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941B1 -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 Google Patents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941B1
KR101256941B1 KR1020110035280A KR20110035280A KR101256941B1 KR 101256941 B1 KR101256941 B1 KR 101256941B1 KR 1020110035280 A KR1020110035280 A KR 1020110035280A KR 20110035280 A KR20110035280 A KR 20110035280A KR 101256941 B1 KR101256941 B1 KR 101256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touch
score
support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7494A (ko
Inventor
서병만
Original Assignee
서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만 filed Critical 서병만
Priority to KR1020110035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9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1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96Reaction tim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02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having an effect on the human senses
    • A63F2250/025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having an effect on the human senses related to sense of touch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에게 즐겁게 놀면서 반사신경, 집중력을 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 아이들 사이에 놀이를 통한 정당한 승부와 경쟁심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상단에는 각 경기자들의 점수가 디지털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점수판을 가지고, 그 아래의 빈공간에는 유리가 끼워져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구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이 끼워진 받침대; 상기 메인프레임의 유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 개의 터치모듈; 상기 각 터치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모듈을 누르면 점수가 업카운트되고, 이를 상기 점수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Speed touch device for playing}
본 발명은 아동이나 어린이들의 놀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나 어린이에게 즐겁게 놀면서 반사신경, 집중력을 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 아이들 사이에 놀이를 통한 정당한 승부와 경쟁심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운동을 통해서 아이들의 성격을 명랑하게 성장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더욱이, 고대로부터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주로 성인 위주의 스포츠를 중심으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성인들의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은 어려서 받은 교육과 교육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게 생각되지만, 이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많지 않았다.
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물질적으로 풍요롭기 때문에 대부분의 아이들은 신체단련을 통해서 건강한 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기회가 많지 않고, 주로 실내에서 컴퓨터 등의 놀이에 치중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실내에서 신체단련을 통해 집중력, 반사신경 및 운동신경, 정당하게 또래 아이들과의 경쟁을 유도하여 정당한 경쟁을 배울 수 있고, 같은 또래의 유아나 어린이들이 축구, 배구, 야구와 같이 부상위험이 존재하는 놀이를 할 수 없거나 장소가 제한적일 때 실시할 수 있는 놀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나 어린이가 아니더라도 부상회복 중인 일반인이나 운동선수에게 재활프로그램으로서 부상위험이 전혀 없는 스피드 터치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에게 즐겁게 놀면서 반사신경, 집중력을 훈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래 아이들 사이에 놀이를 통한 정당한 승부와 경쟁심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단에는 경기자들의 점수가 디지털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점수판을 가지고, 그 아래의 빈공간에는 유리가 끼워져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구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이 끼워진 받침대; 상기 메인프레임의 유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터치모듈; 상기 각 터치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모듈을 누르면 점수가 업카운트되고, 이를 상기 점수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으로는 사용자가 접촉하면 전기적으로 도통되도록 한 터치스위치;
상기 터치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램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LED부; 전달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 상기 터치스위치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 유무를 검출하여 점수를 카운트업시키고 카운트업된 점수를 상기 LED부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위치가 턴온되면 상기 램프의 점등, 상기 스피커의 음성출력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LED부의 숫자를 업카운트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사용자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접촉센서;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을 도통시키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된 램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 점수를 디스플레이하는 LED부; 전달된 음성신호를 출력시키는 스피커; 상기 접촉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접촉유무를 검출하여 점수를 카운트업시키고 카운트업된 점수를 상기 LED부로 전달하고, 상기 스피커로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센서가 턴온되면 상기 램프의 점등, 상기 스피커의 음성출력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LED부의 숫자를 업카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유아나 어린이에게 즐거운 놀이와 더불어 운동신경 즉, 순발력을 테스트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데, 특히 운동선수를 지망하는 어린이들에게 지루한 체력단련보다 즐거운놀이로서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상회복을 위한 일반인이나 운동선수들에게 순발력을 키우기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일환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다른 회로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외관은 도 1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단에는 경기자들의 점수가 디지털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점수판(11)을 가지고, 그 아래의 빈공간에는 유리(17)가 끼워져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구분된 메인프레임(15)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5)을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이 끼워진 받침대(16)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의 유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터치모듈을 구비되는데, 이 터치모듈은 접촉하면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터치스위치(13), 터치스위치의 접촉과 동시에 점등되는 램프(14)를 가진다. 상기 각 터치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15)으로부터 분기된 지지대(19)를 가진다. 게임진행 중 효과음과 안내음성을 들려주기 위한 스피커(12)가 상기 점수판(11) 옆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에도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점수판, 상기 터치모듈, 상기 스피커, 상기 지지대가 각각 구비되고, 반구(半球) 형상의 상기 터치모듈은 복수 개의 볼트(18)에 의해서 각각 고정된다.
상술한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10)는 상기 터치모듈을 누르면 점수가 업카운트되고, 이를 상기 점수판에 표시하여 일정 점수에 도달하면 각 경기자들 사이의 승부를 결정짓도록 설계된 것이다.
여기서, 이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룰은 일정 시간 동안의 점수를 토대로 각 경기자의 승부를 결정짓도록 추가시킬 수 있다.
상기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10)를 회로적으로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면 도 2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하면 전기적으로 도통되는 접촉스위치(SW1), 상기 접촉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되어 점등되는 램프(L1),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신호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부(21),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팀의 점수를 수치로 디스플레이하는 LED부(22),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게임의 음향, 음악,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로구성의 동작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접촉스위치를 접촉시키면 접촉스위치는 전기적으로 도통시킴으로써 공급된 전원이 제어부로 흐르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접촉스위치를 동작시켰음을 알게 된다. 이때, 상기 접촉스위치가 동작됨과 동시에 접촉스위치와 병렬로 연결된 램프(L1)를 점등시키게 된다.
제어부는 LED부(22)로 해당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현재의 점수를 단위점수 만큼 증가(업카운트; up count)시키고, 게임진행상황에 적합하도록 설정된 게임음향, 게임음악, 게임안내음성을 상기 스피커(23)를 출력시킨다.
예컨대, 게임음향에는 "삐리릭", 게임음악에는 "마이클잭슨의 빌리진", 게임안내음성에는 "○○○팀의 점수가 ○○○점이 되었습니다."와 같은 형태로 저장될 수 있지만, 개발업체의 기획방향이나 시대상황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회로구성은 경기자들에게 각각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접촉스위치, 램프, LED부는 한쌍이 더 구비되어야 하므로, 접촉스위치, 램프, LED부는 2배수가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촉스위치(SW1)는 접촉센서와 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접촉센서와 릴레이로 구현된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의 회로도는 도 3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접촉스위치(SW1) 자리에 릴레이(RY1)가 설치되고, 접촉센서(S1)가 추가되도록 구성된다.
접촉시키면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접촉스위치(SW1)와 달리, 접촉센서(S1)에 의해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제어부(21)로 전달되고, 제어부(21)는 릴레이(RY1)를 동작시켜 램프(L1)를 동작시키는 형태로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촉이 발생되면 접촉센서(S1)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21)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릴레이를 동작시켜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와 동시에, LED부 및 스피커를 각각 제어하여 점수 및 사운드를 출력시킨다.
10 ;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11 ; 점수판
12 ; 스피커 13 ; 터치스위치
14 ; 램프 15 ; 메인프레임
16 ; 받침대 17 ; 유리
18 ; 볼트 19 ; 지지대

