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457B1 -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457B1
KR101258457B1 KR1020110003648A KR20110003648A KR101258457B1 KR 101258457 B1 KR101258457 B1 KR 101258457B1 KR 1020110003648 A KR1020110003648 A KR 1020110003648A KR 20110003648 A KR20110003648 A KR 20110003648A KR 101258457 B1 KR101258457 B1 KR 101258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astasis
growth
seq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2259A (ko
Inventor
한장희
이한수
정두일
최종선
김민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03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45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2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횡단 단백질의 일종인 CD47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단편, 즉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암성장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hav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ransendothelial migration of leucocytes and growth or metastasis of cancer cells}
본 발명은 CD47에서 유래한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암성장(cancer growth) 또는 암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펩타이드는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다.
감염, 외상 등에 의해 손상된 조직의 구조와 기능을 복원하기 위한 생체의 방어 반응을 통칭하여 염증 반응이라 한다. 염증 부위로의 백혈구 세포의 이동(mobilization)은 감염에 대한 신속한 해결(resolution) 및 다양한 외상으로부터 발생하는 조직 손상을 복구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잘못되거나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인체 조직의 손상과 질환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염증 질환은 뇌척수막염, 장염, 피부염, 포도막염, 뇌염, 성인성 호흡곤란 증후군 등과 같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이나, 외상, 자가면역질환과 장기이식 거부 등과 같은 비감염 요인에 의하여 발생한다. 염증 질환은 증상이나 병리학적 특징이 구분되는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으로 분류된다. 알레르기나 세균과 바이러스의 감염과 같은 급성 염증의 국소적 증상은 혈류 및 혈관 크기의 변화, 혈관 투과성의 변화 및 백혈구의 침윤 등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경화증. 만성 신장염, 간경화증 등을 비롯한 만성 염증의 주요 병리학적 특징은 염증 유발 요인이 제거가 되지 않아 염증부위로 단핵구, 호중구, 림프구, 형질세포들이 지속적으로 침윤하는 것으로, 그 결과 염증 반응이 만성화된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기 위하여서는 백혈구의 염증 부위로의 침윤이 필수적이며, 이는 여러 세포 유착 분자들(cell adhesion molecules)이 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염증 부위에서 분비되는 케모카인(chemokine)의 유도에 의하여 염증부위의 혈관으로 이동한 백혈구들이 이동속도를 줄이면서 혈관 내피 세포 표면에서 회전하는 단계 (Rolling stage), 백혈구들이 회전을 멈추고 내피세포벽에 견고히 부착하는 단계 (Adhesion stage), 모세혈관과 바닥막을 침윤하는 단계 (Transmigration stage)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마지막 단계 즉 침윤하는 단계(Transmigration stage)는 혈구누출(diapedesis)로 지칭된다.
발암원(carcinogen)에 의해 변화된 암세포는 정상세포보다 빠르게 증식을 하며 종양(tumors) 덩어리를 형성하고, 주변의 조직에 침투하며 정상적인 신체 기능을 저해한다. 암세포는 혈관신생을 유도함으로써,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을 뿐 아니라, 혈관신생에 의해 암세포가 전이되게 된다. 암세포는 특정부위에서 무한 성장을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성장부위를 이탈하여 새로운 부위로 이동하여 성장을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전이(metastasis)라고 한다. 전이과정은 암세포가 이동성이 높은 중간엽성 세포로 변화하여 기존 조직에서 이탈하는 단계, 주위 결합조직과 모세혈관을 침윤하고 이동하는 단계, 혈관 내에서 이동한 후 혈관 밖으로 유출하는 단계, 결합조직 내에서의 이동 및 새로운 부위에서의 성장단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양세포의 전이과정에서 세포유착분자의 세포표면 발현과 활성화 조절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Zetter, B. R. (1993). Adhesion molecules in tumor metastasis. Semin Cancer Biol. 4: 219). 종양세포의 전이 과정은 세포유착물질의 세포면 발현 형태나 활성도의 조절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전이현상의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세포 유착 분자들뿐만 아니라 이들의 발현과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Bailly, M., Yan, L., Whitesides, G. M., Condeelis, J. S., and Segall, J. E. (1998). regulation of Protusion Shape and Adhesion to the sustratum during chemoacic esponses of mammalian carcinoma cells. Exp Cell Res. 241: 285; Frisch, S. M., Vuori, K., Ruoslahti, E., and Chan-Hui., P. (1996). Control of adhesion-dependent cell survival by focal adhesion kinase. J Cell Biol 134: 793; 및 Hannigan, G. E., Leung-Hagesteijn, C. , Fitz-Gibbon, L., Coppolino, M. G., Radeva, G., Filmus, J., Bell, J. C., and Dedhar, S. (1996). Regulation of cell adhesion and anchorage-dependent growth by a new β1-integrin-linked protein kinase. Nature 379: 91).
