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571B1 - 자동 청소기 - Google Patents

자동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571B1
KR101257571B1 KR1020110005283A KR20110005283A KR101257571B1 KR 101257571 B1 KR101257571 B1 KR 101257571B1 KR 1020110005283 A KR1020110005283 A KR 1020110005283A KR 20110005283 A KR20110005283 A KR 20110005283A KR 101257571 B1 KR101257571 B1 KR 10125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ase
shock absorbing
sensing member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004A (ko
Inventor
장재원
신동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571B1/ko
Priority to US13/352,565 priority patent/US9144355B2/en
Publication of KR2012008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면 및 적어도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감지 부재를 동작시키는 감지 부재 동작부;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상기 완충 부재에 전달하는 충격 전달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충격의 흡수 및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청소기{Auto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의 흡수 및 감지가 가능한 자동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란,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가전기기이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청소기 중 특히, 자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는 청소기를 자동 청소기라 칭한다. 상기 자동 청소기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한편 자동 청소기에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범퍼 및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범퍼는, 상기 자동 청소기가 외부의 장애물, 예를 들면, 벽면 등에 부딪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범퍼의 이동을 감지하여, 실질적으로 장애물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청소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먼저 종래에는 충격의 흡수를 위하여 별도의 범퍼 및 이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가 구비된다. 따라서 실질적인 제품의 구성 부품 및 제조 공정이 증가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에 의한 충격의 흡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탄성 계수가 큰 탄성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범퍼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런데 상기 범퍼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증가되면, 상기 센서에 의한 충격의 감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 청소기의 외부에 상기 범퍼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범퍼로 인하여 제품의 미감이 저하되고, 상기 범퍼가 디자인의 제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율적인 충격의 흡수 및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감의 증가 및 디자인 자유도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상면 및 적어도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감지 부재를 동작시키는 감지 부재 구동부;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 설치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상기 완충 부재에 전달하는 충격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 전달부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 이동에 의한 충격 발생 시 상기 충격 전달부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상면 및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저면 및 상기 테두리면 나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감지 부재 구동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다수개의 충격 전달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와 동수로 구성되는 감지 부재 설치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충격 전달부와 동수로 구성되는 완충 부재 설치부;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의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충격 전달부에 의하여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의한 상기 감지 부재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충격 전달부에 의한 상기 완충 부재의 충격 흡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커버가 상대이동되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범퍼를 구성하지 않고, 커버와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 부재 및 감지 부재에 의한 충격의 흡수 및 감지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청소기가 보다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다른 부재에 의하여 상기 완충 부재 및 감지 부재에 충격이 전달된다. 따라서 충격의 흡수 및 감지의 효율이 상호 간섭되지 않고, 모두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 및 베이스가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품의 외관이 보다 간결해지고, 제품의 외관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품의 미감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격의 흡수 및 감지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청소기(1)(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청소기'라 칭함)의 외관을 케이싱(10)(20)이 형성한다. 상기 케이싱(10)(20)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커버(10) 및 베이스(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0)는 상기 청소기(1)의 상부 외관 및 테두리면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청소기(1)의 저면 및 테두리면 나머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테두리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절곡되는 원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상기 커버(10)의 테두리가 상기 베이스(20)의 테두리에 비하여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에 작용하는 외력, 즉 충격은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10)에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 사이에는, 상기 청소기(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위치되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버(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감지 부재 구동부(11)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는, 후술할 감지 부재(30)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가 상기 커버(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는, 상기 케이싱(10)(20)의 중심에 비하여 상기 청소기(1)의 테두리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1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충격 전달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충격 전달부(13)는, 상기 커버(10)에 가해진 충격을 완충 부재(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충격 전달부(13)는, 상기 베이스(20)에 대한 상기 커버(10)의 상대이동 여부에 따라서 완충 부재(4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충격 전달부(13)는, 적어도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에 비하여 상기 커버(10)의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격 전달부(13)가, 중공의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부수적으로 상기 충격 전달부(13)는, 완충 부재(4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0)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5)은, 상기 커버(10)와 베이스(20)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S)가 관통하는 곳이다. 이때 상기 체결공(15)의 직경은, 적어도 상기 체결구(S)의 직경을 초과하는 값으로 결정된다. 이는 상기 커버(10)가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커버(10)는, 상기 체결공(15) 및 체결구(S)의 직경차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청소기(1)의 동작을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예를 들면, 이물질의 흡입 및 집진을 위한 부품이나 상기 청소기(1)의 이동을 위한 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감지 부재 설치부(21)가 구비된다.