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056B1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9056B1 KR101259056B1 KR1020120002139A KR20120002139A KR101259056B1 KR 101259056 B1 KR101259056 B1 KR 101259056B1 KR 1020120002139 A KR1020120002139 A KR 1020120002139A KR 20120002139 A KR20120002139 A KR 20120002139A KR 101259056 B1 KR101259056 B1 KR 1012590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onjunctiva
- spring
- coherence tomography
- optical cohere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007—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76/00—Medical imaging apparatus involving image processing or analysi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72—Tomographic images
- G06T2207/10101—Optical tom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는,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이 입사되어 측정되는 상기 마이봄샘으로부터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간섭계부; 상기 간섭계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간섭계부에서 조사되는 간섭무늬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부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얻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마이봄샘의 단면을 촬영하고, 상기 단면을 재구성하여 3차원의 마이봄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이봄샘 촬영기 및 마이봄샘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 및 마이봄샘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은 눈꺼풀 내 피지샘의 일종으로 지방성분을 분비함으로써 눈물층 위에 기름층을 형성한다. 마이봄샘 기능장애(Meibomian gland dysfunction)가 있는 경우에는 지방성분의 분비가 줄어들어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하여 안구건조증후군이 생기기도 한다. 마이봄샘 기능장애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눈꺼풀과 안구 표면에 대한 세극등 검사와 마이봄샘 촬영이 필요하다.
기존에 눈꺼풀의 마이봄샘을 활영하기 위해서는 눈꺼풀의 피부쪽에 광원을 대고 눈꺼풀을 뒤집어 피부와 마이봄샘을 통과한 빛의 영상을 촬영 (transillumination, 투조(透照))하였다. 그러나 검사를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며 광원이 피부에 접촉하기 때문에 열감, 눈부심 등의 불편감이 있어서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마이봄샘의 단면을 촬영한 후 이를 재구성하여 3차원의 마이봄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광간섭성 단층촬영(Optical Coherent Tomography, OCT)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 및 마이봄샘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는,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생성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이 입사되어 측정되는 상기 마이봄샘으로부터 간섭무늬를 생성하는 간섭계부; 상기 간섭계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간섭계부에서 조사되는 간섭무늬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부; 및 상기 검출부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부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얻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처리부는 상기 마이봄샘의 단면을 촬영하고, 상기 단면을 재구성하여 3차원의 마이봄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파장은 1000 내지 1600 nm의 범위에 속하며,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중심파장은 13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파장가변속도는 실시간 단층 영상획득을 위하여 수십 k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를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봄샘 촬영방법은,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결막부에 의해 덮혀 있는 마이봄샘 영역인 대상 영역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으로서,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으로부터 얻은 광단층 영상에서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와,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결막부 표면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를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와,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 및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결막부의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봄샘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가우시안 신호 필터를 수행하여 상기 공기 영역에 존재하는 잡음 신호와 상기 결막부 표면에 존재하는 섬광(speckle)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광단층 영상의 각 단층 이미지에서 상기 결막부 표면의 경계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단층 이미지를 평탄화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하 흔들림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은,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마이봄샘에 조사하여 간섭무늬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무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단층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파장은 1000 내지 1600 nm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중심파장은 1310 n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은,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마이봄샘에 조사하여 간섭무늬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무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단층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파장은 1000 내지 1600 nm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중심파장은 1310 n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에 의하면, 고속으로 눈꺼풀결막 밑의 마이봄샘을 촬영할 수 있으며 눈꺼풀의 움직임에 의한 오차를 최소화한 3차원의 마이봄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에 의하면, 환자의 마이봄샘의 3차원 형태학적 특징을 알 수 있으며, 안구건조증후군, 마이봄샘 기능장애 등의 진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에서 마이봄샘 영역의 3차원 영상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사람의 눈꺼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눈꺼풀을 뒤집었을 때 볼 수 있는 모습을 찍은 이미지이다.
도 5는 눈꺼풀을 뒤집어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이미지이다.
도 6은 눈꺼풀을 뒤집어 여러 개의 단층 촬영을 위하여 단층 스캔할 영역을 설정한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마이봄샘이 위치한 눈꺼풀의 단면 이미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이다.