한편, CD47은 면역글로불린-유사 단백질(immunoglobulin-like protein)로서 인테그린이나 쓰롬보스폰딘-1(thrombospondin-1)과 기능적으로 상호작용한다. 호중구 이동, 축삭 연장과 T 세포 공자극(costimulation)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대식세포의 포식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aiswal S. et al. 2009. CD47 is upregulated on circulating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leukemia cells to avoid phagocytosis. Cell 138:271.).
본 발명자들은 CD47로부터 유래된 특정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 단편(peptide fragment 또는 small peptide)이 백혈구의 혈관외 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혈관신생 및 암세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47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CD47로부터 유래된 특정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성장(cancer growth) 또는 암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염증 질환은 특히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에 의해 유발된 염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성장(cancer growth) 또는 암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 즉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는 백혈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는 혈관신생 및/또는 암세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전이 억제 즉, 암성장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생쥐 단핵구 세포주 WEHI293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WEHI247.1 세포의 혈관외 유출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생쥐 루이스 폐암종 세포주 LLC-1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하였을 때, LLC-1 세포의 혈관외 유출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사람 제대정맥 내피세포의 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로서, 도 3의 A는 현미경 사진이고, 도 3의 B는 관형성 억제도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이 유발된 생쥐에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주입하였을 때 귀두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염증" 또는 "염증 질환"이라 함은 급성 및/또는 만성 염증 질환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류마티스성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유착관절낭염(adhesive capsulitis), 윤활막염(sinovitis), 고관절염(coxarthrit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골다공증(osteoporosis), 관절주위염(periarthritis),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골수염(osteomyelitis), 전신홍반성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류마티스성다발근육통(polymyalgia rheumatica, PMR), 소그렌증후군(Sjogren's Syndrome), 진행성전신경화증(progressive systemic sclerosis, scleroderma), 강직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다발근육염(polymyositis), 피부근육염(dermatomyositis), 천포창(pemphigus), 유사천포창(pemphigoid), 제1형 당뇨병(Type I diabetes mellitus), 중증근육무력증(myasthenia gravis), 하시모도갑상선염(Hashimoto's thyroditis),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그드페스추어증후군(Goodpasture's disease), 혼합결합조직병(mixed connective tissue disease), 경화쓸개관염(sclerosing cholangitis), 크론병(Crohn's Disease)이나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같은 염증성창자병(inflammatory bowel disease), 염증성피부병(inflammatory dermatoses), 간질성폐렴(usual interstitial pneumonitis, UIP), 림프성간질폐렴(lymphoid interstitial pneumonia), 거대세포간질폐렴(giant cell interstitial pneumonia), 세포성간질폐렴(cellular interstitial pneumonia), 호흡결핵박리성간질폐렴(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 석면증(asbestosis), 규폐증(silicosis), 베림륨중독증(berylliosis), 활석증(talcosis), 진폐병(pneumoconiosis), 성인성호흡곤란증후군(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외인성알레르기폐포염(extrinsic allergic alveolitis) 등을 비롯한 염증성호흡기도질환(inflammatory respiratory diseases), 천식(asthma), 아토피피부염(atopic dermatitis), 알레르기비염(allergic rhinitis), 음식 알레르기(food allergy)와 같은 즉시과민반응(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사코이드병(sarcoidosis), 베게너육아종(Wegener's granulomatosis), 다양한 혈관염(angiitis), 만성활동간염(chronic active hepatitis), 옻과민반응(poison ivy dermatitis)과 같은 지연형과민증(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s), 건선관절염(psoriatic arthritis), 라이터증후군(Reiter's syndrome), 류마티스열(rheumatic fever), 급성 또는 만성 사구체신염(acute or chronic glomerulonephritis), 급성증오(acute exacerbations), 신우신염(pyelonephritis), 연조직염(cellulitis), 방광염(cystitis), 급성담관염(acute cholecystitis), 염증성동맥류(inflammatory aortic aneurysm),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스틸씨병(Still'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염증 