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282B1 -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 Google Patents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282B1
KR101257282B1 KR1020110042757A KR20110042757A KR101257282B1 KR 101257282 B1 KR101257282 B1 KR 101257282B1 KR 1020110042757 A KR1020110042757 A KR 1020110042757A KR 20110042757 A KR20110042757 A KR 20110042757A KR 101257282 B1 KR101257282 B1 KR 10125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tation
main module
module
communic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4864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10042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282B1/ko
Publication of KR20120124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4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은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 공간을 갖는 것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된 메인모듈 및 이 메인모듈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모듈로 구성되는 정거장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력과 통신 연결을 위한 각각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이 배선되는 관통되는 인입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모듈과 확장모듈은 서로 인접한 메인모듈 또는 확장모듈의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의 연결을 위하여 점퍼 전력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배전기가 설치되며, 상기 정거장 몸체부의 차체에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 및 상기 정거장 몸체부가 놓여지는 지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와 상호 결속요소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력을 작용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규격화된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대량 생산에 의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에 비해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규격화된 단위모듈을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시공 작업의 표준화가 가능하여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Module Type Station for Road or Railroad Vehicle}
본 발명은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모듈 구조를 통해 다양한 설치 장소에 대해 용이한 시공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설계 변경의 자유도를 보장함으로써 시공 및 재 시공의 편의성과 표준화 된 시공 품질을 도모할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거장(또는 정류장이라고 지칭함)이라 함은, 버스 및 택시 등과 같은 도로 차량과, 경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장소로서, 승객이 타고 내리거나 화물을 싣고 내리는 곳을 가리킨다.
이하에서 정거장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로 차량용 정거장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차량용 정거장 특히 버스 정거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대중 교통으로 널리 이용되는 도로 차량, 예를 들면 버스 등이 일정하게 머무르는 버스 정거장은, 전 지역에 걸쳐 고르게 설치되어 승객들이 원하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최근에 설치되는 버스 정거장은, 해당 정거장을 통과하는 버스가 정지하는 장소임을 알리는 기존의 버스 정거장과는 달리,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버스 정거장에는 해당 버스 정거장을 통행하는 버스 및 그 버스들의 노선이 상세히 기재된 게시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비나 눈 등을 피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늘을 제공하는 차단막이 설치되어 있고, 승객이 버스를 기다리며 쉴 수 있는 좌석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버스 정거장은, 통상적으로, 다수의 기둥이 도로 바닥면에 스크루(Screw) 결합된 후 콘크리트에 의해 양생되고, 세워진 기둥들 위에 차단막 역할을 하는 지붕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도로 차량용 정거장은 이용 승객의 수나 유동인구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 맞는 형태로 설계 시공을 하는 방식이 주로 적용됨에 따라 설계에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설계·시공의 표준화가 곤란하여 경제성이 낮고, 시공품질의 향상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시공 후에 이용승객이나 유동인구에 급격한 변화로 인해 정거장의 확장이 필요한 경우 전체적으로 재시공을 해야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규격화된 구조에 의해 확장과 증설이 용이하면서, 설계 및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경제성이 높은 정거장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화된 모듈 구조를 통해 다양한 설치 장소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의 자유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은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 공간을 갖는 것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된 메인모듈 및 이 메인모듈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모듈로 구성되는 정거장 몸체부를 포함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은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력과 통신 연결을 위한 각각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이 배선되는 관통되는 인입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모듈과 확장모듈은 서로 인접한 메인모듈 또는 확장모듈의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의 연결을 위하여 점퍼 전력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배전기가 설치되며, 상기 정거장 몸체부의 차체에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 및 상기 정거장 몸체부가 놓여지는 지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와 상호 결속요소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력을 작용하는 지지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배전기와 점퍼 전력통신선은 상호 암·수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는 상기 정거장 몸체부의 차체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부재로 고정되는 수직판부 및 이 수직판부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굽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블럭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볼트구멍이 관통 형성된 수평판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럭은 상면으로 판형의 보강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하면으로 U형 앵커가 일체로 결합 구비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으로는 앵커볼트가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볼트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너트가 