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05B1 -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05B1
KR102067505B1 KR1020180131326A KR20180131326A KR102067505B1 KR 102067505 B1 KR102067505 B1 KR 102067505B1 KR 1020180131326 A KR1020180131326 A KR 1020180131326A KR 20180131326 A KR20180131326 A KR 20180131326A KR 102067505 B1 KR102067505 B1 KR 102067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lower frame
wire
pulley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경
김세계
Original Assignee
임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경 filed Critical 임채경
Priority to KR1020180131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3/0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 G05D3/10Control of position or direction without using feedback
    • G05D3/105Solar track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 변화와 일출에서부터 일몰동안의 시간별 변화에 따른 태양 각도에 대응하도록 집광판의 경사각도 및 좌,우 회전각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용량 집광판의 각도 조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고 상측방향으로 수직부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힌지축 결합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 몸체의 선단변과 후단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로부터 각각 높이가 조절되도록 분할된 선단변과 후단변을 가지며 상기 선단변과 후단변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신축수단이 구비되고 상측에 집광판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몸체;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A SOLAR GENERATOR HAVING VARIABLE ANG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절별 태양의 고도 변화와 일출에서부터 일몰동안의 시간별 변화에 따른 태양 각도에 대응하도록 집광판의 경사각도 및 좌,우 회전각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대용량 집광판의 각도 조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들어 화석에너지의 고갈에 따른 위기감 및 기후변화 협약에 의거 온실가스 감축의무부담이 가시화됨에 따라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더불어 송배전 시설이 불가한 낙도, 격오지 등에는 자체 전력생산설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및 풍력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은 세계적으로 연평균 20~30% 급성장하여 IT, BT산업 등과 함께 21세기 첨단 신산업으로 급신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시대적 추세에 발맞추어 종래 태양광 집광장치의 현안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종래 태양광 집광장치는 셀과 셀을 필요한 만큼 직/병렬로 연결한 태양전지판이 정남향을 향해 대략 30 내지 40°의 각도로 고정 설치된다 이는 고정된 상태에서 태양광의 입사각과 태양전지판이 직각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최대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각 계절별 태양의 고도를 살펴보면, 위도가 대략 35°(북위 33°~43°)이므로 춘/추분(봄 가을)에는 태양의 고도가 35°정도이고, 동지(겨울)인 경우에는 태양의고도가 12°정도이며, 하지(여름)에는 58°정도까지 태양의 고도가 변하게 된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이 23.5˚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태양전지판은 정남향을 향해 대략 35°정도의 기울기로 고정설치되어 있어 춘/추분을 제외하고는 전력 생산량이 떨어져 투자비용에 대비하여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태양광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10-2009-0050687호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공개일자 : 2009.05.20)로 게시된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는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며 장공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태양전지판을 지지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 시이소작동 가능하도록 회동되게 지지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마주보는 양단을 아치형으로 연결하며 상기 장공에 대응되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된 아치형 프레임과, 상기 장공과 결합공을 관통하여 체결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된 구조이나 고도에 의한 각도 변경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태양광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827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등록일자 : 2013.04.1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태양광모듈부와;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태양광모듈부의 양측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태양광모듈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 하부면 중심부가 축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안착구비되는 태양광전지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 일측에 구비되는 일측 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면 타측에 구비되는 타측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 하측에 중심부가 걸쳐진 상태로 일단부가 상기 일측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브라켓에 연결되는 경사각도조절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태양광장치의 각도조절은 단순히 사계절에 따른 태양 고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각도 조절을 수행하고 있으나, 지구의 자전운동으로 인한 일출과 일몰동안의 태양광 각도 변화에는 가변적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태양광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태양광 각도 조절장치는 태양광 모듈의 중간에 마련된 하나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자유도가 향상되는 반면에, 구조적 특성상 강도에 취약하여 소용량의 태양광모듈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대용량 태양광모듈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9-0050687호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공개일자 : 2009.05.20)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5827호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등록일자 : 2013.04.11)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 변화와 일출에서부터 일몰동안의 시간별 변화에 따른 태양 각도에 대응하도록 집광판의 경사각도 및 좌,우 회전각을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용량 집광판의 각도 조절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안착되고 상측방향으로 수직부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 힌지축 결합되는 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몸체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 몸체의 선단변과 후단변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로부터 각각 높이가 조절되도록 분할된 선단변과 후단변을 가지며 상기 선단변과 후단변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신축수단이 구비되고 상측에 집광판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몸체;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부재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신축수단은 상기 후단변과 근접된 선단변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과, 상기 후단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각 모서리 상측에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채널부재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각 모서리 하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채널부재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면에 랙기어부가 형성된 다리부재와,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가지며 상기 채널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절핸들을 갖는 기어조작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각 모서리 상측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각 유압실린더에 구비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각 모서리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각 모서리를 각각 승강시키는 로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는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상측에 