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435B1 -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435B1
KR101256435B1 KR1020110063763A KR20110063763A KR101256435B1 KR 101256435 B1 KR101256435 B1 KR 101256435B1 KR 1020110063763 A KR1020110063763 A KR 1020110063763A KR 20110063763 A KR20110063763 A KR 20110063763A KR 101256435 B1 KR101256435 B1 KR 10125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fixing
horizontal bar
support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667A (ko
Inventor
허성우
Original Assignee
(주)아루미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루미존 filed Critical (주)아루미존
Priority to KR1020110063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4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 내측공간을 가지며 내측공간에 보강편이 형성된 후방부, 후방부의 전방에 대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구멍이 등간격 배열되어 있고 배면에 철망의 정면이 접촉되는 전방부, 후방부와 전방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부와 전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철망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 전방부의 정면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수평바; 중심부 양측에 제1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2 체결구멍을 가지며 수평바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철망의 배면에 접촉되는 고정판; 수평바, 지주, 고정판에 체결되어 철망, 수평바, 고정판을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철망 울타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철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철망 울타리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WIRE NET ANCHOR FOR WIRE NET FENCE ESTABLISHMENT}
본 발명은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망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경계나 산책로 또는 녹지대, 사유지 및 보호시설물에는 출입통제를 위하여 주로 철망 울타리가 설치된다.
통상의 철망 울타리는 크게 일정 간격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설치되는 봉 형상의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철망과, 철망을 지주에 고정하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망 울타리는 지주를 지중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하여 설치하고, 지주 사이에 철망을 위치시켜 고정밴드를 이용해 지주와 철망을 고정하여서 철망 울타리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망 울타리는 철망이 고정밴드에만 걸쳐진 상태로 고정되므로 철망의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지 못하며, 고정밴드가 지주 상에 그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며, 고정밴드를 통해 철망을 고정하는 과정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철망 울타리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하며, 철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는 내측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측공간에 보강편이 형성된 후방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대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구멍이 등간격 배열되어 있고 배면에 철망의 정면이 접촉되는 전방부, 상기 후방부와 상기 전방부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부와 전방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철망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 상기 전방부의 정면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수평바; 중심부 양측에 상기 제1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2 체결구멍을 가지며 상기 수평바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철망의 배면에 접촉되는 고정판; 상기 수평바, 상기 지주, 상기 고정판에 체결되어 상기 철망, 상기 수평바, 상기 고정판을 상기 지주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헤드부가 상기 수평바에 지지되고 나사부가 상기 제1 체결구멍 및 상기 제2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판의 배면에서 상기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주의 상기 전방부는 그 좌, 우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ㄱ자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바는 그 배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내측공간을 가지며 중심부가 개구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수평바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는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부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판은 일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ㄱ자로 절곡되는 일체의 보강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의 배면은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주에 고정될 때 상기 후방부의 전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하면, 철망 울타리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철망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철망 울타리의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울타리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울타리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철망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철망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울타리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설치되는 울타리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는 도 1과 같이 지주(10), 수평바(20), 고정판(30), 고정수단(40)을 포함한다.
지주(10)는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철망(50)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공간을 가지며 그 내측공간에 보강편(12a)이 형성된 후방부(12)와, 후방부(12)의 전방에 대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구멍(11b)이 등간격 배열되어 있고 배면에 철망의 전면이 접촉되는 전방부(11)와, 후방부(12)와 전방부(1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부(12)와 전방부(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부(11)의 좌, 우측 단부에는 후방측으로 ㄱ자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11a)는 후술할 볼트(41)의 삽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부(13)는 전방부(11)의 배면과 후방부(12)의 정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부(11)의 배면을 철망(50)을 고정하기 위한 두 지점으로 분할시킨다.
수평바(20)는 지주(10)의 전방부(11)의 정면에 횡으로 고정되어 지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 즉, 제1 체결구멍(11b)이 형성된 위치들에 배열된다. 그리고 수평바(20)는 도 2와 같이 그 배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내측공간을 가지며 중심부가 개구된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30)은 중심부에 제1 체결구멍(11b)에 대응되는 제2 체결구멍(31)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바(20)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 즉 수평바(20)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된다.
고정수단(40)은 수평바(20), 지주(10), 고정판(30)에 체결되어 철망(50)을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볼트(41) 및 너트(42)로 구성된다.