질환을 수반하는 질환, 예를 들어 재관류손상(reperfusion injury),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s), 조직이식 거부반응(organ transplantation rejection or tissue allograft organ rejection) 등의 환자에게도 투여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염증" 또는 "염증 질환"은 상기한 염증 질환을 수반하는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상기 염증 질환 중 바람직하게는 과민반응, 자가면역질환, 및/또는 류마티스성관절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민반응과 자가면역질환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에 의해 유발된 염증일 수 있으며, 상기 과민반응은 천식(asthma)과 같은 즉시과민반응(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과 옻과민반응(poison ivy dermatitis)과 같은 지연형과민증(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s)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CD47로부터 다양한 길이의 단편을 제조하여, 그 활성을 검색하였다. 놀랍게도, CD47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로서, 3개 내지 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짧은 길이를 갖는 특정 펩타이드 단편들이 백혈구의 내피세포횡단이동을 억제함으로써 항-염증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혈관신생 및 암세포의 혈관외유출을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펩타이드 단편들은 다음 표 1과 같다.
펩타이드명칭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CD47-pep1 서열번호 1 Val-Ile-Pro-Cys
CD47-pep2 서열번호 2 Val-Thr-Asn
CD47-pep3 서열번호 3 Val-Thr-Glu-Leu
따라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 질환은 특히 과민반응(hypersensitivity)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성장(cancer growth) 또는 암전이(cancer metastasis)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펩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락토즈, 옥수수전분 등의 부형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의 윤활제,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유화제, 현탁제, 완충제, 등장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근육내, 복강내, 피하 및 정맥내 투여 형태의 경우, 통상 활성 성분의 멸균 용액을 제조하고, 용액의 pH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맥내 투여의 경우 제제에 등장성이 부여되도록 등장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pH가 7.4인 염수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제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용액제의 형태로 국소적으로 환자의 근육내 혈류에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염증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혹은 유방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직장암, 췌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고형암 또는 골수성 백혈병(lymphoma)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1일 약 1 내지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 일반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상기 표 1 참조)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FMOC solid-phase method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analytical RP 컬럼 (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실시예 2.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를 인산완충식염수(PBS)에 용해시켜, 1 M의 농도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얻어진 단백질 용액을 PBS로 희석하여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단핵구의 시험관 내( in vitro ) 혈관외유출 억제 시험
생쥐 뇌내피세포인 bEND3 (ATCC사, 미국)를 보이덴 챔버(Boyden chamber)의 위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 용액(100 μM)으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거나 전처리하지 않은 생쥐 단핵구 WEHI247.1 (ATCC사, 미국)를 각 처리구에 5 x 105 개씩 가하였다. 이때 아래칸에는 생쥐 섬유모세포인 NIH/3T3를 0.005% 비타민 C와 0.1% 소혈청알부민이 첨가된 DMEM 무혈청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이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서 단핵구의 침윤을 유도하였다. 6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아래칸으로 침윤하여 이동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5회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Control(대조군)은 펩타이드 용액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생쥐 단핵구 WEHI247.1를 5 x 105 개 가하였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혈관 외로 유출된 단핵구의 갯수가 대조군의 약 60∼80% 수준으로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백혈구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염증 부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과정이 수반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염증반응 억제 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2. 암세포의 시험관 내( in vitro ) 혈관외유출 억제능 시험