체결되는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로 인접한 모듈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개스킷이 구비되고, 상기 각 인입관부는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을 감싸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망이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은, 규격화된 형태로의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대량 생산에 의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전에 비해 시공에 소요되는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규격화된 단위모듈을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시공 작업의 표준화가 가능하여 시공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정거장를 설치한 후 이용 승객이나 주변 유동인구의 변화가 발생하여 기 설치된 정거장에 대한 확장 또는 축소가 필요한 경우에 단위 모듈을 추가 연결 또는 해체하는 간소한 작업을 통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경제성이 높으며, 시공 기간이 짧기 때문에 승객 및 주변 교통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에서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의 시공 작업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정거장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모듈형 정거장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형 정거장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모듈형 정거장의 지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1)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1)은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된 메인모듈(11)과, 이 메인모듈(11)의 일측으로 그 내부 공간이 연통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모듈(12)로 구성되는 정거장 몸체부(10)와, 상기 정거장 몸체부(10)를 구성하는 각 모듈에 설치되어 인접한 다른 모듈과 전력 분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배전기(40) 그리고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일측이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20) 및 이 고정 브라켓트(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지면에 매립 고정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블럭(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거장 몸체부(10)는, 도로에서 운행되는 도로 차량(예컨대, 버스 등)을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공간(미부호)과, 이 대기공간으로 출입시 이용되는 출입공간과, 외부로 대피시 이용되는 대피공간을 구비하며, 이외에도 승객이 앉아서 대기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좌석과, 운행 중인 차량 정보나 광고 등을 영상과 음성으로 안내하는 안내장치와, 대기 공간의 온습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온습도 조절장치와, 스크린 도어와, 화재와 같은 비상 사태 발생시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물질을 감지함으로써 비상사태에 대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감지부와, 도로 차량 진입시 도로 차량이 진입하는 도로를 향해 발광되는 복수의 조명등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거장 몸체부(10)는 기본적으로 다수의 승객이 승차하고자 하는 도로 차량을 대기할 때 이용되는 메인모듈(11)과, 이 메인모듈(11)에 연장 구비되어 상호 내부공간이 연통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확장모듈(12,13,14)을 포함하며, 이들 여러 모듈 중 메인모듈(11)은 외부와 전력과 통신 연결을 위하여 주 전력통신선(w)이 인입 배선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 전력통신선(w)은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으로 구분되며, 이들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은 상호 구분되어 메인모듈(11) 내부로 배선됨으로써 상기 전력라인(50l)에 의한 통신라인(51l)의 간섭 즉, 노이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메인모듈(11)을 비롯한 각 모듈의 양측으로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이 배선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인모듈(11)은 상기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각각 인입관부(50,5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관부(50,51)는 내부가 빈 관 형상의 요소로 외부에서 곤충이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망(55)으로 차폐되는 구성이며, 상기 커버망(55)은 상기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을 감싸도록 하면서 상기 각 인입관부(50,51)를 차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입관부(50,51)는 상기 메인모듈(11)의 내부를 기준을 외부로 향하면서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하여 빗물이 쉽게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정거장 몸체부(10)는 각 모듈의 연결 수량에 따라 시공 장소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4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대략 32미터의 길이를 갖는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다수의 모듈(11,12,13,14)로 나누어 제작한 뒤 이를 각각 운반하고, 정거장 설치 위치에 다수의 모듈 상호 간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설치되며, 이들 각 모듈의 외벽들은 각각 강도를 지닌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s) 또는 경량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실내에 형성되는 공간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벼워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정거장의 구성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정거장 몸체부(1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정거장 몸체부(10)를 구성하는 메인모듈(11)과 확장모듈(12,13,14,14)은 상호 통신 및 전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커넥터 요소인 배전기(40)를 포함하며, 서로 인접한 모듈과 모듈의 상호 접촉면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개스킷(45)이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개스킷(45)은 서로 인접한 모듈과 모듈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요소로서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배전기(40)는 앞서 설명한 메인모듈(11)로 인입 배선되는 주 전력통신선(w)으로부터 전력선과 통신선을 인접한 다른 모듈로 연결하기 위한 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인접한 모듈과 전력 및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점퍼 전력통신선(41)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배전기(40)와 점퍼 전력통신선(41)은 상호 암·수 커넥터를 구비하여, 필요시 연결 사용하거나 또는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전기(40)의 일측에 암 커넥터(43)을 구비하고, 상기 점퍼 전력통신선(41)의 양측 끝에는 플러그 형태를 갖는 수 커넥터(42)가 구비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트(20)는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대향 배치되는 수직판부(21)와, 이 수직판부(21)에 대해 수직으로 굽힘되어 지면에 대해 평행 배치되는 수평판부(23)로 구성된다.
