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145B1 -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 Google Patents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145B1
KR101257145B1 KR1020097022960A KR20097022960A KR101257145B1 KR 101257145 B1 KR101257145 B1 KR 101257145B1 KR 1020097022960 A KR1020097022960 A KR 1020097022960A KR 20097022960 A KR20097022960 A KR 20097022960A KR 101257145 B1 KR101257145 B1 KR 10125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able
clamping
cable lug
terminal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168A (ko
Inventor
마누엘 가이트너
볼프강 홀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1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mplete unscrewing of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f conductive member or for holding it in position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케이블 러그(6)를 전기 기구(2)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4)에 관한 것이며, 이 터미널부(4)는 기구 접속부(22)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속 부재(8)와, 이 접속 부재(8)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링 케이블 러그(6)를 접속 부재(8)의 접촉면(38)에 가압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12, 18)를 포함하며, 접속 부재(8)의 하나 이상의 부분(26a, b)은 클램핑 장치(12, 18)를 접속 부재(8)에서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장치(28, 30, 47)로서 형성된다.
링 케이블 러그, 터미널부, 클램핑 장치, 접속 부재, 유지 장치

Description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TERMINAL POINT FOR CONNECTING A RING TERMINAL TO AN ELECTRICAL DEVICE}
본 발명은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 기구들은 외부 전기 전도체를 위한 터미널부 또는 접속 터미널(connecting terminal)을 포함한다. 전도체에 링 케이블 러그가 장착되고, 전도체가 링 케이블 러그를 통해 터미널부에 클램핑 접속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시장에서 통상적인 접속 시스템, 즉 링 케이블 러그 또는 링 케이블 접속부를 위한 터미널부는 오늘날 실질적으로 나사와 나사산을 구비한 접촉 부재로 형성된다. 이 경우, 링 케이블 러그의 접속은 4개의 접속 단계로 구분된다. 나사는 1. 접촉 부재의 나사산으로부터 회전되어 나와, 2. 링 케이블 러그의 개구 내로 삽입되고, 3. 링 케이블 러그와 함께 터미널 영역, 즉 접촉 부재 또는 접촉 부재의 나사산에 안내되어, 4. 접촉 부재의 나사산 내로 나사 조임되므로, 나사는 자신과 접촉 부재 사이에서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접촉되도록 가압한다.
이 경우, 접촉 부재, 예를 들어 접촉 설부는 전기 기구의 하우징 내에 고정된다. 그러나 나사가 접속부, 즉 터미널부에서 분리되고마는 단점, 즉 부품들이 접속 과정 중에 시스템에서 제거되는 단점이 있다. 나사는 대개 정위치에 유지되지 않는다. 유지 하우징없이 개별 부품들이 고정되기는 불가능하다. 링 케이블 러그의 접속은 더 어렵게 나타나고, 많은 개별 단계들로 세분된다.
DE 103 04 480 A1호에는 접촉 부재를 하우징 내에 고정하고, 클램핑 나사를 하우징 내에 고정하고, 클램핑 나사를 통해 재차 클램핑 슬리브를 접촉 부재에 고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개별 부품들의 유지를 위해 제시된 하우징을 요구한다.