도 9는 마이봄샘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에서 마이봄샘 영역의 3차원 영상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사람의 눈꺼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눈꺼풀을 뒤집었을 때 볼 수 있는 모습을 찍은 이미지이다.
도 5는 눈꺼풀을 뒤집어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이미지이다.
도 6은 눈꺼풀을 뒤집어 여러 개의 단층 촬영을 위하여 단층 스캔할 영역을 설정한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7은 마이봄샘이 위치한 눈꺼풀의 단면 이미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이다.
도 9는 마이봄샘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에"라 함은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Optical Coherent Tomography, OCT)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OCT)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기(이하, 'OCT 촬영기'라고 한다)(10)는 광원부(20)와, 상기 광원부(20)의 후단에 연결되는 간섭계부(30)와, 상기 간섭계부(30)의 후단에 연결되는 검출부(40) 및 상기 검출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영상처리부(50)를 포함한다.
광원부(20)는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간섭계부(30)는 상기 광원부(20)로부터 방출되는 레이저광이 입사되어 측정되는 마이봄샘으로부터 간섭무늬를 생성한다. 검출부(40)는 상기 간섭계부(30)에서 조사되는 간섭무늬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며, 영상처리부(50)는 상기 검출부(40)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영상을 얻는다. 상기 영상처리부(50)는 상기 마이봄샘의 단면을 촬영하고, 상기 단면을 재구성(reconstruction)하여 3차원의 마이봄샘 영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원부(20)는, 일례로 52kHz 스웹트 소스 파이버 링 레이저(Swept Source Fiber Ring Laser)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레이저(Laser)의 이득매질로는 중심파장 1310nm 대역의 반도체 광증폭기((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SOA)(21)를 사용한다. 레이저(Laser)의 여기 에너지원으로서 전류를 흘려 주면 반도체 광증폭기(21)는 양쪽 방향(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빛을 내주게 된다. 이 때 레이저의 손상을 막고, 발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두 개의 아이솔레이터(Isolator)(23, 24)를 추가해 주어, 시계방향으로만 빛이 전파되게 한다. 여기서 공진기는 링(Ring) 모양의 광섬유가 된다. 이 빛이 라운드-트립(round-trip)을 반복하게 되게 되고, 다시 이득 매질인 반도체 광증폭기(21)로 되돌아오면서, 점점 손실보다는 이득이 커지게 되어 발진하게 된다.
한편, 파장이 가변하는 레이징 조건을 만들어 주기 위해, 파장 가변 필터(FFP-TF, Fiber Fabry Perot Tunable Filter)(26)를 공진기 안에 삽입해 준다. 파장 가변 필터(26)의 조건에 따라서 특정한 한 파장의 빛이 계속해서 이득을 얻게 되어, 특정 파장의 빛이 발진하게 된다. 이 때 높은 에너지로 발진하게 된 빛이 제1 커플러(Coupler)(28)를 지나게 되면서, 공진기 안을 벗어나게 되고, 다음 단에 있는 반도체 광증폭기(29)에 빛이 도달하게 되면 더욱 더 높은 에너지 상태의 레이저 빛이 생성이 된다.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파장은 결막의 빛의 파장에 따른 광흡수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1000 내지 1600 nm의 범위의 근적외선 파장 대역에 속하며,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중심파장은 131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의 레이저광의 파장가변속도는 수십 kHz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50 kHz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간으로 단층 영상 신호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마이봄샘은 약 0.3 mm의 반투명한 눈꺼풀결막의 밑에 있어 가시광선대역이나 1000nm 미만의 근적외선 대역에서는 광신호의 손실이 커서 OCT영상이 잘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망막에서 사용하는 중심파장 800 nm의 OCT 촬영기로는 눈꺼풀결막 밑의 마이봄샘이 거의 촬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1310nm 파장대역 OCT 촬영기(10)는 눈꺼풀결막에서의 흡수를 최소화하여 눈꺼풀결막의 밑에 있는 마이봄샘을 촬영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OCT 촬영기(10)의 파장가변 광원의 대역폭이 100nm에 이르므로 OCT 영상의 분해능이 약 5㎛에 가까워서 미세구조를 가진 마이봄샘의 촬영에 효과가 있다. 특히 마이봄샘의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깊이에 대해서는 5㎛, 수평에 대해서는 13㎛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간섭계부(3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원부(2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빛은 제2 커플러(Coupler)(31)를 거치게 된다. 이 때 10% 의 빛은 디지타이저(Digitizer)(38) 의 트리거(Trigger)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나머지 90% 의 빛이 OCT 촬영기(10)로 들어가게 된다.
