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735B1 -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735B1
KR101257735B1 KR1020110086231A KR20110086231A KR101257735B1 KR 101257735 B1 KR101257735 B1 KR 101257735B1 KR 1020110086231 A KR1020110086231 A KR 1020110086231A KR 20110086231 A KR20110086231 A KR 20110086231A KR 101257735 B1 KR101257735 B1 KR 10125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marking
distance
travel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460A (ko
Inventor
정길상
Original Assignee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재) 한국건설품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8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7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of co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2Measuring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of objects while mov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16Recording elements transferring recording material, e.g. ink, to the recording surface
    • G01D15/18Nozzles emitting record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검사용 측정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대;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바디; 결합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주행휠; 주행휠 일측의 결합바디에 구비되고 주행휠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결합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하는 마킹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할 마킹할 구조물을 따라 본 발명의 측정분할장치를 이동시키면 세팅된 단위 거리마다 마킹액이 분사되면서 구조물에 마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조물에 분할 마킹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Measuring point divide device for structure examination}
본 발명은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면 구조물에 일정거리마다 자동으로 분할 마킹되고,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 검사용 측정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은 설계단계에서부터 시공단계와 사용단계를 거쳐 사용수명의 경과에 따른 자연적인 붕괴나 인위적인 철거 또는 부실시공이나 파손 등에 의한 조기붕괴의 단계로 이루어지는 생멸주기를 가지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물의 붕괴원인은 사용수명의 경과로 인한 자연적인 원인도 일부분을 차지하겠지만 거의 대부분은 시공단계나 사용단계에서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의 변형 중에서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균열의 폭이 미세하여 조기에 발견하기가 어렵고, 균열의 진행속도 또한 매우 느린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시공자나 사용자가 구조물의 안전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이를 무심코 지나쳐 버리기 쉬운 면이 있으나, 어떠한 균열은 구조물의 구조적인 결함을 야기시키고 종국적으로는 구조물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구조물에 발생한 균열현상은 구조물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며, 이와 같은 균열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 또한 구조물의 안정성을 진단하는 매우 중요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측정 장치로 균열된 부분을 측정하기 전에 구조물의 균열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따라서 관로, 교량 상면, 대규모 옹벽 등의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구조물에 분할 마킹을 하므로 구조물의 어느 지점에 균열이 발생되었는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분할 마킹 작업은 보통 작업자가 줄자 등을 이용하여서 수작업으로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1km 이상의 긴 거리를 분할 마킹하는 경우, 그 작업이 매우 힘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측정 작업이 장시간 반복되어서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됨에 따라 정확한 거리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면 구조물에 일정거리마다 자동으로 분할 마킹되도록 한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검사용 측정분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정분할장치는,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대;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바디; 결합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주행휠; 주행휠 일측의 결합바디에 구비되고 주행휠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 결합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하는 마킹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의 다른 특징은, 거리측정부는, 결합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와, 몸체에 설치되어 있고 리셋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와, 주행휠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몸체에 설치되고 주행휠의 회전에 따라 측정되는 주행휠의 리브의 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와, A/D변환부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부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의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A/D변환부로부터 인가되는 리브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리브의 수를 정해진 모드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로 환산하여 그 환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거리 측정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거리측정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의 추출 명령에 따라 해당 거리 데이터를 제어부로 인가하는 메모리부와, 제어부에 연결되어서 제어부에 의해 환산된 그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마킹부는, 결합바디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마킹액이 저장되어 있는 분사액탱크와, 분사액탱크에 설치되어서 주행휠이 구동될 시 바닥면에 마킹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분사액탱크 및 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고 거리측정부에 연결되어서 분사액탱크에서 분사노즐 측으로 공급되는 분사액의 이동을 제어하며 주행휠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되면 분사노즐에서 마킹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지지대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지대의 꺽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가 