DE 103 39 670 A1호에는 마찬가지로, 클램핑 나사를 하우징 내에서 스프링식으로 안내되어 나사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추가 부품 내에 유지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해결책은 상기 언급된 해결책보다 더욱 복잡하고, 더욱 많은 개별 부품을 요구하며 마찬가지로, 터미널부가 정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한 하우징 부품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 케이블 러그를 위한 전기 기구의 터미널부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에 의해 달성된다. 터미널부는 기구 접속부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이 기구 접속부를 통해, 접속 부재는 전기 기구의 추가의 내부 전기 배선과 연결 가능하다. 또한, 터미널부는 접속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클램핑 장치를 포함하고, 이 클램핑 장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접속 부재의 접촉면에 전기 전도되도록 가압함으로써 링 케이블 러그와 접속 부재 사이의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연결과 전기 전도되는 연결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접속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유지 장치로서 형성된다. 이 유지 장치는 클램핑 장치를 접속 부재에서 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부가 전체 개별 부품들이 정위치에 유지됨을 보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위해 하우징 부품이 필요하지는 않다. 터미널부는 콤팩트한 일체형 접촉 부재이며, 공지된 해결책보다 저렴하다. 즉, 터미널부는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이미 사전 제조 또는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으며, 전기 기구의 하우징과 무관하게 모듈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부품이 정위치에 유지되도록 터미널부에 맞출 필요없이 전기 기구의 각각의 구조 방식으로 원하는 장착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해결책은 공간 절약적이며, 지금까지 공지되지 않았다. 링 케이블 러그의 클램핑을 위해 터미널부의 부재도 터미널 영역에서 분리될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어 분실될 수 없다. 터미널부는 신속하고 간단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조작이 용이하다. 링 케이블 러그의 접속은 2개의 단계, 즉 1. 링 케이블 러그를 접속 영역 또는 터미널 영역에 도입하고, 2. 클램핑 장치를 클램핑 고정하는 단계로만 이루어진다.
터미널부는 클램핑 장치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장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거나 다시 클램핑 분리하기 위해 원하는만큼 자주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다.
유지 장치는 접속 부재의 연장부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연장부는 클램핑 장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유지 장치는 정위치에 유지되며, 예를 들어 케이지(cage) 유형 또는 정지부 유형으로 접속 부재에서 유지된다.
클램핑 장치가 링 케이블 러그의 가압을 위해 조여질 수 있는 클램핑 나사를 포함하는 경우, 유지 장치는 클램핑 나사가 분리될 때 클램핑 나사의 나사 헤드가 접하거나 정지되는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나사는 클램핑 나사가 이미 유지된 조여진 위치로부터 정지부에 접하는 만큼만 풀려져 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링 케이블 러그는 제거 또는 삽입될 수 있지만, 클램핑 나사는 분리 또는 분실될 수 없다.
상기 유형의 실시예에서 클램핑 나사는 접속 부재 내의 보어를 관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정지부는 보어의 축방향으로 접속 부재의 나사 헤드를 향한 측면에 배치된다. 즉, 클램핑 나사는 보어 내에서 축방향으로 정지부에 이르기까지만 이동되어 나올 수 있고,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클램핑 나사를 위한 정지부에는 결합 공구를 위한 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드라이버와 같은 상응하는 공구에 의해 이와 같이, 클램핑 나사는 여기서 정지부의 방해를 받지 않고 회전될 수 있다.
대개, 접촉면의 보어는 삽입된 링 케이블 러그의 개구와 일직선상에 놓이도록 위치한다. 클램핑 나사의 상기 유형의 실시예에서, 접속 부재의 접촉부에는 대개 링 케이블 러그의 제1 편평면이 접한다. 이 경우, 접촉 지지부의 접촉면에 대향 배치된 측면에 헤드가 배치된 클램핑 나사는 고정된 상태로 접촉 지지부에 지지된다. 이 경우, 나사는 접속 부재의 보어 내가 아니라 클램핑 부재 내에서 나사산과 맞물리며, 이 클램핑 부재는 링 케이블 러그의 다른 편평면에 접하므로, 링 케이블 러그를 자신과 접촉면 사이에서 클램핑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클램핑 나사의 나사 헤드 반대편 단부는 나사가 정지부에 접할 때 접속 부재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나사는 최대로 뒤로 당겨진 위치에서도 접속 부재의 접촉면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링 케이블 러그의 중심 개구를 위한 래칭 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링 케이블 러그는 예를 들어 터미널부 내로 삽입될 때, 접촉면과 클램핑 나사와 관련하여 간단하게 중심 설정될 수 있고, 나사는 쉽게 개구를 통하여 클램핑 부재 또는 클램핑 부재의 나사산에 이르기까지 전진 이동될 수 있다.