우선 트리거(Trigger) 신호 생성을 살펴보면, 파장가변 레이저와 디지타이저(Digitizer)(Analog to Digital Converter)(38) 간에 동기를 맞추기 위해, 기존에는 FFP-TF(26)를 구동하는 파형 발생기(Function Generator, FG)(261)의 동기 신호(Sync. Signal)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실제 레이저의 상태는 온도 등 외부환경에 의해, FFP-TF(26) 내부에 있는 에탈론이 변형되어 공진 길이가 바뀌어, 발진 파장대역이 이동(shift)하게 된다. 즉, 동기 신호(Sync. Signal) 자체를 트리거(Trigger) 신호로 사용한다면, 이런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트리거(Trigger) 시점을 가변할 수 없게 된다. 이는 영상의 질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도 1에서와 같이 이미 발진되어 OCT 촬영기(10)로 들어가는 빛의 일부를 이용하여 트리거(Trigger)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커플러(31)의 후단 일측에는 제1 써큘레이터(Circulator)(32)가 연결되며, 상기 제1 써큘레이터(Circulator)(32)를 지난 빛은 FBG(Fiber Bragg Grating)(34)을 통해, 특정 파장(1317nm)의 빛만 반사시키고, 나머지 빛은 통과 시킨다. 이 때 반사된 특정 파장의 빛이 다시 제1 써큘레이터 (32)를 지나게 되는데, 상기 제1 써큘레이터(32) 내부에는 아이솔레이터가 달려 있어서 광원 쪽으로는 되돌아갈 수 없고, 상기 제1 써큘레이터(32)의 후단에 연결된 광다이오드(Photo Diode, PD)(35) 쪽으로 가게 된다. 상기 광다이오드(35)의 후단에는 트리거 생성기(Trigger Generator, TG)(37)가 연결되고, 이 때의 아날로그(Analog) 신호는 자체 제작한 트리거 생성기(Trigger Generator, TG)(37)를 거치면서, TTL Trigger 신호로 바뀌게 된다. 이 디지털 신호가 상기 트리거 생성기(37) 후단에 연결된 디지타이저(Digitizer)(38)의 트리거(Trigger) 한 쪽 채널로 들어가게 되어, 파장 가변 레이저와 OCT 신호 획득 간에 동기를 맞추게 된다.
다음으로, OCT 촬영기(10)로 들어가는 빛의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제3 커플러(Coupler)(41)를 지나가게 되면서, 레이저 빛의 출력이 나뉘게 된다. 10%의 레이저 빛은 기준단(Reference arm) 쪽으로, 나머지 90%의 레이저 빛은 샘플단(Sample arm) 쪽으로 들어간다. 기준단에는 제2 써큘레이터(Circulator)(42)가 있다. 우선 빛이 편광 제어기(Polarization Controller, PC)(43)를 지나 빛의 편광 상태가 바뀌지 않도록 조절해 준다. 이는 레이저의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어, 이후 OCT 영상의 잡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콜리메이터(Collimator)(45)를 지나 빛이 평행광이 되어, 거울을 맞아 되돌아 오게 된다. 그러면, 다시 제2 써큘레이터(Circulator)(42)를 지나게 되는데, 제2 써큘레이터(42)는 내부에 아이솔레이터가 있으므로, 다시는 광원 쪽으로 빛이 들어가지 못하고, 3dB 커플러(Coupler)(46)쪽으로 빛이 들어가게 된다.
