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854B1 -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 Google Patents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854B1
KR101256854B1 KR1020120127114A KR20120127114A KR101256854B1 KR 101256854 B1 KR101256854 B1 KR 101256854B1 KR 1020120127114 A KR1020120127114 A KR 1020120127114A KR 20120127114 A KR20120127114 A KR 20120127114A KR 101256854 B1 KR101256854 B1 KR 101256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housing
compressed air
bearing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창진
Original Assignee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화에코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화에코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127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03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grease as lubricant
    • F16C33/6622Details of supply and/or removal of the grease, e.g. purging gr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16C35/067Fixing them in a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리스 주입구와 구리스 배출구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리스 전,후실을 일체로 구비하고 구리스 전실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내륜과 외륜 및 복수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후실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입구와, 주입된 압축공기가 베어링을 통과하며 구리스를 유동시키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하우징 내 구리스 전체에 대해 유동성(즉, 순환)을 줄 수 있어 장기간 침적으로 고착되는 구리스가 없게 할 수 있고, 또 일부 구리스는 외부로도 배출시키고 모자라는 구리스는 그때마다 보충시켜 주어 구리스 자체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베어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구리스 고착에 의한 베어링의 손상 및 고장을 예방할 수 있어 베어링의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 자체의 상품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Bearing with housing for preventing coaguation of grease}
본 발명은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리스 주입구와 구리스 배출구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인 구리스 전,후실이 구비된 하우징 중 상기 구리스 전실 내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줄 수 있는 압축공기 유입구를 성형하고, 베어링을 관통한 압축공기가 구리스 후실을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를 형성시켜 주어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원심 탈수기 또는 분리기 등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원활히 회전되도록 윤활작용을 하는 구리스가 압축공기에 의해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장기간 경과되어도 구리스가 고착되지 않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Bearing)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軸)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로 축받이라고도 한다.
베어링과 접촉하고 있는 축 부분을 저널(journal)이라고 하며, 그 접촉상태에 따라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과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의 두 종류로 분류한다.
이때, 미끄럼 베어링은 베어링이 저널부의 표면 전부 또는 표면의 일부를 둘러싼 것 같이 되어 있으며, 베어링과 저널의 접촉면 사이에는 보통 윤활유가 있는데, 이 베어링은 면과 면이 접촉하기 때문에 축이 회전할 때 마찰저항이 구름베어링보다 크지만 하중을 지지하는 능력은 일반적으로 크다.
또, 상기 구름 베어링은 축과 베어링의 볼 또는 롤러가 접촉하며 축이 회전하면 볼 또는 롤러도 같이 회전하기 때문에 마찰저항은 작고, 회전하는 기계 축에는 하중이 축과 수직으로 걸리는 경우와 축 방향으로 걸리는 경우가 있으며, 베어링은 이와 같은 하중에 견디면서 회전운동을 확실히 해야 한다.
통상 베어링은 이와 같은 하중방향에 따라 그 구조가 많이 달라지며, 축과 수직으로 하중이 걸리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레이디얼(radial) 베어링이라 하고, 축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쓰이는 것을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이라 하는데, 예를 들면, 볼베어링의 경우 레이디얼 볼베어링과 스러스트 볼베어링 등이 있고, 또 가늘고 긴 침상(針狀)의 롤러를 사용하는 니들 베어링이 있다.
한편, 원심 탈수기(centrifugal hydroextractor)는 원심력을 이용해서 농축된 오니를 탈수하는 기계로써, 횡형 연속식, 입형 연속식, 입형 회분식이 있다. 오니의 탈수에는 주로 횡형의 데칸트라 불리는 탈수기가 사용되고 있고, 데칸트는 수평축 주위를 회전하는 원통 원추상의 본체와 스크루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 내에 공급된 오니는 고속 회전으로 원심력을 받아 본체 내벽에 압착하고, 본체와 조그만 차로 회전하는 스크루에 운반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분리액은 출구보다 오버플로 한다. 입자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 무기 응집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탈수된 오니의 함수율은 탈수기 종류, 부하, 오니의 성질, 응집제에 따라 다르며 60~85% 정도이다.