정지부는 보어로부터 멀어지면서 U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트립형 또는 띠형상의 접촉 부재는 접촉면을 거쳐 예를 들어, 설형으로 연장되어 L형으로 만곡되므로, 접촉 지지부의 보어를 유지하는 섹션과 함께 U형상이 얻어진다. 대개 접촉면의 중심을 통해 돌출되는 나사는 이와 같이 정위치에 고정된다.
터미널부는 접촉 지지부와 나사 헤드 사이에 배치되어 클램핑 나사의 분리 위치로 클램핑 나사를 예비 인장하는, 즉 예를 들어 정지부에 대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된 상태에서 클램핑 나사는 터미널부를 차단하지 않고, 링 케이블 러그는 방해를 받지 않고 삽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나사는 나사 헤드에 인접하고 클램핑 나사가 조여질 때 접속 부재에 지지되는 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클램핑 나사는 조여진 상태에서 나사 헤드가 아닌 견부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견부는 견부를 둘러싸고 클램핑 나사가 조여질 때 압축된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즉, 이 견부는 나사의 종방향으로 최대로 압축된 스프링보다 더 길다. 따라서 클램핑 나사는 견부를 통해 안전하고, 규정되게 접속 부재에 지지되며, 압축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지는 않는다.
나사 헤드가 제1 직경을 포함하고, 견부가 더 작은 제2 직경을 포함하는 경우, 스프링은 내부 직경이 제1 직경과 제2 직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치수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은 견부에 의해 중심 설정되고, 나사 헤드를 넘어 활주할 수 없고, 클램핑 나사가 조여질 때 견부를 동심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접촉면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접속 부재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연장부와 상호 작용하는 유지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가능한 부재로서의 클램핑 플레이트는 터미널부에서 정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유형의 연장부는 T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유지 수단은 연장부에 의해 뒤쪽에서 맞물린 접촉 지지부 내 개구일 수 있다.
접촉 지지부는, 상술된 유지 장치들 중 하나 또는 복수를 실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만곡하고, 리세스를 형성하거나 여타의 방법으로 가공된 편평한 띠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설명을 위해 도면의 실시예들이 참조된다. 각각의 도면은 계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기구의 터미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전기 기구로서, 도시되지 않은 외부 공급 라인이 접촉 압착된 링 케이블 러그(6)를 위한 접속 터미널(4)을 구비한 스위칭 접촉기(2)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접속 터미널(4)은 접속 부재로서, 도체 레일 또는 접촉 지지부(8) 및 이 접촉 지지부에서 정위치에 장착된 클램핑 장치(10)를 포함한다. 클램핑 장치는 클램핑 플레이트로서, 나사산 레일(12)과, 이 나사산 레일과 상호 작용하고 코일 스프링(14)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개방 위치(16)에서 예비 인장된 클램핑 나사(18)를 포함한다.
전체적인 접속 터미널(4)은 스위칭 접촉기(2) 내에서 접촉 지지부(8)의 고정 단부(20)에 의해 고정되며, 예를 들어 스위칭 접촉기 내에 보호된다. 고정 단부(20)에는 기구 접속부로서 납땜점(22)이 제공되며, 이 납땜점에는 접속 터미널(4)을 기구 내부 공간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기구 내부의 접속 라인(24)이 납땜된다.