구비되며, 이 각도조절부는, 양분된 지지대 중 제1지지대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관결합부와, 제1관결합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관결합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인 구형상의 결합보스와, 양분된 지지대 중 제2지지대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관결합부와, 제2관결합부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관결합부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이며 제1관결합부 및 제2관결합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보스의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구형상의 결합돌부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바디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주행휠과, 주행휠 일측의 결합바디에 구비되고 주행휠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결합바디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하는 마킹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할 마킹할 구조물을 따라 본 발명의 측정분할장치를 이동시키면 세팅된 단위 거리마다 마킹액이 분사되면서 구조물에 마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조물에 분할 마킹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대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지대의 꺽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측점분할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지지대의 각도를 꺽어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대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측면도
도 4는 거리측정부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4는 거리측정부를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는, 지지대(10), 결합바디(30), 주행휠(40), 거리측정부(50), 마킹부(60)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0)는, 상단에 손잡이(13)가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대(10)는 그 길이가 너무 길거나 짧으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측점분할장치를 이송시키는데 불편하다. 또한 후술할 마킹부(60)에서 분사되는 마킹액이 바닥면에 명확하게 마킹되도록 분사되려면 분사노즐(62)과 바닥면은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이러한 지지대(10)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지대(10)의 꺽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각도조절부(20)는, 제1지지대(11) 및 제2지지대(12)로 양분된 지지대(10) 중 제1지지대(11)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관결합부(21)와, 제1관결합부(21)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관결합부(21)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인 구형상의 결합보스(22)와, 양분된 지지대(10) 중 제2지지대(12)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관결합부(23)와, 제2관결합부(23)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관결합부(23)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이며 제1관결합부(21) 및 제2관결합부(2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보스(22)의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구형상의 결합돌부(2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그리고 분사노즐(62)과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제1지지대(11) 및 제2지지대(1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대(10)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지지대(10)를 편안한 자세로 파지한 상태에서 분사노즐(62)과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므로 측점 분할 마킹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결합바디(30)는, 지지대(10)의 하단에 결합되며 후술할 거리측정부(50), 마킹부(60)가 설치된다.
주행휠(40)은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된다. 이 주행휠(40)은 지지축(42)에 의해 결합바디(30)에 회전되도록 지지되며 주행휠(40)에는 다수의 리브(4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거리측정부(50)는, 주행휠(40) 일측의 결합바디(30)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한다.
이 거리측정부(50)는,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51)와, 몸체(51)에 설치되어 있고 리셋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52)와, 주행휠(4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몸체(51)에 설치되고 주행휠(40)의 회전에 따라 측정되는 주행휠(40)의 리브(41)의 수를 감지하는 센서부(54)와, 센서부(5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부(54)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5)와, A/D변환부(55)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부(52)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의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A/D변환부(55)로부터 인가되는 리브(41)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리브(41)의 수를 정해진 모드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로 환산하여 그 환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6)와, 제어부(56)와 연결되어 있고 거리 측정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거리측정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56)의 추출 명령에 따라 해당 거리 데이터를 제어부(56)로 인가하는 메모리부(57)와, 제어부(56)에 연결되어서 제어부(56)에 의해 환산된 그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센서부(54)는, 몸체(51)에 설치되어서 센서부(54)를 통과한 리브(41)의 수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센서를 이용하며 계속해서 빛을 송출하는 발광소자가 센서부(54) 일측에 설치되고, 리브(41)로부터 반사되는 발광소자의 빛을 집광하는 수광소자가 센서부(54)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소자에서 송출된 빛은 리브(41)가 통과할 때마다 수광소자에 전달되며 수광소자는 전달된 빛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통과한 리브(41)의 수를 감지한다.
A/D변환부(55)는, 센서부(5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부(54)에서 감지된 회전신호 즉, 센서부(54)를 통과한 리브(41)의 수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56)는, A/D변환부(55)로부터 인가되는 회전신호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에 따라 통과한 리브(41)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회전신호를 거리데이터로 환산하여서 그 환산 결과를 외부로 디스프레이하도록 제어한다.
마킹부(60)는, 결합바디(30)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50)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한다.