고정볼트(41)는 헤드부(41a)가 수평바(2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21)에 삽입되어 수평바(20) 상에 설치되며, 너트(42)는 고정판(30)의 배면측에서 고정볼트(41)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21)는 수평바(20)의 배면 중 일측 및 타측에서 단면이 '┌' 형상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하여 단면이 '┌ ┐' 형상으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볼트(41)는 서로 마주하는 돌출부(21)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워서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의 특징 및 이점이 더욱 부각되도록 철망을 고정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주(10)를 지중에 매설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 설치한다.
그리고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철망(50)을 세워서 철망(50)의 양측의 정면을 지주(10)의 전방부(11) 배면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수평바(20)를 지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하되 수평바(20)의 돌출부(21)에 삽입 설치된 볼트(41)를 지주(10)의 전방부(11)에 형성된 제1 체결구멍(11b)들에 체결하여 수평바(20)를 지주(10)에 지지시킨다.
이후 지주(10)의 연결부(13)의 양측에서 고정판(30)을 체결하되 고정판(30)에 형성된 제2 체결구멍(31)을 볼트(41)에 끼워서 철망(50)의 배면에 밀착시키고, 너트(42)를 볼트(41)에 조여서 수평바(20) 및 고정판(30), 철망(50)이 지주(10)의 전방부(11)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수의 철망(50)이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철망(50)을 지주(10)에 고정하여 철망 울타리(100)의 설치를 완료한 상태에서 철망 울타리(100)의 사용 중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고정된 다수의 철망(50) 중 어느 하나가 훼손되는 경우에 해당 철망(50)을 지주(10)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즉, 철망(50)의 배면에서 실질적으로 철망(50)을 지주(10)에 고정하는 고정판(30)을 분리하기 위하여 너트(42)를 볼트(41)에서 풀어서 고정판(30)을 철망(50)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와 같이 하면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서 훼손된 철망(50)을 쉽게 분리한 후 새 철망(50)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는 지주(10)가 전방부(11) 및 후방부(12)로 이루어지고 전방부(11) 및 후방부(12)의 중앙에는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3)가 형성됨에 따라 철망(50)이 고정되는 전방부(11)가 철망(50)을 고정하기 위한 두 지점으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지주(10)가 다수 매설되어 배열되면 지주(10)의 서로 이웃하는 철망(50) 고정 지점에 철망(50)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철망(50)을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개별적으로 고정시키면서 철망 울타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철망 울타리(100)를 지주(10)와 지주(10) 사이에 고정되는 다수의 철망(50)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철망 울타리(100)의 훼손시 훼손이 발생된 철망(50)만을 지주(10)에서 쉽게 분리하여 새로운 철망(50)으로 간편히 교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철망 울타리(100)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철망(50)의 양단부측이 지주(10)에 밀착되고 고정판(30)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고정하므로 철망(50)의 고정상태가 견고해질 수 있다.
또한 수평바(20), 볼트(41) 및 너트(42), 고정판(30)의 조합으로 철망(50)을 지주(10)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철망(50)을 지주(10)에 용접하는 과정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철망(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바(20), 고정판(30), 철망(50)을 지주(10)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41)의 헤드부가 수평바(20)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21) 내에 삽입되고, 볼트(41)에 체결되는 너트(42)는 지주(10)의 전방부(11) 및 후방부(12)의 사이에서 볼트(41)에 체결되므로 철망 울타리(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볼트(41) 및 너트(42)가 철망 울타리(100)의 전방 및 후방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철망 울타리(100)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철망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2)는 도 4와 같이 절곡부(11a)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41)에 의해 상기 절곡부(11a)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1)와 동일하다.