고정 단부(20)에는 나사산 레일(12)이 내부에 유지된 제1 유지 섹션(26a)이 접촉 지지부(8)에 접하여 접속된다. 도 2에는 유지 섹션(26a)을 화살표 Ⅱ-Ⅱ의 방향으로 절개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접촉 지지부(8)에는 나사산 레일(12)의 더욱 가는 섹션(29)이 관통하는 개구(28)가 제공된다. 개구(28)는 나사산 레일(12)이 화살표(32) 방향으로 접촉 지지부(8)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T형 섹션(30)에 의해 뒤쪽에서 맞물린다. 섹션(30)이 비스듬하게 개구(28)를 통해 화살표(32) 반대 방향으로 접촉 지지부(8) 내에 도입될 수 있도록 접속 터미널(4)의 제작시 나사산 레일(12)은 축(34)을 중심으로 약 90° 기울어진 이후, 축(34)을 중심으로 도 2에 도시된 최종 위치로 기울어진다. 이로써, 정위치에 배치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접촉 지지부(8)의 유지 섹션(26a)에는 이에 대해 약 90° 만곡된 접촉 섹션(36)이 접속된다. 접촉 섹션(36) 내에서 나사산 레일(12)을 향한 접촉 지지부(8)의 편평면은 링 케이블 러그(6)의 제1 편평면(40a)이 접할 수 있는 접촉면(38)을 포함한다. 접촉면(38) 영역에서는 보어(42)가 접촉 지지부(8) 내에 삽입되며, 이 보어(42)를 관통하여 클램핑 나사(18)의 나사산 섹션(44)은 나사 맞물림 없이 돌출된다.
접촉 섹션(36)에는 접촉 지지부(8)의 제2 유지 섹션(26b)이 접속되고, 이 제2 유지 섹션(26b)은 접촉 섹션(36)과 함께 2개의 직각 만곡부를 형성함으로써 클램핑 나사(18)를 둘러싸는 U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접촉 지지부(8)의 단부(46)는 클램핑 나사(18)를 위한 정지부(47)를 형성한다. 즉, 유지 섹션(26b)의 내부 지름(d)은 나사 헤드(48)가 단부(46)에 접할 때 나사의 나사산 섹션(44)이 아직 보어(42) 내에 유지됨으로써 이 보어로부터 분리 불가능하도록 할당된다.
접속 터미널(4)의 조립시, 우선 클램핑 나사(18)는 적어도 아직 완전히 만곡되지 않은 접촉 지지부(8)의 보어(42) 내로 도입된 후, 접촉 지지부(8)는 도 1에 도시된 U형상으로 만곡된다. 스크류 드라이버(50)에 의해 나사 헤드(48)에 맞물릴 수 있도록, 접촉 지지부(8)의 단부(46)에는 개구(52)가 제공된다.
나사 헤드(48)와 접촉 지지부(8) 사이에는 클램핑 나사(18)를 동심으로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14)이 지지됨에 따라, 클램핑 나사(18)의 나사 헤드(48)를 도 1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서 정지부로서의 접촉 지지부(8)의 단부(46)에 대해 예비 인장한다. 이 경우, 클램핑 나사(18)의 더 작은 섹션(56)이 접촉면(38) 위로 돌출되어 링 케이블 러그(6)의 개구(58)를 위한 래칭 돌기를 형성하므로, 개구(58)는 클램핑 나사(18)의 중심 종축(66) 또는 보어(42)와 나사산 레일(12) 내의 나사산 보어(62)와 일직선상에 놓인다.
클램핑 나사(18)의 나사 헤드(48)와 나사산 섹션(44) 사이에는 나사산 섹션(44) 또는 보어(42)에 비해 직경이 확대되고, 나사 헤드(48)에 비해서는 축소된 원통형 견부(54)가 배치된다. 이 원통형 견부(54)의 높이(h)는 완전히 압축된 코일 스프링(14)의 높이보다 높다. 이와 같이, 나사 헤드(48)가 완전히 압축된 코일 스프링(14)에 미리 지지되는일 없이 접촉 지지부(8) 상에 견부(54)를 확실히 밀착하는 것이 보장된다.