Claims (3)

  1. 상단에는 경기자들의 점수가 디지털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점수판을 가지고, 그 아래의 빈공간에는 유리가 끼워져 일측면과 타측면으로 구분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이 끼워진 받침대;
    상기 메인프레임의 유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터치모듈;
    상기 각 터치모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기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모듈을 누르면 점수가 업카운트되고, 이를 상기 점수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10035280A 2011-04-15 2011-04-15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KR101256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80A KR101256941B1 (ko) 2011-04-15 2011-04-15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280A KR101256941B1 (ko) 2011-04-15 2011-04-15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494A KR20120117494A (ko) 2012-10-24
KR101256941B1 true KR101256941B1 (ko) 2013-04-25

Family

ID=4728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280A KR101256941B1 (ko) 2011-04-15 2011-04-15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558A (ko) 2019-05-14 2020-11-24 김준기 민첩성 훈련 및 게임 시스템
KR102343493B1 (ko) 2021-07-02 2021-12-27 (주)코리아정보통신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0797A (zh) * 2017-03-20 2017-05-31 上海爱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敏捷反应互动游戏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54B1 (ko) * 2009-12-22 2010-07-28 프림포주식회사 터치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54B1 (ko) * 2009-12-22 2010-07-28 프림포주식회사 터치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558A (ko) 2019-05-14 2020-11-24 김준기 민첩성 훈련 및 게임 시스템
KR102343493B1 (ko) 2021-07-02 2021-12-27 (주)코리아정보통신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7494A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17525A1 (en) Sensory Coordination System for Sports, Therapy and Exercise
US9662557B2 (en) Music gaming system
US20050209066A1 (en) Martial Arts Exercise Device and Method
WO2007120473A2 (en) Ball return game
KR101256941B1 (ko)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CN203329344U (zh) 一种自助式体能测试跳舞毯
US20080032863A1 (en) Climbing Wall System
CN201470075U (zh) 能依敲击力的力道改变灯具效果的游戏机台
KR20130004860U (ko) 전자식 점수판
KR101692947B1 (ko) 득점 경로를 제공하는 스마트 당구대
Karime et al. A modular mobile exergaming system with an adaptive behavior
Karime et al. Learn-pads: A mathematical exergaming system for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KR102020465B1 (ko) 스마트 놀이시설 및 그 운영방법
CN202342825U (zh) 用于智障儿童全身训练的音乐跳游戏系统
US20060267287A1 (en) Ball return game
KR20210112487A (ko) 득점 시 빛으로 반응하는 스포츠 네트
RU2614323C2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футболистов "Dribblingtest"
JP3167841U (ja) 方向センサを具えるゲーム装置
KR102563092B1 (ko) 타격 트레이닝 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GB2499425A (en) A spatial awareness train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timed lights
KR20110113479A (ko) 게임적 요소를 도입한 어린이 놀이시설 및 그 시설운영방법
CN215136387U (zh) 一种便于检测幼儿跳高能力的游戏机
CN202211994U (zh) 一种踩地鼠科普游戏装置
CN206577334U (zh) 一种多功能幼儿训练用篮球架
CN203909933U (zh) 一种新型游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