또한, 원심 분리기(centrifugal separator)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들을 분리, 정제, 농축하는 기계로써, 원심력을 이용하여 균질액을 여러 부분으로 나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계이다. 이때, 상기 균질액을 시험관에 넣고 원심분리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입자의 크기와 밀도에 따라 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핵연료를 농축하기 위해서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원심 탈수기나 원심 분리기 등이 축 상에는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고속으로 원활히 회전되도록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1)은 통상 도 1과 같이, 내륜(11)과 외륜(12) 및 복수의 볼(13)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구리스 주입구(21)와 구리스 배출구(22)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리스 전,후실(25)(26)을 일체로 구비한 하우징(2) 내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물론, 상기 하우징(2)의 일측면 즉, 도면상 구리스 전실(25)이 형성된 면은 하우징(2) 내부로 베어링(1)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해 개구된 형태를 갖지며, 이와 같은 개구부는 베어링(1)의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 수개의 스크류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 커버(23)에 의해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하우징(2)의 타측 저면에는 구리스의 흐름을 막아주는 수직판(241)을 구비하고 상기 구리스 후실(26)의 저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원봉형 커버(24)가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1)은 하우징(2)과 일체로 회전 축(3) 상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어링(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하우징(2)의 하부에 천공된 구리스 배출구(22)는 볼트 등과 같은 마개(27)로 막아 놓고, 상부에 천공된 구리스 주입구(21)를 통해 구리스를 주입하면 구리스가 구리스 전실(25)을 거쳐 베어링(1)의 내,외륜(11)(12) 사이에 설치된 볼(13)들의 틈새를 통해 구리스 후실(26)까지 채워지게 된다.
그런데, 원심 탈수기 및 분리기 등에 설치된 베어링(1)은 회전축(3) 상에 고정된 형태를 갖는 내륜(11)과 연결된 볼(13)들이 원심 탈수기 및 분리기 등의 고속회전 수(3000 rpm 전,후)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심 탈수기 및 분리기 등이 고속으로 회전하며 작동할 때, 회전축(3)에 설치된 베어링(1)에서는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에 각각 충진되어 있는 구리스가 베어링의 온도상승에 대응하여 열화됨은 물론 그 점도가 낮아지면서 서서히 침적되어 가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이 장기간 및 장시간 반복되면 결국 대부분의 구리스가 도 2에서 점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에서 침적되어 고착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에서 침적 및 고착화된 구리스는 원심 탈수기 및 분리기 등의 운전시 베어링(1)에 큰 마찰력을 주게 되므로 상기 베어링(1)의 온도가 고착화된 구리스와의 마찰력에 대응하게 크게 더 상승하게 되어 결국 베어링이 손상 또는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의 경우, 장기긴 구동으로 인해 상기와 같이 하우징 내에서 구리스가 고착화되어 베어링 자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될 때마다 해당 기기의 관리자가 직접 하우징(2)의 커버(23)를 열고 고착화된 구리스를 제거한 다음 다시 새로운 구리스를 주입시켜 주어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기 하우징(2)에 천공된 구리스 주입구(21)와 구리스 배출구(22)의 구조를 포함하여 일측 개구부에만 커버(23)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는, 하우징(2)의 구리스 전실(25)에 있는 고착된 구리스 일부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이어서 베어링의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과 경비(인건비를 포함한 불필요하게 많이 사용되는 구리스 비용)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비록 수작업을 통해 구리스 전실(25)의 청소 후 새로운 구리스를 충진시켜 준다 하더라도 단시간 내에 다시 상기와 같은 고착화 현상이 반복적으로 재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5947호(2000년 09월 27일)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62805호(2012년 09월 25일)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60520호(2012년 06월 12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구리스 전,후실을 구비하고 원심 탈수기 또는 분리기 등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내설된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구리스 전,후실과 각각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구와 압축공기 배출구를 더 형성시켜 주고, 상기 구리스 전실 내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압축공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입시켜 구리스 전실에 있던 구리스가 압축공기에 밀려 베어링을 통해 구리스 후실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하우징 내 구리스 전체에 대해 유동성(즉, 순환)을 줄 수 있어 장기간 침적으로 고착되는 구리스가 없게 할 수 있고, 또 일부 구리스는 외부로도 배출시키고 모자라는 구리스는 그때마다 보충시켜 주어 구리스 자체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베어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으며, 또한 구리스 고착에 의한 베어링의 손상 및 고장을 예방할 수 있어 베어링의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 자체의 