링 케이블 러그(6)의 접속을 위해 링 케이블 러그(6)는 개구(58)가 클램핑 나사(18)의 섹션(56)에 래칭될 때까지 화살표(64)의 방향으로 접속 터미널(4)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스크류 드라이버(50)에 의해서 클램핑 나사(18)는 나사산 섹 션(44)이 나사산 보어(62)와 맞물릴 때까지 화살표(66)의 방향으로 개구(58)를 통해 이동된다. 이 경우, 클램핑 나사(18)는 나사산 레일(12)이 화살표(66) 반대 방향으로 링 케이블 러그(6)를 제2 편평면(40b)과 접촉면(38) 사이에 클램핑할 때까지 나사산 보어(62) 내에 나사 조임 된다. 이 경우, 견부(54)는 접촉 지지부(8)에 지지되며, 코일 스프링(14)은 아직 완전히 압축되지 않은 방식으로 견부(54)를 동심으로 둘러싼다. 이렇게 둘러싼 위치(68)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는 나사 헤드(48)의 외부 직경(w1), 견부(54)의 외부 직경(w2), 스프링(14)의 내부 직경(w3)이 도시되어 있다.
링 케이블 러그(6)를 접속 터미널(4)에서 분리하기 위해 역순의 절차가 취해지며, 클램핑 나사(18)는 나사산 섹션(44)이 나사산 보어(62)를 벗어나자마자, 화살표(66) 반대 방향으로 스프링(14)에 의해 튕겨져 도 1에 도시된 단부 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링 케이블 러그(6)는 클램핑 나사(18)를 통해 더 이상 차단되지 않으며, 섹션(56) 위로 쉽게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Claims (14)

  1. 기구 접속부(22)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속 부재(8)와, 이 접속 부재(8)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고 링 케이블 러그(6)를 접속 부재(8)의 접촉면(38)에 가압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12, 18)를 구비한, 링 케이블 러그(6)를 전기 기구(2)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4)이며,
    클램핑 장치(12, 18)는 링 케이블 러그(6)의 가압을 위해 조여질 수 있고 이 경우 링 케이블 러그의 개구(58)를 관통하는 클램핑 나사(18)를 포함하며, 접속 부재(8)의 하나 이상의 부분(26a, b)은 클램핑 장치(12, 18)를 접속 부재(8)에서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유지 장치(28, 30, 47)로서 형성되고, 유지 장치(28, 30, 47)는 클램핑 나사(18)가 분리될 때 나사 헤드(48)를 위한 정지부(47)를 포함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2.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12, 18)는 결합 해제 가능한,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지 장치(28, 30, 47)는 클램핑 장치(12, 1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접속 부재의 연장부(26b)인,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나사(18)는 접속 부재(8) 내의 보어(42)를 관통하고, 정지부(47)는 보어(42)의 축방향(60)으로 접속 부재(8)의 나사 헤드(48)를 향한 측면에 배치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지부(47) 내에는 클램핑 나사(18)에 접하는 결합 공구(50)를 위한 개구(52)가 제공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나사(18)의 나사 헤드(48) 반대편 단부(56)는 클램핑 나사(18)가 개방 위치(16)에 있을 때, 접속 부재(8) 위로 돌출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7. 제4항에 있어서, 정지부(47)는 보어(42)로부터 멀어지면서 U형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b)의 단부(46)에 배치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나사(18)를 개방 위치(16)로 예비 인장하는 스프링(14)을 구비한,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9. 제8항에 있어서, 클램핑 나사(18)는 나사 헤드(48)에 인접하는 견부(54)를 포함하며, 견부는 클램핑 나사(18)가 조여질 때(68) 접속 부재(8)에 지지되고, 이 경우 스프링(14)은 견부(54)를 둘러싸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10. 제9항에 있어서, 나사 헤드(48)는 제1 직경(w1)을, 견부(54)는 더 작은 제2 직경(w2)을 포함하고, 스프링(14)의 내부 직경(w3)은 제1 직경(w1)과 제2 직경(w2) 사이에 위치하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장치(12, 18)는 링 케이블 러그(6)를 접촉면(38)에 대해 가압하기 위한 클램핑 플레이트(12)를 포함하며, 클램핑 플레이트(12)는 연장부(29, 30)를 포함하고, 접속 부재(8)의 하나 이상의 부분(26a)은 연장부(29, 30)와 결합하는 유지 수단(28)으로서 형성된,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12. 제11항에 있어서, 연장부(29, 30)는 T형상이고, 유지 수단(28)은 연장부에 의해 뒤쪽에서 맞물린 접촉 지지부(8) 내 개구인,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접촉 지지부(8)는 편평한 띠의 형상을 갖는,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14. 삭제
