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811B1 -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811B1
KR101270811B1 KR1020130035451A KR20130035451A KR101270811B1 KR 101270811 B1 KR101270811 B1 KR 101270811B1 KR 1020130035451 A KR1020130035451 A KR 1020130035451A KR 20130035451 A KR20130035451 A KR 20130035451A KR 101270811 B1 KR101270811 B1 KR 10127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cell panel
circumferential surface
auxiliary
rot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성
Original Assignee
주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성 filed Critical 주진성
Priority to KR102013003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태양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반공사없이 간편히 태양전지패널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전력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태양발전장치{REMOVABLE ADJUSTABLE SOLAR POWER DEVICES}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반공사없이 간편히 태양전지패널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전력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1-0111034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접합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에 태양광이 조사되면 그 광원에 의한 광기전력 효과로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기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축전하거나 필요한 부하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그러한 태양광 발전을 위한 장치는 대략 태양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다수의 셀들이 집적되어 이룬 모듈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구성되는 전지판을 지지구조물에 의하여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장치는 광원의 입사조건을 효율적으로 얻기위해 태양전지판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떠받치는 기둥구조물과 전지판의 기울기 조정, 즉 전지판은 태양의 직사광선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입사될 때 최대의 효율을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따라 각 지역에서 관찰하는 태양위치가 변하게 되어, 방위각으로는 1일을 기준으로 하여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을 반복하게 되고, 고도 각으로는 365일을 기준으로 하여 남북방향으로 이동을 반복하게 되어 태양광발전의 효율증대를 위한 태양추적장치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태양광 발전장치는 상기에서와 같이 지지구조물에 의해 의지되어 시설되고 있는데, 이때 지지구조물은 풍수등 악조건의 자연환경에서도 확고히 견디는 내구성을 가지어야 하는 것이어서 그 지지구조물은 토목공사를 통해 축조된 토목구조물 상에 설치되고 있는 것으로서, 필히 기반공사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반공사는 태양광발전장치가 보다 확고히 설치되게 하는 토목구조물 축조를 위한 토목공사로서, 그러한 토목공사는 지반의 평탄작업 또는 굴착과 구조방식의 축조물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토목공사를 위해서는 각종의 장비 또는 부대시설이 따르는 것이어서 그 장비나 부대시설의 운반이 용이하지 않은 산악지역이나 미개척지의 경우에서는 기반공사가 불가하거나 경제성 등을 고려시 태양광발전장치를 시설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1-011103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반공사없이 간편히 태양전지패널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전력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면에 일정한 곡률이 형성되는 받침부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상하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의 중심에 축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축에 상측이 축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구조물에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의 하부와 상기 구조물의 상부 사이에 상기 받침부를 지지하는 보조받침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받침부의 일측과 타측에 보조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날개부를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받침부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받침부 및 제 2받침부와; 상기 제 1받침부 및 상기 제 2받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3받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체와; 복수의 상기 회전체를 경유한 상태로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줄과; 복수의 상기 회전체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전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에 전측걸림고정부재가 구비되는 전측연결줄과, 상기 구조물의 상부 후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에 후측걸림고정부재가 구비되는 후측연결줄로 구성되는 연결줄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 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복수형성되고, 상기 연결줄의 전측걸림고정부재와 후측걸림고정부재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하측과 내주면 상측에 하측암나사선과 상측암나사선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회전관의 하측 내부에 상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의 하측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하측리드스크류와, 상기 회전관의 상측 내부에 하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의 상측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상측리드스크류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외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보조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보조관체와; 상기 관체의 관통구와 상기 보조관체의 보조관통구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 전측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구조물의 상부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 후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각도조절부는 전측각도조절부 및 후측각도조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각도조절부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하측과 내주면 상측에 하측암나사선과 상측암나사선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회전관과; 상기 회전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회전관의 하측 내부에 상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의 하측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구조물의 상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하측리드스크류와, 상기 회전관의 상측 내부에 하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의 상측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상측리드스크류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각도조절부는 상기 구조물의 상부 후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외주면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보조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되는 보조관체와; 상기 관체의 관통구와 상기 보조관체의 보조관통구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의 구조물에 태양전지패널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반공사없이 간편히 태양전지패널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전력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가변형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보조받침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보조날개부와 위치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날개부와 위치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받침부, 제 2받침부 및 제 3받침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도조절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걸림고정수단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걸림고정수단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각도조절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각도조절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7은 각도조절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각도조절부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가변형 태양발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인 가변형 태양발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조물(10), 태양전지패널(20), 받침부(30) 및 각도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구조물(10)은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받침부(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받침부재(301)와 하부받침부재(3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301)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에서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장방형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받침부재(301)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에 