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432B1 - 메모리폼 충진요 - Google Patents

메모리폼 충진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432B1
KR101260432B1 KR1020120001075A KR20120001075A KR101260432B1 KR 101260432 B1 KR101260432 B1 KR 101260432B1 KR 1020120001075 A KR1020120001075 A KR 1020120001075A KR 20120001075 A KR20120001075 A KR 20120001075A KR 101260432 B1 KR101260432 B1 KR 101260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foam
foam plate
plate
filling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철
Original Assignee
엠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엠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엠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는 메모리폼의 유연성과 복원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얇게 형성된 메모리폼판으로 제조하고,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에 부드러운 촉감과 뛰어난 보온성을 갖는 솜을 배치하고, 이러한 메모리폼판과 솜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자루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상에 고정용 봉제선으로 봉제되어 메모리폼의 상하에 솜이 조화롭게 설치되어 이불이 무겁지 않으면서 체형에 밀착력이 우수하게 되고 밀착이 됨과 동시에 보온성도 뛰어나게 되어 편안한 착용감으로 인하여 쉽게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메모리폼 충진요{ A memory foam filler duvet }
본 발명은 메모리폼 충진요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부에 메모리폼판이 배치되고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부에 부드러운 솜이 배치되어 접촉감이 부드럽게 되고 겉감과 안감의 가장자리와 메모리폼판의 주위에 고정용 봉제선이 형성되어 메모리폼판이 용이하게 고정되고 메모리폼의 특성인 혈관에 무리가 가지않고 안락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으며 수면 중의 불필요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안락하게 사용하면서도 보온성이 뛰어난 메모리폼 충진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 침대 매트, 방석, 쿠션, 등받이와 같은 침구류는 외피부재의 내부에 솜, 황토, 국화, 메밀 등과 같은 충진물이 충진된 내부부재가 삽입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대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쿠션재의 경우에는 외피(1)의 내부에 충진물(2)이 충진된 내부부재(3)가 삽입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쿠션재는 그 높이나 모양이 개인의 기호와는 상관없이 일관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높이를 조절하거나 모양을 선택할 수 없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건강을 위하여 건조된 약쑥 또는 건조된 국화 등을 충진물로 하여 내부부재를 형성한 침구 등이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침구를 사용하게 되면 약쑥이나 국화 등의 약리작용으로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거나 숙면을 유도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침구류의 경우에는 그 충진물의 분량이 미량일 경우 그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하였고, 다량일 경우에는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충진물을 모두 고가의 약쑥이나 국화 등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에 침구의 가격이 상승되어 소비자들에게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 제20-0340723호의 '분리형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라는 명칭의 고안에서, 충진물이 충진된 다수개의 내부부재가 상호 적층된 상태에서 결속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피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4)가 제공되고, 상기 결속수단(5)은 내부부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여러쌍의 걸림링과 걸림고리로 이루어지거나, 내부부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여러쌍의 결속끈, 또는 내부부재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여러 쌍의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이 제안되어 어느 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지만, 상기의 고안에서는 많은 침구가 다층구조를 가지므로 오히려 사용하기에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메모리폼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6219'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이러한 메모리폼은 그 물리적 특징이 인체의 뼈와 근육의 모양을 원형대로 유지시키는 뛰어난 형상복원력에 의하여 주로 베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우수한 형상복원력에 의하여 메모리폼이 메트리스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정서상 이불과 같은 침구류에는 솜이 들어가야 한다는 뿌리깊은 정서에서 메모리폼으로 제조된 매트리스에 솜이 결여된 매트리스가 이러한 정서로 인하여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6219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모리폼의 탄력성과 유연성과 복원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메모리폼을 얇게 형성된 메모리폼판으로 제조하고,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에 부드러운 촉감과 뛰어난 보온성을 갖는 솜을 배치하고, 이러한 메모리폼판과 솜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자루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상에 고정용 봉제선으로 봉제되어 메모리폼과 솜이 조화되게 설치되어 이불이 무겁지 않으면서 체형에 밀착력이 우수하게 되고 밀착이 됨과 동시에 보온성도 뛰어나게 되어 편안한 착용감으로 인하여 쉽게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메모리폼 충진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장방형으로 절단되고 두께가 0.3~2cm의 두께를 갖는 메모리폼판과,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충진솜과,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에 배치되는 충진솜이 삽입되는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자루와, 상기 수납자루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상에 봉재되어 메모리폼판의 이동이 방지되게 되는 고정용 봉제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는 메모리폼의 유연성과 복원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얇게 형성된 메모리폼판으로 제조하고,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에 부드러운 촉감과 뛰어난 보온성을 갖는 솜을 배치하고, 이러한 메모리폼판과 