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82B1 - 쑥 원단의 구조 - Google Patents

쑥 원단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582B1
KR101339582B1 KR1020120038174A KR20120038174A KR101339582B1 KR 101339582 B1 KR101339582 B1 KR 101339582B1 KR 1020120038174 A KR1020120038174 A KR 1020120038174A KR 20120038174 A KR20120038174 A KR 20120038174A KR 101339582 B1 KR101339582 B1 KR 10133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wood
fabric
lining
mugw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661A (ko
Inventor
이용
Original Assignee
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 filed Critical 이용
Priority to KR102012003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58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5/00Resilient upholstery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외피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눈이 고운 망사천으로 이루어지는 바깥감(100)과 상기 바깥감(100)의 안쪽에 배치되는 쑥층(150)과 안감(250)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바깥감(100)과 쑥층(150)과 안감(250)이 자동 원단 기계에 의해 가로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분할 재봉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원단의 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베개 등과 같은 침구류의 외피에 쑥을 구비하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련의 작업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되어 가공시 편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쑥 원단의 구조{STRUCTURE OF THE TEXTURE OF MOGWORT}
본 발명은 베개, 이불, 방석, 등받이용 쿠션 또는 매트 등과 같은 침규류의 외피에 쑥을 충진하고 충진된 쑥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쑥의 유익한 성분이 인체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침구류등의 커버에 사용하는 쑥 원단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바쁜 일상과 인스턴트 식품에서 벗어나 건강한 육체와 정신을 추구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여러 분야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는바, 침구류와 관련해서는 옥, 황토, 쑥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배출하는 각종 천연재료를 활용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쑥은 동의보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그 맛이 쓰면서 매워 비, 신, 간 등에서 기혈을 순환시키며, 하복부가 차고 습한 것을 몰아내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궁을 따뜻하게 하면서 출혈을 멈추게 해 여자의 경도를 바르게 하고, 유산 방지효과가 있다. 그 외 각종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어 세균성 이질과 습진, 피부 가려움증 등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여러 가지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본인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6-0002829호의 쑥이 충진된 포켓 구조에서 기술된 쑥 원단은 원단의 외피는 표면으로 노출되는 표피층과 그 안쪽의 중간내피층이 중첩된 상태에서 표피층과 중간내피층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봉제되어 다수의 쑥 포켓이 형성되고, 상기 쑥 포켓의 저면을 형성하는 상기 중간내피층의 일단에는 각각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쑥 포켓마다 각각의 절개부를 통해 쑥이 충진되어 밀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완전수작업에 의한 방식이므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비능률적이었을 뿐아니라 밀봉작업이 매우 어렵고 주의를 요하지 않으면 바늘이나 재단칼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으며, 한편, 수작업으로 밀봉할 때 밀봉형태가 균일하지 못함은 물론 밀봉된 부위의 실이 풀리게 되어 불량발생율이 높게 되었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인건비 지출과 비능률적인 작업에 따른 원단의 불필요한 낭비등 이 모든 것이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베개 등과 같은 침구류의 원단에 쑥을 구비하되,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 방식으로 가동을 중단시키지 않고 일련의 작업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생산하여 가공시 편의를 제공하고, 제품 크기에 맞춰 사용하기 위해 절단하더라도 쑥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된 쑥 원단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쑥 원단의 바탕을 형성하는 안감과 상기 안감위에 소정 두께로 적층되는 쑥층과 눈이 고운 망사천으로 이루어져, 쑥의 향은 확산되면서 쑥가루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쑥층위에 적층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감과 상기 안감과 쑥층 및 바깥감이 적층된 상태에서 종, 횡, 또는 대각 방향으로 재봉되어 전 면적에 걸쳐 다수의 쑥 충진셀을 형성하는 재봉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쑥층과 상기 안감 사이에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쿠션 원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원단의 구조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로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 재봉되되, 커팅이 용이하고, 커팅시 낭비되는 쑥량을 줄이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중재봉선으로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쑥 원단의 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방식을 자동화로 능률적으로 생산하여 쑥 원단에 의해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수작업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줄며, 수작업으로 밀봉할 때 밀봉형태가 균일하지 못함은 물론 밀봉된 부위의 실이 풀리게 되는 불량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인건비 지출과 비능률적인 작업에 따른 원단의 불필요한 낭비등 원가상승을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쑥원단의 외관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쑥원단의 단면개요도
도3은 본 발명 쑥원단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 쑥원단을 적용한 쑥 배게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쑥원단을 적용한 쑥 배게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 쑥원단의 외관사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쑥 원단의 구조는 바깥감(100)와 안감(250)과 내부에 쑥층(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바깥감(100)은 표면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눈이 고운 망사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깥감(100)으로 눈이 고운 망사천이 사용되는 것은 내측의 쑥층(150)이 보여 시각적으로 쑥 베개에 대한 기능성을 보여주면서 바깥감(100)에 신체가 접촉되었을 때 쑥에서 발산되는 쑥향 등이 원활하게 인체로 전달되어 쑥에 의한 기능효과를 최대한 달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기능성을 달성하면서도 쑥 혹은 쑥가루가 외부로 떨어져 나오지 않도록 눈이 아주 고운 망사천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감(250)은 바깥감(100)의 안쪽으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바깥감(100) 및 쑥층(150)과 함께 가로 세로 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분할 재봉되는 재봉선(300)이 구비되어 쑥의 이탈을 방지하고 시각적인 미감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할 재봉되는 재봉선(300)은 바깥감(100) 및 쑥층(150)과 안감(250)이 일례로 4각형 또는 기타의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봉제되어 다수의 쑥 충진셀을 형성한다.
또한 가로 세로 방향으로 보다 넓은 일정간격으로 봉제되는 이중재봉선(350)은 소정간격으로 두 개 이상의 재봉선(300)으로 이루어져 차후 제품에 사용되기 위한 적합한 사이즈로 컷팅기에 의해 커팅시 쑥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한편, 보온이나 항균, 습기제거 등의 기능을 위하여 상기 쑥층(150)과 상기 안감(250) 사이에 쿠션원단(200), 부직포등의 기능성 재료를 배치하여 일체로 제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롤러(500)에 의해 상기 쿠션원단(200)과 상기 안감(250)이 재봉판(510) 위에 접합되고, 그 상단에 쑥 분배기(520)에 의해 쑥을 골고루 위치시키고, 그 상단에 상기 바깥감(100)을 접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재봉하여 자동화된 원단기기로 쑥 원단을 만들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상의 베개를 덮을 수 있는 사이즈로 상기 이중재봉선(350)을 따라 커팅된 상기 쑥원단(10)의 양끝단에 고정수단(601)을 구비하고 서로 접합하게 하여 쑥 베개(600)를 만들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갯속(700)을 둘러싸는 보호커버의 면적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커팅된 쑥원단(10)의 일측면에 지퍼등의 접합수단을 부착하여 쑥 보호커버(701)를 만들 수 있다.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쑥원단(10)은 상기 이중봉재선(350)으로 4각형 또는 기타의 다각형 형상을 갖도록 봉제되어 다수의 쑥 충진셀을 형성하여, 사이즈가 작은 제품에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쑥 원단의 구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쑥원단 100 : 바깥감
150 : 쑥층 200 : 쿠션원단
250 : 안감 300 : 재봉선
350 : 이중재봉선 500 : 가이드롤러
510 : 재봉판 520 : 쑥 분배기
600 : 쑥 베개 601 : 고정수단
700 : 베개속 701 : 보호커버