이러한 마킹부(60)는,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마킹액이 저장되어 있는 분사액탱크(61)와, 분사액탱크(61)에 설치되어서 주행휠(40)이 구동될 시 바닥면에 마킹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2)과, 분사액탱크(61) 및 분사노즐(62) 사이에 설치되고 거리측정부(50)에 연결되어서 분사액탱크(61)에서 분사노즐(62) 측으로 공급되는 분사액의 이동을 제어하며 주행휠(40)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되면 분사노즐(62)에서 마킹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63)로 이루어진다.
분사액탱크(61)에는, 저장된 마킹액이 분사노즐(62) 측으로 가압되도록 유압펌프가 설치될 수도 있고, 분사액탱크(61)의 내부에 마킹액을 분사노즐(6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판(미도시) 및 가압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가압수단없이 솔레노이드밸브(63)에 의해 분사노즐(62)이 열렸다 닫히면 마킹액의 자중에 의해 한두 방울의 마킹액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거리측정부(50) 및 마킹부(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거리측정부(50)의 몸체(51)에는 베터리(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측점분할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자가 제1지지대(11) 및 제2지지대(12)의 각도를 조절하여서 자신에 맞게 조절하며 분사노즐(62)이 바닥면에 대해 직각을 유지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 조작부(52)의 리셋버튼을 눌러서 회전 변위를 초기화시키며, 주행휠(40)을 구조물의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원하는 지점까지 이동시킨다.
주행휠(40)을 바닥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면 주행휠(40)이 회전되면서 리브(41)가 센서부(54)를 통과하게 된다. 센서부(54)는 리브(41)가 통과될 때마다 리브 감지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A/D변환부(55)로 인가한다. A/D변환부(55)는 리브(41) 감지 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6)로 인가한다. 제어부(56)는 변환된 리브(41) 감지 신호를 카운팅하여 센서부(54)를 통과한 리브(41)의 수를 산출한다.
다음에, 제어부(56)는 카운팅된 리브(41)의 감지 신호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를 메모리부(57)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거리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8)를 통해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시킨다.
주행휠(40)이 회전되어서 세팅된 거리만큼 이동되면 마킹부(60)의 솔레노이드밸브(63)가 작동되어서 분사노즐(62)을 오픈시키며 이에 따라 분사액탱크(61) 내의 마킹액이 분사노즐(62)을 통해 구조물의 바닥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은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주행휠(40)과, 주행휠(40) 일측의 결합바디(30)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50)와, 결합바디(30)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50)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하는 마킹부(6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분할 마킹할 구조물을 따라 본 발명의 측정분할장치를 이동시키면 세팅된 단위 거리마다 마킹액이 분사되면서 구조물에 마킹하게 되며 이에 따라 구조물에 분할 마킹하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지지대(1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지대(10)의 꺽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점분할장치를 사용할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지지대(10)의 각도를 꺽어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대(10)를 파지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지지대(10)를 파지하면서도 분사노즐(62)과 바닥면이 직각을 이루도록 맞출 수 있으므로 마킹액이 구조물의 바닥면에 명확하게 마킹된다.
한편, 지지대(10)의 외면에는 방향제 물질이 코팅됨에 따라, 작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가운데 마킹작업을 할 수 있다.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로즈우드 23∼27중량%, 로즈마리 23∼27중량%, 레몬그라스 23∼27중량%, 라반딘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은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 오일은 측점분할장치로 작업하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 오일 중 로즈우드(Rosewood)는 아마존 정글에서 자생하며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없어 사용에 안전하다. 로즈우드는 신경을 흥분시키지 않으면서도 면역계를 자극시켜 활성화시키므로 면역기능이 약해진 사람에게 좋으며 만성적 피로에 좋으며 두통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준다. 진통효과가 그리 강하지는 않으나 두통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주고 뇌신경을 맑게 깨워주기 때문에 운전이나 작업현장에서 안전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오일로 선택하면 좋다.
로즈마리(Rosemary)는 허브식물 중에서도 가장 오래도록 약용으로 쓰여진 작물중에 하나로 기록되며,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성분이 강해 집중력, 판단력, 기억력, 인지능력 향상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호흡기 질환에도 좋은 효과를 보이는데, 비염, 정맥두염, 천식 등에도 좋다.
