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827B1 -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5827B1
KR101255827B1 KR1020110086158A KR20110086158A KR101255827B1 KR 101255827 B1 KR101255827 B1 KR 101255827B1 KR 1020110086158 A KR1020110086158 A KR 1020110086158A KR 20110086158 A KR20110086158 A KR 20110086158A KR 101255827 B1 KR101255827 B1 KR 10125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module unit
side bracket
angle adjus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3420A (ko
Inventor
주진성
Original Assignee
주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 filed Critical 주진성
Priority to KR1020110086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82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AN ANGLE ADJUSTING APPARATUS OF A SOLAR-CELL MODULE}
본 발명은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발전은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함으로 연료비가 불필요하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이 없으며, 발전 부위가 반도체 소자이고, 제어부가 전자부품임으로 기계적인 진동과 소음이 없다.
또한, 태양전지의 수명이 최소 20년 이상으로 길고, 발전 시스템을 자동화시키기에 용이하며, 운전 및 유지관리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태양광발전에 이용되는 태양전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주로 실리콘과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한편, 상기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발전효율에 변화를 갖는데, 대부분의 태양전지가 고정형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대응할 수 없어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태양광모듈부와;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모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안착구비되는 태양광전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 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브라켓에 연결되는 경사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는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스프로켓이 축결합되고,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상기 스프로켓의 하측에 걸쳐진 상태로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풀리가 축결합되고,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상기 풀리의 하측에 걸쳐진 상태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는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풀리가 축결합되고, 벨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중심부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에 축결합된 상기 풀리의 하측에 걸쳐진 상태로 벨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풀리의 외주면에 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의 상부면에 상기 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상기 일측 브라켓과 타측 브라켓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상기 일측 브라켓과 상기 타측 브라켓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에 상기 구동부재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브라켓과 타측 브라켓은 상기 고정홈을 따라 좌우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공간과; 상기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확장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일측 브라켓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타측 브라켓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과 상기 확장공간내에 수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내에 수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고정홈을 따라 상하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에 의해 위치고정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공간과; 상기 가이드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확장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과 상기 확장공간내에 수용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내에 수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모듈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경사각도조절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태양광모듈부의 경사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일측 브라켓과 타측 브라켓이 좌우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구동부재가 상하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대(10), 태양광모듈부(20) 및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대(10)는 지면에 수직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중심부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30)는 태양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는 지지판(210)과 태양광전지판(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 중심부는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은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에 안착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3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310), 브라켓(320) 및 경사각도조절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재(310)는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20)은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브라켓(321)은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브라켓(322)은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 하측에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는 스프로켓이 축결합될 수 있다.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된 상기 스프로켓의 하측에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경사각도조절부재(3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른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는 와이어(33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는 풀리(312)가 축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331)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된 상기 풀리(312)의 하측에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또는, 와이어(331)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된 상기 풀리(312)에 1회이상으로 권취될 수 있다.
와이어(331)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331)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가 와이어(331)로 이루어질 경우 와이어(331)와 상기 풀리(312)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풀리(312)의 외주면에는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슬립방지층(313)이 일정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다른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는 벨트(3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는 풀리(312)가 축결합될 수 있다.
벨트(332)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된 상기 풀리(312)의 하측에 팽팽하게 걸쳐질 수 있다.