이격된 높이에 마련되고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조절수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와이어부재의 각각에 매달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좌,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무게추와, 상기 무게추가 매달린 와이어부재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도르래부재, 및 상기 연결도르래부재에 축 결합되며 연결와이어로 와이어 구동부의 구동모터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풀리가 마련된 회전축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는 상기 연결와이어와 연결되는 동력도르래와, 상기 동력도르래와 연결된 구동축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공이 형성된 활차풀리, 및 상기 구동축을 정,역방향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활차풀리의 개구공 중 하나에 진입 또는 이탈되고 상기 개구공 내에 진입시 활차풀리의 개구공지지대에 간섭되어 구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바와, 상기 스톱바를 상기 개구공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더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는 타이머와 태양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의 수직부 상면 양측에 마련되는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연장부의 하측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좌,우 회전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 중 하나에 접촉되어 신호를 제어부측으로 출력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를 연결하며 상호간의 높낮이에 대한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장력조절기를 더 구비하되, 상기 장력조절기는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외측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부 조절기몸체와 연결된 제1장력와이어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외측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조절바의 하단에 연결된 제2장력와이어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의 상,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하부 조절기몸체와, 상기 상,하부 조절기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의 상부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를 연결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수단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의 선단변과 후단변에는 가로방향으로 상측이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된 제1,2레일 프레임과, 상기 제1,2레일 프레임 상에서 측방향으로 구름 운동되는 바퀴를 가지며 상기 바퀴의 구름운동시 상기 집광판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집광판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연장바와, 상기 제1,2연장바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제1,2연결핀과, 상기 제1,2연결핀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부에 연결축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와 시간별 태양별 각도에 적합하도록 하부 프레임 몸체(300)를 좌,우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계절에 관계없이 태양의 고도와 각도에 최적화된 각도로 조절하여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수단(400)은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집광판(10)이 안착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신축수단(700)은 승강수단(400)의 승강동작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 조절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하부 프레임 몸체(200,300) 사이에 장력조절기(3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높낮이 조절시 여유 간극을 제공하여 높낮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할 경우 청소수단(900)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10)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상부 프레임 몸체 상에 안착대와 집광판이 안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신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승강수단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수단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청소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력조절기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 회전조절수단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 회전조절수단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지지수단과 회전제한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회전조절수단에 의해 하부 프레임 몸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승강수단의 변형 예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본 발명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 및 일출과 일몰 시간동안 가변되는 태양의 각도에 따라 집광판의 경사각 및 좌,우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는, 도 1 내지 도 를 참조하면, 지면에 안착되고 상측방향으로 수직부(110)가 형성된 받침대(100)와; 상기 수직부(110)의 단부에 힌지축(115) 결합되는 연장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0)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몸체(300)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승강수단(400)과; 상기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모서리 부위로부터 각각 높이가 조절되도록 분할된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가지며 상기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신축수단(700)이 구비되고 상측에 집광판(10)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몸체(200);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51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부재(510)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구성되고, 하측에 형성된 연장부(310)가 받침대(100)의 수직부(110)에 대해 힌지축(115)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상측에 이격된 높이에 마련되고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상측에는 집광판(10)이 안착되는 안착대(25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는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으로 구분되고, 후단변(220) 부위가 상기 선단변(210)에 대해 길이가 신축되도록 신축수단(70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400)은 선단변(210)의 좌,우 양측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400A)과, 후단변(220)의 좌,우 양측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00B)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신축수단(700)은 상기 후단변(220)과 근접된 선단변(210)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710)과, 상기 후단변(2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홈(7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720)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승강수단(400) 중 제2승강수단(400B)의 승강 높이가 제1승강수단(400A)의 승강 높이보다 더 클 경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이 경사진 각도를 가지게 되며, 이로 인해 후단변(220)의 가이드바(720)가 슬라이딩홈(710)으로부터 인출되어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포함한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1승강수단(400A)과 제2승강수단(400B)의 승강 높이가 동일하거나 비슷해질 경우 후단변(220)의 가이드바(720)가 슬라이딩홈(710)으로 인입되어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포함한 전체 길이가 앞서의 경사진 각도를 가질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400)은 도 4a와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각 모서리 상측에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채널부재(4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 하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채널부재(4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면에 랙기어부(425)가 형성된 다리부재(420)와, 상기 랙기어부(425)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35)를 가지며 상기 채널부재(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절핸들(432)을 갖는 기어조작부(430)를 구비한다.