볼트고정되거나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부재(302)는 상기 상부받침부재(301)의 하부면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부재(302)는 상기 상부받침부재(301)의 하부면 중심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무게중심이 상기 태양전지모듈(10)의 전측으로 치우치도록 상기 하부받침부재(302)는 상기 상부받침부재(301)의 하부면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면 후측에 일체형으로 편심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면에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일정한 곡률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받침부재(302)는 단면형상이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반원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도 3은 보조받침대(6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중심부 상측에는 축(31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310)은 상기 받침부(30)의 일측에서 상기 받침부(30)의 타측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축(310)의 일측과 상기 축(310)의 타측이 상기 받침부(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축(310)의 일측과 상기 축(310)의 타측은 각각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일측 외부방향 및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의 축(310)이 상기 지지대(50)의 상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50)의 상측은 상기 받침부(30)의 축(3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의 하측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일측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타측에 각각 볼트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받침부(30)의 하측은 상기 구조물(10)의 일측면 상측과 상기 구조물(10)의 타측면 상측에 각각 볼트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를 회전지지하는 보조받침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받침부(60)의 상부면은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가령, 상기 보조받침부(6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함몰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보조날개부(70)와 위치고정부재(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날개부(70)와 위치고정부재(8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중심부 상측에 상기 축(31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양측면에 각각 보조날개부(70)가 일체형성되고, 상기 보조날개부(70)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날개부(70)는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일측면과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타측면에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80)는 상기 보조날개부(70)와 접한 상태로 상기 받침부(30)의 하부받침부재(302)의 일측방향과 상기 하부받침부재(302)의 타측방향에 각각 서로 대칭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8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판(810), 상부판(820) 및 하부판(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810)의 상부에는 상기 수직판(810)의 상부에서 상기 보조날개부(7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보조날개부(7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판(82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820)은 상기 보조날개부(70)와 대응되는 형상 가령, 상기 보조날개부(70)의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810)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판(810)의 하부에서 상기 보조날개부(70)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고정부재(9)에 의해 위치고정되는 상기 하부판(83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9)는 상기 하부판(830)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 등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판(820)이 상기 보조날개부(70)를 상기 보조날개부(70)의 하부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직판(810)의 상하길이는 상기 보조날개부(70)의 상하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830)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9)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을 각각 상하회전이동시켜 각도조절한 상태에서 다시 상기 하부판(830)에 상기 고정부재(9)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제 1받침부(320), 제 2받침부(330) 및 제 3받침부(3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겠으나,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중앙부위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3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 2, 3받침부(320, 330, 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받침부(320)와 상기 제 2받침부(33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일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받침부(340)는 상기 제 1받침부(320)와 상기 제 2받침부(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가령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받침부(340)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고정부재(80)가 사용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다른 위치고정부재(350)에 의해 상기 제 3받침부(340)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별도의 다른 상기 위치고정부재(350)는 상기 제 3받침부(340)의 일측방향과 상기 제 3받침부(340)의 타측방향에 각각 서로 대칭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별도의 다른 상기 위치고정부재(350)는 크게, 수직판(351)과 수평판(3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351)의 상측을 상기 제 3받침부(340)의 축(310)이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수직판(351)의 상측에 상기 제 3받침부(340)의 축(3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352)은 상기 제 3받침부(340)의 일측외부방향 및 상기 제 3받침부(340)의 타측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되어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일예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회전체(401), 연결줄(402) 및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는 상기 구조물(10)의 양측면, 즉 상기 구조물(10)의 일측면 상측과 상기 구조물(10)의 타측면 상측에 각각 상기 구조물(10)의 전측에서 상기 구조물(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로서, 풀리, 스프로켓 및 타이밍기어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종류의 회전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줄(402)의 하측은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의 하부 외주면과 상부 외주면을 각각 교대로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연결줄(402)의 전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 하부면 전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402)의 후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 하부면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 하부면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402)로서 와이어, 벨트, 체인, 타이밍벨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령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가 풀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줄(402)은 와이어 또는 벨트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가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줄(402)은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가 타이밍기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연결줄(402)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를 이루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이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 중 어느 하나의 중심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에 볼트고정되거나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모두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를 이루는 상기 구동모터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 중 어느 하나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도조절부(4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다른예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줄(402)과 걸림고정수단(4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연결줄(402)로서, 와이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른예의 상기 연결줄(402)은 전측연결줄(402a)과 후측연결줄(40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줄(402a)의 하부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줄(402a)의 상부에는 후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측걸림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줄(402b)의 하부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연결줄(402b)의 