상품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리스 주입구와 구리스 배출구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리스 전,후실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구리스 전,후실의 개구부에는 각각 원판형 커버와 원봉형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내륜과 외륜 및 복수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후실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입구와, 주입된 압축공기가 베어링을 통과하며 구리스를 유동시키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의 압축공기 유입구와 압축공기 발생기 사이에는 운영자가 세팅시킨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 닫히며 압축공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정해진 시간 동안 하우징 내로 주입되게 하는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구리스 주입구에는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 내로 구리스를 보충시켜 주는 구리스 자동 주입기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는 압력밸브를 구비하고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가 닫힘으로 인해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가 작동되어 구리스를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로 주입/보충시킬 때, 상기 압력밸브에 의해 검출되는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 내 압력이 압력밸브에 세팅된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 구리스가 만충된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의하면, 주입구와 배출구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구리스 전,후실을 구비하고 원심 탈수기 또는 분리기 등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이 내설된 하우징의 상면에 상기 구리스 전,후실과 각각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구와 압축공기 배출구를 더 형성시켜 주고, 상기 구리스 전실 내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압축공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입시켜 구리스 전실에 있던 구리스가 압축공기에 밀려 베어링을 통해 구리스 후실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하우징 내 구리스 전체에 대해 유동성(즉, 순환)을 줄 수 있어 장기간 침적으로 고착되는 구리스가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일부 구리스는 외부로도 배출시키고 모자라는 구리스는 그때마다 보충시켜 줄 수 있어 구리스 자체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고, 또한 구리스 고착에 의한 베어링의 손상 및 고장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베어링의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 자체의 상품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서 구리스의 고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도 3 중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구리스 자동 주입기를 연결한 상태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의 설치상태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3 중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구리스 자동 주입기를 연결한 상태의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리스 주입구(21)와 구리스 배출구(22)를 포함하여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도록 구리스 전,후실(25)(26)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구리스 전,후실(25)(26)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각각 원판형 커버(23)와 원봉형 커버(2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2)의 내부에 내륜(11)과 외륜(12) 및 복수의 볼(13)로 이루어진 베어링(1)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후실(25)(26)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입구(28)와, 주입된 압축공기가 베어링(1)을 통과하며 구리스를 유동시키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29)를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우징(2)의 압축공기 유입구(28)와 압축공기 발생기(4) 사이에는 운영자가 세팅시킨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 닫히며 압축공기 발생기(4)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정해진 시간 동안 하우징(2) 내로 주입되게 하는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주입구(21)에는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로 구리스를 보충시켜 주는 구리스 자동 주입기(6)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는 압력밸브(61)를 구비하고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가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가 닫힘으로 인해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가 작동되어 구리스를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로 주입/보충시킬 때, 상기 압력밸브(61)에 의해 검출되는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 압력이 압력밸브(61)에 세팅된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 구리스가 만충된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7은 통상시 구리스 배출구(22)를 막아 주는 마개이고, 241은 원봉형 커버(24) 내에 돌출 형성되어 구리스의 흐름을 막아주는 