생쥐 뇌내피세포인 bEND3를 보이덴 챔버(Boyden chamber)의 위칸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제거하고,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 용액(100 μM)으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거나 전처리하지 않은 생쥐 루이스 폐암종 세포주 LLC-1 (ATCC사, 미국)을 각 처리구에 5 x 105 개씩 가하였다. 이때 아래칸에는 생쥐 섬유모세포인 NIH/3T3를 0.005% 비타민 C와 0.1% 소혈청알부민이 첨가된 DMEM 무혈청배지에서 16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이 포함된 배양액을 넣어서 폐암 세포의 혈관외유출을 유도하였다. 6 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아래칸으로 침윤하여 이동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은 3회 이상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에서 Control(대조군)은 펩타이드 용액으로 전처리하지 않은 생쥐 루이스 폐암종 세포주 LLC-1를 5 x 105 개 가하였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생쥐 폐암 세포의 혈관외 유출이 대조군의 약 75 내지 90% 수준으로 억제되었다. 혈관 내로 침윤한 암세포가 혈관을 따라 이동하다가 장기로 전이되기 위해서는 혈관 밖으로 유출되는 과정이 수반됨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효과적인 암세포 전이 억제 활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3. 시험관 내(in vitro) 혈관신생 억제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가 혈관신생에 미치는 영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혈관의 바닥막 성분과 혈관내피 세포의 상호작용은 신생혈관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요소이며, 바닥막 성분의 복합체인 매트리겔 (Matrigel)을 24-웰 플레이트에 넣으면 중합반응을 일으켜 플러그 (plug)를 형성하게 된다. 인간 제정맥 내피 세포(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를 8 x 104 cells/well의 밀도로 매트리겔이 도포된 24 well 세포배양판에 접종한 후, 기초 피브로블라스트 성장 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150 ng/)와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서열번호 1 내지 3의 펩타이드를 100μM 농도로 각각 첨가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도립현미경하에서 x50 배율로 확대하여 신생혈관 형성여부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도 3에서 Control(대조군)은 PBS 만을 처리하였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함유한 용액으로 처리한 경우, 혈관신생이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암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4. IgE-매개 즉시과민반응(IgE-mediat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reactions) 억제 시험
생후 6주 숫컷 Balb/c 생쥐의 꼬리 정맥에 5 ㎍의 IgE 항체를 주사하여 감작시켰다. 24시간 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단편을 생리식염수 100 ㎕에 녹여 생쥐 1마리 당 10 mg/kg의 농도로 복강 투여하였다. 아세톤 및 올리브 오일의 혼합물(4:1, v/v) 중에 0.15%의 농도로 용해시킨 2,4-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2,4-dinitrofluorobenzene, DNFB)의 용액을 항원으로서 사용하여, 상기 용액을 귀에 바름으로써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유도하였다. 음성대조군 생쥐에는 생리식염수 100 ㎕를 주입하고 DNFB를 처리하지 않았으며, 양성대조군 생쥐에는 생리식염수 100 ㎕를 주입하고 DNFB를 처리하였다. 이후 3시간과 6시간 후 디지털측경양각기(digital caliper)를 이용하여 귀두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펩타이드 처리 1일 후부터 매일 시험군 생쥐에게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단편을 10 mg/kg 농도로 복강주사하고, 대조군 생쥐에게는 생리식염수만 복강주사하고, 3일 간 귀두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도 4는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DNFB처리에 의하여 증가한 시험군과 양성대조군 생쥐의 귀두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단편을 주입한 경우에 귀두께가 양성대조군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IgE-매개 즉시과민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KNU-Industry Cooperation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 hav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ransendothelial migration of leucocytes and growth or metastasis of cancer cells <130> PN0452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1 Val Ile Pro Cys 1 <210> 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2 Val Thr Asn 1 <210> 3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fragment <400> 3 Val Thr Glu Leu 1

Claims (4)

  1. 서열번호 1 내지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이 과민반응에 의해 유발된 염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암성장 또는 암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10003648A 2011-01-13 2011-01-13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258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48A KR101258457B1 (ko) 2011-01-13 2011-01-13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48A KR101258457B1 (ko) 2011-01-13 2011-01-13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59A KR20120082259A (ko) 2012-07-23
KR101258457B1 true KR101258457B1 (ko) 2013-04-26

Family