상부에는 후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후측걸림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연결줄(402a)의 상하길이는 상기 후측연결줄(402b)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후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402)의 전측걸림고정부재와 후측걸림고정부재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각각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은 일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후측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홈(403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걸림홈(403a)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에서 각각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내부방향으로 각각 수평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403a)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에서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방향으로 2개 이상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고정부재(402a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전측에 복수형성된 상기 걸림홈(403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고정부재(402b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후측에 복수형성된 상기 걸림홈(403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1은 걸림고정수단(403)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은 다른예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후측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축(403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걸림축(403b)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외부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축(403b)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에서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방향으로 2개 이상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고정부재(402a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전측에 복수형성된 상기 걸림축(403b) 중 어느 하나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고정부재(402b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타측면 후측에 복수형성된 상기 걸림축(403b)중 어느 하나를 감싼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걸림고정수단(403)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걸림고정수단(403)은 또 다른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후측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링부(403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링부(403c)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에서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방향으로 2개 이상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링부(403c)는 지지축(403c1)과 환형의 링(403c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축(403c1)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링(403c2)은 상기 지지축(403c1)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걸림고정부재(402a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에 복수형성된 복수의 상기 링부(403c) 중 어느 하나의 링부(403c)의 환형의 링(403c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걸림고정부재(402b1)를 이루는 후크의 상측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후측에 복수형성된 복수의 상기 링부(403c) 중 어느 하나의 링부(403c)의 환형의 링(403c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로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관(410), 손잡이부재(420) 및 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관(4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관(410)의 내주면 하측과 상기 회전관(410)의 내주면 상측에 하측암나사선(411)과 상측암나사선(412)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420)는 상기 회전관(410)의 일측외주면과 상기 회전관(410)의 타측외주면에서 상기 회전관(410)의 외부방향으로 각각 수평연장형성되는 손잡이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430)는 하측리드스크류(431)와 상측리드스크류(4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리드스크류(431)의 상부는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리드스크류(431)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암나사선(4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리드스크류(431)의 하부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전측 또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리드스크류(432)의 하부는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 내부에 인입추가능하게 나사결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리드스크류(432)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암나사선(4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리드스크류(432)의 상부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 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부재(420)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관(41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상기 회전관(410)으로부터 상기 리드스크류(430)가 인입출되고, 이로 인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로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체(440), 보조관체(450) 및 고정부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체(440)의 하부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전측 또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면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관체(440)의 외주면에는 1개의 관통구(4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관체(450)는 상기 관체(440)의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관체(45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조관체(450)의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보조관통구(45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관체(450)의 상부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 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하부면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60)는 상기 관체(440)의 1개의 관통구(441)와 상기 보조관체(450)의 보조관통구(45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고정핀, 고정축, 고정볼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체(440)와 상기 보조관체(45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46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관체(440)로부터 상기 보조관체(450)를 인입출시킴에 따라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후측이 각각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
도 17은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관(410), 상기 손잡이부재(420) 및 상기 리드스크류(430)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도조절부(40)와 상기 관체(440), 상기 보조관체(450) 및 상기 고정부재(460)로 이루어지는 상기 각도조절부(40)는,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 사이에 구비 또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후측 사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상기 각도조절부(40)가 흔들리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후측 사이 모두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다.
도 18은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각도조절부(40)의 또 다른예로서,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 사이에 구비되는 전측각도조절부(41)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후측 사이에 구비되는 후측각도조절부(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각도조절부(41)는 상기 회전관(410), 상기 손잡이부재(420) 및 상기 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측각도조절부(41)는 상기 관체(440), 상기 보조관체(450) 및 고정부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각도조절부(42)는 상기 관체(440), 상기 보조관체(450) 및 상기 고정부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후측각도조절부(42)는 상기 회전관(410), 상기 손잡이부재(420) 및 상기 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운반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 또는 건축물 등의 상기 구조물(10)에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을 설치함으로서, 별도의 기반공사없이 간편히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을 시설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전력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구조물, 20; 태양전지패널,
30; 받침부, 40; 각도조절부.

