100120972 A KR1020100120972 A KR 1020100120972A KR 20100120972 A KR20100120972 A KR 20100120972A KR 101260587 B1 KR101260587 B1 KR 10126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block
pressure pump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298A (ko
Inventor
조남혜
Original Assignee
조남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혜 filed Critical 조남혜
Priority to KR1020100120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58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58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이동가능한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고 수중 바닥에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 내에 구성되고 고압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탈거시키는 밸브체; 및 상기 세척부와 연결되어 부유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세척부의 본체 내부에서 수중의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되어 있던 오물을 탈거시켜 본체의 내측 상부로 부유시킨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수중 바닥면의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척장치{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나 수영장, 목욕탕, 양어장, 정수장 등과 같은 수중의 바닥에 고착되어 있는 이끼나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는 일정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물이 충진되는 바, 이러한 수조는 사용용도에 따라 수영장이나 목욕탕 또는 양어장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조는 그 내부에 담수되는 물을 자주 교체하더라도 수조의 바닥면에는 소위 '물때' 라고 일컫는 이끼나 및 각종 부착생물 등과 같은 오물이 침전 또는 고착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같이 수조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수질을 혼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수질오염을 야기시키는 아주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수조 바닥면의 오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습식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거나 수조의 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고압 세척하는 방법과 일부 수중에서 세척하는 방식이 있다. 습식 진공청소기는 수조 바닥에 침전된 오물을 밖으로 뽑아내는 효과는 있지만 수조 바닥에 고착된 딱딱한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한다.
한편, 수조의 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세척하는 방식은 다량의 물을 소비해야하며, 특히 활어 양식장의 경우 활어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불편과 이에 따라 폐사의 위험성도 따른다.
일부 수중에서 세척하는 종전방식은 세척은 어느 정도 되지만 세척후 발생하는 오물을 회수하는 시스템이 구비되지 않아 수조 내부에 오물이 존재하여 별도의 진공청소기가 필요하므로 2중 작업이 되는 것은 물론 수질 오염의 위험성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중의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수조의 바닥면에 고착되어 있던 오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흡입 배출시키는 세척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수조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수중 바닥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이동가능한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고 수중 바닥에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 내에 구성되고 고압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탈거시키는 밸브체; 및 상기 세척부와 연결되어 부유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며,상기 밸브체는, 고압펌프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고압수의 일부는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고, 고압수의 나머지는 세척하고자 하는 수중 바닥으로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와 연통되게 연결된 블록부재; 및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를 통해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는 고압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분사하는 제트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상하면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된 중공의 배출관부; 상기 본체의 하면 외주연부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격리 브러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이동을 원활케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하방으로 돌출된 일정길이의 연결대를 통해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가 본체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블록부재는 회전체로서 내부에 고압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갖는 중공의 밸브블록과, 상기 밸브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의 저부에 위치한 하부블록을 포함하는 구성이 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블록은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온 상측 파이프부로 이루어지며, 고압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상부블록의 내측에 유입된 물의 차단을 위해 실(seal)이 회전하는 상측 파이프부의 접촉부에 설치되고, 하부블록의 저부에 외부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설치되게 한다.
상기 밸브블록과 분사노즐 사이에는 중공의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연결로드 상에서 하방 또는 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의 하단부에는 밸브블록과 같이 회전되는 복수의 날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에 따르면, 세척부의 본체 내부에서 수중의 바닥면으로 고압수를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되어 있던 오물을 탈거시키고, 탈거되어 부유된 오물은 제트노즐의 분사력에 의해 배출관을 통해서 외부 배출시킴으로써 수조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가 세척부의 본체에 힌지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의 회전으로 인해 세척부의 진행방향으로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의 바닥면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분사노즐에서 분사된 고압수의 분사력에 대한 반작용으로 밸브블록과 연결로드 및 분사노즐, 날개가 자연적으로 회전되면서 바닥면에서 제거된 오물을 본체의 내측 상부로 신속하게 부유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체가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바닥면에서 제거되어 부유된 오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 세척장치 중 세척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의 저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부의 저부 도면이고, 도 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가 설치된 세척부의 저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부의 저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 바닥 세척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압펌프(300)와 세척부(400), 밸브체(500) 등으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압펌프(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압축기로서 방향전환이 용이한 캐스터 형태의 바퀴(210)를 갖는 대차(200) 위에 구성되어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동원은 엔진, 전기모터, 유압모터 등이 될 수있다.