검출부(40)는 평형 검출기(Balanced Detector)(47)와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471)를 포함하는데, 상기 3dB 커플러(46)로부터 출사된 빛의 출력의 1/2 씩 평형 검출기(Balanced Detector)(47)의 양쪽 채널로 들어가게 된다. 평형 검출기(47)는 OCT 신호 중 DC 잡음, 저주파수 잡음은 상쇄시키고, OCT 신호는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여,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준단(Reference arm)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빛이 샘플(Sample)단을 지나게 된다. 이때의 샘플은 사람 눈의 마이봄샘(Meibomian Glands)이다. 수평방향 스캔을 위해 래터럴 갈바노미터(Lateral Galvanometer)(51)를 사용한다. 이는 2차원 OCT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성이다. 샘플단을 전파한 빛이 3dB 커플러(46)를 지나 평형 검출기(47)의 양쪽 채널로 1/2씩 출력이 나뉘어 들어가게 된다. 이 때, 기준단(Reference arm)과 샘플단(Sample arm) 각각에서의 빛의 전파 경로 차이가 파장 가변 레이저 광원의 FWHM과 중심파장을 고려한 가간섭 거리 내에 있을 경우, 간섭신호(interference signal)가 생성된다. 이를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BPF)(471)를 거쳐 신호대잡음비를 개선시킨 후, 영상처리부(50)를 거치면서 역 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을 하게 되면, 2차원 OCT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50)는 상기 검출부(40)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영상화하는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코어(multicore) CPU 기반 병렬신호처리기술을 이용하여 OCT 단층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서 마이봄샘의 실시간 영상 화면을 보면서 마이봄샘의 단면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2차원 OCT영상은 세로 2mm 내의 200장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2차원 OCT영상 파일들을 3D 재구성(reconstruction)용 프로그램에서 불러들이면 3차원 영상을 완성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에서 마이봄샘 영역의 3차원 영상화를 위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봄샘 촬영방법은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결막부에 의해 덮혀 있는 마이봄샘 영역인 대상 영역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3차원 이미지를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따른다. 이러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은 상기 영상처리부(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으로부터 얻은 광단층 영상에서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1).
대상 영역은 촬영의 대상이 되는 결막부와 마이봄샘을 포함하는 인체 또는 동물(포유류) 몸체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공기 영역은 상기 인체 또는 동물 몸체 이외의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가우시안 신호 필터를 수행하여 상기 공기 영역에 존재하는 잡음 신호와 상기 결막부 표면에 존재하는 섬광(speckle)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결막부 표면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를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2).
이와 같이 경계를 추출함으로써 제거할 부분과 유지할 부분의 기준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3).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광단층 영상의 각 단층 이미지에서 상기 결막부 표면의 경계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단층 이미지를 평탄화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하 흔들림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결막부의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봄샘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를 수행한다(S4).
도 3은 사람의 눈꺼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4는 눈꺼풀을 뒤집었을 때 볼 수 있는 모습을 찍은 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5는 눈꺼풀을 뒤집어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찍은 이미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이봄샘은 눈꺼풀의 눈꺼풀판(tarsal plate) 내에 위치하는 샘(gland)으로, 이러한 마이봄샘은 눈꺼풀의 바깥쪽인 피부 쪽이 아니라 뒤쪽에 있다. 즉, 피부 → 근육층 → 마이봄샘(안검판) → 눈꺼풀결막의 순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마이봄샘을 보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눈꺼풀을 뒤집어야 잘 볼 수 있다.
그러나 눈꺼풀결막 때문에 가시광으로는 눈꺼풀결막 밑에 위치한 마이봄샘이 거의 보이지 않으며,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시 찍으면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보이는데, 얇은 결막 밑으로 기다란 포도송이 모양의 마이봄샘들이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은 눈꺼풀을 뒤집어 여러 개의 단층 촬영을 위하여 단층 스캔할 영역을 설정한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7은 결막과 마이봄샘의 단면 이미지다. 그리고 도 8은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이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단층 촬영을 위하여 단층 스캔할 영역을 설정하고, 도 6의 각 선에 대한 단층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위쪽에 두껍고 균일한 껍질처럼 보이는 것이 결막이고, 그 밑으로 잔 가지 같은 것들이 마이봄샘의 단면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층 이미지를 도 6에 나타낸 스캔 영역에 대해 200장을 찍어 3차원 재구성 편집용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여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결막 밑에 있는 포도송이와 같은 모양의 마이봄샘의 모양을 확인할 수 있다.
광원의 swept frequency는 수십 kHz 이상이고 파워(power)는 수 mW에서 20mW 이내, 중심파장 1310nm, 대역폭(spectral bandwidth)은 100nm 이상 되는 OCT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도 8에 나타난 3차원 OCT 이미지 획득의 조건으로, 광원의 swept frequency 52kHz, 파워(power)는 10mW, 중심파장 1310nm, 대역폭은 100nm, OCT 영상 해상도는 깊이방향으로 5μm, 수평방향으로는 13 μm가 되도록 하였고, 스캔영역은 위 눈꺼풀의 가로 5mm, 세로 2mm로 하였다.