KR1020097022960A 2007-05-04 2007-05-04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KR101257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DE2007/000803 WO2008134992A1 (de) 2007-05-04 2007-05-04 Klemmstelle zum anschliessen eines ringkabelschuhs an ein elektrisches gerä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168A KR20100016168A (ko) 2010-02-12
KR101257145B1 true KR101257145B1 (ko) 2013-04-22

Family

ID=3892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960A KR101257145B1 (ko) 2007-05-04 2007-05-04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53492B1 (ko)
KR (1) KR101257145B1 (ko)
CN (1) CN101669253B (ko)
DE (1) DE112007003566A5 (ko)
WO (1) WO20081349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4867B4 (de) * 2009-06-09 2013-03-28 Abb Ag Installationsschaltgerät mit Klemmenabdeckteil
KR101068521B1 (ko) * 2010-06-22 2011-09-28 황정인 케이블러그 탈피용 커팅다이스
TWM490653U (en) * 2014-04-16 2014-11-21 Switchlab Inc Switch wiring terminal seat structure
CN105261887A (zh) * 2015-09-11 2016-01-20 厦门市万家灿灯具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机械且便于接入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86218A (zh) * 2015-09-11 2015-12-23 储娟英 一种防超程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86206A (zh) * 2015-09-11 2015-12-23 李琴琴 一种用于建筑机械设备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98490A (zh) * 2015-09-11 2015-11-25 储娟英 一种用于建筑机械设备电源线的智能连接锁定装置
CN105071131A (zh) * 2015-09-11 2015-11-18 储娟英 一种新型建筑机械用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98489A (zh) * 2015-09-11 2015-11-25 储娟英 一种可移动式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40716A (zh) * 2015-09-11 2015-12-09 储娟英 一种用于建筑机械的供电线缆连接锁定装置
CN105186205A (zh) * 2015-09-11 2015-12-23 储娟英 一种用于建筑机械的电源线自动连接锁定装置
CN105281127A (zh) * 2015-09-11 2016-01-27 何龙飞 一种带复位弹簧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71132A (zh) * 2015-09-11 2015-11-18 乐清市明祥电器厂 一种用于建筑机械且接入方便的供电线缆连接锁定装置
FR3041168B1 (fr) * 2015-09-11 2017-09-29 Schneider Electric Ind Sas Systeme de raccordement d'une cosse a œil avec un moyen de serrage et des moyens de retenue pour retenir la cosse a œil avant serrage
CN105071133A (zh) * 2015-09-11 2015-11-18 李琴琴 一种带拉伸弹簧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40721A (zh) * 2015-09-11 2015-12-09 储娟英 一种传感器控制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71128A (zh) * 2015-09-11 2015-11-18 晋江市东坤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高效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组件
CN105207008A (zh) * 2015-09-11 2015-12-30 李琴琴 一种新型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98491A (zh) * 2015-09-11 2015-11-25 李琴琴 一种用于建筑机械且低震动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61909A (zh) * 2015-09-11 2015-12-16 何龙飞 一种拆装维护便捷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119106A (zh) * 2015-09-11 2015-12-02 永嘉汇世进出口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机械设备且可降噪的接线锁定装置
CN105048191A (zh) * 2015-09-11 2015-11-11 周丽娜 一种用于建筑机械设备的接线锁定装置
CN105119101A (zh) * 2015-09-11 2015-12-02 储娟英 一种可调的建筑机械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5071130A (zh) * 2015-09-11 2015-11-18 方剑 一种用于移动式建筑机械设备的电源线连接锁定装置
CN106532288A (zh) * 2016-12-04 2017-03-22 重庆永富电线电缆有限公司 一种电缆连接器
