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493B1 -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 Google Patents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493B1
KR102343493B1 KR1020210087274A KR20210087274A KR102343493B1 KR 102343493 B1 KR102343493 B1 KR 102343493B1 KR 1020210087274 A KR1020210087274 A KR 1020210087274A KR 20210087274 A KR20210087274 A KR 20210087274A KR 102343493 B1 KR102343493 B1 KR 102343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ity sensor
led
circuit board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문병배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코리아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21008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링,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엘이디와, 근접센서의 작동을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는 적외선 이미터와, 상기 적외선 이미터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엘이디와, 상기 제1 엘이디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엘이디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판상으로 설치되되, 상기 근접센서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상된 링 형상의 차폐격벽과, 상기 차폐격벽의 상단에 안착되는 링형상으로 마련된 고무 재질의 차폐링과, 상기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시버, 제1 엘이디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환형벽과, 상기 제2 엘이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본 발명은 적외선 이미터(emitter)에서 송출된 적외선이 상판 덮개에 반사되어 적외선 리시버(receiver)에 직접 수신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폐요소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근접감지가 향상되며, 이에 따라 오작동 확률이 감소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Electronic targets assembly for fitness}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어 작동하는 제1 엘이디와, 사용자의 근접 또는 터치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체력관리를 향상시키는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첩성이란, 운동의 목적에 따라 신체를 신속히 조작하는 능력으로, 신경, 감각 및 근육 기능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민첩성의 정도가 결정된다.
이러한 민첩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국소 전신의 반응시간, 버피 테스트, 반복 옆뛰기, 점프 스텝 테스트, 셔틀런, 시간왕복 달리기, 부메랑 달리기 등이 있다.
종래에는 에르고메타를 활용하여 신체를 단련하고 훈련결과 및 파워를 측정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에르고메타는 단순하게 신체의 힘을 발휘되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흥미 유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록특허공보 10-172616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도구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문헌(등록특허공보 10-1726165호)은 적외선 이미터(emitter)에서 송출된 적외선이 상판 덮개에 반사되어 내부로 유출됨에 따라 적외선 리시버(receiver)에 직접 수신됨으로써, 사용자의 근접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은 사용자의 근접을 인식하기 위해 단순한 적외선 이미터 및 리시버 방식이 적용된 것으로, 태양광 또는 사용자의 옷이나 운동화 색상에 따른 인식 민감도가 높아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문헌에 따른 전자표적 조립체는 조립체를 개별적으로 유선으로 연결하여 내부 축전지를 충전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본원발명 및 선행문헌과 같은 전자표적 조립체(훈련도구)는 최소 2개에서 최대 30개가 동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의 전자표적 조립체는 충전에 대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61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6941호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적외선 이미터(emitter)에서 송출된 적외선이 상판 덮개에 반사되어 적외선 리시버(receiver)에 직접 수신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폐요소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근접감지가 향상되는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링,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와,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엘이디와, 근접센서의 작동을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는 적외선 이미터와, 상기 적외선 이미터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엘이디와, 상기 제1 엘이디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엘이디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리시버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판상으로 설치되되, 상기 근접센서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상된 링 형상의 차폐격벽과, 상기 차폐격벽의 상단에 안착되는 링형상으로 마련된 고무 재질의 차폐링과, 상기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시버, 제1 엘이디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환형벽과, 상기 제2 엘이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차폐격벽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차폐격벽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부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적외선 이미터 및 적외선 리시버가 설치된 공간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하부커버에는 전력수신코일이 장착되며, 상기 전력수신코일에 의해 상기 축전지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어 작동하는 제1 엘이디와, 사용자의 근접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되 단말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복수 개의 전자표적 조립체가 순차적으로 활성화(발광 또는 점멸)되고, 사용자가 활성화된 전자표적을 순차적으로 터치 또는 근접함으로써 전자표적을 비활성시키는 활동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단력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외선 이미터(emitter)에서 송출된 적외선이 상판 덮개에 반사되어 적외선 리시버(receiver)에 직접 수신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차폐요소들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근접감지가 향상되며, 이에 따라 오작동 확률이 감소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조건으로 난이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체력 및 순발력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 내부에 전력수신코일을 포함하여 무선충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폐덮개의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함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표적 조립체(10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자표적 조립체는 사용자의 체력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자표적 조립체는 복수 개가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어 작동하는 제1 엘이디와, 사용자의 근접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전자표적 조립체는 단말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순차적으로 활성화(발광 또는 점멸)되며, 사용자는 활성화된 전자표적을 순차적으로 터치 또는 근접함으로써 전자표적을 비활성시키는 활동을 반복 수행하여 훈련하게 된다.
단말기의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표적 조립체가 활성화된 이후, 사용자의 터치 또는 근접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시간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훈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점수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훈련결과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입력부, 무선통신부, 메모리부, 출력부, 제어부, 인터페이스부,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하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등으로 구현되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1000)에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1000)는, 상부커버(100), 하부커버(200), 결합링(300), 베이스플레이트(400), 회로기판(500), 센서모듈, 도광체(600), 축전지(700), 전력수신코일(800)을 포함한다.
