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119B1 -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119B1
KR101225119B1 KR1020110008741A KR20110008741A KR101225119B1 KR 101225119 B1 KR101225119 B1 KR 101225119B1 KR 1020110008741 A KR1020110008741 A KR 1020110008741A KR 20110008741 A KR20110008741 A KR 20110008741A KR 101225119 B1 KR101225119 B1 KR 10122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concentration
gas
component
measuremen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509A (ko
Inventor
박병철
김구용
정인모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by measuring the rate of variation of the concen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유량 계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측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주 유입관,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입 농도 측정기,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보조가스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관, 계측대상가스와 보조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 및 혼합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 농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FLUX AND METHOD FOR MEASURING FLU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량 계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기 위한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철 공정에서는 고로 가스(BFG, blast furnace gas), 코크스로 가스(COG, coke oven gas), 전로 가스(LDG, linz donawitz gas) 등과 같은 부생가스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고로 가스, 코크스로 가스 및 전로 가스는, 각각 750kcal/Nm3, 4200kcal/Nm3, 2000kcal/Nm3 정도의 발열량을 보유하고 있어, 이들 부생가스는 제철 공정의 에너지원으로 다양하게 재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생가스는 비교적 불규칙한 유량으로 발생되며, 따라서 순간적으로 증가되는 유량만큼의 부생가스는 플레어 스택(flare stack)에서 연소된 후 연소가스의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방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계측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주 유입관,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입 농도 측정기,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보조가스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관, 계측대상가스와 보조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 및 혼합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 농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장치가 제공된다.
유량 계측 장치는,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및 보조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연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 유입관 및 배출관에서 일 성분의 유량은 동일하며, 연산기는 하기 식 1에 의해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식 1] Q1 = (C3 · Q2) / (C1 - C3)
(Q1: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의 유량
Q2: 보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보조가스의 유량
C1: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C3: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유량은 체적유량을 나타내며, 농도는 계측대상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단위 부피당 일 성분의 질량을 나타낼 수 있다.
보조가스는 계측대상가스의 일 성분과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량 계측 장치는, 계측대상가스와 보조가스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혼합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농도 측정기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장치일 수 있다.
배출 농도 측정기는 혼합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만을 측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보조 유입관을 통해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유입되는 보조가스의 유량, 및 계측대상가스와 보조가스가 혼합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및 보조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방법이 제공된다.
주 유입관 및 배출관에서 일 성분의 유량은 동일하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식 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식 1] Q1 = (C3 · Q2) / (C1 - C3)
(Q1: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의 유량
Q2: 보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보조가스의 유량
C1: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C3: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일 성분의 농도)
유량은 체적유량을 나타내며, 농도는 계측대상가스 또는 혼합가스의 단위 부피당 일 성분의 질량을 나타낼 수 있다.
보조가스는 계측대상가스의 일 성분과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장치의 혼합팬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에 따른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의 형태로 부생가스를 방산하기 위한 플레어 스택의 상류에 설치되어, 이러한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계측하는 장치로서, 주 유입관(110), 보조 유입관(120), 배출관(130), 유입 농도 측정기(140), 배출 농도 측정기(150), 혼합팬(170), 및 연산기(160)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이 결정되어 있는 보조가스(20)를 추가로 유입시키면서 주 유입관(110) 및 배출관(130)에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이러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유량이 주 유입관(110)으로부터 배출관(130)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에 따라 이들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가스의 형태로 방산되는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저렴한 비용으로 오리피스 유량계 등에 비해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하도록 한다.
주 유입관(110)은 계측대상가스(10)의 이송 라인으로부터 플레어 스택을 향해 분기된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유입관(110)에는 방산될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 농도 측정기(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유입관(110)에 설치되어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계측대상가스(10)의 종류에 따라 측정 대상 성분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계측대상가스(10)가 고로 가스와 전로 가스인 경우 예를 들어 주성분인 일산화탄소(CO)의 농도가 측정되고, 코크스로 가스인 경우 예를 들어 주성분인 메탄(CH4)의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 농도 측정기(140)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 농도 측정기(140)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 이외에도 모든 성분에 대한 농도가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으며, 그 측정값은 계측대상가스(10)의 발열량 산출 등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보조 유입관(120)은 별도의 보조 탱크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유입관(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탱크로부터 보조가스(20)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가스(20)는 미리 설정된 유량만큼 일정하게 보조 유입관(120)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유입관(120)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보조가스(20)가 유입됨에 따라,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전체 유량(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과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전체 유량(혼합가스(30)의 유량)은 서로 상이하게 된다. 