그리고, 상기 고압펌프(300)는 고압펌프 토출측 호스(310)를 통해서 후술될 세척부(400)의 고압펌프 연결관(700)으로 연결되고, 이 호스(31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압펌프(300)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고압수는 호스(310)를 통해서 세척부(400)의 고압펌프 연결관(7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부(400)는 고압펌프(300)와 연결되고 수중 바닥에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세척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세척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바닥면에 접한 상태로 이동되는 본체(410)와, 본체(4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부(4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410)의 상면 양측에는 이격된 2개조가 한쌍을 이루는 브래킷(411)이 각각 형성되고, 한쌍의 양 브래킷(411) 사이에는 손잡이부(450)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일정길이의 연결대(460)가 힌지핀(412)으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450)는 본체(410) 상에서 전후방으로 회전되면서 본체(410)의 진행방향을 손쉽게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10)의 외측 하단부에는 수중 바닥면에서 본체(410)의 이동을 용이케 하는 캐스터 형태의 바퀴(430)가 본체(410)의 전후좌우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410)의 이동 및 방향전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410)는 그 상하면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는데, 개구된 하면의 외주연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수중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바닥면을 쓰는 한편, 본체(410)의 완충역할을 하는 격리브러쉬(420)가 형성되고, 개구된 상면에는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나팔과 같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배출관부(4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부(440)의 상단부에는 수중 바닥면에서 제거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600)이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상기 밸브체(500)는 세척부(400)의 본체(410) 내에 구성되어 고압펌프(300)에 의한 고압수를 수중 바닥면으로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탈거시켜 본체(410) 내부로 부유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밸브체(500)는 도 3a와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400)의 배출관부(440)에 관통 설치되는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580)와,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Holder)(580)의 저부에 연결 설치되는 블록부재(5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580)는 일측에 고압펌프 연결관(700)이 연결되고 상측부에는 제트노즐(Jet Nozzle)(581)의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고압펌프 연결관(700)을 통해 유입된 고압수는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580) 내부에서 일부는 상측으로, 즉 배출관(600)으로 흘러가고 나머지 일부는 하부로, 즉 세척하고자 하는 수중 바닥으로 흘러가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으로 흘러간 고압수는 제트노즐(581)을 통해 배출관(600)의 내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분사된다. 배출관(600) 내부에서의 상측방향으로의 분사는 세척부 본체(410) 내부에서 부유해 있는 오물이 배출관(600)의 상측방향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는 힘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블록부재(590)는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바, 밸브블록(510)과, 상기 밸브블록(510)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블록(530), 상기 상부블록(430)의 저부에 위치한 하부블록(550), 상기 상부블록(530)과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580)를 연결하는 상부블록 연결니플(5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블록(510)은 하부몸체(511)와, 상기 하부몸체(511)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온 상측 파이프부(513)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고압수가 흐르는 유로(515)가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상측 파이프부(513) 내측의 유로(515)는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몸체(511)의 내부에는 상기 종방향 유로(515)와 연결된 횡방향 유로(토출구)(514)가 형성된다.
한편, 밸브블록(510)은 회전이 이루어지는 부재로서, 하부블록(550)의 내측에 밸브블록의 상측 파이프부(513)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또한, 유입된 물의 차단을 위해 상부블록(530)의 내측에는 실(seal)(531)이 회전하는 상측 파이프부(513)의 접촉부에 설치되고, 하부블록(550)의 저부에는 외부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리테이너(55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블록부재(590)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재간의 결합은 착탈가능한 나사결합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이와 달리 상부블록 연결니플(570)과 상부블록(530) 및 하부블록(550)이 일체화된 하나의 단일 블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하는 밸브블록(510)은 원활한 회전을 위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밸브블록(510)은 그 내부에 고압수가 흐르는 유로(515)가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블록(510)의 하단부에는 유로(515)와 수직하게 연통된 다수의 토출구(514)가 형성되며, 이 토출구(514)에는 중공의 연결로드(520)를 매개로 한 분사노즐(521)이 각각 설치되어 고압수를 분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로드(520)를 매개로 밸브블록(510)에 설치된 분사노즐(521)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10)의 측벽에 근접하게 설치됨으로써 세척부(400)의 본체(410) 내에 위치된 바닥면의 오물을 고압수로서 빠짐없이 탈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521)은 연결로드(520)의 단부에서 하방 또는 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분사노즐(521)이 수중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수중의 바닥면으로 분사된 고압수가 바닥면에서 오물을 탈거시킴과 동시에 바닥면에 분사된 고압수의 반사력에 의해 오물을 본체(410)의 내측 상부로 부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분사노즐(521)의 분사력에 대한 반작용(반발력)으로 밸브블록(510)은 자연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분사노즐(521)에서 분사된 고압수의 반발력에 의해 밸브블록(510)은 회전된다.