Claims (13)

  1. 구조물(10)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태양전지패널(20)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부면에 일정한 곡률이 형성되는 받침부(30)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상하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각도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의 중심에 축(310)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30)의 축(310)에 상측이 축결합되고, 하측이 상기 구조물(10)에 고정되는 지지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의 하부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사이에 상기 받침부(30)를 지지하는 보조받침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의 일측과 타측에 보조날개부(7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조날개부(70)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일측과 하부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받침부(320) 및 제 2받침부(330)와;
    상기 제 1받침부(320) 및 상기 제 2받침부(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제 3받침부(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체(401)와;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를 경유한 상태로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줄(402)과;
    복수의 상기 회전체(401)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체(40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에 전측걸림고정부재(402a1)가 구비되는 전측연결줄(402a)과,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에 후측걸림고정부재(402b1)가 구비되는 후측연결줄(402b)로 구성되는 연결줄(402)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일측면과 타측면 또는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면 전측과 하부면 후측에 각각 복수형성되고, 상기 연결줄(402)의 전측걸림고정부재(402a1)와 후측걸림고정부재(402b1)가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수단(4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하측과 내주면 상측에 하측암나사선(411)과 상측암나사선(412)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회전관(410)과;
    상기 회전관(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420)와;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 내부에 상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암나사선(4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1a)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하측리드스크류(431)와,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 내부에 하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암나사선(4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2a)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상측리드스크류(432)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외주면에 관통구(441)가 형성되는 관체(440)와;
    상기 관체(440)의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보조관통구(451)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에 축결합되는 보조관체(450)와;
    상기 관체(440)의 관통구(441)와 상기 보조관체(450)의 보조관통구(45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고정부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 사이 및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과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후측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40)는 전측각도조절부(41) 및 후측각도조절부(42)로 구성되고,
    상기 전측각도조절부(41)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주면 하측과 내주면 상측에 하측암나사선(411)과 상측암나사선(412)이 각각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회전관(410)과;
    상기 회전관(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420)와;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 내부에 상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410)의 하측암나사선(411)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1a)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하측리드스크류(431)와,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 내부에 하부가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회전관(410)의 상측암나사선(4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선(432a)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전측에 축결합되는 상측리드스크류(432)로 구성되는 리드스크류(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측각도조절부(42)는 상기 구조물(10)의 상부 후측에 하부가 축결합되고, 외주면에 관통구(441)가 형성되는 관체(440)와;
    상기 관체(440)의 내부에 인입출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보조관통구(451)가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태양전지패널(20)의 하부 후측에 축결합되는 보조관체(450)와;
    상기 관체(440)의 관통구(441)와 상기 보조관체(450)의 보조관통구(451)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고정부재(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KR1020130035451A 2013-04-01 2013-04-01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KR10127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51A KR101270811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451A KR101270811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811B1 true KR101270811B1 (ko) 2013-06-05

Family

ID=48866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451A KR101270811B1 (ko) 2013-04-01 2013-04-01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48U (ko) * 2018-05-08 2019-11-18 홍형의 태양광패널의 받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693A (ko) * 2010-01-29 2011-08-04 (주) 포엠엔지니어링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10108443A (ko) * 2010-03-29 2011-10-06 (주)신성이엔지 태양전지판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130023420A (ko) * 2011-08-29 2013-03-08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693A (ko) * 2010-01-29 2011-08-04 (주) 포엠엔지니어링 태양전지판의 각도조절장치
KR20110108443A (ko) * 2010-03-29 2011-10-06 (주)신성이엔지 태양전지판 경사각도 조절장치
KR20130023420A (ko) * 2011-08-29 2013-03-08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48U (ko) * 2018-05-08 2019-11-18 홍형의 태양광패널의 받침장치
KR200492241Y1 (ko) 2018-05-08 2020-09-03 홍형의 태양광패널의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8043B2 (ja) 再生可能なソースからのエネルギー生産のためのシステム
JP2015518703A (ja) 太陽光発電用追跡装置
KR102530108B1 (ko) 태양광 발전용 폴 시스템
KR20090096281A (ko) 태양광 전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US8648551B2 (en) Device for continuously reorienting a solar panel
KR20140056746A (ko) 추적식 수상부유 태양광 발전장치
KR100687140B1 (ko) 태양광 추적식 에너지발전장치
KR102072553B1 (ko) 수상태양광발전장치
KR101270811B1 (ko) 가변형 태양발전장치
KR100959554B1 (ko) 태양광 발전용 단축 회전식 가대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1405534B1 (ko) 태양전지 모듈 지지 구조물
KR101554481B1 (ko) 각도고정장치가 구비된 각도 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
KR200490005Y1 (ko) 증속기능을 갖는 발전장치
KR20190128359A (ko) 체결볼트로 결합되는 조립형 태양광 구조물
KR102422285B1 (ko) 백래시의 제어구조를 가진 태양광 발전용 회전장치
KR101554483B1 (ko) 높이조절고정장치를 구비한 각도 가변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2626322B1 (ko) 태양광 발전기
KR20100132396A (ko) 1축 회전식 대형 태양광 발전기
KR20140015806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192165B1 (ko) 태양광 추적장치
KR102428967B1 (ko) 꺾임 방지구조를 가진 태양광 회전장치
KR20110094168A (ko) 풍력발전기에 연설되는 태양광 발전장치
CN210219665U (zh) 一种方便安拆的组合灯架
CN212253190U (zh) 一种水上光伏装置
KR20110093475A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