그러나 계측대상가스(10) 중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방산되는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 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계측대상가스(10) 중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보조가스(20)에 의해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과 동일한 성분이 추가적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보조가스(20)는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과 상이한 성분, 예를 들어, 질소(N2), 산소(O2)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관(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주 유입관(110) 및 보조 유입관(120)과 연결되고 타단이 플레어 스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관(130)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대상가스(10)와 보조가스(20)가 혼합된 혼합가스(30)가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130)의 상류 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팬(17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관(130) 측으로 유입되는 주 유입관(110)의 계측대상가스(10)와 보조 유입관(120)의 보조가스(20)는 이러한 혼합팬(170)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배출 농도 측정기(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1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혼합가스(30)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 농도 측정기(150)로는 혼합가스(30) 중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 농도만을 측정 가능한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계측대상가스(10)가 고로 가스와 전로 가스인 경우 예를 들어 주성분인 일산화탄소(CO)의 농도만이 측정되고, 코크스로 가스인 예를 들어 주성분인 메탄(CH4)의 농도만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 대상 성분의 농도만이 측정 가능한 장치를 배출 농도 측정기(150)로 이용함으로써, 보다 저비용으로 정밀한 유량 계측 장치(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연산기(160)는, 유입 농도 측정기(14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배출 농도 측정기(15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및 보조가스(20)의 유량을 이용하여,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연산기(160)는,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이 주 유입관(110)으로부터 배출관(130)까지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에 따라, 방산되는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산기(160)는 다음과 같은 식 1에 의해 유량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
[식 1]
Q1 = (C3 · Q2) / (C1 - C3)
(여기서, Q1은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 Q2는 보조 유입관(120)으로 유입되는 보조가스(20)의 유량, C1은 유입 농도 측정기(14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C3은 배출 농도 측정기(15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임)
이와 같은 식 1은,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과 보조 유입관(120)으로 보조가스(20)의 유량의 합이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30)의 유량과 동일하다는 점, 및 주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 중 그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과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30) 중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이 동일하다는 점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식 2 및 식 3으로 각각 표현될 수 있다.
[식 2]
Q3 = Q1 + Q2
(여기서, Q3은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30)의 유량)
[식 3]
C3 · Q3 = C1 · Q1
이러한 식 3의 좌변은 주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 중 그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이고, 우변은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30) 중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에 해당되는 유량이다. 이 경우, 식 2를 이용하여 식 3의 Q3을 소거함으로써,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유량은 체적유량을 나타내며, 농도는 계측대상가스(10) 또는 혼합가스(30)의 단위 부피당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의 질량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식 3은 주 유입관(110)으로부터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 중 그 일 성분의 질량유량(좌변)과,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30) 중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질량유량(우변)이 동일함을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유량이 체적유량이고, 농도가 계측대상가스(10) 또는 혼합가스(30)의 단위 부피당 계측대상가스(10)의 일 성분의 질량인 경우에는, 계측대상가스(10)와 보조가스(20)가 동일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동일한 밀도를 갖는다는 가정 하에서, 식 1 내지 식 3을 이용함으로써, 방산되는 부생가스 등과 같은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이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량 계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제시된 유량 계측 장치(100)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으로서, 주 유입관(110) 및 배출관(130)에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와, 미리 설정된 값인 보조가스(20)의 유량을 입력 받는 단계(S110), 및 이들 입력값을 이용하여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방법이 제시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측대상가스(10) 유량 계측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연산기(160)가 유입 농도 측정기(14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배출 농도 측정기(15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및 보조가스(20)의 유량을 입력 받는다(S110).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 농도 측정기(140)를 통해 주 유입관(110)을 통과하는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가 측정되고, 배출 농도 측정기(150)를 통해 배출관(130)을 통과하는 혼합가스(30)의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가 측정될 수 있다. 보조가스(20)의 유량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연산기(160)는 이들 값들을 각각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원리에 따라, 연산기(160)가 주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한다(S120).
즉, 이는, 유입 농도 측정기(14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배출 농도 측정기(150)에 의해 측정된 계측대상가스(10) 일 성분의 농도 및 보조가스(20)의 유량을 이용하여, 연산기(160)가 방산되는 부생가스 등의 계측대상가스(10)의 유량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성분의 유량이 주 유입관(110) 및 배출관(130)에서 동일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 2, 식 3로 표현되어 최종적으로 식 1의 형태로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식 1 내지 식 3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계측대상가스
20: 보조가스
30: 혼합가스
100: 유량 계측 장치
110: 주 유입관
120: 보조 유입관
130: 배출관
140: 유입 농도 측정기
150: 배출 농도 측정기
160: 연산기
170: 혼합팬

Claims (12)

  1. 계측대상가스가 유입되는 주 유입관;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입 농도 측정기;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보조가스가 유입되는 보조 유입관;
    상기 계측대상가스와 상기 보조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혼합가스 중 상기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 농도 측정기; 및
    상기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상기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및 상기 보조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연산기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일 성분의 유량은 동일하며,
    상기 연산기는 하기 식 1에 의해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장치.
    [식 1] Q1 = (C3 · Q2) / (C1 - C3)
    (Q1: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
    Q2: 상기 보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보조가스의 유량
    C1: 상기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C3: 상기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은 체적유량을 나타내며,
    상기 농도는 상기 계측대상가스 또는 상기 혼합가스의 단위 부피당 상기 일 성분의 질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스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일 성분과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대상가스와 상기 보조가스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혼합팬을 더 포함하는 유량 계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농도 측정기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농도 측정기는 상기 혼합가스 중 상기 일 성분의 농도만을 측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장치.