도 9는 마이봄샘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모식도이다.
기존의 적외선 마이봄샘 촬영법으로는 마이봄샘이 정면에서 봤을 때 (a)의 형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 단면이 (b), (c) 어느 쪽과 같을 지 알 수 없지만, 상기 도 8에 나타난 3차원 영상으로 촬영한 결과를 보면 (b)보다는 (c)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CT 촬영기(10)를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이저를 포함한 OCT 촬영기의 전원을 켜고, 환자가 OCT 촬영기 앞에 앉아 머리를 턱받침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사자는 환자의 눈꺼풀을 뒤집어서 마이봄샘을 노출시킨다. 이와 같이 노출시키더라도 마이봄샘은 결막 밑에 있기 때문에 가시광에서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OCT 촬영기의 스캐너를 환자의 눈꺼풀 가까이 이동시킨다. 이 때 OCT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모니터에 실시간으로 마이봄샘의 단층을 나타내 보이기 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소프트웨어의 save button을 누르면 3차원 스캔이 시작된다.
다음으로, 대략 6초 후 3차원 스캔이 끝나면 3차원 재구성용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200장의 단면 이미지를 불러들여서 3차원 재구성을 한다.
마지막으로, 3차원 재구성 소프트웨어에서 몇가지 편집을 마치면 3차원 이미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OCT 촬영기 20 : 광원부
30 : 간섭계부 40 : 검출부
50 : 영상처리부 21, 29: 반도체 광증폭기
23, 24: 아이솔레이터 26: FFP-TF
28: 제1 커플러
31: 제2 커플러 38: 디지타이저
32: 제1 써큘레이터 42: 제2 써큘레이터
34: FBG 35: 광다이오드
37: 트리거 생성기 41: 제3 커플러
43: 편광 제어기 45: 콜리메이터
46: 3dB 커플러 47: 평형 검출기
471: 대역통과 필터 261: 파형 발생기
30 : 간섭계부 40 : 검출부
50 : 영상처리부 21, 29: 반도체 광증폭기
23, 24: 아이솔레이터 26: FFP-TF
28: 제1 커플러
31: 제2 커플러 38: 디지타이저
32: 제1 써큘레이터 42: 제2 써큘레이터
34: FBG 35: 광다이오드
37: 트리거 생성기 41: 제3 커플러
43: 편광 제어기 45: 콜리메이터
46: 3dB 커플러 47: 평형 검출기
471: 대역통과 필터 261: 파형 발생기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결막부에 의해 덮혀 있는 마이봄샘 영역인 대상 영역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으로부터 얻은 광단층 영상에서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과 상기 대상 영역의 결막부 표면에 해당하는 영역의 경계를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 및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결막부의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마이봄샘 영역을 추출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필요한 신호와 잡음을 제거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가우시안 신호 필터를 수행하여 상기 공기 영역에 존재하는 잡음 신호와 상기 결막부 표면에 존재하는 섬광(speckle)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부 표면을 평탄화하는 영상신호처리 단계는,
상기 광단층 영상에서 상기 공기 영역에 해당하는 빈 부분 영상을 제거하고,
상기 광단층 영상의 각 단층 이미지에서 상기 결막부 표면의 경계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정렬하여 상기 단층 이미지를 평탄화하고,
상기 대상 영역의 상하 흔들림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간섭성 단층촬영은,
파장 가변 레이저광을 마이봄샘에 조사하여 간섭무늬를 생성하고, 상기 간섭무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단층 영상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파장은 1000 내지 1600 nm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 레이저광의 중심파장은 131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3차원 이미지를 촬영하는 마이봄샘 촬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139A KR101259056B1 (ko) | 2012-01-06 | 2012-01-06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2139A KR101259056B1 (ko) | 2012-01-06 | 2012-01-06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9056B1 true KR101259056B1 (ko) | 2013-04-29 |
Family
ID=4844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2139A KR101259056B1 (ko) | 2012-01-06 | 2012-01-06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9056B1 (ko)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45017B2 (en) | 2009-04-01 | 2013-10-01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method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8585204B2 (en) | 2007-06-20 | 2013-11-19 | Tearscience, Inc. | Tear film measurement |
US8591033B2 (en) | 2007-06-20 | 2013-11-26 | Tearscience, Inc. | Tear film measurement |
US8600484B2 (en) | 2006-09-29 | 2013-12-03 | Tearscience, Inc. | Meibomian gland imaging |
US8888286B2 (en) | 2009-04-01 | 2014-11-18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KR101473893B1 (ko) | 2013-05-02 | 2014-12-19 | 한국과학기술원 | 재구성 영상의 잡음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US8915592B2 (en) | 2009-04-01 | 2014-12-23 | Tearscience, Inc. | Apparatuses and methods of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employing polarization and subtraction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339177B2 (en) | 2012-12-21 | 2016-05-17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KR20160146220A (ko) | 2015-06-12 | 2016-12-2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외선 마이봄샘 촬영장치 및 마이봄샘 촬영방법 |
