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279B1 -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279B1
KR101259279B1 KR1020110039932A KR20110039932A KR101259279B1 KR 101259279 B1 KR101259279 B1 KR 101259279B1 KR 1020110039932 A KR1020110039932 A KR 1020110039932A KR 20110039932 A KR20110039932 A KR 20110039932A KR 101259279 B1 KR101259279 B1 KR 10125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del ship
main frame
support block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992A (ko
Inventor
안종우
설한신
이창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3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2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모형선의 흘수 변화를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다수 개의 브래킷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의 모형선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모형선 고정용 프레임으로 구성된 모형선 구속 장치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에 발생하는 동압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블록에 전달하는 작용블록 및;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작용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여 모형선이 시험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model ship binding device which has means to prevent draft variation of model ship}
본 발명은 대형캐비테이션터널에서 모형선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모형선을 고정하는 모형선 구속 장치로서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캐비테이션터널에서 모형선(2)을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모형선(2)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모형선 구속 장치(1)가 필요하다. 도 1은 이러한 모형선 구속 장치의 통상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모형선 상부에 모형선 구속 장치가 체결되어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설치를 위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3은 모형선 상부에 모형선 구속 장치가 체결되어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트렁크 내부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모형선 구속 장치(1)의 모형선 부착부(도 5의 9)는 상하 좌우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모형선(2) 부착에 필요한 미세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모형선 구속 장치(1)의 4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대형나사가 달려있는 흘수/트림(draft/trim) 조절 장치(도 4 및 도 5의 4)가 있어 도 5 및 도 12와 같이 모형선 구속 장치(1)가 트렁크(6) 내부에 설치된 후 고정된 상태에서 모형선(2)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모형선 구속 장치를 이용한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 설치의 개념도를 보여준다.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시험부(7) 상부에 위치한 트렁크(6)는 평소에 고정되어 있으며, 트렁크(6) 안쪽으로 모형선 구속 장치(1) 및 이에 체결된 모형선(2)이 설치된다. 흘수 높이에 맞추어 모형선(2)의 설치 높이가 모형선 구속 장치(1)의 흘수/트림 조절 장치(4)를 이용하여 조절된다. 근사적인 모형선(2) 설치 높이가 조절되면 모형선(2)의 요구 흘수면을 따라 제작된 흘수판(5)을 모형선(2)과 트렁크(6) 하부와의 공간에 설치한다. 흘수판(5)이 설치되면 요구 흘수면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상부 덮개(top cover)(3)를 설치한다.
도 5는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의 설치 조립도를 보여준다. 도 5에서 모형선(2)에 설치된 구동모터(10) 및 동력계(11), 축계(12) 배치, 선미의 프로펠러(13) 및 방향타(14)를 확인할 수 있다. 방향타 회전축(15)은 모형선(2) 상방을 관통하여 모형선(2) 상부에 위치한 방향타 회전축 고정판재(16) 및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도 10은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모형선의 흘수 변화가 나타나는 현상을 보여준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2)의 설치가 완료되고 시험부(7)에 유속이 발생하면 동압이 발생하여 시험부(7)의 압력이 감소한다. 이 경우 트렁크(6) 내부에는 유속이 거의 없으므로 시험부(7)의 유속이 올라갈수록 동압 차는 더욱 증가하여 모형선(2)이 시험부(7) 하방으로 처지는 힘이 발생하면서 흘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한편, 트렁크(6) 벽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나사구멍이 제작되어 있는데, 기존에는 모형선(2) 설치 완료 후 이 나사구멍을 이용하여 모형선(2)의 흘수 변화를 방지하는 기구를 부착한 바 있으나, 기구의 설치 및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기능도 우수하지 않아 실험 시 모형선(2)의 흘수 변화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모형선의 흘수 변화를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다수 개의 브래킷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의 모형선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모형선 고정용 프레임으로 구성된 모형선 구속 장치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에 발생하는 동압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블록에 전달하는 작용블록 및;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작용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여 모형선이 시험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블록;
을 포함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를 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작용블록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 홈을 구비한 작용블록 몸체부 및;
상기 작용블록 몸체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곽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블록으로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 몸체부;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상하 이동용 스크류;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와 소정의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용 샤프트;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와 소정의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편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버티는 작용을 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 상기 회전 방지용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바와 동시에 결합하며, 상기 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를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캐비테이션터널에서의 모형선 실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를 간편하고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실험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모형선 구속 장치의 통상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도 2는 모형선 상부에 모형선 구속 장치가 체결되어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설치를 위하여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3은 모형선 상부에 모형선 구속 장치가 체결되어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트렁크 내부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4는 모형선 구속 장치를 이용한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 설치의 개념도를 보여준다.