상기 채널부재(410)는 상기 다리부재(420)가 진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승강홀(415)이 형성되고, 전면방향으로 상기 피니언기어(435)가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다리부재(420)는 전면방향으로 랙기어부(425)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랙기어부(425)의 하측에는 상기 채널부재(410)를 관통하는 고정핀(440)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상기 채널부재(410)에 대한 다리부재(42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공(422)이 상,하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 몸체(200)와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높낮이 조절은 기어조작부(430)의 조절핸들(432)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시 피니언기어(435)가 랙기어부(425)를 기어이 맞물림 동작되면서 다리부재(420)를 채널부재(410)의 승강홀(415) 내에서 승강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승강수단(400)은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 몸체(200)에 결합된 안착대(250) 상에 안착된 집광판(10)의 선단과 후단의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상기 고정핀(440)은 채널부재(410)의 끼움공(412)를 관통하여 복수의 조절공(422) 중 하나에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다리부재(420)를 선택된 위치에 고정시켜 다리부재(420)의 상,하방향 유동을 억제시킬 수 있는 록킹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10)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9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수단(900)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에는 가로방향으로 상측이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된 제1,2레일 프레임(910,920)과, 상기 제1,2레일 프레임(910,920)들이 수평상태로 위치할 경우 상기 홈부 내에서 측방향으로 구름 운동되는 바퀴(932)를 가지며 상기 바퀴(932)의 구름운동시 상기 집광판(10)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집광판(10)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롤러(930)를 구비한다.
상기 청소롤러(9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구름운동시키거나, 혹은 모터의 구동으로 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집광판(10)을 청소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를 연결하며 상호간의 높낮이에 대한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장력조절기(35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장력조절기(350)는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외측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부 조절기몸체(353)와 연결된 제1장력와이어(351)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외측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조절바(355)의 하단에 연결된 제2장력와이어(352)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상,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하부 조절기몸체(354)와, 상기 상,하부 조절기몸체(353,354)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355)의 상부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를 연결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356)로 구성된다.
또한, 상부 조절기몸체(353)와 하부 조절기몸체(35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하단 내측에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조절기몸체(354)의 상부 외측에 상기 지지턱에 간섭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낮이 조절되는 중에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하강동작시 상부 조절기몸체(353)가 하부 조절기몸체(354)의 외측에서 가이드되면서 하강동작되고 스프링부재(356)를 수축시키는 반면에,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상승동작시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부재(356)가 다시 복원되면서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복귀동작을 보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장력조절기(350)는 승강수단(400)에 의한 높낮이 조절동작시 상기 스프링부재(356)의 탄성력으로 상,하부 프레임 몸체(200,300) 간의 작동 유격을 제공하게 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조절수단(5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510)와, 상기 와이어부재(510)의 각각에 매달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무게추(520)와, 상기 무게추(520)가 매달린 와이어부재(510)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도르래부재(530), 및 상기 연결도르래부재(530)에 축 결합되며 연결와이어(550)로 와이어 구동부(560)의 구동모터(566)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풀리(535)가 마련된 회전축(5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와이어부재(510)는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선단과 후단의 좌,우 양측에 단부가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부재(510)에 무게추(520)가 매달리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무게추(520)는 힌지축(115)에 대한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개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상기 