즉, 고정 브라켓트(20)는 상기 수직판부(21)가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밀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나사부재(22)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판부(23)는 후술할 지지블럭(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앵커볼트(34)의 나사부가 삽입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 브라켓트(20)는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각 모듈의 양측 차체(10′)에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는 나사부재(22)에 의해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용접을 통해서도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블럭(30)은 상기 정거장 몸체부(10)가 놓여지는 지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20)와 상호 결속요소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력을 작용하는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의 지지블럭(30)은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갖는 블록 형태로 구비되며, 그 몸체는 완충성을 갖는 소재로 성형되거나 또는 콘크리트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블럭(30)은 상면으로 판형의 금속재로 된 보강 플레이트(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32)는 그 하면으로 U형 앵커(33)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U형 앵커(33)는 그 상부가 상기 보강 플레이트(32)에 용접 또는 끼움구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지지블럭(30)의 내부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보강 플레이트(32)와 상기 지지블럭(30)의 몸체가 서로 견고한 결합 상태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보강 플레이트(32)는 상기 U형 앵커(33)와 위치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앵커볼트(34)가 수직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앵커볼트(34)는 여러 개의 모듈로 이루어지는 정거장 몸체부(10)를 지반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머리부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32)의 하면측에 위치되고 나사부는 수직하게 상향 돌출되어 상기 수평판부(23)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삽입 통과한 뒤 체결요소인 체결너트(24)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의 시공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로 된 시공 대상면인 지반에 매립된 지지블럭(30)과,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나사부재나 용접에 의해 결합된 고정 브라켓트(20)의 위치를 정렬한 뒤, 상기 지지블럭(30)의 앵커볼트(34)가 상기 고정 브라켓트(20)의 수평판부(23)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통과하도록 조립 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32)의 나사부에 체결너트(24)를 체결하면, 본 발명의 정거장 몸체부(10)에 대한 지반 고정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모듈에 대한 전력선 및 통신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되, 편의상 한 쌍의 모듈 중 하나는 메인모듈로 하고 다른 하나는 확장모듈(12)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확장모듈(12)에는 외부로부터 주 전력통신선(w)이 인입 배선되어 있으며, 이러한 주 전력통신선(w)은 확장모듈(12)에 설치된 배전기(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모듈(11)의 일측으로 내부공간이 연통되게 확장모듈(12)이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메인모듈(11)과 확장모듈(12)은 각각의 배전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배전기를 점퍼 전력통신선(41)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전력선 및 통신선의 배선 작업이 완료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점퍼 전력통신선(41)은 상기 배전기에 대하여 암·수 커넥터 연결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 따라 작업자는 점퍼 전력통신선(41)의 일측 끝에 마련된 플러그 형태의 수 커넥터(42)를 배전기에 마련된 암 커넥터(43)에 접속 연결하느는 것에 의해 그 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모듈형 정거장
10 : 정거장 몸체부
11,12,13,14 : 모듈
20 : 고정 브라켓트
30 : 지지블럭
40 : 배전기
50,51 : 인입관부
50l,51l : 전력 및 통신라인
55 : 메쉬망

Claims (4)

  1. 다수의 승객이 대기하는 대기 공간을 갖는 것으로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된 메인모듈(11) 및 이 메인모듈(11)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그 내부 공간이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확장모듈로 구성되는 정거장 몸체부(10)를 포함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11)은 일측에 외부로부터 전력과 통신 연결을 위한 각각의 전원라인 및 통신라인이 배선되는 관통되는 인입관부(50,51)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모듈(11)과 확장모듈은 서로 인접한 메인모듈(11) 또는 확장모듈의 전력라인과 통신라인의 연결을 위하여 점퍼 전력통신선(41)으로 연결되는 배전기(40)가 설치되며,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일측이 결합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20) 및 상기 정거장 몸체부(10)가 놓여지는 지면에 매립 고정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트(20)와 상호 결속요소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력을 작용하는 지지블럭(3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기(40)와 점퍼 전력통신선(41)은 상호 암·수 커넥터를 구비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트(20)는 