도 5는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의 설치 조립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가 트렁크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용블록 및 지지블록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용블록 및 지지블록의 설치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에 유속이 발생하여 모형선을 시험부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흡입력이 발생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블록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12는 모형선 구속 장치 및 이에 체결된 모형선이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 구속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17)과 메인 프레임(17)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메인 프레임(17)의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다수 개의 브래킷(19) 및 메인 프레임(17)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의 모형선(2)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모형선 고정용 프레임(20)으로 구성되며,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모형선의 흘수 변화를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하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이라 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 구속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4군데의 메인 프레임 고정 장치(18)가 트렁크(6)에 체결됨으로써 트렁크(6)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은 작용블록(21) 및 지지블록(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용블록 및 지지블록의 구성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용블록 및 지지블록의 설치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에서 (a)는 작용블록(21) 및 지지블록(22)이 설치된 상태를 메인 프레임(17)의 내부에서 외부로 바라본 모습이고, (b)는 작용블록(21) 및 지지블록(22)이 설치된 상태를 메인 프레임(17)의 외부에서 내부로 바라본 모습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작용블록(21) 및 지지블록(22)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용블록(21)은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7)에 설치된다. 작용블록(21)은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7)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7)에 발생하는 동압으로 인하여 메인 프레임(17)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블록(2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작용블록(21)의 이러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용블록(2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블록 몸체부(23) 및 전달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작용블록 몸체부(23)는 메인 프레임(17)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 홈(24)을 구비한다. 따라서 작용블록(21)은 작용블록 몸체부(23)에 의하여 메인 프레임(17)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뒤로 위치 이동을 할 수 있다.
전달부(25)는 작용블록 몸체부(23)의 상단에 부착되어 메인 프레임(17)의 외곽으로 돌출되며(도 9 참조), 지지블록(22)(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블록(22)의 지지부(30))과 연결되어(도 9 참조) 지지블록(22)으로 힘을 전달한다.
한편, 지지블록(2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6)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작용블록(21)과 연결되어 작용블록(21)을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된다(도 9). 지지블록(22)은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7)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작용블록(21)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여 모형선(2)이 시험부(7)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블록(22)의 이러한 작용에 대해서도 역시 후술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블록(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 몸체부(23), 상하 이동용 스크류(27), 회전 방지용 샤프트(28), 가이드 바(29) 및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블록 몸체부(23)는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6)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판 형상의 구조물이다.