회전축(54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540)에 연결와이어(550)로 연동되게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상기 연결와이어(550)와 연결되는 동력도르래(561)와, 상기 동력도르래(561)와 연결된 구동축(562)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공(563a)이 형성된 활차풀리(563), 및 상기 구동축(562)을 정방향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구동모터(566)의 동작은 양측 솔레노이드밸브(564)의 해제상태일때만 동작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566)는 구동시 구동축(562)을 회전 구동시켜 활차풀리(563) 및 동력도르래(561)를 회전시키고, 동력도르래(561)에 연결와이어(550)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축(540)을 구동 회전시켜 연결도르래부재(530)를 회전시켜 와이어부재(510)를 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상기 구동축(56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활차풀리(563)의 개구공(563a) 중 하나에 진입 또는 이탈되고 상기 개구공(563a) 내에 진입시 활차풀리(563)의 개구공지지대(563b)과 간섭되어 구동축(56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바(565)와, 상기 스톱바(565)를 상기 개구공(563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564)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 구동모터(566)는 일측의 구동모터(566)가 구동될 때 타측의 구동모터(566)는 동작하지 않는 구조를 가지게 되고, 이 경우 솔레노이드밸브(564)의 해제동작시 스톱바(565)와 개구공(563a)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며, 일측 구동모터(566)가 정방향 구동될 경우 일측의 와이어부재(510)가 당겨지고 이와 반대로 타측의 와이어부재(510)가 풀어지게 된다.
상기한 개구공(563a)에 대한 스톱바(565)의 원활한 진입을 위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톱바(565)의 전단부가 구형 형태로 구성되고, 활차풀리(563)의 개구공(563a)을 형성하는 개구공지지대(563b)가 이중 파이프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개구공지지대(563b)는 스톱바(565)의 전진동작시 스톱바(565)의 전단부와 부딪히더라도 개구공지지대(563b)의 외측 파이프가 회전되면서 스톱바(565)가 개구공(563a) 내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외측의 파이프 내경이 내측의 파이프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외측 파이프가 내측 파이프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타이머(820)와 태양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81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850)에서 상기 구동모터(566)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타이머(820)와 태양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81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850)에서 상기 구동모터(566)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는 좌,우측 회전시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연장바(610,620)와, 상기 제1,2연장바(610,6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제1,2연결핀(630,640)과, 상기 제1,2연결핀(630,64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부에 연결축(655)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6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2연장바(610,620)는 상기 연결축(655)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연결핀(630,640) 중 제1연결핀(630)은 일단이 좌측에 위치한 제1연장바(610)의 하단과 핀으로 연결되고 제1연결핀(630)의 타단이 지지대(650)의 상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축(655)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연결핀(640)은 일단이 우측에 위치한 제2연장바(620)의 하단과 핀으로 연결되고 제2연결핀(640)의 타단이 지지대(650)의 상부에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제1연결핀(630)의 타단보다 전방에 상기 연결축(655)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제1,2연결핀(630,640)은 연결축(655)을 매개로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로 인해 제1,2연장바(610,6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대용량의 경우에도 안정감이 있도록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좌,우 회전시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8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제한수단(860)은 상기 받침대(100)의 수직부(110) 상면 양측에 마련되는 리미트 스위치(862)와, 상기 연장부(310)의 하측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회전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862) 중 하나에 접촉되어 신호를 제어부(850)측으로 출력하는 돌출부(86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와 일출과 일몰 시간 동안의 태양 각도에 따라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각도를 승강수단(400)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양측에 와이어부재(510)로 연동되도록 연결된 회전조절수단(500)의 동작으로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회전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계절별 태양의 고도와 시간별 태양 각도에 따라 상부 프레임 몸체(200)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10)의 각도를 적합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강수단(400)은 제1,2승강수단(400A,400B)(400)을 