WO2017003225A1 (ko) * | 2015-06-30 | 2017-01-05 | 한국과학기술원 | 혼합 빔 스캐닝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
US9642520B2 (en) | 2009-04-01 | 2017-05-09 | Tearscience, Inc. | Background redu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of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employing polarization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KR101776226B1 (ko) * | 2017-01-31 | 2017-09-1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안구건조증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US9795290B2 (en) | 2013-11-15 | 2017-10-24 | Tearscience, Inc. | Ocular tear film peak detection and stabilizat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ar film layer characteristics |
US9888839B2 (en) | 2009-04-01 | 2018-02-13 | Tearscienc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contact lens intolerance in contact lens wearer patients based on dry eye tear film characteristic analysis and dry eye symptoms |
KR101820928B1 (ko) * | 2017-08-03 | 2018-03-08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입체적 인지를 통한 안구건조증 표적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US10278587B2 (en) | 2013-05-03 | 2019-05-07 | Tearscience, Inc. | Eyelid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 for imaging meibomian glands for meibomian gland analysi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04804A (ja) * | 2006-09-29 | 2010-02-18 | テイアサイエ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 マイボーム腺画像化 |
-
2012
- 2012-01-06 KR KR1020120002139A patent/KR101259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04804A (ja) * | 2006-09-29 | 2010-02-18 | テイアサイエンス・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 マイボーム腺画像化 |
Cited B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00484B2 (en) | 2006-09-29 | 2013-12-03 | Tearscience, Inc. | Meibomian gland imaging |
US8585204B2 (en) | 2007-06-20 | 2013-11-19 | Tearscience, Inc. | Tear film measurement |
US8591033B2 (en) | 2007-06-20 | 2013-11-26 | Tearscience, Inc. | Tear film measurement |
US8545017B2 (en) | 2009-04-01 | 2013-10-01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method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8746883B2 (en) | 2009-04-01 | 2014-06-10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y (OSI) devices and system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8888286B2 (en) | 2009-04-01 | 2014-11-18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US11771317B2 (en) | 2009-04-01 | 2023-10-03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8915592B2 (en) | 2009-04-01 | 2014-12-23 | Tearscience, Inc. | Apparatuses and methods of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employing polarization and subtraction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888839B2 (en) | 2009-04-01 | 2018-02-13 | Tearscienc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contact lens intolerance in contact lens wearer patients based on dry eye tear film characteristic analysis and dry eye symptoms |
US11259700B2 (en) | 2009-04-01 | 2022-03-01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10716465B2 (en) | 2009-04-01 | 2020-07-2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rmining contact lens intolerance in contact lens wearer patients based on dry eye tear film characteristic analysis and dry eye symptoms |
US10582848B2 (en) | 2009-04-01 | 2020-03-10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devices and system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10004396B2 (en) | 2009-04-01 | 2018-06-26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devices and system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642520B2 (en) | 2009-04-01 | 2017-05-09 | Tearscience, Inc. | Background redu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of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employing polarization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662008B2 (en) | 2009-04-01 | 2017-05-30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devices and system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999346B2 (en) | 2009-04-01 | 2018-06-19 | Tearscience, Inc. | Background redu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of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employing polarization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693682B2 (en) | 2009-04-01 | 2017-07-04 | Tearscience, Inc. | Ocular surface interferometry (OSI) devices and systems for imaging, processing, and/or displaying an ocular tear film |