레몬그라스(Lemongrass)는 인디아, 브라질, 아프리카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두통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방부, 탈취효과와 더불어 레몬 특유의 향으로 기분을 상쾌하게 해 준다.
라반딘(Lavandin)은 주 화학성분으로 linalyl acetate 등을 들 수 있으며 비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효과가 있고 이외에도 근육통, 두통의 치료효과도 있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지지대(10)의 외면에 코팅됨에 따라 측점분할장치로 작업하는 동안 방향제 물질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어서 작업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10 : 지지대 11 : 제1지지대
12 : 제2지지대 13 : 손잡이
20 : 각도조절부 21 : 제1관결합부
22 : 결합보스 23 : 제2관결합부
24 : 결합돌부 30 : 결합바디
40 : 주행휠 41 : 리브
50 : 거리측정부 51 : 몸체
52 : 조작부 54 : 센서부
55 : A/D변환부 56 : 제어부
57 : 메모리부 58 : 디스플레이부
60 : 마킹부 61 : 분사액탱크
62 : 분사노즐 63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4)

  1. 손잡이(13)가 구비된 지지대(10);
    지지대(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바디(30);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측정할 바닥면에 접촉된 후 회전되면서 이동되는 주행휠(40);
    주행휠(40) 일측의 결합바디(30)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의 회전을 감지하여서 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50);
    결합바디(30)의 타측에 구비되고 주행휠(40)이 전진됨에 따라 거리측정부(50)에 의해 일정 거리가 측정되면 바닥면에 마킹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서 마킹하는 마킹부(60)로 이루어지고;
    거리측정부(50)는,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51)와, 몸체(51)에 설치되어 있고 리셋버튼이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52)와, 주행휠(4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몸체(51)에 설치되고 주행휠(40)의 회전에 따라 측정되는 주행휠(40)의 리브(41)의 수를 감지하는 센서부(54)와, 센서부(5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부(54)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55)와, A/D변환부(55)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부(52)로부터 인가되는 버튼의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A/D변환부(55)로부터 인가되는 리브(41)의 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리브(41)의 수를 정해진 모드에 해당하는 거리 데이터로 환산하여 그 환산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6)와, 제어부(56)와 연결되어 있고 거리 측정에 필요한 제반 기능을 수행하는 거리측정 구동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제어부(56)의 추출 명령에 따라 해당 거리 데이터를 제어부(56)로 인가하는 메모리부(57)와, 제어부(56)에 연결되어서 제어부(56)에 의해 환산된 그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8)로 이루어지며;
    마킹부(60)는, 결합바디(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마킹액이 저장되어 있는 분사액탱크(61)와, 분사액탱크(61)에 설치되어서 주행휠(40)이 구동될 시 바닥면에 마킹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62)과, 분사액탱크(61) 및 분사노즐(62) 사이에 설치되고 거리측정부(50)에 연결되어서 분사액탱크(61)에서 분사노즐(62) 측으로 공급되는 분사액의 이동을 제어하며 주행휠(40)이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되면 분사노즐(62)에서 마킹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밸브(63)로 이루어지고;
    지지대(10)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지지대의 꺽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조절부(20)가 구비되며, 이 각도조절부(20)는, 양분된 지지대(10) 중 제1지지대(11)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관결합부(21)와, 제1관결합부(21)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관결합부(21)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인 구형상의 결합보스(22)와, 양분된 지지대(10) 중 제2지지대(12)의 일단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관결합부(23)와, 제2관결합부(23)의 일측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2관결합부(23)와 연통되도록 내부가 관통형태이며 제1관결합부(21) 및 제2관결합부(2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보스(22)의 내주면에 억지끼워맞춤되는 구형상의 결합돌부(24)로 이루어지며;