이용하여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계절별 태양 고도에 대한 적합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승강수단(400)은 기어조작부(430)의 조절핸들(43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기어조작부(430)의 피니언기어(435)가 랙기어부(425)에 기어 맞물림 동작되면서 다리부재(420)를 상승동작시켜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높이를 상승시키는 반면에, 상기 기어조작부(430)의 조절핸들(432)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기어조작부(430)의 피니언기어(435)가 랙기어부(425)에 기어 맞물림 동작되면서 다리부재(420)를 하강동작시켜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높이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후단변(220)과 선단변(210)은 신축수단(700)에 의해 길이가 신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후단변(220)이 선단변(210)보다 더 높게 상승되더라도 전체 길이 보정을 통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조절수단(500)의 동작은 와이어 구동부(560)가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양측에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므로, 도 9a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있는 와이어 구동부(560)의 구동모터(566)가 정방향 구동될 경우, 솔레노이드밸브(564)가 해제된 상태(스톱바(565)가 개구공(563a)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며, 구동축(562)과 동력도르래(561)가 연결와이어(55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회전축(540)과 연결풀리(535)를 회전시켜 와이어부재(510)를 당기게 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측 부위를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우측에 있는 와이어 구동부(560)는 구동모터(566)가 구동되지 않고 솔레노이드밸브(564)가 해제된 상태(스톱바(565)가 개구공(563a)로부터 이탈된 상태)가 되며, 좌측에 있는 구동모터(566)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축(562)과 동력도르래(561)가 연결와이어(550)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회전축(540)과 연결풀리(535)를 회전시켜 와이어부재(510)를 풀어주게 되고, 상기한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측 부위가 하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우측 부위가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고, 하부 프레임 몸체(300)가 힌지축(115)을 중심으로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후에 좌측에 있는 구동모터(565)의 동작이 정지되면, 좌측의 솔레노이드밸브(564)가 동작되어 스톱바(565)를 개구공(563a) 내로 진입되어 록킹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우측에 있는 와이어 구동부(560)의 구동모터(566)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좌측에 있는 와이어 구동부(560)의 구동모터(566)가 구동되지 않을 경우, 좌측의 솔레노이드밸브(564)가 해제되면서 좌측의 와이어부재(510)가 풀리게 되어 도 1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 몸체(300)가 시계바늘의 진행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계절별 태양의 고도와 시간별 태양별 각도에 적합하도록 하부 프레임 몸체(300)를 좌,우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계절에 관계없이 태양의 고도와 각도에 최적화된 각도로 조절하여 태양광의 집광 효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승강수단(400)은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대용량의 집광판(10)이 안착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신축수단(700)은 승강수단(400)의 승강동작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전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되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 조절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하부 프레임 몸체(200,300) 사이에 장력조절기(3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하부 프레임 몸체(300)에 대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높낮이 조절시 여유 간극을 제공하여 높낮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가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할 경우 청소수단(900)이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10)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2는 본 발명 승강수단(4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승강수단(400)의 구성 중 기어조작부(430)가 조절핸들(432) 대신 제어부(8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조절모터(430A)를 구비함으로써, 제어부(85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조절모터(430A)의 피니언기어(435)가 다리부재(420)의 랙기어부(425)에 기어 맞물림동작되면서 다리부재(420)를 승강시키는 구조로 된 것을 채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경사각 조절은 계절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동으로 조절해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 승강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승강수단(400)은 앞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각 모서리 상측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450)와, 상기 각 유압실린더(450)에 구비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를 각각 승강시키는 로드부재(455)를 구비한 것이다.