상기 정거장 몸체부(10)의 차체(10′)에 접한 상태에서 나사부재(22)로 고정되는 수직판부(21) 및 이 수직판부(21)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굽힘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블럭(3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볼트구멍이 관통 형성된 수평판부(23)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블럭(30)은 상면으로 판형의 보강 플레이트(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32)는 하면으로 U형 앵커가 일체로 결합 구비되며, 상기 보강 플레이트(32)의 상면 일측으로는 앵커볼트(34)가 수직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볼트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너트(24)가 체결되는 구성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한 모듈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개스킷(45)이 구비되고, 상기 각 인입관부(50,51)는 전력라인(50l)과 통신라인(51l)을 감싸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커버망(5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KR1020110042757A 2011-05-06 2011-05-06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KR10125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57A KR101257282B1 (ko) 2011-05-06 2011-05-06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2757A KR101257282B1 (ko) 2011-05-06 2011-05-06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64A KR20120124864A (ko) 2012-11-14
KR101257282B1 true KR101257282B1 (ko) 2013-04-23

Family

ID=4751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2757A KR101257282B1 (ko) 2011-05-06 2011-05-06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993A1 (de) * 2021-04-22 2022-10-26 Cambaum GmbH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 leit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851B (zh) * 2018-11-21 2020-10-27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站台
CN112523552A (zh) * 2020-12-09 2021-03-19 屈玉朋 一种用于智慧城市的多功能公交站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85A (ko) * 2003-03-21 2004-10-01 (주)하나씨앤에취 승강장을 겸하는 광 전송장치용 함체
KR20100000596U (ko) * 2008-07-10 2010-01-22 (주)트로스 아이엔디 씨씨티브이를 적용한 이동식 야립광고 캐노피
KR20100124391A (ko) * 2009-05-19 2010-11-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20110126196A (ko) * 2010-05-15 2011-11-23 안황재 통합요금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285A (ko) * 2003-03-21 2004-10-01 (주)하나씨앤에취 승강장을 겸하는 광 전송장치용 함체
KR20100000596U (ko) * 2008-07-10 2010-01-22 (주)트로스 아이엔디 씨씨티브이를 적용한 이동식 야립광고 캐노피
KR20100124391A (ko) * 2009-05-19 2010-11-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KR20110126196A (ko) * 2010-05-15 2011-11-23 안황재 통합요금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9993A1 (de) * 2021-04-22 2022-10-26 Cambaum GmbH Bahnhofsüberdachung mit integriertem passagier leit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4864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10456T3 (es) Conjunto de losa de pavimento y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conjunto de losa de pavimento
KR101257282B1 (ko)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모듈형 정거장
KR20180103049A (ko) 대중 전기 수송 차량을 위한 재충전 스테이션, 및 이러한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설비
CN106061819A (zh) 用于轨道车的整体式顶棚组件
BR102012002851A2 (pt) via segura e ecolàgica para monotrilhos sobre rodas e de levitaÇço magnÉtica
CN216552071U (zh) 一种矩形无柱式地下车站节段及装配式地下车站
KR20140074601A (ko)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KR20160127234A (ko) 소음 저감을 위한 하로교 u형 거더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78118A (ko) 버스 승차대
KR101196895B1 (ko) 에프알피 복합재 자전거 전용 도로
KR101041401B1 (ko) 빗물 배출 통로를 구비한 도로 또는 철도 차량용 정거장
CN103835222B (zh) 一种跨越城市轨道交通建设区的交通结构
CN210712605U (zh) 轨道交通洞口过渡段结合防护型声屏障
CN103354705B (zh) 一种储能电源箱体
CN112031489A (zh) 一种悬挂式单轨列车的横列式车辆基地结构及工艺流程
CN106274425A (zh) 微型电动载货汽车结构布置
KR20110087877A (ko) 가설 인도 및 자전거 도로 겸용 지지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설 인도
EA031956B1 (ru) Система коммуникаций юницкого (варианты)
CN217974125U (zh) 用于轨道交通车站的导向、照明和管线一体化的综合装置
CN219198645U (zh) 隧道的接触网和视频组件的集成装置
KR200462052Y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장치
WO2015134849A1 (en) Overhead light in articulation area of rail vehicles
CN108149965A (zh) 一种电缆沟跨轨处节点构造以及有轨工业厂房
CN112172616B (zh) 一种超级电容有轨电车车站
KR102533275B1 (ko) 중앙분리대 태양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