ID=4671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48A KR101258457B1 (ko) 2011-01-13 2011-01-13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513B1 (ko) * 2013-02-13 2019-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및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596A (ja) * 2000-08-08 2002-02-19 Masao Tanihara アポトーシス誘導ペプチド、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アポトーシス誘導剤
US20060135749A1 (en) 2003-06-02 2006-06-22 Takashi Matozaki Cd47 partal peptdie and anti-shps-1 monoclonal antibody
WO2009124403A1 (en) 2008-04-10 2009-10-15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s of diagnosing chronic cardiac allograft rejection
US20100239579A1 (en) 2006-05-15 2010-09-23 Viral Logic Systems Technology Corp. CD47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eases and Disord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596A (ja) * 2000-08-08 2002-02-19 Masao Tanihara アポトーシス誘導ペプチド、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アポトーシス誘導剤
US20060135749A1 (en) 2003-06-02 2006-06-22 Takashi Matozaki Cd47 partal peptdie and anti-shps-1 monoclonal antibody
US20100239579A1 (en) 2006-05-15 2010-09-23 Viral Logic Systems Technology Corp. CD47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mmunological Diseases and Disorders
WO2009124403A1 (en) 2008-04-10 2009-10-15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Methods of diagnosing chronic cardiac allograft rej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59A (ko) 2012-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magnani et al. Tryptase-chymase double-positive human mast cells express the eotaxin receptor CCR3 and are attracted by CCR3-binding chemokines
Wu et al. Stem cell-based therapies in ischemic heart diseases: a focus on aspects of microcirculation and inflammation
EP3360899B1 (en) Antibodies to 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ceacam)
Sehara et al. Potentiation of neurogenesis and angiogenesis by G-CSF after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Jiang et al. Salvianolic acid B and sodium tanshinone II A sulfonate prevent pulmonary fibrosis through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process
Kim et al. Optimiz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y rapamycin in a murine model of 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KR101656104B1 (ko) Pias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u et al. Stem cell mobilizers targeting chemokine receptor CXCR4: renoprotective application in acute kidney injury
WO2006046739A1 (ja) 炎症性疾患治療剤
JP2009521917A (ja) Cxcr4および/または細胞運動の阻害
Li et al. Magnolol-lnduced H460 cells death via autophagy but not apoptosis
Xiao et al. Dihydroartemisinin inhibits Lewis Lung carcinoma progression by inducing macrophages M1 polarization via AKT/mTOR pathway
KR101780575B1 (ko) 신규한 인터루킨-33 수용체와 결합 단백질 조성물 및 그 용도
US8530421B2 (en) Isolated polypeptides used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inhibiting cancer metastasis
Shi et al. Matrine inhibits infiltration of the inflammatory Gr1hi monocyte subset in injured mouse liver through inhibit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EP3007717B1 (en) Peptides with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natural cxcr4
Han et al. Fasudil prevents liver fibrosis via activating natural killer cells and suppressing hepatic stellate cells
KR101258457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성장 또는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u et al. Cardiomyocytic cyclic GMP-AMP synthase is critical for the induction of experimental cardiac graft rejection
US20200060970A1 (en) Exosome preparation for treating diseas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258456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비만세포 탈과립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233073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EP2983696B1 (en) Use of m-csf for preventing or treating myeloid cytopenia and related complications
KR101213445B1 (ko) 백혈구의 혈관외유출 억제 활성 및 암세포의 전이 억제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Nakayama et al. The importance of infiltrating neutrophils in SDF-1 production leading to regeneration of the thymus after whole-body X-ir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