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058B1 -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058B1
KR101257058B1 KR1020110062802A KR20110062802A KR101257058B1 KR 101257058 B1 KR101257058 B1 KR 101257058B1 KR 1020110062802 A KR1020110062802 A KR 1020110062802A KR 20110062802 A KR20110062802 A KR 20110062802A KR 101257058 B1 KR101257058 B1 KR 10125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ter gas
content
component
reference valu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893A (ko
Inventor
임홍섭
김구용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0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C21C5/40Offtakes or separating apparatus for converter waste gases or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 C21C2100/06Energy from waste gas used in other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로가스(LDG, linz donawitz gas)가 유입되는 유입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전로가스 중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조성측정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를 고로(blast furnace)로 공급하는 제1 공급관, 유입관에 연결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를 가스홀더로 공급하는 제2 공급관, 및 유입관,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 사이에 개재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에 따라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으로의 전로가스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ORTING AND SUPPLYING A GAS}
본 발명은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 공정에서는 고로가스(BFG, blast furnace gas), 코크스로가스(COG, coke oven gas), 전로가스(LDG, linz donawitz gas) 등과 같은 부생가스가 발생된다.
이러한 고로가스, 코크스로가스 및 전로가스는, 각각 750kcal/Nm3, 4200kcal/Nm3, 2000kcal/Nm3 정도의 발열량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 부생가스는 제철 공정의 에너지원으로 다양하게 재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생가스 중 취련 공정을 통해 발생되는 전로가스는 취련 중기 일산화탄소(CO) 함량이 약 80 내지 90 부피퍼센트(vol%) 정도로 높게 나타난다. 그러나 전로가스는 전로 조업의 패턴이 불규칙함에 따라 그 공급 안정성이 다른 부생가스에 비하여 낮아 그 활용도가 높지 않다.
한편 고로 조업에 있어 코크스는 주된 탄소 공급원으로 다량의 코크스가 사용된다. 이 경우 코크스의 절감은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에 직결되므로, 간접 환원제인 코크스의 사용을 줄이고, 탄화수소계 연료 등과 같은 직접 환원제의 사용을 증가시킬수록 고로의 생산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로가스 활용의 유동성을 높이고, 고로에 투입되는 코크스의 양을 절감하여 고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로가스(LDG, linz donawitz gas)가 유입되는 유입관,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전로가스 중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조성측정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를 고로(blast furnace)로 공급하는 제1 공급관, 유입관에 연결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를 가스홀더로 공급하는 제2 공급관, 및 유입관, 제1 공급관 및 제2 공급관 사이에 개재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에 따라 제1 공급관 또는 제2 공급관으로의 전로가스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는 유입관에 연결되어,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제2 기준값은 30 부피퍼센트(volume percent)일 수 있다.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제1 기준값은 80 부피퍼센트일 수 있다.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전로가스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열량계를 더 포함하며, 제1 공급관은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전로가스의 열량이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할 수 있다.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는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환밸브는 3웨이밸브(3-way valv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로가스 중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 및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를 가스홀더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제2 기준값은 30 부피퍼센트일 수 있다.