먼저,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여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1000)를 보호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상부커버(100) 및 하부커버(200)는 결합링(300)에 의해 상호 안정적으로 체결되며,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내부 공간부에 베이스플레이트(400), 회로기판(500), 센서모듈, 도광체(600), 축전지(700), 전력수신코일(800) 등의 구성요소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 사이공간에는 수평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400)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회로기판(500)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500)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엘이디(540), 상기 제1 엘이디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리시버(530),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510),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엘이디(550), 상기 근접센서 주변에 마련되며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을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는 적외선 이미터(520)가 장착된다.
상기 제1 엘이디,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비서는 상기 근접센서를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엘이디는 복수 개가 최외곽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등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엘이디, 제2 엘이디,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시버, 근접센서를 통칭하여 센서모듈이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00)에는, 상기 근접센서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410)와, 상기 관통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상된 링 형상의 차폐격벽(420)과, 상기 차폐격벽의 상단에 안착되는 링형상으로 마련된 고무 재질의 차폐링(430)과, 상기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시버, 제1 엘이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관통공(442),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환형벽(450), 상기 제2 엘이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444), 상기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제1 체결돌기(462),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2 체결돌기(464), 도광체와의 체결을 위해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체결홀(470)을 포함한다.
상기 차폐격벽(420) 및 차폐링(430)은 적외선 이미터와 적외선 리시버가 설치된 공간부를 밀폐하여 센서모듈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차폐격벽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차폐격벽(420)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부커버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차폐격벽은 베이스플레이트와 상부커버 사이공간을 차단하여, 적외선 이미터가 설치된 공간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링(430)은 상기 차폐격벽의 상단에 장착되는 링형상의 씰링부재인 것으로, 차폐격벽에 의해 1차 밀폐된 공간부(적외선 이미터가 설치된 공간부)의 기밀성을 보다 향상하기 위한 요소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차폐격벽 및 차폐링과 같은 차폐부재의 실시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센서의 측방에 상기 근접센서를 감싸도록 별도의 차폐덮개(560)를 장착하였다.
상기 차폐덮개는 상기 근접센서를 감싸도록 마련되되, 상면 일부구간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차폐덮개는 송출된 적외선이 조립체(1000) 내부에서 반사되어 적외선 리시버에 인가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돌기(462)는 상부커버의 내주연에 체결되기 위한 요소이며, 상기 제2 체결돌기(464)는 회로기판과 록킹결합되기 위한 요소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도광체(600)가 장착된다.
상기 도광체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체결홀(47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엘이디의 조명광을 확산시키는 요소이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500)의 저면에는 축전지(7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720)이 장착된다.
상기 축전기(700)는 지지브라켓(72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축전지는 전력수신코일(800)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력수신코일은, 외부의 충전패드(무선충전을 위한 1차 코일)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수신하는 2차 코일이며, 축전지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함(10)을 포함하며, 상기 충전함(10)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1차 코일인 충전패드(12)가 장착되고, 충전패드의 측방에는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1000)가 수용되는 충전챔버(14)가 마련된다.
발명에서는 공진타입의 무선충전방식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은 이중 공진 송수신 탱크회로를 구성하여 송신과 수신 코일 사이에 다른 이물질이 있더라도 안정적인 충전이 확보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결합링(300)은, 상부커버(100)와 하부커버(200)를 상호 체결시키는 요소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300)은, 환형으로 형성되되, 내주연 중심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링돌기(302)가 형성됨에 따라 링돌기의 상부에는 환형의 상부결합홈(310)이 형성되고, 링돌기의 하부에는 하부결합홈(320)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링돌기는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결합홈 및 하부결합홈도 테이퍼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상부결합홈에는 상부커버의 하단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상기 하부결합에는 하부커버의 상단 가장자리가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된 수용공간부에는, 축전지(700) 및 전력수신코일(800)이 내장된다.