벨트(332)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벨트(332)로 이루어지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가 벨트(332)로 이루어질 경우 벨트(332)와 상기 풀리(312)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풀리(312)의 외주면에는 상기 풀리(312)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는 홈(3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332)의 상부면에는 상기 홈(3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33)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갈고리형상의 후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부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갈고리형상의 후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을 각각 관통한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를 통해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에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교체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태양광모듈부(20)의 경사각도(α)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을 각각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 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이로 인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태양광전지판(220)의 양측 상하경사각도(α)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이 좌우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로 구동부재(310)가 상하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에 안착구비된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의 개수와 무게 및 크기에 따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이 작업자에 의해 좌우이동할 수 있고,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된 상기 구동부재(310)가 작업자에 의해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이 좌우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되고, 상기 구동부재(310)가 상하이동된 상태로 위치조절된 경우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가 느슨해질 수 있는데,
이때, 느슨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다른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를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교체연결하여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 사이에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511)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지는 팽팽한 상태의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를 구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는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에 안착구비된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90)가 좌우이동가능하게 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90)는 일측 지지부재(910)와 타측 지지부재(9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지지부재(910)는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 일측에 작업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안착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지지부재(920)는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 타측에 작업자에 의해 좌우이동가능하게 안착구비되어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의 타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보다 구제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100)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되고,
상기 일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920)는 상기 태양광전지판(220)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고정홈(10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20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00)은 가이드공간(101)과 확장공간(10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101)은 상기 지지판(210)의 상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공간(102)은 상기 가이드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10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00)는 고정볼트(201)와 너트(2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01)는 상기 일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920)를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101)과 상기 확장공간(102)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202)는 상기 고정볼트(201)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102)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0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102)내에 수용된 상기 너트(202)는 상승하여 상기 확장공간(102)의 내주면 상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920)가 좌우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01)가 역방향으로 회저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102)내에 수용된 상기 너트(202)는 하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확장공간(102)의 내주면 상측에 밀착고정된 상기 너트(202)의 밀착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일측 지지부재(910)와 상기 타측 지지부재(920)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40)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은 상기 고정홈(4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고정부재(5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40)은 가이드공간(410)과 확장공간(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410)은 상기 지지판(21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공간(420)은 상기 가이드공간(4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41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고정볼트(510)와 너트(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0)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타측 브라켓(32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410)과 상기 확장공간(4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520)는 상기 고정볼트(51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4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420)내에 수용된 상기 너트(520)는 하강하여 상기 확장공간(420)의 내주면 하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이 좌우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5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42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너트(520)는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확장공간(420)의 내주면 하측에 밀착고정된 상기 너트(520)의 밀착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타측 브라켓(322)을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60)이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10)는 상기 고정홈(60)을 따라 상하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70)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0)은 가이드공간(610)과 확장공간(6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610)은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공간(620)은 상기 가이드공간(6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61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는 고정볼트(710)와 너트(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710)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610)과 상기 확장공간(6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너트(720)는 상기 고정볼트(71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62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7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620)내에 수용된 상기 너트(720)는 상기 가이드공간(610)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확장공간(620)의 내주면 타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310)는 상하이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7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확장공간(62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너트(720)는 상기 지지대(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확장공간(620)의 내주면 타측에 밀착고정된 상기 너트(720)의 밀착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부재(31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회전부(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를 정역회전시키는 회전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8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810), 회전축(820), 피동기어(830), 구동기어(840) 및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동부재(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810)는 상기 지지대(10)의 하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20)은 상기 몸체(810)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8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0)의 하단부가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피동기어(830)는 상기 회전축(820)의 중심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810)의 내부 타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840)는 상기 피동기어(83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810)의 내부 일측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850)는 상기 구동기어(84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810)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850)의 구동축(851)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구동축(851)의 정역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840), 피동기어(830) 및 회전축(820)을 통해 상기 지지대(10)로 전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지지대(10)와 함께 상기 태양광모듈부(20)가 정역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계절에 따른 태양광의 각도에 따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양측의 상하각도(α)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지지대, 20; 태양광모듈부,