상기 하우징(5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원통으로서, 그 하단부 외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다수의 지지대(561)가 본체(410)의 내측면에 볼팅되어 고정됨으로써 세척부(400) 내에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지지 고정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블록(510)의 하단부 즉 연결로드(520) 사이에는 밸브블록(510)과 같이 회전되는 복수의 날개(590)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날개(590)는 밸브블록(510)과 같이 회전되면서 본체(410) 내부에서 탈거되어 부유된 오물을 본체(410)의 내측 상부로 신속하게 이송시켜 배출관(600)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날개(590)와 더불어 연결로드(520) 역시도 밸브블록(510)과 같이 회전되면서 날개(590)와 같은 작동을 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세척장치(100)의 고압펌프(300)는 지상에 위치시키고, 세척부(400)는 수조의 수중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부(450)를 잡고 세척부(400)를 밀어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수중의 바닥면을 세척하게 된다.
즉, 이동되는 세척부(400)의 본체(410) 하면에는 격리브러쉬(420)가 형성되어 있어 수중의 바닥면을 쓰는 것과 함께 내부에 부유된 오물이 본체(410)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양어장에서는 세척부 외부 바닥면에 있는 물고기의 세척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체(410) 내부에서는 분사노즐(521)로부터 고압수가 수중의 바닥면으로 분사되어 바닥면에 고착되어 있는 오물을 탈거시키게 된다.
이때, 고압수는 도 6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펌프(300) -> 호스(310) ->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580) -> 상부블록 연결니플(570) -> 상부블록(530) -> 밸브블록(510)의 유로(515) -> 밸브블록(510)의 토출구(514) -> 연결로드(520) -> 분사노즐(521) 순으로 공급되고, 분사노즐(521)을 통한 고압수는 수중의 바닥면으로 분사되어 바닥면에 고착되어 있던 오물을 바닥면에서 탈거시키고, 탈거된 오물은 바닥면을 향해 분사된 고압수의 반사력에 의해 본체(410) 내측 상부로 부유된다.
한편, 분사노즐(521)에서 고압수가 분사될 때 분사압력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분사노즐(521) 및 연결로드(520)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로드(520)의 회전에 의해 밸브블록(510)이 하우징(56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도 3b에 도시된 날개(590) 역시도 밸브블록(510)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로드(520) 또는 연결로드(520)와 날개(590)의 회전에 의해서 본체(410) 내부에서 탈거된 오물은 도 6에서와 같이 본체(410)의 내측 상부로 신속하게 부유되어 이송되면서 본체(410)의 배출관부(440)에 연결된 배출관(6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트노즐(581)을 통해 상부로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배출관(600) 내측에서는 상부로 이동하게 하는 힘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힘에 의해서 부유된 상태의 오물이 배출관(600)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세척작업 중 세척부(400)의 진행방향을 반대방향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는 세척부(400)의 본체(410)상에서 손잡이부(450)를 반대편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회전된 손잡이부(450)를 잡고 밀면 세척부(400)의 본체(41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수조 내부를 왕복 이동하면서 수중의 바닥면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100 : 세척장치 200 : 대차
210 : 바퀴 300 : 고압펌프
310 : 호스 311 : 중간밸브
400 : 세척부
410 : 본체 411 : 브래킷
412 : 힌지핀 420 : 격리브러쉬
430 : 바퀴 440 : 배출관부
450 : 손잡이부 460 : 연결대
500 : 밸브체 510 : 밸브블록
511 : 하부몸체 513 : 상측 파이프부
514 : 토출구 515 : 유로
520 : 연결로드 521 : 분사노즐
530 : 상부블록 531 : 실(seal)
550 : 하부블록 551 : 볼베어링
553 : 리테이너 560 : 하우징
561 : 지지대 570 : 상부블록 연결니플
580 :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 581 : 제트노즐
590 : 블록부재 600 : 배출관
700 : 고압펌프 연결관 590 : 날개

Claims (9)

  1. 수중 바닥을 세척하는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이동가능한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고 수중 바닥에서 이동되면서 바닥면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 내에 구성되고 고압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오물을 탈거시키는 밸브체; 및
    상기 세척부와 연결되어 부유된 오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체는,
    고압펌프 연결관이 연결되고,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고압수의 일부는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고, 고압수의 나머지는 세척하고자 하는 수중 바닥으로 유동하도록 유로가 형성된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와 연통되게 연결된 블록부재; 및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압펌프 연결관 홀더를 통해 상기 배출관으로 유동하는 고압수를 상기 배출관으로 분사하는 제트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하면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연장 형성된 중공의 배출관부;