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와 동수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로부터 상기 케이싱(10)(2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 즉 상기 청소기(1)의 직경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 및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케이싱(10)(20)의 중심을 지나는 다수개의 가상의 직선, 즉 상기 청소기(1)의 직경 방향의 직선 중 어느 하나의 직선 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 및 감지 부재 설치부(21)의 이격 거리는,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는,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에 설치된 감지 부재(30)가 외부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에 의하여 동작될 수 있는 범위에서 결정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완충 부재 설치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는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는 완충 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는, 상기 충격 전달부(13)와 동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는,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 전달부(13)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충격 전달부(13)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의 상단에 완충 부재(40)가 삽입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는, 완충 부재(40)의 수평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의 상단에는 완충 부재 지지브라켓(24)이 구비된다. 상기 완충 부재 지지브라켓(24)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완충 부재(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완충 부재(40)의 하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체결 보스(2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보스(25)는, 상기 체결공(15)을 관통한 상기 체결구(S)가 체결되는 곳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 보스(25)는, 상기 커버(10) 및 베이스(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5)의 직하방에 위치될 것이다.
한편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에는 감지 부재(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감지 부재(30)는, 상기 청소기(1),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부재(30)로,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온/오프 동작되는 스위치가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감지 부재(30)는,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오프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는,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에 의하여 상기 커버(10)가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면,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에 의하여 눌러져서 온 동작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감지 부재(30)는,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는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21)의 일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는 완충 부재(4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베이스(20)에 대한 상기 커버(10)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40)가 탄성변형가능한 플렉시블한 재질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충격 전달부(13)와 수평방향으로 중첩되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의 상단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40)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완충 부재(40)의 외주면은 상기 충격 전달부(13)와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완충 부재(40)의 저면은 상기 완충 부재 지지브라켓(24)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적어도 수평 방향의 이동 및 하방으로 이동이 제한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40)가, 적어도 상기 충격 전달부(13) 이하의 외경 및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의 직경 이상의 내경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 부재(40)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 전달부(13) 및 완충 부재 설치부(23)와 접촉되거나 이들로부터 이격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완충 부재(40)의 외경 및 내경은,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완충 부재(40)가 탄성변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40)에 의한 충격 흡수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미설명 도면부호 51, 53, 55, 57 및 59는, 각각 제어기판, 에지테이터, 구동부, 베터리 및 캐스터이다. 상기 제어기판(51)에는 상기 청소기(1)의 동작을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지테이터(53)는 바닥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구동부(55)는 상기 에지테이터(53)의 동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베터리(57)는, 상기 청소기(1)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캐스터(59)는 상기 청소기(1)의 이동 및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바퀴로써 기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격의 흡수 및 감지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청소기(1), 즉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감지 부재 구동부(11)가 감지 부재(30)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 부재(30)는 오프 동작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 부재(30)가 오프 동작되면,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은 것, 즉 적어도 상기 청소기(1)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장애물(B)과 부딪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중인 경우에는, 그 이동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완충 부재(40)의 외주면은 충격 전달부(13)의 내주면과 접촉 또는 이로부터 이격된다. 즉 상기 완충 부재(40)는,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0)에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즉 상기 청소기(1)가 이동하면서 상기 장애물(B)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상기 장애물(B)에 의하여 상기 커버(10)가 베이스(2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 청소기(1)는 대략 납작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1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청소기(1)의 직경 방향으로 이동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커버(10)가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면,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11)에 의하여 상기 감지 부재(30)가 온 동작하게 된다. 상기 감지 부재(30)의 온 동작은, 상기 청소기(1)의 이동 방향으로의 장애물의 존재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는 그 이동방향으로 변경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0)가 충격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면, 상기 충격 전달부(13)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충격 전달부(13)에 의하여 상기 완충 부재(40)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완충 부재(40)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 및 그 감지가 상호 무관한 별도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10)에 작용하는 충격의 흡수 및 감지가 모두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청소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4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완충 부재(4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완충 부재 지지리브(24)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 부재 지지리브(24)는 커버(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 부재 지지리브(24)는 충격 전달부(13)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10)의 저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 부재 지지리브(24)의 하단이,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상기 완충 부재(40)의 상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완충 부재(40)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2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완충 부재 지지리브(24)가, 대략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고, 상기 충격 전달부(13)와 일체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청소기의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가 상기 청소기의 테두리면 나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커버가 상기 청소기의 테두리면 전부의 외관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 부재 및 완충 부재의 설치를 위한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 및 완충 부재 설치부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 및 완충 부재 설치부가 상기 커버에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 및 충격 전달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에 구비될 것이다.