일성분은 일산화탄소이고, 제1 기준값은 80 부피퍼센트일 수 있다.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전로가스의 열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는,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측정된 열량이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로가스 활용의 유동성을 높이고, 고로에 투입되는 코크스의 양을 절감하여 고로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에 유입되는 전로가스 중 일성분(CO)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로(10)에서 발생된 전로가스(20)를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에 따라 선별하여 그 일부를 고로(30)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입관(110), 조성측정기(120), 제1 공급관(130), 제2 공급관(140), 전환밸브(150), 열량계(160), 제어기(170), 및 배출관(180)을 구비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로가스(20)를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 함량에 따라 선별하고, 그 함량이 제1 기준값, 예를 들어 80 부피퍼센트(vol%) 이상인 전로가스(20)를 고로(30)에 공급하여 이를 제선시 필요한 환원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로가스(20) 활용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코크스의 연소를 통해 발생되어 환원제로 기능하는 일산화탄소를 전로가스(20) 내의 일산화탄소로 대체할 수 있게 되므로, 고로(30)에 투입되는 코크스의 양을 절감할 수 있어 고로(3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유입관(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성분의 함량이 변동되는 전로가스(20)가 유입될 수 있다. 전로(10)에서 취련 작업의 진행에 따라 그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취련 초기에서 중기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취련 말기로 갈수록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에 유입되는 전로가스(20) 중 일성분(CO)의 함량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로가스(20) 중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취련 시간에 따라 변동되며, 취련 초기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취련 중기에 최대값에 이르고, 취련 말기로 갈수록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로가스(20) 내 일산화탄소의 함량은 그 유동에 따라 변동되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미리 설정된 제1 및 제2 기준값을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일성분의 함량 크기에 따라 전로가스(20)를 선별함으로써, 전로가스(20)를 다양한 용도로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조성측정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에 설치되어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전로가스(20) 중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측정기(120)로는 전로가스(20) 중 일성분의 농도만을 선택적으로 측정하는 장치가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모든 성분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조성측정기(120)로 이용될 수도 있다.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전로가스(20)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기(170)는 이러한 함량 정보에 따라 전환밸브(1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로가스(20)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40)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게 된다.
제1 공급관(130)과 제2 공급관(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전로가스(20)의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예를 들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 경우 제1 공급관(130)은 이와 같이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를 보유한 전로가스(26)를 공급받아 고로(30)로 이송할 수 있으며,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제2 공급관(140)은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저농도의 일산화탄소를 보유한 전로가스(24)를 공급받아 가스홀더(40)로 이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관(110)의 하류 부분에는 전로가스(20)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열량계(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급관(130)은 전로가스(20) 내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즉 80 부피퍼센트 이상이면서, 동시에 전로가스(20)의 열량이 기준 열량, 예를 들어 80 부피퍼센트만큼의 일산화탄소를 갖는 전로가스(20) 열량에 해당되는 2,500kcal/Nm3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26)를 고로(30)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량계(160)를 이용하여 전로가스(20)의 열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열량을 이용하여 전로가스(20) 내 일산화탄소의 함량을 간접적으로 유추함으로써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일산화탄소 함량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보다 정밀한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의 조성측정기(120)와 전환밸브(150) 사이 부분에는 배출관(18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80)은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아 전로가스(20)가 낮은 열량을 갖는 경우 전로가스(22)를 제1 공급관(130) 및 제2 공급관(140)에 이르기 전에 미리 외부로 배출하여 방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값, 예를 들어 30 부피퍼센트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전로가스(20, 22, 24, 26)는, 그 일산화탄소 함량이 제2 기준값, 30 부피퍼센트보다 작은 경우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고, 일성분 함량이 제2 기준값 이상이지만 제1 기준값, 80 부피퍼센트보다는 작은 경우 제2 공급관(140)을 통해 가스홀더(40)로 이송되며, 일성분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1 공급관(130)을 통해 고로(30)로 이송되어 환원제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의 a 및 c 구간에 해당되는 전로가스(24)의 유량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관(140)을 통해 가스홀더(40)에 저장된 이후, 발전소(50) 등에서 연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의 b 구간에 해당되는 전로가스(26)의 유량 부분은 고농도의 일산화탄소를 보유한 전로가스(26)에 해당되며, 이러한 전로가스(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관(130)을 통해 고로(30)로 이송되어, 고로(30) 내에서 코크스를 일부 대체하는 환원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a 구간 및 c 구간의 바깥 구간에 해당되는 전로가스(22)의 유량 부분은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방산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로가스(22)는 배출관(180)을 통해 플레어 스택(flare stack) 등으로 이송되어 연소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관(130) 