US9339177B2 (en) | 2012-12-21 | 2016-05-17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US10244939B2 (en) | 2012-12-21 | 2019-04-02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US10582849B2 (en) | 2012-12-21 | 2020-03-10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US9993151B2 (en) | 2012-12-21 | 2018-06-12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US9668647B2 (en) | 2012-12-21 | 2017-06-06 | Tearscience Inc. | Full-eye illumination ocular surface imaging of an ocular tear film for determining tear film thickness and/or providing ocular topography |
KR101473893B1 (ko) | 2013-05-02 | 2014-12-19 | 한국과학기술원 | 재구성 영상의 잡음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US11141065B2 (en) | 2013-05-03 | 2021-10-12 | Tearscience, Inc | Eyelid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meibomian glands for meibomian gland analysis |
US10278587B2 (en) | 2013-05-03 | 2019-05-07 | Tearscience, Inc. | Eyelid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 for imaging meibomian glands for meibomian gland analysis |
US11844586B2 (en) | 2013-05-03 | 2023-12-19 | Tearscience, Inc. | Eyelid illumin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ing meibomian glands for meibomian gland analysis |
US10512396B2 (en) | 2013-11-15 | 2019-12-24 | Tearscience, Inc. | Ocular tear film peak detection and stabilizat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ar film layer characteristics |
US9795290B2 (en) | 2013-11-15 | 2017-10-24 | Tearscience, Inc. | Ocular tear film peak detection and stabilizat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ear film layer characteristics |
KR20160146220A (ko) | 2015-06-12 | 2016-12-21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외선 마이봄샘 촬영장치 및 마이봄샘 촬영방법 |
KR101709973B1 (ko) * | 2015-06-30 | 2017-02-27 | 한국과학기술원 | 혼합 빔 스캐닝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
KR20170003162A (ko) * | 2015-06-30 | 2017-01-09 | 한국과학기술원 | 혼합 빔 스캐닝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
WO2017003225A1 (ko) * | 2015-06-30 | 2017-01-05 | 한국과학기술원 | 혼합 빔 스캐닝 광 가간섭 단층촬영 방법 및 장치 |
KR101776226B1 (ko) * | 2017-01-31 | 2017-09-1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안구건조증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KR101820928B1 (ko) * | 2017-08-03 | 2018-03-08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입체적 인지를 통한 안구건조증 표적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9056B1 (ko) | 광간섭성 단층촬영을 이용한 3차원 마이봄샘 촬영방법 | |
JP4963708B2 (ja) | オプティカル・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ー装置 | |
JP5587955B2 (ja) | サンプルの周波数領域画像形成を提供するためのプロセス、構成およびシステム | |
JP5546112B2 (ja) | 眼科撮像装置および眼科撮像方法 | |
JP6758900B2 (ja) | 眼科撮像装置 | |
US9138141B2 (en) | Ophthalmologic apparatus | |
US922665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
KR101206832B1 (ko) |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광간섭 단층촬영 방법 | |
JP6469413B2 (ja) | データ処理方法及びoct装置 | |
US8317326B2 (en) | Optical tomographic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 |
JP2009273818A (ja) | 光断層画像撮像装置および光断層画像の撮像方法 | |
KR102044198B1 (ko) | 촬상 장치 | |
JP2013181790A (ja) | 周波数走査型oct用サンプリングクロック発生装置の使用方法、周波数走査型oct用サンプリングクロック発生装置 | |
JP2016077666A (ja) | データ処理方法及びoct装置 | |
US9517007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6491540B2 (ja) | 光干渉断層計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4818959B2 (ja) | 断層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 |
WO2017159018A1 (ja) | 眼科装置 | |
US20160047644A1 (en) | Phase-inverted sidelobe-annihilat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
KR101257355B1 (ko) | 광간섭 단층촬영 장치 | |
JP7394126B2 (ja) | in vivo全視野干渉顕微鏡を用いたイメージング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JP2008151734A (ja) | 光断層画像化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光断層画像化システム | |
US20240245292A1 (en) |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device | |
JP6584125B2 (ja) | 撮像装置 | |
JP6418817B2 (ja) | 断層画像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