Claims (3)

  1. 쑥 원단의 바탕을 형성하는 안감(250);
    상기 안감(250)위에 소정 두께로 적층되는 쑥층(150);
    눈이 고운 망사천으로 이루어져, 쑥의 향은 확산되면서 쑥가루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쑥층(150)위에 적층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감(100);
    상기 안감(250)과 쑥층(150) 및 바깥감(100)이 적층된 상태에서 종, 횡, 또는 대각 방향으로 재봉되어 전 면적에 걸쳐 다수의 쑥 충진셀을 형성하는 재봉선(300)을 형성하되, 상기 재봉선(300)은 커팅이 용이하고 커팅시 낭비되는 쑥량을 줄이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이중재봉선(350)으로 봉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원단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쑥층(150)과 상기 안감(250) 사이에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쿠션 원단(200)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원단의 구조

  3. 삭제
KR1020120038174A 2012-04-12 2012-04-12 쑥 원단의 구조 KR10133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74A KR101339582B1 (ko) 2012-04-12 2012-04-12 쑥 원단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174A KR101339582B1 (ko) 2012-04-12 2012-04-12 쑥 원단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61A KR20130115661A (ko) 2013-10-22
KR101339582B1 true KR101339582B1 (ko) 2013-12-10

Family

ID=4963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8174A KR101339582B1 (ko) 2012-04-12 2012-04-12 쑥 원단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5533A (zh) * 2017-06-08 2017-08-29 宁波华业纤维科技有限公司 一种草席加工工艺
CN109965619B (zh) * 2019-04-15 2020-12-01 刘国成 艾草驱蚊凉感席
KR102180610B1 (ko) * 2019-11-12 2020-11-18 주식회사 창현산업 파우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846B1 (ko) * 2001-06-15 2005-04-07 권칠용 쑥 내장용 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846B1 (ko) * 2001-06-15 2005-04-07 권칠용 쑥 내장용 침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661A (ko) 201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582B1 (ko) 쑥 원단의 구조
CN104958139A (zh) 一种成人纸尿裤及其套装
CN101579555B (zh) 一种远红外矿石粉末保健垫及其制作方法
CN201414605Y (zh) 一种远红外矿石粉末保健垫
KR101225088B1 (ko) 겔 밀림 방지 및 쿠션 물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다중 구획식 쿨 매트의 제조방법
CN104352105A (zh) 按摩坐垫及其制备方法
CN204105553U (zh) 一种隔断组合式羽绒被
CN202681385U (zh) 多功能弧形枕
CN104983516A (zh) 成人纸尿裤及其套装
CN205338419U (zh) 槟榔果体外包树皮保健用品
CN103142085A (zh) 一种舒适枕头
CN204427417U (zh) 一种包含囊芯物的生活用品
CN204743425U (zh) 一种健康环保生物质丝瓜海绵婴儿床垫
CN204427416U (zh) 底布叠合的一种包含囊芯物的生活用品
KR200414628Y1 (ko) 침구류 커버의 쑥충진 포켓 구조
CN207613923U (zh) 腰椎枕
CN201290514Y (zh) 一种面包块状填充的床垫罩
CN209090491U (zh) 一种床垫
CN201920442U (zh) 除味保健地垫
CN102440592A (zh) 珊瑚绒抗菌床垫
CN202950341U (zh) 抗菌驱螨榻榻米
JPH09299195A (ja) 竹活性炭パッド及び該パッドを用いた寝具類並びに浴用剤
KR101002176B1 (ko) 쑥이 충진된 베개
CN209846650U (zh) 一种枕下床头垫
KR200390683Y1 (ko) 천연 숯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