이로 인해 승강수단(400)의 다른 실시 예는 유압력으로 로드부재(455)를 승강동작시켜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집광판 100 : 받침대
110 : 수직부 115 : 힌지축
200 : 상부 프레임 몸체 210 : 선단변
220 : 후단변 250 : 안착대
300 : 하부 프레임 몸체 350 : 장력조절기
351 : 제1장력와이어 352 : 제2장력와이어
353 : 상부 조절기몸체 354 : 하부 조절기몸체
355 : 조절바 356 : 스프링부재
400 : 승강수단 410 : 채널부재
412 : 끼움공 415 : 승강홀
420 : 다리부재 422 : 조절공
425 : 랙기어부 430 : 기어조작부
430A : 조절모터 432 : 조절핸들
435 : 피니언기어 440 : 고정핀
450 : 유압실린더 455 : 로드부재
500 : 회전조절수단 510 : 와이어부재
520 : 무게추 530 : 연결도르래부재
535 : 연결풀리 540 : 회전축
550 : 연결와이어 560 : 와이어 구동부
561 : 동력도르래 562 : 구동축
563 : 활차풀리 563a : 개구공
563b : 개구공지지대 564 : 솔레노이드밸브
565 : 스톱바 600 : 지지수단
610 : 제1연장바 620 : 제2연장바
630,640 : 제1,2연결핀 650 : 지지대
655 : 연결축 700 : 신축수단
710 : 슬라이딩홈 720 : 가이드바
810 : 감지센서 820 : 타이머
850 : 제어부 860 : 회전제한수단
862 : 리미트 스위치 864 : 돌출부
900 : 청소수단 910,920 : 제1,2레일 프레임
930 : 청소롤러 932 : 바퀴

Claims (12)

  1. 지면에 안착되고 상측방향으로 수직부(110)가 형성된 받침대(100)와;
    상기 수직부(110)의 단부에 힌지축(115) 결합되는 연장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110)에 대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몸체(300)와;
    상기 프레임 몸체의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고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는 승강수단(400)과;
    상기 승강수단(400)에 의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모서리 부위로부터 각각 높이가 조절되도록 분할된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을 가지며 상기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의 길이가 신축되도록 신축수단(700)이 구비되고 상측에 집광판(10)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몸체(200);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510)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부재(510)의 좌,우 회전각을 조절하는 회전조절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신축수단(700)은 상기 후단변(220)과 근접된 선단변(210)의 일단 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홈(710)과, 상기 후단변(22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홈(7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바(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각 모서리 상측에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채널부재(410)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 하측면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채널부재(410)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결합되며 일측면에 랙기어부(425)가 형성된 다리부재(420)와,
    상기 랙기어부(425)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35)를 가지며 상기 채널부재(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절핸들(432)을 갖는 기어조작부(4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각 모서리 상측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450)와,
    상기 각 유압실린더(450)에 구비되고 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각 모서리를 각각 승강시키는 로드부재(45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는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상측에 이격된 높이에 마련되고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수단(5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측과 연결되는 와이어부재(510)와,
    상기 와이어부재(510)의 각각에 매달리도록 마련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균형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무게추(520)와,
    상기 무게추(520)가 매달린 와이어부재(510)의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도르래부재(530), 및
    상기 연결도르래부재(530)에 축 결합되며 연결와이어(550)로 와이어 구동부(560)의 구동모터(566)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풀리(535)가 마련된 회전축(5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상기 연결와이어(550)와 연결되는 동력도르래(561)와,
    상기 동력도르래(561)와 연결된 구동축(562)에 연결되고 복수의 개구공(563a)이 형성된 활차풀리(563), 및
    상기 구동축(562)을 정,역방향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상기 구동축(56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활차풀리(563)의 개구공(563a) 중 하나에 진입 또는 이탈되고 상기 개구공(563a) 내에 진입시 활차풀리(563)의 개구공지지대(563b)와 간섭되어 구동축(56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바(565)와,
    상기 스톱바(565)를 상기 개구공(563a)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56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구동부(560)는 타이머(820)와 태양광을 측정하는 감지센서(810)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근거로 제어부(850)에서 상기 구동모터(566)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수직부(110) 상면 양측에 마련되는 리미트 스위치(862)와,
    상기 연장부(310)의 하측면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좌,우 회전시 상기 리미트 스위치(862) 중 하나에 접촉되어 신호를 제어부(850)측으로 출력하는 돌출부(86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를 연결하며 상호간의 높낮이에 대한 유격을 제공하기 위한 장력조절기(350)를 더 구비하되,
    상기 장력조절기(350)는 상단이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외측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부 조절기몸체(353)와 연결된 제1장력와이어(351)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외측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이 조절바(355)의 하단에 연결된 제2장력와이어(352)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의 상,하 승강을 가이드하는 하부 조절기몸체(354)와,