Claims (11)

  1. 상면 및 적어도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가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을 감지하는 감지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하여 상기 감지 부재를 동작시키는 감지 부재 구동부;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완충 부재 설치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에 의한 충격을 상기 완충 부재에 전달하는 충격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격 전달부에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 이동에 의한 충격 발생 시 상기 충격 전달부가 상기 완충 부재를 가압하는 자동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는, 상기 커버 및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커버의 상대이동 여부에 따라서 상기 감지 부재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자동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 및 감지 부재 구동부는, 상기 케이싱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 방향 직선 상에 위치되는 자동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자동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테두리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자동 청소기.
  6. 삭제
  7. 삭제
  8. 상면 및 테두리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및 저면 및 상기 테두리면 나머지의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감지 부재 구동부;
    상기 커버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다수개의 충격 전달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와 동수로 구성되는 감지 부재 설치부;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충격 전달부와 동수로 구성되는 완충 부재 설치부;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의하여 온/오프 동작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충격 전달부에 의하여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에 의한 상기 감지 부재의 온/오프 동작 및 상기 충격 전달부에 의한 상기 완충 부재의 충격 흡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커버가 상대 이동되면 이루어지는 자동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부재 설치부 및 완충 부재 설치부는, 각각 상기 감지 부재 구동부 및 충격 전달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케이싱의 중심에 인접되게 위치되는 자동 청소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의 상단에 삽입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충격 전달부는, 상기 완충 부재를 둘러싸는 중공의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동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의 외경은 상기 충격 전달부의 내경 이하이고,
    상기 완충 부재의 내경은 상기 완충 부재 설치부의 직경 이상인 자동 청소기.
KR1020110005283A 2011-01-19 2011-01-19 자동 청소기 KR10125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83A KR101257571B1 (ko) 2011-01-19 2011-01-19 자동 청소기
US13/352,565 US9144355B2 (en) 2011-01-19 2012-01-18 Automatic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283A KR101257571B1 (ko) 2011-01-19 2011-01-19 자동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04A KR20120084004A (ko) 2012-07-27
KR101257571B1 true KR101257571B1 (ko) 2013-04-23

Family

ID=4648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283A KR101257571B1 (ko) 2011-01-19 2011-01-19 자동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44355B2 (ko)
KR (1) KR101257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02914B1 (en) 2014-02-03 2018-08-08 Husqvarna AB Obstacle detection for a robotic working tool
US11202542B2 (en) 2017-05-25 2021-12-21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ic cleaner with dual cleaning rollers
CN111163671B (zh) 2017-09-07 2022-08-2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机器人清洁器
JP7080393B2 (ja) 2018-08-01 2022-06-03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ロボット掃除機
CN112704435A (zh) * 2019-10-25 2021-04-27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自移动机器人
KR20210117810A (ko) * 2020-03-20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252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진공청소기의 완충 및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1515B1 (en) * 2000-05-30 2002-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utonomous mobile surface tre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6252A (ko) * 2003-05-07 2004-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진공청소기의 완충 및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44355B2 (en) 2015-09-29
US20120180251A1 (en) 2012-07-19
KR20120084004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571B1 (ko) 자동 청소기
US7480960B2 (en) Bumper device of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having the same
AU2004202834B2 (en) Robot Cleaner
EP2790079B1 (en) Robot cleaner
US10568480B2 (en) Robot cleaner
CN101330858B (zh) 全自动除尘器
KR101802233B1 (ko) 로봇 청소기의 흡입 구조
EP2730205B1 (en) Autonomous cleaning device
US20140156075A1 (en) Robot cleaner
AU2013201339B2 (en) Robot cleaner
US7874186B2 (en) Abnormal vibration sens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2006212121A (ja) 自走型掃除機のバンパー装置
KR102020208B1 (ko) 로봇 청소기
US11457782B2 (en) Robot cleaner
RU2271923C1 (ru) Робот-пылесос
CN205069524U (zh) 继电器和继电器的推动机构
CN205069523U (zh) 继电器和继电器的推动机构
CN211243196U (zh) 导航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JP6785396B2 (ja) スイッチ装置
CN110840342A (zh) 导航装置和具有其的清洁设备
JP2011050515A (ja) 掃除機用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90126018A (ko) 자동청소기의 완충장치
US20080259548A1 (en) Apparatus for coupling display window and buttons for clothing handler
JPH11324064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60016354A (ko) 가속도계를 이용한 다기능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