30; 각도조절부.

Claims (10)

  1.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태양광모듈부(2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1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브라켓(322)으로 구성되는 브라켓(320)과;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되는 스프로켓의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연결되는 체인으로 구성되는 경사각도조절부재(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2.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태양광모듈부(2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1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브라켓(322)으로 구성되는 브라켓(320)과;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의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연결되는 와이어(331)로 구성되는 경사각도조절부재(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3.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태양광모듈부(2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상기 지지대(10)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10)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 브라켓(321)과,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브라켓(322)으로 구성되는 브라켓(320)과;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축결합되는 풀리(312)의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 브라켓(3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브라켓(322)에 연결되는 벨트(332)로 구성되는 경사각도조절부재(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310)의 구동축(311)에 풀리(312)가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축(311)의 하측에 와이어(331)로 구성되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중심부가 걸쳐지며,
    상기 풀리(312)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3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312)의 외주면에 홈(314)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332)의 상부면에 상기 홈(31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33)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재(33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이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0)에 상기 구동부재(31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에 고정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브라켓(321)과 타측 브라켓(322)은 상기 고정홈(40)을 따라 좌우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50)에 의해 위치고정되고,
    상기 고정홈(40)은 상기 태양광모듈부(20)의 하부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공간(410)과;
    상기 가이드공간(4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확장공간(4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일측 브라켓(321)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타측 브라켓(322)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410)과 상기 확장공간(420)내에 수용되는 고정볼트(510)와;
    상기 고정볼트(51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420)내에 수용되는 너트(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홈(60)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310)는 상기 고정홈(60)을 따라 상하이동된 상태로 고정부재(70)에 의해 위치고정되고,
    상기 고정홈(60)은 상기 지지대(10)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공간(610)과;
    상기 가이드공간(610)과 연통되도록 상기 가이드공간(6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확장공간(6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70)는 상기 구동부재(31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수평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공간(610)과 상기 확장공간(620)내에 수용되는 고정볼트(710)와;
    상기 고정볼트(710)와 나사결합된 상태로 상기 확장공간(620)내에 수용되는 너트(7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부(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8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80)는 몸체(810)와;
    상기 몸체(810)의 내부 타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지지대(1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820)과;
    상기 회전축(820)에 축결합되는 피동기어(830)와;
    상기 피동기어(830)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8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기어(840)와;
    상기 구동기어(84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810)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20110086158A 2011-08-29 2011-08-29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125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158A KR101255827B1 (ko) 2011-08-29 2011-08-29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158A KR101255827B1 (ko) 2011-08-29 2011-08-29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20A KR20130023420A (ko) 2013-03-08
KR101255827B1 true KR101255827B1 (ko) 2013-04-17

Family

ID=4817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158A KR101255827B1 (ko) 2011-08-29 2011-08-29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505B1 (ko) 2018-10-30 2020-01-17 임채경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KR102416418B1 (ko) 2021-12-13 2022-07-05 두원산업(주) 태양광 발전설비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811B1 (ko) * 2013-04-01 2013-06-05 주진성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KR101600402B1 (ko) * 2014-08-01 2016-03-08 (주)황금에너지 태양광 어레이 자동 각도 조절 장치
CN108322398B (zh) * 2018-03-23 2020-12-11 嘉兴觅特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具有天线角度调节和散热功能的无线路由器
KR102084960B1 (ko) 2018-05-30 2020-03-05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모듈 각도 조절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299146B1 (ko) * 2019-07-16 2021-09-07 차진수 각도 조절형 다단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의 각도 제어 방법
WO2022094328A1 (en) * 2020-10-30 2022-05-05 Sun And Steel Solar Llc Winch-pulley drive system for solar trac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989A (ja) 2001-09-05 2003-03-12 Motoharu Kokuni シーソー式ソーラー発電温水器システム
KR20090009732U (ko) * 2008-03-24 2009-09-29 (주)한라이앤씨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096641A (ko) * 2009-02-25 2010-09-02 채준석 기울기를 갖는 태양광 발전기용 풍해방지장치
KR20110088693A (ko) * 2010-01-29 2011-08-04 (주) 포엠엔지니어링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989A (ja) 2001-09-05 2003-03-12 Motoharu Kokuni シーソー式ソーラー発電温水器システム
KR20090009732U (ko) * 2008-03-24 2009-09-29 (주)한라이앤씨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00096641A (ko) * 2009-02-25 2010-09-02 채준석 기울기를 갖는 태양광 발전기용 풍해방지장치
KR20110088693A (ko) * 2010-01-29 2011-08-04 (주) 포엠엔지니어링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505B1 (ko) 2018-10-30 2020-01-17 임채경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KR102416418B1 (ko) 2021-12-13 2022-07-05 두원산업(주) 태양광 발전설비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3420A (ko)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827B1 (ko)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KR101163136B1 (ko) 태양광 발전용 태양광 추적장치
KR10116473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거푸집 자동 상승 장치
CN101451503A (zh) 具有可活动帆的风力发电机
KR102254270B1 (ko) 태양광모듈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CN110719061B (zh) 一种轻便可拆式倾角可调太阳能板阵
KR101600519B1 (ko) 태양전지모듈 위치조절장치
CN215344469U (zh) 调节式光伏安装架
KR101211522B1 (ko) 수면 부유식 태양전지모듈 각도 조절장치
CN205690259U (zh) 一种单轴跟踪太阳能路灯
KR20100132396A (ko) 1축 회전식 대형 태양광 발전기
CN209283163U (zh) 一种光伏瓦调节装置
CN112524553A (zh) 一种太阳能灯具的太阳能板角度调节装置
CN220822987U (zh) 一种太阳能光伏墙壁连接件
CN107024942B (zh) 一种智能光伏发电设备
KR101012656B1 (ko) 유연성을 갖는 태양전지필름의 지지 시스템
CN217063632U (zh) 一种新能源光伏发电支架
CN216134450U (zh) 光伏发电智能控制器
CN220544914U (zh) 一种光伏发电板快速安装基座
CN220457339U (zh) 一种可快速安装光伏板的光伏支架
CN219843566U (zh) 光伏发电站安装基础施工机构
CN214095920U (zh) 一种便于调节角度的桥面铺装用裂缝检测装置
CN213686610U (zh) 一种太阳能灯具的太阳能板角度调节装置
CN220342259U (zh) 可调节倾仰角度的光伏支架
CN210273933U (zh) 一种光伏发电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