솜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자루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상에 고정용 봉제선으로 봉제되어 메모리폼의 상하에 솜이 조화롭게 설치되어 이불이 무겁지 않으면서 체형에 밀착력이 우수하게 되고 밀착이 됨과 동시에 보온성도 뛰어나게 되어 편안한 착용감으로 인하여 쉽게 수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쿠션재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분리형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폼 충진요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의 종단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절단되고 두께가 0.5cm의 두께를 갖는 1개로 형성된 메모리폼판(1)과, 상기 메모리폼판(1)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충진솜(2)과, 상기 메모리폼판(1)과 상기 메모리폼판(1)들의 상하에 배치되는 충진솜(2)이 삽입되는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체(3)와, 상기 수납체(3)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1)상에 봉재되어 상기 메모리폼판(1)의 이동이 방지되게 되는 고정용 봉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폼판(1)은 판상의 메모리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메모리폼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주원료로하여 각각의 독립된 라인을 통해 믹싱헤드(Mixing Head)에서 고속의 교반봉에 의해 순간적으로 혼합되어지는 발포반응을 통해 만들어진다. 폴리우레탄은 화학적으로 고분자 사슬 내에 우레탄 결합(~NH-COO~)을 갖는 고분자의 총칭으로 2가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등의 활성수소 화합물과의 결합에 의해 제조된다. 이러한 메모리폼은 폴리올(Poly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를 주원료로 하여 촉매, 정포제, 발포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액상에서 고상으로 발포되는 화학반응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메모리폼은 폴리올(Polyol)에 경화제인 MDI(Diphenyl Methane Diisocyanate)를 정량계량펌프에의해 일정한 비율로 믹싱헤드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믹싱헤드를 통하여 공급되는 MDI와 폴리올을 히팅수단에구비된 성형틀에 주입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방치하여 성형시키며, 성형틀에서 성형된 성형물을 인출하여 밀폐열실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건조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그 제조방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6219'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러한 메모리폼은 그 물리적 특징이 인체의 뼈와 근육의 모양을 원형대로 유지시키는 뛰어난 형상복원력에 의하여 주로 베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특허에 기재된 몰드성형방식만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슬라브방식으로 제조된 메모리폼도 본 발명에서 당연히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메모리폼는 자체적인 향균능력이 있어서 세균이나 박테리아의 서식이 불가능하고 살모넬라균 주입시 24시간안에 99.9% 멸균시키는 효능이 있어 면역력이 약한 아기들과 환자들에게 이상적이고, 메모리폼은 인체를 편안하게 받쳐주고 인체의 무게를 골고루 분산시켜주어 사용이 편리하게 되며, 이러한 메모리폼가 얇은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하에 배치되는 충진솜(2)에 의하여 보다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모리폼판(1)의 두께는 0.3~2cm 로 설정된 이유는 0.3cm 의 이하에서는 메모리폼판(1)의 두께가 얇아서 메모리폼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0.3cm 이상으로 설정되었으며, 2cm 이상에서는 요로서 사용할 수 있는 두께가 한정되어 2cm이하로 설정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폼판(1)은 1개의 통판으로 형성된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봉제부(4)에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복층으로 사이에 충진솜(2)이 있게 2개가 사용될 수도 있고, 메모리폼판이 여러 개가 모여서 각 측면이 접착되는 접착면(1a)이 형성되어 한 개의 메모리폼판(1)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충진솜(2)은 목화솜, 명주솜, 화학솜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명주솜은 이불을 하면 덮었을 경우 감촉이 좋고 포근하면서 아늑한 장점은 있으나 고가이며 품질을 믿을 수 없으며, 목화솜은 흔히 요에 많이 들어가는 솜으로 따뜻하고, 목화솜은 헌솜을 틀어 이불을 만들면 재사용이 가능하고, 우리 체질에는 순식물성인 목화솜이 인체학적으로 건강에도 이로운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화학솜은 구입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충진솜(2)은 두께가 상하에 약 1cm의 두께로 상기 메모리폼판(1)을 감싸는 두께로 형성되고 후술되는 봉제부(4)가 봉제되어 메모리폼판(1)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충진솜(2)이 메모리폼판(1)의 상하에 배치되게 되면 충진솜(2)이 무겁지 않으면서도 신체에 밀착되어 편안한 느낌을 주게 되며 보온성이 우수하게 되어 따듯한 느낌을 주게 되며, 상기 메모리폼판(1)과 협동하여 인체에 밀착되면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게 되므로 안락하게 메모리폼 충진요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충진솜(2)의 두께는 솜의 효과를 많이 보고 싶으면 두껍게 넣고 메모리폼판(1)의 효과를 보고 싶으면 얇게 넣으므로 그 두께를 한정하지 않았다.
상기 수납체(3)는 상기 메모리폼판(1)과 충진솜(2)이 수납되게 되는 것으로, 인체와 접촉하는 안감(31)은 질감이 좋은 면직물이 사용되고, 겉감(32)은 우수한 색상을 갖는 견섬유가 사용되어 2종류의 직물이 사용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1종류로도 사용될 수가 있으며 3종류 이상으로 여러 종류의 직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 봉제부(4)는 충진되어 있는 메모리폼판(1)의 이동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의미와 충진솜(2)의 이동이 방지되게 고정시키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서 메모리폼판(1)의 상부에서 봉제되어 메모리폼판(1)이 고정되는 중간봉제부(41)와 수납체(3)의 가장자리에서 일정간격의 내측으로 가장자리를 따라서 봉재되는 가장자리 봉제부(42)가 형성되어 메모리폼판(1)과 충진솜(2)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A)는, 사용시에 메모리폼판(1)이 인체의 외곽을 따라 굽어지면서 포근하게 인체를 감싸게 되고, 상기 메모리폼판(1)의 상하에 배치된 충진솜(2)이 인체에 접촉되면서 부드러운 느낌과 보온성을 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포근한 느낌과 동시에 안락한 느낌을 받게 되므로 용이하게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되며, 수면시에도 충진솜(2)의 보온력에 의하여 체온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메모리폼판(1)은 봉제부(4)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메모리폼판(1)의 이동감이 없이 편안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폼 충진요는 일반적인 침구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라텍스 분할판 2. 충진솜 3. 수납체
4. 봉제부