    상기 상,하부 조절기몸체(353,354)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355)의 상부와 상기 상부 조절기몸체(353)를 연결하며 자체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부재(3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상측에 안착된 집광판(10)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수단(9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소수단(900)은 상기 상부 프레임 몸체(200)의 선단변(210)과 후단변(220)에는 가로방향으로 상측이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된 제1,2레일 프레임(910,920)과,
    상기 제1,2레일 프레임(910,920) 상에서 측방향으로 구름 운동되는 바퀴(932)를 가지며 상기 바퀴(932)의 구름운동시 상기 집광판(10)의 상측면과 접촉되어 집광판(10)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롤러(9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6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하부 프레임 몸체(300)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2연장바(610,620)와,
    상기 제1,2연장바(610,6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되는 제1,2연결핀(630,640)과,
    상기 제1,2연결핀(630,64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부에 연결축(655)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지면에 접촉되는 지지대(6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KR1020180131326A 2018-10-30 2018-10-30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KR102067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26A KR102067505B1 (ko) 2018-10-30 2018-10-30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326A KR102067505B1 (ko) 2018-10-30 2018-10-30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05B1 true KR102067505B1 (ko) 2020-01-17

Family

ID=6937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326A KR102067505B1 (ko) 2018-10-30 2018-10-30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270A1 (zh) * 2020-08-05 2022-02-10 李�杰 一种无需光电传感器的光电和光热的追踪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00A (ko) * 2007-07-05 2009-01-12 노형완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050687A (ko) 2007-11-16 2009-05-20 한국농어촌공사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KR20100030716A (ko) * 2008-09-11 2010-03-19 원앤원산업개발주식회사 광전변환패널의 태양추종식 위치제어장치
KR101255827B1 (ko) 2011-08-29 2013-04-17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JP2013225650A (ja) * 2012-04-23 2013-10-31 Topper Sun Energy Technology Co Ltd 太陽光発電機ユニットの自動太陽追尾調整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40119281A (ko) * 2013-03-28 2014-10-1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어레이의 경사각 조절형 지지장치
KR20170000674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52327B1 (ko) * 2018-01-19 2018-04-27 (주)이레이티에스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각도 조절 기반 태양광 발전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900A (ko) * 2007-07-05 2009-01-12 노형완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050687A (ko) 2007-11-16 2009-05-20 한국농어촌공사 태양전지판의 각도 조절장치
KR20100030716A (ko) * 2008-09-11 2010-03-19 원앤원산업개발주식회사 광전변환패널의 태양추종식 위치제어장치
KR101255827B1 (ko) 2011-08-29 2013-04-17 주진성 태양광모듈의 각도조절장치
JP2013225650A (ja) * 2012-04-23 2013-10-31 Topper Sun Energy Technology Co Ltd 太陽光発電機ユニットの自動太陽追尾調整コントロール装置
KR20140119281A (ko) * 2013-03-28 2014-10-1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 어레이의 경사각 조절형 지지장치
KR20170000674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태양광 발전장치
KR101852327B1 (ko) * 2018-01-19 2018-04-27 (주)이레이티에스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각도 조절 기반 태양광 발전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7270A1 (zh) * 2020-08-05 2022-02-10 李�杰 一种无需光电传感器的光电和光热的追踪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381B1 (ko) 이동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079977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81324B1 (ko) 태양 추종식 블라인드 장치
KR102012027B1 (ko) 자바라 타입의 접이식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875826B1 (ko) 가로등용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KR20070102444A (ko) 태양광집광기의 태양위치추적용 장치의 구조
CN205755892U (zh) 多功能立体种植栽培架
CN209618827U (zh) 一种便于飞机机翼快速检修的升降平台
KR102067505B1 (ko) 가변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태양광장치
JP2005039148A (ja) 太陽光発電装置用太陽追尾装置
KR200462808Y1 (ko) 태양광 발전 집광판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CN211736101U (zh) 一种可调节玻璃幕墙外遮阳装置
CN111371396A (zh) 日跟随的光伏电池板及其倾斜角度和自转的调控方法
CN213125916U (zh) 一种用于观测站的太阳能装置
CN109699343B (zh) 新能源温室大棚
CN211959138U (zh) 双轴联动式光伏跟踪支架
CN209994304U (zh) 一种移动式太阳能临时供电基站
CN110391777B (zh) 一种联动式太阳能光伏发电自动跟踪阳光的装置
CN111293969A (zh) 一种污水处理用水泵的太阳能驱动装置
CN205377761U (zh) 一种用于楼房平面屋顶的角度可调太阳能电池板支架
CN112268744A (zh) 一种水质环境监测用取水设备
CN205811934U (zh) 太阳能自动追踪系统
CN107623483B (zh) 一种用于给菜园供电的可调节式太阳能板
CN219454292U (zh) 一种带遮阳功能的支架结构
CN211650192U (zh) 一种蒸汽热源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