US10431922B2 (en) * 2017-12-27 2019-10-0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Pin and sleeve device with contact carrier for capturing set screws
DE102018126458B4 (de) * 2018-10-24 2020-06-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en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s Kabels
CN110086011B (zh) * 2019-04-19 2020-11-27 益风电缆有限公司 三芯电缆终端定型装置
JP7323571B2 (ja) 2021-04-14 2023-08-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保持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40A (ko) * 2005-09-23 2007-03-2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프링식 플러그 단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17710B1 (de) * 1972-04-13 1972-11-16 Phönix Elektrizitätsgesellschaft H. Knümann & Co, 4933 Blomberg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insbesondere Schaltanlagen-Reihenklemme
DE2232556B1 (de) * 1972-07-03 1973-01-18 Hans 5463 Unkel Simon Elektrische Klemme
DE2509158C3 (de) * 1975-03-03 1978-11-09 Hans 5463 Unkel Simon Elektrische Klemme
DE19513281A1 (de) * 1995-04-07 1996-10-10 Kopp Heinrich Ag Kombianschlußklemme
CN1881711A (zh) * 2005-06-14 2006-12-20 康宁吉伯股份有限公司 具有电气接地端的同轴电缆接头
FR2894722B1 (fr) * 2005-12-09 2009-05-22 Schneider Electric Ind Sas Borne de connexion electrique et appareil electrique de coupure comportant une telle bor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440A (ko) * 2005-09-23 2007-03-2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스프링식 플러그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3492A1 (de) 2010-02-17
DE112007003566A5 (de) 2010-04-08
CN101669253B (zh) 2012-07-04
WO2008134992A1 (de) 2008-11-13
KR20100016168A (ko) 2010-02-12
CN101669253A (zh) 2010-03-10
EP2153492B1 (de) 201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145B1 (ko) 링 케이블 러그를 전기 기구에 접속하기 위한 터미널부
US7654845B2 (en) Contacting plug-and-socket connection with contact force independent of contact carrier thickness
US8579651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ductors
JP4728074B2 (ja) 電気的な接続端子または接合端子
US8466367B2 (en) Lead-through terminal
US9225081B2 (en) Clamping unit of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EP0681342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crew clamp terminals
CN109478730B (zh) 用于电导体的连接装置的致动器
CA2497488A1 (en) A dual function terminal assembly and electric power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3317875A (ja) シールドされた電気ケーブルのための丸型差込みコネクタ
US20220190493A1 (en) Spring terminal for conductor
JP2017220456A (ja) 導体路用ばね負荷端子
US7419401B2 (en) Terminal contact for electric conductors
US11588256B2 (en) Power input terminal block
KR20080020941A (ko) 접속장치
US6860752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4552243A (zh) 呈配电器接线盒形式的接线端子
JP6653623B2 (ja) 電気コネクタ
JP3215384U (ja) 保護接地端子付きピンソケットコネクタ部材
US20050124206A1 (en) Terminal unit for putting a lead into conta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JP7313481B2 (ja) プラグコネクタ部分を安全に分離すること
JP2007522627A (ja) ケーブル端部スリーブを備えた直接差込み接続装置
CN112563775B (zh) 带有分接接线端子的接线盒装置
CN111684660A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组件以及具有外部的汇流排区段和连接组件的装置
CN110622359A (zh) 用于将至少一个电导体连接螺栓端子的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