Claims (1)

  1. 메모리폼 충진요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폼 충진요는, 장방형으로 절단되고 두께가 0.3~2cm의 두께를 갖는 메모리폼판(1)과,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충진솜(2)과,
    상기 메모리폼판과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하에 배치되는 충진솜이 삽입되는 안감과 겉감으로 이루어진 수납체(3)와,
    상기 수납체의 가장자리와 상기 메모리폼판의 상부에 봉재되어 메모리폼판의 이동이 방지되게 되는 고정용 봉제부(4)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폼판(1)은 1개의 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 봉제부(4)에 1개가 설치될 수도 있고, 복층으로 사이에 충진솜(2)이 있게 2개가 사용될 수도 있고, 메모리폼판이 여러 개가 모여서 각 측면이 접착되는 접착면(1a)이 형성되어 한 개의 메모리폼판(1)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 충진요
KR1020120001075A 2012-01-04 2012-01-04 메모리폼 충진요 KR101260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75A KR101260432B1 (ko) 2012-01-04 2012-01-04 메모리폼 충진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75A KR101260432B1 (ko) 2012-01-04 2012-01-04 메모리폼 충진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432B1 true KR101260432B1 (ko) 2013-05-06

Family

ID=48665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075A KR101260432B1 (ko) 2012-01-04 2012-01-04 메모리폼 충진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4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43U (ko) 2015-08-19 2017-03-02 조성규 전자파 및 미끄럼방지용 메모리폼 요
JP2021108683A (ja) * 2020-01-06 2021-08-0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607A (ja) 2005-10-31 2007-05-17 Toyo Tire & Rubber Co Ltd 掛け布団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7607A (ja) 2005-10-31 2007-05-17 Toyo Tire & Rubber Co Ltd 掛け布団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43U (ko) 2015-08-19 2017-03-02 조성규 전자파 및 미끄럼방지용 메모리폼 요
JP2021108683A (ja) * 2020-01-06 2021-08-0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5444B2 (en) Foam with green tea additive for foam mattresses, pillows and cushions
TWI774973B (zh) 床墊組件
US9113719B2 (en) Feeding pillow with protective surface
EP2007256B1 (en) Mattress or mattress pad with gel section
US20180064253A1 (en) Spine support insert for adjustable cushion device
CA2869685A1 (en) Customizable pillow
US20120272675A1 (en) Human body cooling apparatus
KR101260432B1 (ko) 메모리폼 충진요
RU2607968C1 (ru) Пос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варианты)
JP3619686B2 (ja) 機能可変式の布団セット
KR101553373B1 (ko) 기능성 침구부재
JP3124497U (ja) 改良敷き寝具セット
AU2011100536A4 (en) Pillow
CN201256824Y (zh) 立体多层被
KR101339582B1 (ko) 쑥 원단의 구조
CN1298680A (zh) 一种睡垫
RU2355277C2 (ru) Ортопедическая постельная принадлежность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259504B1 (ko) 라텍스 충진요
JP2015008871A (ja) 敷寝具
CZ17729U1 (cs) Ložná plocha matrací
JPH0473011A (ja) クッショ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192003U (ja)
CN219762945U (zh) 一种便于拆卸的床垫结构
CN211483885U (zh) 可机洗可调高的棉花枕头
RU2798906C1 (ru) Подушка-конструктор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