    지지대(10)의 외면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고, 방향제 및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로즈우드 23∼27중량%, 로즈마리 23∼27중량%, 레몬그라스 23∼27중량%, 라반딘 23∼27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86231A 2011-08-29 2011-08-29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KR10125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31A KR101257735B1 (ko) 2011-08-29 2011-08-29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231A KR101257735B1 (ko) 2011-08-29 2011-08-29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60A KR20130023460A (ko) 2013-03-08
KR101257735B1 true KR101257735B1 (ko) 2013-04-24

Family

ID=4817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231A KR101257735B1 (ko) 2011-08-29 2011-08-29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750A (zh) * 2019-04-24 2019-07-16 黄劻湛 一种用于在施工作业中测量距离的机械轮式测距轮
KR102421200B1 (ko) 2021-06-10 2022-07-15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KR102534037B1 (ko) * 2022-09-23 2023-05-18 비제이엠텍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3662B (zh) * 2019-08-12 2022-06-03 伯悦有限公司 具有避震结构的测距轮
KR102327812B1 (ko) * 2021-05-21 2021-11-18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안전 진단을 위한 콘크리트 균열의 표시 및 검사를 위한 안전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337466B1 (ko) * 2021-06-10 2021-12-13 다윤이엔씨 주식회사 원거리 균열 표시 및 측정 장치
CN117346629A (zh) * 2023-12-05 2024-01-05 邢台职业技术学院 一种建筑装饰设计用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283U (ko) 1972-04-24 1974-01-26
JPH0534516U (ja) * 1991-10-11 1993-05-07 宣真工業株式会社 カウンター式距離測定器
KR100764845B1 (ko) * 2006-05-23 2007-10-09 백완기 복합식 가변각도 이음관
US20080256817A1 (en) * 2005-08-24 2008-10-23 On Center Holdings, Llc Measuring Roller and Spr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9283U (ko) 1972-04-24 1974-01-26
JPH0534516U (ja) * 1991-10-11 1993-05-07 宣真工業株式会社 カウンター式距離測定器
US20080256817A1 (en) * 2005-08-24 2008-10-23 On Center Holdings, Llc Measuring Roller and Spray Device
KR100764845B1 (ko) * 2006-05-23 2007-10-09 백완기 복합식 가변각도 이음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750A (zh) * 2019-04-24 2019-07-16 黄劻湛 一种用于在施工作业中测量距离的机械轮式测距轮
CN110017750B (zh) * 2019-04-24 2021-06-08 安徽苏源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在施工作业中测量距离的机械轮式测距轮
KR102421200B1 (ko) 2021-06-10 2022-07-15 해동이엔씨 주식회사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KR102534037B1 (ko) * 2022-09-23 2023-05-18 비제이엠텍 주식회사 길이조절이 가능한 안전진단용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60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735B1 (ko)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KR102421200B1 (ko) 구조물 검사용 측점분할장치
WO2010008989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analysis of saliva
CN107669297A (zh) 一种膝跳反应神经叩诊装置
US5461992A (en) Deep root tree and shrub fertilizer stake drivers
DE10331942B4 (de) Zahnbeweglichkeitsmessvorrichtung
WO2009049587A3 (de) Gerät zur messung der herzratenvariabilität und dessen verwendung
CN205784999U (zh) 一种拉伸式扩大头锚孔内径测量器
CN209783480U (zh) 一种建筑主体混凝土板厚度检测装置
CN203074754U (zh) 一种叩诊锤
CN204484169U (zh) 一种新型神经科用多功能叩诊锤
CN206274326U (zh) 手持式土壤传感器埋设装置
WO2004105892A1 (ja) 距離計測機能付パター
CN205786215U (zh) 一种带浓度自检装置的磁悬液喷灌
CN210642859U (zh) 一种勘察测量用多功能手杖
CN201200398Y (zh) 一种痛觉检查器
CN207306263U (zh) 一种新型的拐杖
CN101961292B (zh) 一种能探敏定量的热敏灸器
CN201823048U (zh) 一种能探敏定量的热敏灸器
CN205861193U (zh) 一种可测量身高的人体秤
CN211505518U (zh) 一种土壤治理水分测量装置
CN201155970Y (zh) 抽拉式立地高度测量尺
CN205286411U (zh) 一种神经内科用多功能叩诊锤
CN205691369U (zh) 大容器葡萄原酒定量定位取样装置
CN207263048U (zh) 一种手摇式建筑工地测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