수직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원심 탈수기 및 분리기 등의 회전 축(3)에 설치되는 공지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중 하우징(2)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후실(25)(26) 사이에 압축공기 유입구(28)와 압축공기 배출구(29)를 더 형성시켜 주고,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28)와 연결된 구리스 전실(25) 내로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압축공기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주입시켜 구리스 전실(25)에 있던 구리스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 베어링(1)을 통해 구리스 후실(2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구리스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은 종래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구리스 주입구(21)와 구리스 배출구(22)가 각각 형성됨은 물론 내부 양측에는 일정량의 구리스가 정체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구리스 전,후실(25)(26)을 일체로 구비하고, 또 상기 구리스 전,후실(25)(26)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각각 원판형 커버(23)와 원봉형 커버(24)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2)과; 내륜(11)과 외륜(12) 및 복수의 볼(13)로 구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는 베어링(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본 발명에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하우징(2)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실(25) 사이에는 후술하는 압축공기 발생기(4)에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입구(28)를 형성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2)의 상면과 구리스 후실(26) 사이에는 상기 압축공기 유입구(28)를 통해 주입되는 압축공기가 도 4의 화살표와 같이 구리스 전실(25) 내에 있는 구리스를 베어링(1)의 볼(13) 사이 틈새를 통해 구리스 후실(26)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일부 구리스와 함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29)를 형성시켜 주었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이 내설된 하우징(2)의 구리스 전실(25) 내로 필요에 따라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상기 구리스 전실(25)에 있던 구리스를 압축공기로 밀어 베어링(1)을 통해 구리스 후실(26) 측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어 상기 하우징(2) 내 구리스가 고착되기 전에 구리스 자체에 유동성을 줄 수 있으므로 구리스가 장기간 정체된 상태에서 베어링(1)이 작동되므로 인한 열화 및 점도변화로 발생될 수 있는 고착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2)의 압축공기 유입구(28)와 압축공기 발생기(4) 사이에 도 5와 같이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를 더 설치하여, 운영자가 세팅시킨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가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 닫히며 압축공기 발생기(4)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하우징(2) 내로 주입되게 함으로써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하우징(2) 내 구리스 전체에 대해 자동으로 유동성을 줄 수 있어 구리스의 고착을 자동으로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주입구(21)에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구리스 자동 주입기(6)를 필요에 따라 더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하우징 내장형 베어링 자체가 장기간 동안 작동되는 과정에서 구리스의 일부가 증발됨으로 인해 또는 상기와 같이 압축공기를 강제로 주입시켜 구리스를 유동시키는 과정에서 일부 압축공기 배출구(2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인해 구리스 전,후실(25)(26) 내에 정해진 량의 구리스가 충진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와 같이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가 작동되어 구리스를 유동시킨 다음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가 즉시 작동하여 모자라는 구리스를 자동 보충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에 압력밸브(61)를 더 구비시켜 주어,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5)가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가 닫힘으로 인해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가 작동되며 상기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에 구리스를 주입/보충시킬 때, 상기 압력밸브(61)에 의해 검출되는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 압력이 압력밸브(61)에 세팅된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 구리스가 만충된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6)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함으로써 소정용적을 갖는 상기 하우징(2) 내의 구리스 전,후실(25)(26)에 항상 정확한 량의 구리스를 자동으로 보충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내장형 베어링에 있어서 하우징(2)의 구리스 전,후실(25)(26) 내에서 구리스의 일부가 고착화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베어링(1)의 손상 및 고장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1)의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의 유지보수에 따른 경비와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베어링 자체의 상품성과 작동에 따른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베어링 11 : 내륜