또는 제2 공급관(140)으로의 전로가스(20) 공급은 3웨이밸브 등과 같은 전환밸브(1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환밸브(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 제1 공급관(130) 및 제2 공급관(1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100)를 이용한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로가스(20) 중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 측정하는 단계(S110), 일산화탄소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0), 일산화탄소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22)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130), 일산화탄소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이상인 경우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24)를 가스홀더(40)로 공급하는 단계(S150),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20)의 열량을 측정하는 단계(S160),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26)를 고로(30)로 공급하는 단계(S170)를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이 제시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전로가스(20) 중 일성분,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의 함량 측정한다(S110). 유입관(110)에 설치된 조성측정기(120)에 의해 측정된 전로가스(20) 중 일산화탄소의 함량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기(170)로 전달된 전로가스(20) 중 일산화탄소의 함량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기(170)는 전로가스(20) 중 일산화탄소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그리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일산화탄소 함량이 제2 기준값, 즉 30 부피퍼센트 보다 작은 경우 전로가스(22)를 외부로 배출한다(S130). 즉, 제어기(170)는 배출관(180)에 설치된 밸브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배출관(180)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예를 들어 30 부피퍼센트 보다 작은 전로가스(22)를 배출관(180)을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련 초기 및 말기의 경우 전로가스(22) 중 일산화탄소함량이 30 부피퍼센트 보다 작게 되며, 이러한 전로가스(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관(180)을 통해 외부로 방산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전로가스(20) 중 일산화탄소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이상인 경우 제어기(170)는 전로가스(20) 내 일산화탄소 함량이 제1 기준값, 즉 8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재차 판단한다(S1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련 중기에 이르게 되면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30 부피퍼센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로가스(20)를 다시 선별하기 위해 제어기(170)는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보다 작은 경우 제어기(170)는 전환밸브(1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1 공급관(130)을 폐쇄시키고 제2 공급관(140)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로가스(24)는 가스홀더(40)로 공급될 수 있다(S150).
이와 달리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20)의 열량을 측정한다(S160). 유입관(110) 하류에 설치된 열량계(160)에 의해 측정된 전로가스(20)의 열량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1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기(170)는 이와 같이 측정된 열량 정보와 미리 저장된 열량 정보를 비교하여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인지 여부를 검증하게 된다.
그 검증 결과 일산화탄소 함량이 80 부피퍼센트 이상임과 동시에 전로가스(20)의 열량이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전로가스(26)를 고로(30)로 공급한다(S170). 제어기(170)는 전환밸브(1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제2 공급관(140)을 폐쇄시키고 제1 공급관(130)을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로가스(26)는 고로(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전로
20, 22, 24, 26: 전로가스
30: 고로
40: 가스홀더
50: 발전소
100: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110: 유입관
120: 조성측정기
130: 제1 공급관
140: 제2 공급관
150: 전환밸브
160: 열량계
170: 제어기
180: 배출관

Claims (13)

  1. 전로가스(LDG, linz donawitz gas)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전로가스 중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조성측정기;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고로(blast furnace)로 공급하는 제1 공급관;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성분의 함량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가스홀더로 공급하는 제2 공급관;
    상기 유입관, 상기 제1 공급관 및 상기 제2 공급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에 따라 상기 제1 공급관 또는 상기 제2 공급관으로의 상기 전로가스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전환밸브; 및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전로가스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한 열량계를 포함하고,
    제1 공급관은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전로가스의 열량이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어, 상기 조성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30 부피퍼센트(volume perc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상기 제1 기준값은 80 부피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3웨이밸브(3-way val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8. 전로가스 중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상기 제1 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가스홀더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로가스의 열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는,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고 측정된 상기 열량이 기준 열량 이상인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고로로 공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이후에,
    측정된 상기 일성분의 함량이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전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값은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은 일산화탄소(CO)이고,
    상기 제2 기준값은 30 부피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성분은 일산화탄소이고,
    상기 제1 기준값은 80 부피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가스 선별 공급 방법.