    상기 본체의 하면 외주연부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격리브러쉬;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본체의 이동을 원활케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하방으로 돌출된 일정길이의 연결대를 통해서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손잡이부가 본체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부재는 회전체로서 내부에 고압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갖는 중공의 밸브블록과, 상기 밸브블록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블록, 상기 상부블록의 저부에 위치한 하부블록을 포함하는 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은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온 상측 파이프부로 이루어지며, 고압수가 흐르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록의 내측에 유입된 물의 차단을 위해 실(seal)이 회전하는 상측 파이프부의 접촉부에 설치되고, 하부블록의 저부에 외부 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리테이너가 설치된 세척장치.
  7. 삭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과 분사노즐 사이에는 중공의 연결로드가 설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연결로드 상에서 하방 또는 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밸브블록의 하단부에는 밸브블록과 같이 회전되는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장치.
KR1020100120972A 2010-11-30 2010-11-30 세척장치 KR10126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972A KR101260587B1 (ko) 2010-11-30 2010-11-30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972A KR101260587B1 (ko) 2010-11-30 2010-11-30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298A KR20120059298A (ko) 2012-06-08
KR101260587B1 true KR101260587B1 (ko) 2013-05-06

Family

ID=4661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972A KR101260587B1 (ko) 2010-11-30 2010-11-30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9868A (zh) * 2018-09-19 2019-01-25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高压水流式沉积物或泥土中多粒径微塑料分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60Y1 (ko) * 2001-12-13 2002-03-12 박원경 양어장 바닥 세척장치
KR100705356B1 (ko) *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WO2009142506A1 (en) * 2008-05-19 2009-11-26 Oestervold Sten Terje Method and cleaning equipment for cleaning surfaces below water lev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660Y1 (ko) * 2001-12-13 2002-03-12 박원경 양어장 바닥 세척장치
KR100705356B1 (ko) *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WO2009142506A1 (en) * 2008-05-19 2009-11-26 Oestervold Sten Terje Method and cleaning equipment for cleaning surfaces below water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298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790B1 (en) Open-air filtration cleaning device for pools and hot tubs
EP0969167A2 (en) Swimming pool cleaner
JPH0947735A (ja) 水槽清浄機
CN205008296U (zh) 一种玻璃一体化循环清洗设备
CN109351710A (zh) 用于太阳能电池板的清洗设备
CN107568134B (zh) 鱼缸
CN101340840A (zh) 地面清洁设备
JP5404196B2 (ja) 洗浄装置
CN107413782A (zh) 一种新型管壁清洗装置
NZ528811A (en) Apparatus for cleaning surfaces with automatic water supply and drain
CN115646965A (zh) 一种消化内镜专用快速清洗装置
KR101260587B1 (ko) 세척장치
CN113578874B (zh) 一种用于水利工程用的管道外壁除锈设备
US20070017558A1 (en) Surface cleaner with multiple angled orifices
CN108185467A (zh) 一种猕猴桃清洗装置
KR101073886B1 (ko) 살수차
CN108906803B (zh) 水池清刷系统及方法
CN207307361U (zh) 手持管式除污装置
CN207342316U (zh) 移动式除污装置
CN207948609U (zh) 鱼缸
CN212186369U (zh) 一种干湿两用吸尘器
US20210000317A1 (en) Four-direction scrubbing carpet shampooer
KR101557954B1 (ko) 수중 이물질 제거장치
PL184474B1 (pl) Urządzenie do czyszczenia wanien napełnionych cieczą
US20110088725A1 (en) Guide device for an automatic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immersed in a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