12 : 외륜 13 : 볼
2 : 하우징
21 : 구리스 주입구 22 : 구리스 배출구
23 : 원판형 커버 24 : 원봉형 커버
241 : 수직판 25 : 구리스 전실
26 : 구리스 후실 27 : 마개
28 : 압축공기 유입구 29 : 압축공기 배출구
3 : 회전 축
4 : 압축공기 발생기
5 :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
6 : 구리스 자동 주입기 61 : 압력밸브

Claims (4)

  1. 구리스 주입구와 구리스 배출구 및 구리스 전,후실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구리스 전,후실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각각 원판형 커버와 원봉형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내륜과 외륜 및 복수의 볼로 이루어진 베어링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구리스 전,후실 사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축공기 유입구와, 주입된 압축공기가 베어링을 통과하며 구리스를 유동시키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압축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압축공기 유입구와 압축공기 발생기 사이에는 운영자가 세팅시킨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 닫히며 압축공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정해진 시간 동안 하우징 내로 주입되게 하는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며,
    상기 하우징의 구리스 주입구에는 상기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와 연동하여 작동하며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 내로 구리스를 보충시켜 주는 구리스 자동 주입기를 설치하되,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는 압력밸브를 구비하고 타이머형 솔레노이드 밸브가 정해진 시간 동안 열렸다가 닫힘으로 인해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가 작동되어 구리스를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로 주입/보충시킬 때, 상기 압력밸브에 의해 검출되는 하우징의 구리스 전,후실 내 압력이 압력밸브에 세팅된 일정압력 이상일 경우 구리스가 만충된 것으로 인지하고 상기 구리스 자동 주입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27114A 2012-11-12 2012-11-12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KR101256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14A KR101256854B1 (ko) 2012-11-12 2012-11-12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114A KR101256854B1 (ko) 2012-11-12 2012-11-12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854B1 true KR101256854B1 (ko) 2013-04-23

Family

ID=4844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114A KR101256854B1 (ko) 2012-11-12 2012-11-12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8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0907U (ko) * 1978-06-12 1979-12-21
JPH0988986A (ja) * 1995-09-27 1997-03-31 Ntn Corp アンギュラ玉軸受の潤滑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0138351Y1 (ko) * 1996-07-30 1999-05-15 김재복 주축대 컬러 b의 구조
JP2006022865A (ja) * 2004-07-07 2006-01-26 Koyo Seiko Co Ltd 軸受用潤滑剤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0907U (ko) * 1978-06-12 1979-12-21
JPH0988986A (ja) * 1995-09-27 1997-03-31 Ntn Corp アンギュラ玉軸受の潤滑冷却方法および装置
KR0138351Y1 (ko) * 1996-07-30 1999-05-15 김재복 주축대 컬러 b의 구조
JP2006022865A (ja) * 2004-07-07 2006-01-26 Koyo Seiko Co Ltd 軸受用潤滑剤供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8160B2 (ja) 電動式射出成形装置のボールねじの潤滑構造
CN108995477A (zh) 防磨变高缓冲式脚轮总成
KR101256854B1 (ko) 구리스 고착방지 기능을 갖는 하우징 내설형 베어링
KR101689224B1 (ko) 전기식 그리스 배럴 펌프
KR20190142866A (ko) 원심필터
US282520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compressed ice chips
US11135599B2 (en) Two zone disposable process contact centrifuge for bio-separations
JP5697043B2 (ja) 遠心分離機の安全バルブ
EP3890861B1 (en) A bearing housing and a method of removing impurities from a bearing housing
DE2122464C3 (de) Lageranordnung für eine Ultrazentrifuge
CN106012285A (zh) 纱线自动润滑机构
US20190264868A1 (en) Vacuum lubrication device for flywheel
JP4408242B2 (ja) 回転縦軸の軸受け装置、遠心分離機
JPH05202892A (ja) 立軸型揚水ポンプ
DE102008012158B4 (de) Verbesserte Zentrifuge zur Separierung von Kohlendioxid aus Gasgemischen
KR102115302B1 (ko) 고속원심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US11911778B2 (en) Continuous centrifuge with air trap for capturing bubbles
KR101434504B1 (ko) 구동축 보호장치를 구비한 입축펌프
CN209109401U (zh) 一种卧式沉降离心机
JP3934124B2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濾過装置
JP2006010035A5 (ko)
CN202045019U (zh) 一种离心机循环油润滑轴承座用断油保护装置
CN214715898U (zh) 高分子聚合物用的搅拌罐
US1728434A (en) Thrust bearing
CN208670558U (zh) 一种纱线络筒机用润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