  9.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계측대상가스 중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보조 유입관을 통해 미리 설정된 유량으로 유입되는 보조가스의 유량, 및 상기 계측대상가스와 상기 보조가스가 혼합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혼합가스 중 상기 일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상기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및 상기 보조가스의 유량을 이용하여,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량 계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유입관 및 상기 배출관에서 상기 일 성분의 유량은 동일하며,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 식 1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방법.
    [식 1] Q1 = (C3 · Q2) / (C1 - C3)
    (Q1: 상기 주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유량
    Q2: 상기 보조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상기 보조가스의 유량
    C1: 상기 유입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C3: 상기 배출 농도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일 성분의 농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은 체적유량을 나타내며,
    상기 농도는 상기 계측대상가스 또는 상기 혼합가스의 단위 부피당 상기 일 성분의 질량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가스는 상기 계측대상가스의 일 성분과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계측 방법.
KR1020110008741A 2011-01-28 2011-01-28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KR10122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41A KR101225119B1 (ko) 2011-01-28 2011-01-28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741A KR101225119B1 (ko) 2011-01-28 2011-01-28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09A KR20120087509A (ko) 2012-08-07
KR101225119B1 true KR101225119B1 (ko) 2013-01-22

Family

ID=4687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741A KR101225119B1 (ko) 2011-01-28 2011-01-28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33B1 (ko) * 2015-05-13 2017-03-23 에스케이하이닉스(주) 가스 유입량 및 농도를 각각 조절하여 스크러버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스크러버용 성능 평가 시스템
CN114323120B (zh) * 2021-12-01 2024-02-13 北控水务(中国)投资有限公司 排泥量测量方法、控制方法、处理系统、设备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17Y1 (ko) * 1993-08-31 1996-06-12 주식회사 코오롱 열분해물질의 성분분석장치
KR19980086629A (ko) * 1997-05-02 1998-12-05 에모리 모토히코 수분계, 및 수분계용 전자천칭, 수분계용 필터, 수분계용 수분 흡착장치
KR20040101263A (ko) * 2002-03-04 2004-12-02 아빌리트 가부시기가이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호기성분 분석 장치
JP2006023137A (ja) * 2004-07-07 2006-01-26 National Institutes Of Natural Sciences 微量水素分子及び水素同位体分子分離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817Y1 (ko) * 1993-08-31 1996-06-12 주식회사 코오롱 열분해물질의 성분분석장치
KR19980086629A (ko) * 1997-05-02 1998-12-05 에모리 모토히코 수분계, 및 수분계용 전자천칭, 수분계용 필터, 수분계용 수분 흡착장치
KR20040101263A (ko) * 2002-03-04 2004-12-02 아빌리트 가부시기가이샤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호기성분 분석 장치
JP2006023137A (ja) * 2004-07-07 2006-01-26 National Institutes Of Natural Sciences 微量水素分子及び水素同位体分子分離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09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ckwell et al. Influence of coal dust on premixed turbulent methane–air flames
Dunn et al. A new piloted premixed jet burner to study strong finite-rate chemistry effects
JPWO2017013897A1 (ja) メタン価算出方法およびメタン価測定装置
JP2012026892A (ja) 排ガス分析システム
CN103149171B (zh) 燃烧排气分析装置
KR101225119B1 (ko) 유량 계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계측 방법
CN103245633A (zh) 异标校正红外吸收法测定稀土铝合金中碳和硫含量的方法
CN104615899B (zh) 冶金煤气锅炉空气预热器漏风率测算方法
CN109829235B (zh) 一种基于摩尔数平衡原理的发动机燃油消耗率计算方法
US8603831B2 (en) Method of determining a composition of fuel in a power station
CN102454484A (zh) 发电厂
JP2020115092A (ja) 組成分析装置および組成分析方法
JPH06300459A (ja) 焼結機の漏風検知方法
JP2011039011A (ja) 硫化腐食の評価方法
CN104729837A (zh) 柴油机氧化催化转化器doc的性能测试方法及系统
CN101796411A (zh) 冶金过程中废气率的间接测定
KR20130001893A (ko) 전로가스 선별 공급 장치 및 방법
CN110044852A (zh) 基于激光诱导击穿光谱法的燃煤电厂碳排放在线监测方法
RU2013110026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входного воздушного поток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ертного газа
CN111328372B (zh) 组成分析装置及组成分析方法
JP2018091783A (ja) ガス成分濃度の分析方法、排ガスの回収方法、ガス成分濃度の分析装置及び排ガスの回収設備
CN102478447B (zh) 真空室泄漏空气量在线检测方法及装置
ATE518129T1 (de) Verfahren zur allgemeinen messung der gasdurchlässigkeit von behältern und verschlusselementen
KR101911491B1 (ko) 배가스 측정장치 및 이 배가스 측정값을 이용한 용강 내 탈탄량 예측방법
Yan et al.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OH*, CH* chemiluminescence and heat release rate in methane inverse diffusion fl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