여기서, 보강부재(60)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지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철망(50)이 고정되는 지점에만 삽입되도록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60)에는 볼트(41)의 삽입을 위한 삽입구멍(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2)는 절곡부(11a) 내에 삽입된 보강부재(60)가 철망(50)을 지지하여 볼트(41)에 너트(42)를 조이는 과정에서 절곡부(11a)의 내측으로 철망(50)의 일부가 밀려 들어가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를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에 의해 철망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3)는 고정판(30)이 일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ㄱ자로 절곡되는 일체의 보강부(32)를 더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32)의 배면은 상기 고정판(30)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될 때 상기 후방부(12)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2)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3)는 지주(10)의 절곡부(11a) 내에 보강부재(60)이 삽입된 상태에서 철망(50)을 절곡부(11a) 및 보강부재(60)에 밀착시킨 후 고정판(30)을 철망(50)과 지주(10)의 후방부(12) 내에 밀어 넣으면, 고정판(30)의 정면은 철망(50)에 밀착되고 고정판(30)에 절곡 형성된 보강부(32)의 배면은 지주(10)의 후방부(12) 정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철망(50)이 지주(10)의 전방부(11)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10 : 지주 11 : 전방부
11a : 절곡부 11b : 제1 체결구멍
12 : 후방부 12a : 보강편
13 : 연결부 20 : 수평바
21 : 돌출부 30 : 고정판
31 : 제2 체결구멍 32 : 보강부
40 : 고정수단 41 : 고정볼트
42 : 너트 50 : 철망
60 : 보강부재 61 : 삽입구멍

Claims (6)

  1. 내측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측공간에 보강편(12a)이 형성된 후방부(12), 상기 후방부(12)의 전방에 대향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체결구멍(11b)이 등간격 배열되어 있고 배면에 철망(50)의 정면이 접촉되는 전방부(11), 상기 후방부(12)와 상기 전방부(11)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후방부(12)와 전방부(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로 구성되고 하부가 지중에 매설되며 철망(50)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 위한 지주(10);
    상기 전방부(11)의 정면에 고정되어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는 수평바(20);
    중심부에 상기 제1 체결구멍(11b)에 대응되는 제2 체결구멍(31)을 가지며 상기 수평바(20)가 배열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지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 배열되어 철망(50)의 배면에 접촉되는 고정판(30);
    상기 수평바(20), 상기 지주(10), 상기 고정판(30)에 체결되어 상기 철망(50), 상기 수평바(20),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지주(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을 포함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은
    헤드부가 상기 수평바(20)에 지지되고 나사부가 상기 제1 체결구멍(11b) 및 상기 제2 체결구멍(31)에 체결되는 고정볼트(41);
    상기 고정판(30)의 배면에서 상기 고정볼트(41)에 체결되는 너트(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의 상기 전방부(11)는 그 좌, 우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ㄱ자로 절곡 연장되는 절곡부(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20)는 그 배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내측공간을 가지며 중심부가 개구된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에는 상기 고정볼트(41)의 헤드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볼트(41)가 상기 수평바(2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고정장치는
    상기 절곡부(11a)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수단(40)에 의해 상기 절곡부(11a)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보강부재(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은
    일측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ㄱ자로 절곡되는 일체의 보강부(32)를 더 형성하며, 상기 보강부(32)의 배면은 상기 고정판(30)이 상기 지주(10)에 고정될 때 상기 후방부(12)의 전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KR1020110063763A 2011-06-29 2011-06-29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KR10125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63A KR101256435B1 (ko) 2011-06-29 2011-06-29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63A KR101256435B1 (ko) 2011-06-29 2011-06-29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67A KR20130002667A (ko) 2013-01-08
KR101256435B1 true KR101256435B1 (ko) 2013-05-10

Family

ID=478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63A KR101256435B1 (ko) 2011-06-29 2011-06-29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43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65Y1 (ko) 2004-10-05 2004-12-24 김충열 사태방지책용 에이치빔의 보강구
KR200427037Y1 (ko) 2006-07-12 2006-09-20 이종현 능형망 울타리
KR200428432Y1 (ko) 2006-07-14 2006-10-11 이종현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1165Y1 (ko) 2004-10-05 2004-12-24 김충열 사태방지책용 에이치빔의 보강구
KR200427037Y1 (ko) 2006-07-12 2006-09-20 이종현 능형망 울타리
KR200428432Y1 (ko) 2006-07-14 2006-10-11 이종현 울타리용 지주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67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788B1 (ko) 메쉬펜스
KR200464451Y1 (ko) 신호등 지주용 수평지지대
CN104196325A (zh) 金属围栏立柱
KR100530803B1 (ko) 메쉬휀스용 연결밴드
CN204112854U (zh) 一种金属围栏立柱
KR101256435B1 (ko) 철망 울타리 설치용 철망 고정장치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101955162B1 (ko) 조립형 그레이팅
KR100992055B1 (ko) 동물 안전 유도형 휀스
KR101216725B1 (ko) 보강 메쉬 휀스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20180003214U (ko) 철망 펜스용 고정 프레임
KR101472942B1 (ko) 펜스조립용 클램프
KR100597530B1 (ko) 난간 설치방법
CN204112850U (zh) 金属围栏立柱
KR101277755B1 (ko) 휀스 지주 고정 설치 방법 및 휀스 지주 고정 구조물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KR100975759B1 (ko) 펜스용 메쉬판
KR101276164B1 (ko)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JP6578168B2 (ja) フェンス
JP2014185479A (ja) 防護柵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200446768Y1 (ko) 메시 펜스용 지주
KR20100012231A (ko) 펜스
KR20110075961A (ko) 조립식 메쉬 펜스
JP5485768B2 (ja) 防護柵及び防護柵の改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