  13. 삭제
KR1020110062802A 2011-06-28 2011-06-28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25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02A KR101257058B1 (ko) 2011-06-28 2011-06-28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802A KR101257058B1 (ko) 2011-06-28 2011-06-28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93A KR20130001893A (ko) 2013-01-07
KR101257058B1 true KR101257058B1 (ko) 2013-04-22

Family

ID=4783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802A KR101257058B1 (ko) 2011-06-28 2011-06-28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349B1 (ko) * 2013-03-28 2014-09-19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로가스 분리 회수 장치 및 방법
DE102013113950A1 (de) * 2013-12-12 2015-06-18 Thyssenkrupp Ag Anlagenverbund zur Stahlerzeug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Anlagenverbundes
US9990438B2 (en) 2014-03-13 2018-06-05 Ebay Inc. Customized fitting room environment
CN114134265B (zh) * 2021-11-30 2022-10-11 天津市新天钢联合特钢有限公司 一种转炉和高炉煤气供给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004A (ja) * 1985-06-13 1986-12-18 Kawasaki Steel Corp 転炉排ガスを利用した粉状鉱石の還元方法
JP2000212615A (ja) * 1999-01-26 2000-08-02 Kawasaki Steel Corp 製鉄設備排ガスからのエネルギ―回収方法
KR200278297Y1 (ko) * 1998-12-02 2002-07-18 이구택 전로배가스 회수율 증대를 위한 냉각장치
JP2003082418A (ja) * 2001-09-14 2003-03-19 Nippon Steel Corp 回転炉床式還元炉への転炉ダストリサイクル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8004A (ja) * 1985-06-13 1986-12-18 Kawasaki Steel Corp 転炉排ガスを利用した粉状鉱石の還元方法
KR200278297Y1 (ko) * 1998-12-02 2002-07-18 이구택 전로배가스 회수율 증대를 위한 냉각장치
JP2000212615A (ja) * 1999-01-26 2000-08-02 Kawasaki Steel Corp 製鉄設備排ガスからのエネルギ―回収方法
JP2003082418A (ja) * 2001-09-14 2003-03-19 Nippon Steel Corp 回転炉床式還元炉への転炉ダストリサイク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893A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058B1 (ko)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797852B1 (ko) 배기가스의 유량 제어 방법
JP6953327B2 (ja) 高炉シャフト吹込み装置および高炉シャフト吹込み装置の運転方法
JP2016057149A (ja) 鉱石の高温性状評価試験装置
WO2006087803A1 (ja) ガス発熱量制御方法とガス発熱量制御装置
KR20110120444A (ko) 열풍로 설비의 연소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4031568A (ja) 高炉操業方法
JP4011572B2 (ja) ガス改質設備
JP5770124B2 (ja) 高炉操業方法
WO2006098129A1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ガス吹込み装置およびその操業方法
KR101277741B1 (ko) 부생가스 회수 장치 및 그 회수 방법
CN103814253A (zh) 热力二次燃烧设备以及用于其运行的方法
KR101412131B1 (ko) 가스선별장치 및 방법
KR101235885B1 (ko) 가스 선별 장치
KR101246354B1 (ko) 가스 선별 장치 및 방법
JP7203680B2 (ja) ガス吹込み条件の設定方法及びガス吹込み条件の設定方法のプログラム
KR101385851B1 (ko) 유동층 보일러 및 이를 이용한 연소 제어방법
KR101443349B1 (ko) 전로가스 분리 회수 장치 및 방법
KR101225119B1 (ko)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KR101806858B1 (ko) 배가스 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6241500A (ja) 熱風炉の制御方法
KR101225116B1 (ko) 제철 부생가스 제어장치 및 방법
US20220412554A1 (en) Combustion of the CO in secondary metallurgical exhaust gas, with calorific value control and volume flow control
JP2004339425A (ja) コークス炉の加熱方法及びコークス炉の燃料ガス供給設備
KR101868155B1 (ko) 가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