상하 이동용 스크류(27)는 지지블록 몸체부(23)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30)와 결합하여 지지부(30)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하 이동용 스크류(27)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30)를 관통하여 결합하므로, 상하 이동용 스크류(27)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지지부(30)가 상하 이동용 스크류(27)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지지부(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메인 프레임(17)의 설치 높이 및 이에 따른 작용블록(21)의 설치 높이에 맞추어 지지부(30)의 상하 높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은 이러한 상하 이동용 스크류(27)의 작용에 따라 메인 프레임(17)의 설치 높이와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회전 방지용 샤프트(28)는 지지블록 몸체부(23)에서 상하 이동용 스크류(27)와 소정의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30)와 결합하여 지지부(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용 스크류(27)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이에 따라 지지부(30)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성질이 나타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 지지부(30)는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여야 할 뿐 회전하여서는 안 되므로(왜냐하면 지지부(30)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25)와 정확히 연결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지지부(3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회전 방지용 샤프트(28)가 지지부(30)의 회전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가이드 바(29)는 지지블록 몸체부(23)에서 상하 이동용 스크류(27)와 소정의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30)와 결합하여 지지부(3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편 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버티는 작용을 한다. 가이드 바(29)는 이처럼 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버티기에 무리가 없도록 강력한 SUS재질로 제작된다. 가이드 바(29)가 지지부(30)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버티는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부(30)는 지지블록 몸체부(23)에서 상하 이동용 스크류(27), 회전 방지용 샤프트(28) 및 가이드 바(29)와 동시에 결합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25)와 연결되어 전달부(25)를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7)의 좌우 측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7)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7)에 발생하는 동압으로 인하여 메인 프레임(17)에 가해지는 힘을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이 여러 지점으로 나누어 고르게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모형선(2)의 흘수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이 메인 프레임(17)의 좌우 측면에 각각 5개씩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의 경우 작용블록(21)은 메인 프레임(17)에 항상 설치되어 있으며 실험을 할 때마다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할 필요가 없는 것이므로 그 설치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 즉,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트렁크(6)에 모형선(2)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용블록(21)의 위치를 메인 프레임(17)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고 지지블록(22)을 트렁크(6) 벽면에 설치된 나사구멍과 일치시켜 볼트로 고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의 모든 설치 작업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 작용블록(21)의 전달부(25)와 지지블록(22)의 지지부(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아래로 포개져 볼트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모형선(2)의 설치가 완료되고 시험부(7)에 유속이 발생하면 동압이 발생하여 시험부(7)의 압력이 감소한다. 이 경우 흘수판(5)으로 분리된 트렁크(6) 내부에는 유속이 거의 없으므로 시험부(7)의 유속이 올라갈수록 동압 차는 더욱 증가하여 모형선(2)을 시험부(7)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흡입력이 상승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흡입력을 그대로 방치하면 모형선(2)이 시험부(7) 하방으로 쳐지게 되면서 흘수 변화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의 작용으로 인하여 모형선(2)의 흘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형선(2)을 시험부(7)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흡입력은 메인 프레임(17)에 대해서도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메인 프레임(17)에 작용하는 흡입력은 메인 프레임(17)에 설치된 작용블록(21)에 전달되며 이는 다시 작용블록(21)의 전달부(25)를 통하여 지지블록(22)의 지지부(30)로 전달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블록에 작용하는 힘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9에서 작용블록(21)의 전달부(25)와 지지블록(22)의 지지부(30)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 즉 작용블록(21)의 전달부(25)와 지지블록(22)의 지지부(30) 간에 힘이 전달되는 지점을 도 11에서 하중 작용점이라고 한다면, 하중 작용점과 가이드 바(29)의 위치 차이로 인하여 가이드 바(29)에는 지지부(30)가 휘어지려는 모멘트가 전달된다. 이때 가이드 바(29)는 지지부(3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중 작용점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발생한 모멘트는 가이드 바(29)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지지부(30)는 트렁크(6) 벽면에 설치된 지지블록 몸체부(23)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의 어떠한 이동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30) 위에 얹혀 있는 작용블록(21)(보다 정확하게는 작용블록(21)의 전달부(25)) 또한 상하 방향으로의 어떠한 이동도 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메인 프레임(17)도 상하 방향으로의 어떠한 이동도 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메인 프레임(17)이 상하 방향으로 어떠한 이동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모형선(2)의 흘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캐비테이션터널에서의 모형선 실험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를 간편하고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실험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형선 구속 장치
2 : 모형선