상기 하부커버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링 형상의 체결돌기(2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는 결합링(300)의 하부결합홈(320)에 체결되어 상기 하부커버가 상부커버와 상호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커버에는 축전기(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단자와, 상기 내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하부커버의 저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외부단자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의 저면 중앙부에는 착탈부재(9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홈(220)이 형성되고, 하부커버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체결부재(B)가 장착되기 위한 체결홈(230) 또는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전자표적 조립체는 벽면 또는 바닥면에 벨크로 등을 포함한 다양한 착탈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착탈부재의 종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어 작동하는 제1 엘이디와, 사용자의 근접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하며, 복수 개가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되 단말기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동작신호를 수신받아 복수 개의 전자표적 조립체가 순차적으로 활성화(발광 또는 점멸)되고, 사용자가 활성화된 전자표적을 순차적으로 터치 또는 근접함으로써 전자표적을 비활성시키는 활동을 반복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력을 단력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10: 충전함
12: 충전패드
14: 충전챔버
100: 상부커버
200: 하부커버
210: 체결돌기
220: 장착홈
230: 체결홈
300: 결합링
302: 링돌기
310: 상부결합홈
320: 하부결합홈
400: 베이스플레이트
410: 관통구
420: 차폐격벽
430: 차폐링
442: 제1 관통공
444: 제2 관통공
450: 환형벽
462: 제1 체결돌기
464: 제2 체결돌기
470: 체결홀
500: 회로기판
510: 근접센서
520: 적외선 이미터
530: 적외선 리시버
540: 제1 엘이디
550: 제2 엘이디
560: 차폐덮개
600: 도광체
700: 축전지
720: 지지브라켓
800: 전력수신코일
900: 착탈부재
B: 체결부재

Claims (3)

  1.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의 컨트롤러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제1 엘이디와, 사용자의 근접에 의해 작동되는 제2 엘이디를 포함하는 전자표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표적 조립체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커버;
    상기 상부커버의 하부에 체결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링;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 사이공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엘이디, 상기 제1 엘이디를 활성화하도록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리시버,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엘이디, 상기 근접센서 주변에 마련되며 상기 근접센서의 작동을 상기 단말기로 송출하는 적외선 이미터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에 판상으로 설치되되, 상기 근접센서의 직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와, 상기 관통구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상된 링 형상의 차폐격벽과, 상기 차폐격벽의 상단에 안착되는 링형상으로 마련된 고무 재질의 차폐링과, 상기 적외선 이미터, 적외선 리시버, 제1 엘이디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관통공의 둘레에 형성된 환형벽과, 상기 제2 엘이디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 를 포함하되,
    상기 근접센서의 측방에는 상기 근접센서를 감싸며 상면 일부구간에 관통홀이 형성된 차폐덮개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차폐격벽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원추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차폐격벽의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에 밀착되고, 상단은 상부커버에 밀착되어 상기 적외선 이미터 및 적외선 리시버가 설치된 공간부를 밀폐하며,
    상기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의 하부커버에는 전력수신코일이 장착되며, 상기 전력수신코일에 의해 상기 축전지의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210087274A 2021-07-02 2021-07-02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KR102343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74A KR102343493B1 (ko) 2021-07-02 2021-07-02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274A KR102343493B1 (ko) 2021-07-02 2021-07-02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493B1 true KR102343493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274A KR102343493B1 (ko) 2021-07-02 2021-07-02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106B1 (ko) * 2022-11-29 2024-02-07 안찬우 운동 기구와 그에 이용되는 내력연결부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41B1 (ko) 2011-04-15 2013-04-25 서병만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KR101726166B1 (ko) * 2017-02-13 2017-04-12 (주) 티에스티시스포츠 차단링이 구비된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KR101726165B1 (ko) 2016-12-13 2017-04-12 (주) 티에스티시스포츠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JP2019075473A (ja) * 2017-10-17 2019-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発受光装置の筐体
KR20190106666A (ko) * 2018-03-07 2019-09-18 케네스 로렌스 로젠블러드 자세 및 심호흡 개선 장치, 개선 시스템, 및 개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941B1 (ko) 2011-04-15 2013-04-25 서병만 놀이용 스피드 터치장치
KR101726165B1 (ko) 2016-12-13 2017-04-12 (주) 티에스티시스포츠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KR101726166B1 (ko) * 2017-02-13 2017-04-12 (주) 티에스티시스포츠 차단링이 구비된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JP2019075473A (ja) * 2017-10-17 2019-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発受光装置の筐体
KR20190106666A (ko) * 2018-03-07 2019-09-18 케네스 로렌스 로젠블러드 자세 및 심호흡 개선 장치, 개선 시스템, 및 개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5106B1 (ko) * 2022-11-29 2024-02-07 안찬우 운동 기구와 그에 이용되는 내력연결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49613B (zh) 显示屏状态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205083468U (zh) 电子设备
KR102343493B1 (ko) 체력관리용 전자표적 조립체
US10741342B2 (en) Light-based switching for keyboard
CN107979663A (zh) 传感器组件、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WO2015183566A1 (en) Wireless light fixture
CN112073860A (zh) 增程器设备
CN107064948B (zh) 传感器模组及移动终端
US20150062886A1 (en) Combination Marker Light and Infrared Interrogation Device
JP2013045451A (ja) モーション感知スイッチ
US20170167709A1 (en) Lighting device
CN108023984B (zh) 输入输出模组和电子装置
CN106774656B (zh) 传感器组件、盖板、移动终端及终端控制方法
KR102422005B1 (ko) 액세서리,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26165B1 (ko)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US20120249344A1 (en) Multi-color illuminated keyboard
CN108200235B (zh) 输出模组和电子装置
KR101268340B1 (ko) 차단커버가 장착된 일체형 모션 감지 스위치
CN108023985B (zh) 电子装置
US11397244B2 (en) Electronic device
CN110192849B (zh) 智能可穿戴设备
CN111587512B (zh) 无线通信装置、传感器装置以及可穿戴设备
JP6840188B2 (ja) 照明器具
KR101726166B1 (ko) 차단링이 구비된 브레인 휘트니스용 전자표적 조립체
KR101580441B1 (ko) 전자기기의 터치키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