3 :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상부 덮개(top cover)
4 : 모형선 구속 장치의 흘수/트림(draft/trim) 조절 장치
5 :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흘수판
6 :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트렁크
7 :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시험부
8 : 대형캐비테이션터널의 시험부의 관측창
9 : 모형선 구속 장치의 모형선 부착부
10 : 모형선에 설치된 구동모터
11 : 모형선에 설치된 동력계
12 : 모형선에 설치된 축계
13 : 모형선 선미의 프로펠러
14 : 모형선 선미의 방향타
15 : 모형선 선미의 방향타 회전축
16 : 모형선 상부에 위치한 방향타 회전축 고정판재
17 : 메인 프레임
18 : 메인 프레임 고정 장치
19 : 브래킷
20 : 모형선 고정용 프레임
21 : 작용블록
22 : 지지블록
23 : 작용블록 몸체부
24 : 작용블록 몸체부의 끼움 홈
25 : 전달부
26 : 지지블록 몸체부
27 : 상하 이동용 스크류
28 : 회전 방지용 샤프트
29 : 가이드 바
30 : 지지부

Claims (4)

  1. 사각틀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구조강도를 보강하는 다수 개의 브래킷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아래의 모형선을 붙잡아 고정시키는 다수 개의 모형선 고정용 프레임으로 구성된 모형선 구속 장치로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며, 대형캐비테이션터널 내 시험부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에 발생하는 동압으로 인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가해지는 힘을 지지블록에 전달하는 작용블록 및;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 벽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블록을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작용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지지하여 모형선이 시험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지지블록;
    을 포함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블록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 홈을 구비한 작용블록 몸체부 및;
    상기 작용블록 몸체부의 상단에 부착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곽으로 돌출되며, 상기 지지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지지블록으로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볼트를 이용하여 트렁크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블록 몸체부;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상하 이동을 유도하는 상하 이동용 스크류;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와 소정의 간격만큼 우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용 샤프트;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와 소정의 간격만큼 좌측으로 이격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고정 설치되며 지지부와 결합하여 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한편 지지부에 가해지는 힘에 대응하여 버티는 작용을 하는 가이드 바 및;
    상기 지지블록 몸체부에서 상기 상하 이동용 스크류, 상기 회전 방지용 샤프트 및 상기 가이드 바와 동시에 결합하며, 상기 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부를 아래에서 위로 떠받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다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KR1020110039932A 2011-04-28 2011-04-28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KR10125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32A KR101259279B1 (ko) 2011-04-28 2011-04-28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932A KR101259279B1 (ko) 2011-04-28 2011-04-28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992A KR20120121992A (ko) 2012-11-07
KR101259279B1 true KR101259279B1 (ko) 2013-05-06

Family

ID=4750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932A KR101259279B1 (ko) 2011-04-28 2011-04-28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2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06A (ko) 2019-02-21 2020-08-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 파손방지장치
KR20200102303A (ko) 2019-02-21 2020-08-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7845B (zh) * 2023-12-07 2024-02-23 江苏润泽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水带用捆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69Y1 (ko) 2005-11-01 2006-01-26 최종력 파이프 고정용 지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169Y1 (ko) 2005-11-01 2006-01-26 최종력 파이프 고정용 지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306A (ko) 2019-02-21 2020-08-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 파손방지장치
KR20200102303A (ko) 2019-02-21 2020-08-3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모형선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992A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279B1 (ko) 모형선의 흘수 변화 방지 수단을 구비한 모형선 구속 장치
KR100899163B1 (ko)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US7972061B2 (en) C-arm having a radiographic source and a heat pump
CN105366584A (zh) 车载式辐射检测系统用升降机构及车载式辐射检测系统
KR101335481B1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장치
KR100765633B1 (ko) 차량용 gps 안테나의 수평 유지 장치
US8484910B2 (en) Active dynamic vibration absorber
CN105692405A (zh) 电梯轿厢
CN105245168A (zh) 一种光伏安装设备
KR101857040B1 (ko) 모형선 풍하중 계측 장치
JP5425234B2 (ja) ガイドレールブラケット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7856419A (zh) 墨栈升降驱动装置
JP6604622B1 (ja) エレベータのドア支持装置
JP2013249592A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CN220410509U (zh) 一种用于洗车机的防撞装置
KR20120121991A (ko) 실험 장비의 교체 및 설치가 가능한 모형선 구속 장치
JP4390724B2 (ja) 洗車装置
CN215041504U (zh) 一种印控机进纸器驱动装置
KR101639876B1 (ko) 차량용 바디마운팅 진동절연장치
CN210620406U (zh) 一种河道水应急处理装置
RU2658237C1 (ru) Выдвижная подножк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7820813U (zh) 一种可调节雷达装置
KR102152926B1 (ko) 비닐하우스용 장치판
CN216243118U (zh) 一种公路运输车辆安全监管装置
CN107910982A (zh) 位置记忆电机、座椅总成及电机的位置记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